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조는 후한 말 삼국 시대의 위나라를 건국한 인물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치적 수완을 바탕으로 중원을 장악했다. 그는 안휘성 출신으로, 젊은 시절부터 기민하고 교활하다는 평을 받았으며, 황건적의 난을 진압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동탁 제거를 위한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했지만, 이후 헌제를 옹립하고 수도를 허창으로 옮기는 등 세력을 확장했다. 관도대전에서 원소를 격파하고 적벽대전에서 패배했으나, 위나라의 기반을 다지고 위왕에 봉해졌다. 조조는 문학에도 능하여 '단가행'과 같은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부정적으로 엇갈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한의 승상 - 조비
조비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초대 황제로, 조조 사후 위왕과 승상 자리를 이어받아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내정을 정비했으나 오나라 정벌에 실패하고 요절했으며,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문장경국 사상을 내세우기도 했다.
조조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조조 |
로마자 표기 | Cao Cao |
자 | 맹덕(孟德) |
다른 이름 | 아만(阿瞞), 길리(吉利) |
출생 | 기원후 155년경 |
출생지 | 후한 패국 초현 (현재의 안후이성 보저우시 차오청구) |
사망 | 220년 3월 15일 |
사망지 | 뤄양 |
묻힌 곳 | 조조 고릉 |
매장일 | 220년 4월 11일 |
묘호 | 태조(太祖) |
시호 | 무황제(武皇帝) |
추증 시호 (한나라) | 무왕(武王) |
추증 시호 (조위) | 무황제(武皇帝) |
아버지 | 조숭 |
어머니 | 정 부인 |
배우자 | 정 부인 변 부인 |
자녀 | 조앙, 풍민왕 조비, 위 문황제 조식, 진사왕 조창, 임성위왕 조씨, 헌목황후 그 외 26명 |
가족 관계 링크 | 조위 가계도 |
정치 경력 | |
작위 | 위왕 |
재위 기간 (왕) | 216년 – 220년 3월 15일 |
계승자 (왕) | 조비 |
작위 (공) | 위공(魏公) |
재위 기간 (공) | 213년–216년 |
작위 (승상) | 승상 |
재위 기간 (승상) | 208년 – 220년 3월 15일 |
계승자 (승상) | 조비 |
작위 (사공) | 사공 |
재위 기간 (사공) | 196년–208년 |
주요 활동 | |
주요 참전 | 황건적의 난 동탁 토벌전 형양 풍구 전투 조조의 서주 침공 연주 전투 조조 대 장수 하비 전투 원술 토벌전 관도 전역 두씨진 전투 백마 전투 연진 전투 관도 대전 창정 전투 화북 전역 여양 전투 업 전투 남피 전투 백랑산 전투 적벽 전역 장판 전투 적벽 대전 이릉 육현 반란 합비 강릉 서북 지역 동관 계성 포위전 육성 전투 기산 전투 양평 전투 유수구 (213년) 소요진 전투 파 전투 유수구 (217년) 한중 전투 한수 전투 번성 전투 |
주군 | 영제 소제 헌제 |
기타 정보 | |
한자 표기 | 曹操 |
중국어 발음 (표준어) | Cáo Cāo |
중국어 발음 (민어) | Tsô Tshau |
중국어 발음 (객가어) | Záu Tshǎu |
중국어 발음 (광동어) | Cou4 Cou1 |
중국어 발음 (우어) | Chòuh Chōu |
기타 경력 | |
연주 자사 | 195년 ~ ? |
전임 연주 자사 | 여포 |
2. 생애
조조의 생애는 3세기에 진수가 저술한 《삼국지》에 수록된 공식 전기를 통해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5세기에는 배송지가 다른 자료와 자신의 주석을 추가하여 《삼국지》를 주석했다.[2]
조조는 후한 환관인 조등의 양자인 조숭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조 가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삼국지》 〈무제기〉에는 전한 시대 한 고조 유방의 공신 조참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후한서》 〈조등전〉에는 그러한 기록이 없어, 조참 후예설은 조씨 가문을 격상시키려는 의도라는 견해도 있다.[206] 《삼국지》 〈무제기〉에 인용된 〈조만전〉의 일설에 따르면, 조조의 아버지 조숭은 본래 하후씨이며 하후돈의 숙부라고도 한다.
어린 시절 조조는 기민하고 교활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사냥과 놀이를 좋아하고 자유분방하게 행동했기 때문에 학문에 힘쓰는 또래들에 비해 높이 평가받지 못했다.[4] 하지만, 교현과 하옹은 조조의 잠재력을 알아보았고,[5] 허소는 조조를 "평화로운 시대에는 간사한 간신이요, 혼란한 시대에는 영웅이다"라고 평가했다.[6]
184년, 조조가 30세 때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다. 조조는 기도위(騎都尉)에 임명되어 황건적을 토벌하고, 이 공으로 청주 제남국(濟南國)의 상(相)으로 승진했다.[12] 조조는 제남국을 잘 다스려 지역 평화를 유지했다.[13] 그는 모든 사당을 파괴하고 우상숭배 행위를 금지했으며, 법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비정상적인 관습과 사이비 종교 활동을 일소했다.[14]
조조는 동탁을 제거하기 위한 반동탁 연합군에 가담하여 황제를 구출하려는 의로운 이미지를 구축했다.[207] 192년 청주 황건적 100만 명이 연주를 침공하자, 조조는 이들을 격파하고 흡수하여 '청주병'을 조직, 세력을 크게 확장했다. 원소와 원술의 대립 속에서 조조는 원소와 연합하여 원술 연합군을 격파했다. 이후 도겸이 조숭을 살해하자, 193년부터 194년에 걸쳐 서주를 공격하여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했다.[37]
199년 가을, 조조는 군대를 리양현(黎陽縣; 현재 허난성 순현)으로 파견하고, 유진을 남겨 황하 남쪽 강변을 지키게 했다. 겨울에는 군대를 동원하여 관도(官渡; 현재 허난성 중무현(中牟縣) 관도진)에 주둔시켰다.[53]
200년 초중반, 조조와 원소의 군대는 보마(白馬|백마중국어; 현재 허난성 화현)와 연진(延津|연진중국어; 현재 허난성 연진현 부근)에서 두 차례 전투를 벌였다.[57] 200년 말, 원소는 군대를 이끌고 관도에서 조조를 공격했다. 허유의 조언에 따라, 조조는 직접 기병 5,000명을 이끌고 원소의 보급 기지인 오소(烏巢)를 습격하여 보급품을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장합과 고람은 조조 측으로 투항했다. 원소 군대의 사기는 급격히 떨어졌고, 조조군에게 완전히 패배했다.[59] 201년 여름, 조조는 관도 전투에서 또 한 번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60]
202년 초여름 원소가 병사하고 그의 셋째 아들 원상이 뒤를 이었다. 203년 봄, 조조는 다시 원씨 형제를 공격하여 패배시켰다.[63]
