상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의원은 고려의 장복서 제도를 계승하여 조선 태조 때 공조의 속아문으로 설치된 관청이다. 1895년 상의사로, 1905년 상방사로 개칭되었다. 상의원은 귀족과 장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장인들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 종사했다. 영화 《상의원》에서 이 부서가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행정기관 - 포도청
포도청은 조선시대에 도적을 잡고 치안을 유지하던 관청으로, 성종 때 임시직으로 시작하여 좌·우 포도청으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갑오경장 때 경무청으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천주교 박해에도 관여하였다. - 조선의 행정기관 - 승정원
승정원은 조선시대에 왕명 출납을 담당한 국왕 직속 비서 기관으로, 중추원에서 시작하여 승추부로 확대 후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육조 업무 분담, 국정 자문, 정보 기관 역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다 갑오개혁 이후 승선원을 거쳐 궁내부 시종원으로 업무가 이관되었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한국사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한국사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상의원 | |
---|---|
개요 | |
종류 | 관청 |
관할 | 조선의 왕실 의복, 금은보화, 음식 |
상세 정보 | |
위치 |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
주요 업무 | 임금의 의복, 궁중 의복, 금·옥·비단 등의 물품 관리 |
역할 | 왕실의 의복과 재화를 관리하고 공급하는 기관 |
역사 | |
설치 시기 | 태종 14년 (1414년) |
변경 | 고종 18년 (1881년), 직제 개편으로 폐지 |
조직 | |
최고 책임자 | 제조 (提調) |
주요 관직 | 도제조 (都提調) 제조 (提調) 정 (正) 첨정 (僉正) 同僉正 판관 (判官) 주부 (主簿) |
관련 영화 | |
영화 제목 | 상의원 (2014년 영화) |
2. 역사
고려의 장복서(掌服署) 제도를 이어받아 태조 때 공조의 속아문(屬衙門)으로 설치하였다. 1895년(고종 32년)에 상의사(尙衣司)로 개칭되었고, 1905년에 다시 상방사(尙方司)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 상의원의 구성은 크게 관원과 장인으로 나눌 수 있다.
3. 구성
3. 1. 관원
조선 시대 상의원의 관원은 크게 귀족 관원과 장인으로 나눌 수 있다.
귀족 관원은 다음과 같다.
품계 | 관직 | 비고 |
---|---|---|
종1품 ~ 종2품 | 제조(提調) | 다른 관직과의 겸임 |
종2품 | 부제조(副提調) | |
종3품 | 부정(副正) | |
종4품 | 첨정(僉正) | |
정5품 | 별좌(別坐) | |
종5품 | 판관(判官) | |
종6품 | 주부(主簿) | |
종6품 | 별제(別提) | |
종7품 | 직장(直長) | |
종7품 | 공제(工製) | |
종8품 | 공조(工造) | |
종9품 | 공작(工作) |
상의원에 소속된 장인은 제색장(諸色匠)으로 불렸으며, 다양한 분야의 장인들이 있었다.
분야 | 장인 종류 | 인원 수 |
---|---|---|
직물 | 능라장(綾羅匠), 도다익장(都多益匠), 다회장(多繪匠), 도련장(搗鍊匠), 연사장(鍊絲匠), 방직장(紡織匠) | 105명, 2명, 4명, 2명, 75명, 20명 |
모자 | 초립장(草笠匠), 입장(笠匠), 사모장(紗帽匠), 양태장(凉太匠), 망건장(網巾匠), 모자장(帽子匠), 모관장(毛冠匠) | 6명, 2명, 4명, 2명, 4명, 2명, 2명 |
금속 | 성장(筬匠), 옥장(玉匠), 은장(銀匠), 금박장(金箔匠), 입사장(入絲匠), 사금장(絲金匠), 칠장(漆匠), 두석장(豆錫匠), 마조장(磨造匠), 주장(鑄匠), 동장(銅匠), 야장(冶匠), 연장(鍊匠), 재금장(裁金匠), 화빈장(火鑌匠), 환도장(環刀匠) | 10명, 10명, 8명, 4명, 4명, 4명, 8명, 4명, 4명, 4명, 4명, 8명, 10명, 2명, 2명, 12명 |
가죽 | 이피장(裏皮匠), 화장(靴匠), 삽혜장(鈒鞋匠), 숙피장(熟皮匠), 화아장(花兒匠), 사피장(斜皮匠), 모의장(毛衣匠), 생피장(生皮匠), 웅피장(熊皮匠), 전피장(猠皮匠) | 4명, 10명, 8명, 8명, 4명, 4명, 8명, 2명, 2명, 2명 |
기타 | 옹장(瓮匠), 섭장(攝匠), 전장(氈匠), 유칠장(油漆匠), 나전장(螺鈿匠), 하엽록장(荷葉綠匠), 유장(鍮匠), 배첩장(褙貼匠), 침장(針匠), 경장(鏡匠), 풍물장(風物匠), 조각장(彫刻匠), 묵장(墨匠), 궁인(弓人), 시인(矢人), 도자장(刀子匠), 매집장(每緝匠), 목소장(木梳匠), 도목개장(都目介匠), 도결아장(都結兒匠), 죽소장(竹梳匠), 침선장(針線匠), 합사장(合絲匠), 청염장(靑染匠), 홍염장(紅染匠), 세답장(洗踏匠), 도침장(搗砧匠), 초염장(草染匠) | 10명, 8명, 8명, 2명, 2명, 2명, 4명, 4명, 2명, 2명, 8명, 4명, 4명, 18명, 21명, 6명, 4명, 2명, 2명, 2명, 2명, 40명, 10명, 10명, 10명, 8명, 14명, 4명 |
그 외 경아전(京衙前) 40명, 차비노 65명, 근수노 7명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