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간은 북해군 출신의 인물로, 후한 말기에 활동했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조조를 섬겨 관직을 역임했다. 218년 전염병으로 사망했다. 당대와 후대에 걸쳐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조비는 그를 칭송하고 저서 『중론』을 극찬했다. 서간은 명실론, 수양론, 운명 부정론 등의 사상을 펼쳤으며, 저서로는 『중론』과 시부가 전해진다. 현대에는 존 메이컴 등이 서간의 사상을 연구하고 『중론』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1년 출생 - 전예
    전예는 삼국 시대 위나라의 인물로, 북방 이민족을 상대로 분할 통치를 펼쳐 국경을 안정시키고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82세에 사망했다.
  • 171년 출생 - 사마랑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 사마랑은 사마방의 장남이자 사마의의 형으로, 동탁에게 발탁되었으나 그의 멸망을 예감하고 벗어나 조조에게 중용되어 지방관을 역임하며 선정으로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217년 오나라 정벌에 참여했다가 역병을 다스리려다 병에 걸려 사망했다.
  • 건안칠자 - 왕찬
    후한 말기의 문인이자 관료인 왕찬은 뛰어난 문학적 재능과 기억력으로 이름을 떨치며 건안칠자의 한 사람으로 꼽혔고, 조조에게 귀순하여 위나라 건국에 기여했다.
  • 건안칠자 - 공융
    공융은 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이며 공자의 후손으로, 문학적 재능과 직언으로 유명했으나 조조에게 미움을 받아 처형당했다.
  • 218년 사망 - 디아두메니아누스
    디아두메니아누스는 208년에 태어나 217년 아버지 마크리누스가 황제가 된 후 카이사르로 격상되었으나, 218년 반란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사후 로마 원로원은 그의 흔적을 지우려 했다.
  • 218년 사망 - 뇌동
    뇌동은 삼국 시대 촉한의 장수이며, 218년 유비의 한중 진군에 앞서 조홍에게 패하여 전사했다.
서간
기본 정보
서간 초상화
초상화
이름서간
로마자 표기Seo Gan
위장(偉長)
로마자 표기Wi-chang
생년171년
몰년218년
출생지북해군 고밀현
국적후한
직업
직업철학자
시인
주요 작품《중론(中論)》

2. 생애

서간은 북해군 주현(오늘날의 산둥성 례창 동쪽) 출신으로,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나 가난하게 자랐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기억력과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명성을 얻었다.[3] 189년경, 린즈를 떠나 교동반도에서 은거하며 학문에 정진했다. 스스로 은거를 택한 것은 난세를 피해 유학 연구에 몰두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조조를 섬겨 사공군모좨주, 오관장문학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상하이 현령에 임명되기도 했으나, 실제로 직무를 수행하지는 않았다. 건안 23년(218년), 화북 지역에 유행한 전염병으로 사망했다.[3]

2. 1. 평가

조비(曹丕)는 서간을 '''"그야말로 군자라고 불릴 만하며, 그가 만든 작품들은 후세에 대대로 전해질 것이다."'''고 평하였다.[3] 왕창(王昶)은 자신의 자녀들을 훈계하는 글에서 서간을 본받기를 바란다고 하였다.[4] 진수(陳壽)는 《삼국지》 왕위이류부전(王衛二劉傅傳)의 평에서 왕찬(王粲)보다 서간의 덕성을 높이 평가했다.

조비는 《전론(典論)》에서 서간을 건안칠자 중 한 명으로 꼽았지만, 그의 재능이 왕찬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하였다.

3. 사상

서간의 사상은 그의 저서 《중론(中論)》에 잘 나타나 있다. 《중론》은 유학 사상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명실론(名實論), 수양론, 운명 부정론, 성론을 제시한다.[5][6] 법가 사상에도 익숙하여 일관된 상벌(賞罰)을 주장했다.

3. 1. 명실론(名實論)

서간은 명(名)과 실(實)의 관계를 중요하게 다루며, 명칭과 실제가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6]

3. 2. 수양론

서간은 개인의 수양을 통해 사회의 안정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5]

3. 3. 운명 부정론

서간은 운명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의 노력으로 삶을 개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5]

4. 저작

건안칠자 중 한 명인 서간은 《중론(中論)》 2권 20편과 단편적인 시부(詩賦)를 저술했다. 《중론》은 전형적인 유학 사상을 서술하면서도 독자적인 명실론(名實論)[5][6], 수양론, 운명 부정론, 성론을 펼쳤다.[5]

5. 현대의 연구

존 메이컴(John Makeham)은 《중국 초기 역사에서의 이름과 실제》에서 서간의 사상을 분석했고, 《균형 잡힌 담론: 영한 대역본》을 통해 《중론》을 영어로 번역했다. 일본에서는 이케다 슈우조(池田秀三)가 《중론》 교주(校注) 작업을 진행했고, 다다 켄스케(多田狷介)는 《중국 소요 ―『중론』・『인물지』역주 외―》를 통해 《중론》을 일본어로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Quan Sanguo Wen, vol.55 (section: "Zhonglun Xu") 218-03-15
[2] 서적 三国志全人名事典 徳間書店 1994-11
[3] 문서 王粲伝の注に引く『先賢行状』
[4] 서적 三国志魏書王昶伝
[5] 논문 徐幹中論校注(上) https://hdl.handle.n[...]
[6] 논문 徐幹の『中論』版本について https://doi.org/10.1[...] 大阪大学中国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