208년 8월, 조조는 유표를 공격하기 위한 남정을 시작했고, 유비는 손권과 동맹을 맺었다. 조조는 장판 전투에서 유비에게 승리했지만, 대부분의 보급품과 장비를 잃었다.[72] 208년 12월 말이나 209년 1월경, 손권은 합비에 주둔한 조조의 군대를 공격하여 유비를 지원했다. 조조의 군대는 적벽(赤壁|적벽중국어)에서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과 교전했지만 패배했다. 그 무렵 조조의 군대에 전염병이 돌아 많은 수의 병사가 사망했고, 조조는 퇴각을 명령했다.[75] 적벽에서 패배한 후, 조조는 잔여 병력을 이끌고 화용도(華容道|화용도중국어; 현재 젠리현 근처)를 통해 퇴각했다.[76]
215년 초, 조조는 한중의 장로를 공격하는 원정을 시작했다. 양평관 전투에서 승리하고, 215년 말, 장로는 조조에게 항복했다.[95]
217년 겨울, 유비는 장비, 마초, 오란 등을 파견하여 하변에 주둔하게 했다. 218년 8월, 조조는 유비를 공격하는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219년 초, 정군산 전투에서 하후연이 황충에게 전사했다. 219년 7월, 조조는 군대를 장안으로 철수했다.[98]
219년 가을, 관우가 번성을 포위하자, 조조는 우금과 방덕을 보내 조인을 구원하게 했다. 사마의의 권유로 오의 손권과 동맹을 맺어 관우를 견제하려 했다.[100] 손권은 관우를 죽이고 그의 목을 조조에게 보냈고, 조조는 관우를 왕후의 예로 제사 지냈다.[103]
220년 3월 15일, 조조는 낙양에서 66세(동아시아 나이 계산법에 따름)의 나이로 사망했다.[131] 헌제(獻帝)로부터 "무왕(武王)"(武王중국어)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31] 조비(曹丕)가 조위(曹魏)를 건국하자, 그의 아버지에게 "무황제(武皇帝)"(武皇帝중국어)[133]라는 시호와 "태조(太祖)"(太祖중국어)[134]라는 묘호를 추증했다.
조조는 일상생활에서 검소하고 겸손하기로 알려져 있다.[144] 그는 값비싼 머리 장식을 쓰는 것을 반대했고, 군대에서 계급을 구분하기 위해 (재료 대신) 색상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46] 전투에서 승리한 후 그는 전리품을 공헌한 부하들에게 나누어주었다.[148]
right대)]]
2. 1. 출생
조조는 후한 환관인 조등의 양자인 조숭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조의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삼국지》 〈무제기〉에 따르면 전한 시대 한 고조 유방의 공신 조참의 후손이라고 한다. 그러나 《후한서》 〈조등전〉에는 그러한 기록이 없어, 조참 후예설은 조씨 가문을 격상시키려는 의도라는 견해도 있다.[206]조조의 아버지 조숭은 조등의 양자였는데, 《삼국지》 〈무제기〉에 인용된 〈조만전〉의 일설에 따르면, 본래 하후씨이며 하후돈의 숙부라는 이야기도 있다.
2010년대 초, 복단대학교 연구진은 조조의 숙부 조등(曹鼎)의 치아와 조참의 후손들의 Y염색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조조가 조참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유전적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141]
상해대학교 역사학과 주자연(朱子彦) 교수는 조등의 치아만으로 조조의 혈통을 판단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조등은 환관 조등(曹騰)의 아우였고, 조등이 조조의 친부 조숭(曹嵩)을 양자로 들였으므로, 조조는 조등과 혈연관계가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복단대학교의 연구 결과는 자칭 조조의 후손들이 조등과 혈연관계가 있음을 증명할 뿐, 조조와의 직접적인 혈연관계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언급했다.[143]
어린 시절 조조는 기민하고 교활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사냥과 놀이를 좋아하고 자유분방하게 행동했기 때문에 학문에 힘쓰는 또래들에 비해 높이 평가받지 못했다.[4] 조조의 삼촌은 조조의 행실에 대해 자주 조숭에게 불평했는데, 조조는 이를 역이용하여 삼촌을 함정에 빠뜨리기도 했다.[169]
이러한 조조의 잠재력을 알아본 인물로는 교현과 하옹이 있었다.[5] 또한, 조조는 유명한 인물 평가가 허소에게 "평화로운 시대에는 간사한 간신이요, 혼란한 시대에는 영웅이다"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6]
2. 2. 황건적의 난
184년, 조조가 30세 때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다. 조조는 기도위(騎都尉)에 임명되어 영천(潁川)(현재 허난성 서창 부근)에서 황건적을 토벌하라는 명을 받았다.[12] 이 공으로 조조는 청주 제남국(濟南國)(현재 산둥성 지난시 부근)의 상(相)으로 승진했다. 제남국은 10개 이상의 현을 관할했는데, 많은 고위 관리가 귀족들과 연줄이 있었고 부정부패에 연루되어 있었다. 조조는 조정에 관료 80%를 파면할 것을 건의했다.[12] 엄격한 법 집행으로 명성이 자자했던 조조의 부임 소식에 부패한 관리들은 공포에 질려 인근 군으로 도망쳤다. 조조는 제남국을 잘 다스려 지역 평화를 유지했다.[13]서한 초기, 성양왕(城陽王) 유장(현재 산둥성 거현 부근)은 한나라에 큰 공을 세웠다고 하여 자신의 영지에 사당을 세우고 백성들이 자신을 숭배하게 했다. 청주의 다른 많은 군들도 이러한 관행을 따랐다. 제남국에만 600개가 넘는 사당이 있었고, 부유한 상인들은 관료들의 하인과 개인 마차를 여가 활동에 이용하기도 했다. 이는 빈부 격차를 심화시켰지만, 고위 관리들은 감히 간섭하지 못했다. 조조는 제남국에 부임하자 모든 사당을 파괴하고 우상숭배 행위를 금지했으며, 법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비정상적인 관습과 사이비 종교 활동을 일소했다.[14]
2. 3. 동탁 제거와 서주 공략까지
조조는 동탁을 제거하기 위한 반동탁 연합군에 가담하여, 황제를 구출하려는 의로운 이미지를 구축했다.[207] 191년(초평 2년) 연주 전투에서 흑산적을 토벌하고 원소에 의해 동군 태수로 임명되었다. 192년 청주 황건적 100만 명이 연주를 침공하자, 연주 자사 유대가 전사하고, 조조는 포신 등의 추대로 연주목이 되었다. 조조는 황건적을 격파하고 이들을 흡수하여 '청주병'을 조직, 세력을 크게 확장했다.원소와 원술의 대립 속에서 조조는 원소와 연합하여 원술 연합군을 격파했다. 이후 도겸이 조숭을 살해하자, 193년부터 194년(흥평 원년)에 걸쳐 서주를 공격하여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하는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후한서》에는 주민 수십만 명이 살해되고 가축까지 도살되어 사수(泗水)가 흐름을 멈췄다고 기록되어 있다.[37] 이러한 조조의 서주 침공은 제갈근, 제갈량 형제, 노숙, 태사자 등 유능한 인재들이 조조에게 등을 돌리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2. 4. 관도대전과 적벽대전
190년대에 조조가 중국 중부에서 전쟁을 벌이는 동안, 원소는 199년에 공손찬을 격파하고 중국 북부의 4개 주(기주, 병주, 청주, 유주)를 장악했다.[53] 199년 가을, 조조는 군대를 리양현(黎陽縣; 현재 허난성 순현)으로 파견하고, 유진을 남겨 황하 남쪽 강변을 지키게 했다. 겨울에는 군대를 동원하여 관도(官渡; 현재 허난성 중무현(中牟縣) 관도진)에 주둔시켰다.[53]
200년 초중반, 조조와 원소의 군대는 보마(白馬|백마중국어; 현재 허난성 화현)와 연진(延津|연진중국어; 현재 허난성 연진현 부근)에서 두 차례 전투를 벌였다. 보마에서 원소는 연영을 보내 조조의 장군 유연(劉延|유연중국어)을 포위했지만, 조조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관우는 전투 중 연영을 죽였다. 조조와 그의 군대가 보마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동안 문추와 유비가 이끄는 원소의 군대가 연진에서 그들을 추격했지만 패배했고, 문추는 전투에서 전사했다. 조조는 관도에 있는 본진으로 돌아왔고 원소는 양무현(陽武縣|양무현중국어; 현재 허난성 원양현 남서쪽)으로 이동했다. 이 무렵 관우는 조조를 떠나 유비에게 돌아갔다.[57]
200년 말, 원소는 군대를 이끌고 관도에서 조조를 공격했다. 양측은 수개월 동안 교착 상태에 빠졌고, 조조의 보급품은 점차 고갈되었으며 병사들은 지쳐갔다. 200년 겨울, 원소 측에서 망명한 서유의 조언에 따라, 조조는 직접 기병 5,000명을 이끌고 현재 허난성 연진현 남동쪽에 위치한 원소의 보급 기지인 오소(烏巢)를 습격했다. 조조는 원소의 보급품을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원소는 오소가 공격받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장합과 고람을 보내 조조의 본진을 공격하여 조조의 주의를 오소에서 돌리려 했다. 그러나 이미 원소에게 실망한 장합과 고람은 자신의 진영을 파괴하고 군대를 이끌고 조조 측으로 투항했다. 원소 군대의 사기는 급격히 떨어졌고, 조조군에게 완전히 패배했다. 이후 원소는 황하를 서둘러 건너 북중국으로 후퇴했다. 그의 보급품 대부분과 많은 병사들이 조조에게 포로로 잡혔다.[59] 201년 여름, 조조는 군대를 이끌고 황하를 건너 원소를 다시 공격하여 관도 전투에서 또 한 번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그 지역의 영토를 평정하였다.[60]
202년 초여름 원소가 병사하고 그의 셋째 아들 원상이 뒤를 이었다. 가을에 조조가 원상과 그의 형 원담을 공격하여 패퇴시키고 성 안에 틀어박히게 만들었다. 203년 봄, 조조는 다시 원씨 형제를 공격하여 패배시켰다. 여름에는 예(鄴)(현재 허베이성 한단시)로 진격한 후, 낙양(許昌)으로 돌아가면서 리양현(黎陽縣)(현재 허난성 순현) 방어를 가신에게 맡겼다.[63]
208년 8월, 조조는 유표를 공격하기 위한 남정을 시작했다. 유표는 그 다음 달 병으로 사망했고, 그의 계자(繼子) 유종이 뒤를 이었다. 유종은 향양(襄陽)에 주둔하고 있었고, 유비는 신야현(新野縣)에서 번성(樊城)(현재 후베이성 샹양시 판청구)으로 이동했다. 조조와 그의 군대가 신야현에 도착했을 때, 9월 말이나 10월 초에 유종은 항복했다. 유비와 그의 추종자들은 하구(夏口)(현재 우한)로 달아나 유표의 장자 유기와 합류했다. 조조는 유비를 추격하기 위해 기병 5,000명을 보냈고, 24시간 만에 150km를 이동한 후 그를 따라잡아 장판 전투에서 그를 패배시켰다. 유비는 몇몇 추종자들과 함께 하구로 무사히 퇴각하는 데 성공했지만, 적에게 대부분의 보급품과 장비를 잃었다.[72] 유비는 나중에 중국 남부의 오(吳)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군벌 손권과 동맹을 맺었다.
한편, 조조는 강릉(江陵)으로 진격하여 경주의 행정을 개편했다. 그는 또한 유종 측에서 유종이 자신에게 항복하도록 설득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경주 획득에 도움을 준 자들에게 상을 내렸다.[73]
유장은 조조의 명령에 따라 그의 관할 지역에서 병사를 모집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새로 모집한 징집병들을 강릉현으로 보냈다. 208년 12월 말이나 209년 1월경, 손권은 합비에 주둔한 조조의 군대를 공격하여 유비를 지원했다. 같은 시기에 조조는 강릉현에서 군대를 이끌고 유비를 공격했다. 그들이 파구(巴丘|파구중국어; 현재 월양, 후난성)에 도착했을 때, 조조는 장희에게 별도의 군대를 이끌고 합비를 지원하도록 명령했고, 손권은 장희의 도착 소식을 듣고 합비에서 군대를 철수했다. 조조의 군대는 적벽(赤壁|적벽중국어)으로 진격하여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과 교전했지만 패배했다. 그 무렵 조조의 군대에 전염병이 돌아 많은 수의 병사가 사망했고, 조조는 퇴각을 명령했다. 그 후 유비는 남경주(南荊州)의 4개 군을 정복했다.[75]
적벽에서 패배한 후, 조조는 잔여 병력을 이끌고 화용도(華容道|화용도중국어; 현재 젠리현, 후베이성 근처)를 통해 퇴각했다. 그 지역은 매우 진흙탕이었고 접근하기 어려웠으며 강풍이 불었다. 조조는 병력 중 약한 병사들에게 짚과 건초를 나르게 하여 길을 만들어 기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약한 병사들은 진흙에 발이 빠져 많은 수가 기병들에게 짓밟혀 죽었다. 조조는 자신과 살아남은 병사들이 화용도를 무사히 빠져나왔지만 많은 손실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뻐했다. 그의 장수들은 의아하게 생각하여 그 이유를 물었다. 조조는 이렇게 말했다. "유비, 나의 친구는 생각이 너무 느리다. 만약 그가 더 일찍 불을 질렀다면 우리는 살아서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유비는 불을 지르는 것을 생각했지만 조조가 이미 도망쳤기 때문에 너무 늦었다.[76]
2. 5. 삼국 정립과 죽음
215년 초, 조조는 한중의 장로를 공격하는 원정을 시작했다. 양평관 전투에서 장로의 동생 장위와 부하 양앙에게 고전했지만, 기습 공격으로 양평관을 함락시키고 남정을 점령했다.[94] 215년 말, 장로는 조조에게 항복했고, 조조는 그의 항복을 받아들여 후작 작위를 내렸다.[95]217년 겨울, 유비는 장비, 마초, 오란 등을 파견하여 하변에 주둔하게 했다. 조조는 조홍에게 군대를 이끌고 적을 저지하도록 명령했다. 218년 봄, 조홍은 오란을 격파했다.[96] 218년 8월, 조조는 유비를 공격하는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219년 초, 정군산 전투에서 하후연이 황충에게 전사했다. 219년 4월, 조조는 한중으로 군대를 이끌었으나, 유비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조조를 저지했다.[97] 7월, 조조는 군대를 장안으로 철수했다.[98]
219년 가을, 관우가 번성을 포위하자, 조조는 우금과 방덕을 보내 조인을 구원하게 했다. 그러나 우금은 사로잡히고 방덕은 처형당했다. 조조는 서황을 보내 조인을 돕게 하는 한편, 사마의의 권유로 오의 손권과 동맹을 맺어 관우를 견제하려 했다.[100] 서황 덕분에 번성의 어려움은 풀리고 양양도 되찾았다. 그 후, 서황에게 양양을 지키게 했다. 손권은 관우를 죽이고 그의 목을 조조에게 보냈고, 조조는 관우를 왕후의 예로 제사 지냈다.[103]
220년 음력 1월 23일, 조조는 낙양에서 66세의 나이로 서거했다.[131] 조조의 최후에 대해서는 여러 일화가 전해진다. 건시전을 지을 때 탁용사의 신목(神木)을 베자 나무에서 피가 흘러 이를 본 조조가 기절했다든가, 배나무를 옮겨 심을 때 뿌리에 상처가 나 피가 흐르고, 이것을 본 후 병상에 눕게 되었다는 등의 이야기가 있다.
3. 문학적 업적
조조는 정치와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소박한 민요였던 악부(樂府)를 공식 문학의 한 장르로 정착시켰으며, 당대 최고의 시인 중 한 명으로 꼽혔다. 그의 작품 중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으로는 《단가행(短歌行)》, 《구수수(龜雖壽)》 등이 있으며, 주석으로 전해지는 동도가사 등 수십 편이 있다.[149]
조조는 그의 아들 조비(曹丕), 조식(曹植)과 마찬가지로 뛰어난 시인이었다. 《위서(魏書)》에는 그가 높은 곳에 오르면 시와 노래를 짓고 음악 반주를 이용해 음악 작품으로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55] 그는 서간(徐幹)과 같은 시인들의 후원자이기도 했다.[156] 조조의 작품 중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것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그의 시는 소박하면서도 심오하여 당시와 그 이후의 시풍을 재편하는 데 기여했고, 결국 당시(唐詩)에 영향을 미쳤다. 조조, 조비, 조식은 함께 "삼조(三曹)"로 알려져 있다. 삼조의 시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과 함께 건안풍으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는 당나라 이후의 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조조는 또한 《시경(詩經)》의 특징인 구시(舊詩)의 사언절구(四言絶句) 형식으로 시를 지었다. 버턴 왓슨(Burton Watson)은 조조를 "그는 고대의 어휘와 관련된 구시의 사언절구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성공한 당시 유일한 작가였는데, 그 이유는 그가 구시에 관련된 고풍스러운 어휘를 버리고 당시의 일반적인 시적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했다.[157] 조조는 그의 사언절구 14행 시인 "관창해(觀滄海)"로 산수시(山水詩) 장르에 대한 초기 기여로도 알려져 있다.[158]
조조는 문화, 특히 시를 매우 사랑하여 전장에서도 독서와 시 창작에 열심이었다. 조비(曹丕), 조식(曹植)과 함께 “삼조(三曹)”라 불리며, 건안문학의 중심 인물로 여겨진다. 그의 문학적 교류에는 당시 일류 문화인들이 모였고, 그 대표적인 인물들을 건안칠자라 부른다. 조조의 시는 모두 오언(五言)과 사언(四言)의 악부(樂府)이다. 조조 시의 특징은 조조 이외의 작가의 건안시에서 볼 수 있는 슬픔을 표현한 시와 낙관적이고 호방한 시가 모두 존재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문선(文選)》 27권 악부상(樂府上) 악부이수[190]에 수록된 “단가행(短歌行)”[191]이 있다.[192]
시 외에도 글과 음악에 통달하여 《손자병법(孫子)》에 주석을 달았다(《위무주손자(魏武注孫子)》).
4. 평가
조조에 대한 평가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엇갈린다. 그의 시적 재능과 정치·군사적 업적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그의 잔혹함, 교활함, 그리고 반역적인 행위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다. 전통적인 중국 문화와 문학에서는 조조를 교활하고 권력욕에 눈이 멀었으며 배신하는 폭군으로 묘사하여 유비의 숙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진수는 ''삼국지''에서 조조의 모범적인 지혜와 현명함, 그리고 관료와 군대 내에서의 실력주의(meritocracy) 장려를 칭찬하며, "비범한 인물이자 그 시대의 뛰어난 영웅"이라고 평가했다.[159]
당 시대 태종은 조조를 "군사 지도자로서는 매우 뛰어났지만 황제로서 통치할 만큼 유능하지는 않았다"고 평가했다.[160][161] 그러나 유지제는 조조가 헌제를 압제하고 효헌황후를 살해한 역할을 비난하며 조조의 "죄악"은 천성자[162]와 왕망보다 더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북송 시대 사마광은 ''자치통감''에서 조조의 실력 중심의 통치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법을 엄격하고 가혹하게 집행했다는 점도 지적했다.[163] 당시 ''설서''(전통적인 중국 구연 이야기)가 인기를 끌면서 삼국 시대에 대한 민담과 전설이 널리 퍼졌다. 소식은 "유비가 패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청중들은 괴로워하고 눈물을 흘렸으며, 조조가 패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기뻐했다"고 언급했다.[164]
남송 시대 주희는 ''통감강목''에서 촉한을 한나라의 정통 후계자로 여기고 조조를 篡逆중국어 즉, "반역자"로 규정했다.[165]
명 시대 나관중은 ''삼국지연의''에서 조조를 주요 악역으로 묘사했다.
20세기 작가 루쉰은 "조조는 매우 능력 있는 사람이었고 적어도 영웅이었다. 나는 조조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그에게 매우 깊은 인상을 받았다."라고 말했다.[166]
마오쩌둥은 조조를 매우 존경하여 역사적 "재평가"를 적극적으로 주장했다. 그의 조조에 대한 찬사는 조조의 문학적 재능, 중국 통일에 대한 공헌, 역경에 대한 결의라는 세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었다.[167]
여심염과 이중톈과 같은 현대 역사가들은 조조에 대한 더 균형 잡힌 견해를 제시하기 위해 책을 저술했다. 이중톈은 CCTV 프로그램 ''강좌''에서 삼국지에 관한 강좌를 진행했는데, 그중 약 3분의 1이 조조에 초점을 맞추었다.[168]
4. 1. 호평
조조는 군사, 학문, 무예, 내정 모두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시문, 그림, 노래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면모를 보였다. 조직을 이끄는 통솔력과 부하들을 장악하는 리더십 또한 뛰어났다. 특히,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능력 위주로 인재를 선발하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였다.[1] 신분이나 과거의 악연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능력만을 기준으로 인재를 등용했다. 심지어 아내를 고를 때도 능력을 우선시하여 최하급 신분인 기녀 출신 변 씨를 아내로 맞이하기도 했다.조조에게 등용된 많은 인물들이 과거에는 조조의 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포섭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끈 것은 조조의 뛰어난 지도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장료와 장합이 그 예시이다.
정치적인 감각 또한 뛰어나 다양한 인재와 파벌을 조종하고, 시대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의 결단을 내리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초토화된 중국 경제를 재건하고, 다른 군웅들을 압도하는 정예 강병을 육성하는 등 행정적인 능력 또한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1]
난세의 간웅이라는 별명처럼 임기응변과 심리전에 능숙했다. 이러한 지략은 아군을 결속시키고 사기를 높이는 데에도, 적을 교란하고 분열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비록 천하통일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당시 중국 인구와 재화의 7할을 차지하던 북중국을 장악했다. 실제로 오와 촉의 국력을 합쳐도 위에 미치지 못했으며, 이러한 우위는 삼국시대 내내 유지되었다.
조조를 설명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능력주의(唯才主義)’를 들 수 있다. 건안 15년(210년)에 발표한 ‘구현령(求賢令)’에서 “오직 재능 있는 자만을 등용하라”고 언급했다. 영천군(潁川郡)의 명사 순욱의 추천으로 많은 인재들이 조조 휘하에 모였는데, 그중 희지재·곽가는 행실이 좋지 않았고, 곽가는 동료 진군에게 비난을 받았지만 조조는 그들을 더욱 중용하였다. 조조가 효렴으로 천거했던 이 배신하고 도망쳤을 때 “어디로 도망치든 찾아내겠다”고 분노했지만, 위종이 잡히자 다시 등용했고, 그 이유를 묻자 “오직 그의 재능 때문이다”라고 대답했다. 관도 대전 이전에 원소 진영에 있던 진린이 조조의 조부와 아버지, 그리고 조조 자신까지 욕하는 격문을 발표했지만, 전후 진린이 항복하자 “자신에 대해 말하는 것은 좋지만, 부모에 대해서는 함부로 말하지 마라”라고 하며 진린을 자신의 휘하에 받아들였다.
하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인물에게는 용서하지 않았다. 공융은 공자의 20대손이자, 건안칠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당대 최고의 명사였다. 그러나 그의 재능은 조조가 중시하는 실무에 적합하지 않았고, 여러 차례 조조의 정책에 반대했기 때문에 사형을 당했다. 공융과 친분이 있었던 사형 또한 거침없는 언행으로 유명했다. 사형은 조조와 순욱을 높이 평가하지 않았고, 공융과 양수만을 인정했다. 사형은 조조에게 섬기려 했으나, 유표에게 보내진 후 살해당하게 된다. 조조가 원하는 것은 실무 능력이었고, 공융과 같은 인물은 필요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죄 없는 화타와 최염을 죽인 일에 대해서는 후세의 비판이 집중되는 부분이다.
4. 2. 악평
조조는 황제가 아니었음에도 황후와 헌제의 아이를 가진 후궁을 죽이는 등 한나라 황실을 핍박했고, 결국 아들 조비 대에 이르러 한나라 황제의 자리를 빼앗았다.[1] 또한, 무분별한 숙청과 학살로 지식인과 백성들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남겼다.[2]특히, 193년에서 194년 사이에 있었던 여주 대학살은 조조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아버지 조숭(曹嵩)의 죽음에 대한 보복으로 여주를 공격하여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했다.[36] 이로 인해 희생자들의 시체가 인근 사수(泗水)를 막을 정도였고,[37] 조조의 군대는 지나가는 마을들을 파괴하고 닭과 개까지 모두 잡아먹어 난민들이 돌아올 수 없게 만들었다.[37] 194년 연주 전투에서는 여포와 대치하며 식량이 부족해지자 원소에게 의탁하려다 모병을 중단하고 군대로 식량을 수집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39][40]
조조는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인물들을 가혹하게 처벌하기도 했다. 공자의 후손이자 건안칠자 중 한 명인 공융은 뛰어난 재능을 가졌음에도 조조의 정책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처형당했고,[1] 거침없는 언행으로 유명했던 사형 역시 조조에게 죽임을 당했다.[1] 화타와 최염 또한 조조에게 죄 없이 죽임을 당해 후세의 비판을 받았다.[2]
이러한 행위들은 조조와 위나라뿐만 아니라 서진의 멸망과 오호십육국시대라는 혼란을 야기한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2]
4. 2. 1. 시대별 평가 양상
조조는 황제가 아니었음에도 황후와 헌제의 아이를 가진 후궁을 죽이는 등 한나라 황실을 핍박했고, 결국 아들 조비 대에 이르러 한나라 황제의 자리를 빼앗았다. 또한, 무분별하게 사람을 죽이거나 숙청하여 지식인들에게 나쁜 평가를 받았고, 백성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 중국의 질서를 회복하고 경제를 재건하는 큰 업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서진 시대 직후부터 이미 악평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명분을 중요시하는 주자학이 자리를 잡은 송나라 이후로는 완전히 악인으로 평가가 추락했다. 나관중의 연의에서는 간사하고 교활한 악인의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하였고, 경극 도중 조조 역을 맡은 배우가 분노한 군중에게 맞아 죽는 일도 있었다.[1]하지만 근대에 들어서면서 조조는 실용주의적인 지도자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조조가 삼국지에서 가장 많은 실적을 남긴 (따라서 가장 유능한) 군주이며, 그의 맞수였던 유비와 손권은 조조의 개혁에 저항한 보수 세력으로 보는 관점까지 등장했다. 중국의 마오쩌둥과 궈모뤄 등이 조조의 단점을 뺀 영웅으로서의 진취성을 평가하면서 조조를 복권시키려는 움직임이 상당히 우세했다. 특히 일본 게임을 중심으로 조조는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인식되었다. 조조의 중원 평정을 모티프로 삼는 커리큘럼은 항상 빠지는 일이 없어 '중원 구출'의 분위기는 여전하다.
그러나 21세기부터 인권 사상이 확립되고 삼국시대 역사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면서 조조가 저질렀던 비인간적인 학살, 민간인 핍박, 무분별한 숙청 등에 대한 실체가 드러나게 되었다. 또한, 냉철했다는 이미지와 달리 감정적이고 비합리적인 행동을 자주 벌인 기록들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행동들이 결과적으로 조조와 위를 넘어 서진의 멸망과 오호십육국이라는 대혼란을 야기한 점이 부각되면서 조조의 행동에 대해 다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2]
4. 2. 2. 영화 적벽대전
영화 《적벽대전》에서 조조는 리더십이 뛰어난 지도자로 묘사된다. 전염병으로 지친 군인들을 위로하여 전쟁에서의 승리 의지를 갖게 한다. 또한 문학에 뛰어나 조조의 시를 들은 사람들은 모두 감동하였다.4. 2. 3. 삼국지 조조전
1998년 코에이에서 발매된 三國志曹操伝일본어는 조조를 주인공으로 한 시뮬레이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이 게임은 조조의 일대기를 다루며, 플레이어는 조조가 되어 전투를 지휘하고 스토리를 진행한다.[1]게임에서 조조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가진 지도자로 묘사된다. 그는 냉철한 판단력과 뛰어난 전략으로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부하들을 통솔하는 카리스마를 보여준다.[1] 또한, 인재를 중시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용인술의 달인으로 그려진다.[1] 이러한 묘사는 조조가 가진 '실사구시의 지도자'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반영한 것이다.[1]
그러나 게임은 조조의 부정적인 면모도 일부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한 황실에 대한 핍박, 무분별한 숙청과 학살 등 역사적으로 논란이 되는 사건들이 게임 내에서 재현된다.[1] 이러한 요소들은 조조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반영하며, 플레이어에게 조조라는 인물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갖도록 유도한다.[1]
三國志曹操伝일본어는 조조의 긍정적인 면모와 부정적인 면모를 모두 보여줌으로써, 플레이어가 조조라는 역사적 인물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갖도록 돕는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1]
4. 3. 당대의 평가
조조에 대한 평가는 동시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교현은 조조를 난세를 바로잡을 인물로 보았고,[209] 자신의 가족을 부탁했다.[210] 허소는 "태평성대에는 간신, 난세에는 영웅"이라 평했다.[211] 반면 장제는 위나라 백성들이 조조를 두려워할 뿐 은혜를 입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일반 백성들은 조조의 학살과 가혹한 통치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다.조조는 황실을 핍박하고 조비 대에 이르러 찬탈했으며, 무분별한 숙청과 학살로 악평을 받았다. 서진 시대부터 부정적 평가가 시작되어 주자학이 득세한 송나라 이후에는 악인으로 굳어졌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조조를 간교한 악인으로 묘사했고, 경극에서도 이러한 이미지가 반영되었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 조조는 실사구시형 지도자로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유비와 손권을 수구 세력으로, 조조를 유능한 군주로 보는 관점도 등장했다. 마오쩌둥과 궈모뤄 등은 조조의 영웅적 면모를 부각했으며, 일본 게임에서는 문무겸전의 인물로 묘사되기도 했다.
하지만 21세기 이후 인권 사상이 확립되고 역사 연구가 진행되면서 조조의 학살, 민간인 핍박, 숙청 등의 실체가 드러나고, 그의 감정적이고 비합리적인 행동이 서진 멸망과 오호십육국 시대의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부정적 인식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조조의 생애에 대한 주요 역사 자료는 진수의 삼국지와 배송지의 주석이다. 위나라 공식 역사서인 위서는 조조에게 호의적이었던 반면, 오나라 사람이 썼다고 전해지는 曹瞞傳은 조조를 잔인하고 신뢰할 수 없는 인물로 묘사한다.
조조는 손자병법 주석을 남겼지만, 그의 삶에 대한 통찰력은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조조와 원소는 어릴 적 친구였으며, 군사 원정 중 조조가 "앞에 자두 숲이 있다"고 말해 병사들의 목마름을 달랜 일화는 "망매지갈"이라는 성어를 낳았다.[182][183]
조조는 능력주의를 중시하여 ‘구현령’에서 “오직 재능 있는 자만을 등용하라”고 했다. 배신한 위종을 다시 등용한 이유도 “오직 그의 재능 때문이다”라고 답했다. 그러나 공융처럼 실무 능력이 부족하고 자신의 정책에 반대하는 인물은 가차 없이 처형했다. 화타와 최염의 죽음은 후세의 비판을 받는다.
14세기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조조를 잔혹하고 의심 많은 악당으로 묘사했다.
현대에 이르기까지, "조조를 말하면 조조가 온다"라는 중국어 관용구가 있다.
중국 오페라에서 조조는 교활하고 기만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분장에 흰색을 사용한다.
4. 3. 1. [[진수]]의 평가
진수는 『삼국지』에서 조조를 “비상한 인물, 시대를 초월한 영웅”이라고 극찬했다.[1]非常之人|비상지인중국어, 超世之傑|초세지걸중국어.[2] 하지만 진수는 위나라에서 서진으로 선양받은 국가에 봉직했기 때문에 위나라를 정통으로 여겼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서진이 멸망하고 동진이 건국된 이후에는 조조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습착치는 『한진춘추』에서 조조를 찬탈자로 규정하며 촉한 정통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조조를 영웅으로, 조위를 정통으로 보는 관점이 주류를 이루었다. 북송 시대 사마광의 『자치통감』에서도 조위가 사실상 정통으로 간주되었고, 조조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평가는 한나라에서 위나라로의 선양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 오대십국 시대에 걸쳐 선양이 반복된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송 태조 조광윤 역시 후주로부터 선양을 받아 송나라를 건국했기 때문에, 북송 학자들은 조조를 비판하는 것을 피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구양수는 조위를 정통으로 보았다가 후에 "조위의 악행은 어린아이도 안다"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소식은 "적벽부"에서 조조를 영웅으로 평가하면서도 그의 잔혹함을 비판했다. 남송 시대에는 주희가 『자치통감강목』에서 촉한을 정통으로 삼으면서 촉한 정통론이 주류가 되었다.
북송 시대에는 삼국지 이야기가 거리에서 공연되었는데, 소식의 『동파지림』에는 "아이들은 유비가 지면 눈물을 흘리고, 조조가 지면 크게 기뻐했다"는 기록이 있다. 남송에서 원나라 시대에는 이러한 이야기들이 『삼국지평화』로 정리되었고, 이후 나관중이 『삼국지연의』를 통해 조조를 악당으로 묘사하면서 이러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었다.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경극에서도 조조는 악당으로 그려진다.
이처럼 남송과 홍건적의 난에서는 금나라와 원나라를 위나라와 조조에 비유하고, 자신들을 촉나라의 제갈량 등에 비유하면서 조조는 한나라를 찬탈한 악인으로 널리 인식되게 되었다.
하지만 근대에 들어서면서 조조는 실사구시의 지도자로 복권되기 시작하였고, 마오쩌둥과 궈모뤄 등은 조조의 영웅적인 면모를 부각하며 복권에 힘을 실었다. 특히 일본 게임을 중심으로 조조의 문무겸전적 인물상이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부터 인권 사상이 확립되고 삼국시대 역사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조조의 학살, 민간인 핍박, 숙청 등의 실체가 드러나고, 그의 감정적이고 비합리적인 행동들이 서진의 멸망과 오호십육국 시대라는 혼란을 야기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부정적인 인식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4. 4. 후대의 평가
조조에 대한 평가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엇갈리고 있다. 그의 시적 재능과 정치·군사적 업적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그의 잔혹함, 교활함, 그리고 반역적인 행위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다. 전통적인 중국 문화와 문학에서는 조조를 교활하고 권력욕에 눈이 멀었으며 배신하는 폭군으로 묘사하여 유비의 숙적(宿敵)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진수는 ''삼국지''에서 조조의 공식적인 전기를 썼는데, 조조의 모범적인 지혜와 현명함, 그리고 관료와 군대 내에서의 실력주의(meritocracy) 장려를 칭찬했다. 진수는 조조에 대한 결론적인 평가로 "비범한 인물이자 그 시대의 뛰어난 영웅"이라고 언급했다.[159]
당 시대에는 태종이 조조를 위해 애도의 글을 짓고, 혼란스러운 시대에 정치적 상황을 통제할 수 있었던 조조의 능력을 칭찬하며, 조조는 "군사 지도자로서는 매우 뛰어났지만 황제로서 통치할 만큼 유능하지는 않았다"고 평했다.[160][161] 그러나 유지제는 조조가 헌제를 압제하고 효헌황후를 살해한 역할을 비난하며 조조의 "죄악"은 천성자[162]와 왕망보다 더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북송 시대에는 ''자치통감''을 저술한 사마광이 조조의 실력 중심의 통치 방식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진수의 견해와 같이 언급하고,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조조의 날카로운 통찰력을 칭찬했지만, 조조가 법을 엄격하고 가혹하게 집행했다는 점도 지적했다.[163] 당시에는 ''설서''(전통적인 중국 구연 이야기)가 대중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많았기 때문에 삼국 시대에 대한 민담과 전설이 널리 유포되고 전해졌다. 시인 소식은 "유비가 전투에서 패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청중들은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였고 심지어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도 있었으며, 조조가 패배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기뻐하고 즐거워했다"고 언급했다.[164]
남송 시대에는 주희가 사마광의 ''자치통감''을 요약한 ''통감강목''을 만들었는데, 여기서 그는 촉한을 한나라의 정통 후계자로 여기고 조조를 篡逆중국어 즉, "반역자"로 규정했다.[165]
명 시대에는 나관중이 삼국 시대 이전과 그 시대의 역사적 사건을 낭만적으로 묘사한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를 저술했다. 조조는 이 소설에서 주요 악역으로 등장한다.
20세기 작가 루쉰은 한때 "사실 조조는 매우 능력 있는 사람이었고 적어도 영웅이었다. 나는 조조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그에게 매우 깊은 인상을 받았다."라고 말했다.[166]
마오쩌둥은 조조를 매우 존경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군벌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를 적극적으로 주장했다. 그의 조조에 대한 찬사는 조조의 문학적 재능(시와 글), 중국 통일(삼국지 이후)에 대한 조조의 공헌, 역경에 대한 조조의 결의라는 세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었다.[167]
여심염과 이중톈과 같은 현대 역사가들은 조조에 대한 더 균형 잡힌 견해를 제시하기 위해 책을 저술했다. 2006년에서 2007년 사이에 이중톈은 CCTV 프로그램인 ''강좌''에서 삼국지에 관한 52회 강좌를 진행했는데, 그중 약 3분의 1이 조조에 초점을 맞추었다.[168]
청나라 멸망 후, 장병린과 루쉰은 조조를 높이 평가했고, 경극에서도 단순한 악역이 아닌 조조의 모습이 그려지기 시작했다.[212]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마오쩌둥은 공자를 배격하고 진시황, 왕안석 등과 함께 조조를 재평가하려 했다.[212]
역사학자이자 정부 요인이었던 궈모뤄는 1959년 초 조조 평가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며, 조조가 황건적을 진압했지만 그 이념을 계승하여 청주병을 조직하고, 호족을 억누르고 농민을 보호했으며, 오환을 토벌하여 변방을 안정시키고, 건안문학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212]
오늘날 일본과 중국 모두에서 소설,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조조는 지적인 영웅으로 묘사되고 있다.[212] 그러나 이러한 현재의 조조상 또한 과거 시대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시대적 요구에 맞춘 편향이 이루어진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212]
4. 4. 1. 군사적 재능이 있는 조조
두목은 “조조가 손자병법 13편에 주석을 달아 후세에 전했다.”고 하면서 그의 군사적 재능을 칭찬했다.[212] 조조 자신의 글 중 손자병법에 대한 주석은 현존하지만, 그의 삶에 대한 통찰력은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197년 초, 조조는 완성(현재 허난성 난양시의 완청구)에서 장수를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다시 공격하여 호양(현재 허난성 탕허현 남서쪽)과 무음(현재 허난성 사기현 남동쪽) 현을 평정했다. 198년과 199년에도 장수를 공격하여 승리하고 항복을 받아냈다.[51]
211년, 조조는 관중 군벌 연합군과 통관(현재 산시성 퉁관현) 및 위수 유역에서 전투를 벌였다. 초기에는 고전했지만, 가후의 계책을 써서 적을 이간질하고 승리했다.[83][84][85][86] 이후 마초의 공격을 막아내고, 하후연을 보내 관중 지역을 평정하게 했다.[87]
213년, 조조는 여수(현재 안후이성 우웨이현 북쪽 양쯔강 연안)에서 손권을 공격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88] 214년에도 다시 공격했지만 마찬가지였다.[89] 216년에는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217년에 다시 손권을 공격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철수했다.[90][91]
215년, 조조는 한중의 장로를 공격하여 양평관(현재 산시성 닝창현)을 함락시키고 한중을 점령했다.[92][93][94] 장로는 항복했고, 조조는 하후연을 남겨 한중을 지키게 했다.[95]
217년, 유비가 한중을 공격하자 조조는 조홍을 보냈으나, 219년 정군산 전투에서 하후연이 전사했다.[96] 조조는 직접 군대를 이끌었지만, 유비의 지형적 이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철수했다.[97][98]
219년, 관우가 번성을 포위하자 조조는 서황을 보내 구원하게 했다.[99] 사마의와 장제의 건의로 손권과 동맹을 맺어 관우를 협공했고, 결국 관우는 사로잡혀 처형되었다.[100][101][102][103]
4. 4. 2. 조조 혁신론
근대에 들어서면서 조조는 실사구시의 지도자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삼국지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을 남긴 군주로 평가받았으며, 그의 개혁에 저항한 유비와 손권을 수구 세력으로 보는 시각도 등장했다. 중국의 마오쩌둥(毛澤東)과 곽말약(郭沫若) 등은 조조의 영웅적인 면모를 강조하며 이러한 재평가에 큰 영향을 주었다.[212] 특히 일본 게임을 중심으로 조조의 문무겸전 이미지가 널리 알려졌다.마오쩌둥은 "조조를 간신이라 하는 것은 봉건 정통 관념의 산물이며, 반동 사족들이 봉건 정통을 수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조조의 복권을 강력히 지지했다. 그는 조조의 제도 개혁, 둔전제 등 정치적 업적과 뛰어난 군사적, 문학적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공식 석상에서 32번이나 언급했다.
조조가 실시한 둔전제, 호조제, 병호제 등은 위나라에 계승되어 위진남북조 시대 제도의 기반이 되었다. 당시 전란으로 인해 농민들이 유랑하고 경작지가 황폐해지자, 조조는 둔전제를 통해 유민들을 빈 땅에 정착시켜 경작하게 했다. 둔전민에게는 토지, 농기구, 소를 빌려주고 수확량의 50%(소를 빌린 경우 60%)를 세금으로 걷었다. 이들은 일반 백성과 달리 전관(田官) 아래 특별 호적에 편입되었고, 이 정책으로 조조군은 100만 석 이상의 식량을 확보했다.
204년, 조조는 새로운 세금 제도를 도입하여 묘당 4승, 호당 비단 2필, 목화 2근을 징수했다. 이는 개인 단위에서 가구 단위로 징수 방식을 전환한 중요한 변화였다.
조조는 '능력주의(唯才主義)'를 중시하여 인재를 등용했다. 210년 발표한 '구현령(求賢令)'에서 "오직 재능 있는 자만을 등용하라"고 강조했다. 희지재(戯志才), 곽가(郭嘉) 등 행실이 좋지 않은 인물도 중용했으며, 배신했던 위종을 다시 등용하며 "오직 그의 재능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진린(陳琳)이 조조를 비난하는 격문을 썼음에도 항복 후 자신의 휘하에 두었다.
그러나 조조는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인물에게는 가혹했다. 공융(孔融)은 공자(孔子)의 후손이자 건안칠자(建安七子) 중 한 명으로 명성이 높았지만, 실무 능력이 부족하고 조조의 정책에 반대했기에 처형당했다. 사형(禰衡) 또한 거침없는 언행으로 조조의 미움을 사 유표(劉表)에게 보내져 살해당했다. 조조는 실무 능력을 중시했으며, 화타(華陀)[212]와 최염(崔琰)[212]을 죽인 일은 후대에 비판받기도 한다.
4. 4. 3. 나라와 왕을 섬기지 않은 나라의 동량
후조(後趙)를 세운 석륵(石勒)은 사마의를 평가하면서, 조조를 언급하며 자신은 남의 고아나 과부를 속이며 잔꾀를 부리고 온갖 아첨을 일삼으며 천하를 빼앗는 일은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212]당 태종은 <제위태조문>에서 조조를 칭송하면서도, "무너지는 것을 보고도 구하지 않았고, 뒤집히는 것을 보고도 붙들지 않았다. 나라를 따르고자 하는 마음이 없고, 무군(無君)의 행적이 있던 셈이다."라며 신랄한 평을 덧붙였다. 이는 한헌제를 옆에 끼고 천하를 호령하면서 내심 새 왕조 개창의 뜻을 품은 것을 비판한 것이다.
4. 5. 연의의 평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서 조조는 당대 민중의 반감을 반영한 전승과 민간 설화를 바탕으로 악인(惡人)으로 묘사된다.[214] 나관중은 조조를 우스꽝스럽고 경망스럽게, 때로는 인신공격에 가까운 묘사를 통해 부정적으로 그렸다.그러나 이문열 평역 《삼국지》(민음사)에서는 조조를 자신을 위해 죽은 군인들의 가족에게 밭을 주어 생계를 배려하고,[215] 법을 잘 지킨 훌륭한 지도자로 묘사한다. 조조는 자신의 말이 보리밭을 밟자 법을 어긴 것을 부끄럽게 여겨 목을 자르려 했으나, 참모들의 조언에 따라 머리카락으로 대신했다. 이 일화는 군인들이 법을 두려워하고 따르게 된 계기를 보여준다.
이처럼 연의와 이문열 평역 삼국지는 조조에 대해 상반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연의는 조조를 간교한 악인으로, 이문열 평역 삼국지는 실용적이고 백성을 위하는 지도자로 묘사한다. 이러한 평가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과 작가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조조 고릉
조조의 무덤은 오랫동안 위치가 불분명했으나, 1998년 중국 허난성안양시안양현 안풍향 서고혈촌에서 발견된 후조 시대 무장의 묘지에서 그 부근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194] 2005년에는 그 지역에서 대형 고분이 발견되었는데, 묘지에 기록된 방위와 『원화군현도지』의 기록이 일치하여 조조의 능묘로 추정하고 발굴 조사를 진행했다.[194]
2009년 12월 27일, 허난성 문화유산국은 안양현 시가오쉐 마을에서 조조의 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95][196][197] 이 무덤은 2008년 12월 인근 벽돌 가마 공장 노동자들이 벽돌 제조용 진흙을 파던 중 발견되었으나, 발견 사실은 즉시 보고되지 않았다.[135] 현지 당국은 무덤 도굴꾼들로부터 '위무왕(魏武王)'이라는 비문이 새겨진 석비를 압수하면서 무덤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135] (위무왕은 조조의 시호이다.)
발굴 결과, 약 740제곱미터 면적의 능묘에서 "위무왕"이라고 새겨진 석패 등 200점 이상의 부장품과 60대 전후의 남성 유골 및 여성 2명의 유골이 발견되었다.[198] 남성의 유골은 사망 당시 60세 전후였던 것으로 감정되었는데, 이는 조조가 66세에 사망했다는 점과 일치한다.[216] 허난성 문물국은 이 무덤이 조조의 능묘임을 발표했고,[195][196][197] 중국사회과학원 등 다른 연구기관도 조조 고릉일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198] 2018년 3월에는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원에 의해 이 능묘가 조조의 것임이 거의 확정되었고, 남성 유골도 조조의 것임이 틀림없다고 보도되었다.[199][200]
하지만 무덤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성급한 결론과 "위무왕"이라고 새겨진 비석이 현장에서 발굴된 것이 아니라 공안국이 도굴꾼들을 체포해 압수한 과정에서 가짜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문을 제기했다.[217] 2010년 8월에는 23명의 전문가와 학자들이 소주에서 열린 포럼에서 해당 무덤과 유물이 위조품이라는 증거를 제시하기도 했다.[138]
2010년, 이 무덤은 중국의 5차 국가중점문물보호단위(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Protected at the National Level)로 지정되었으며,[139] 2023년 4월에는 현장에 박물관이 개관했다.[140]
5. 1. 조조의 무덤 공식인정
2010년 1월 29일, 중국 국가문물국은 조조의 고분을 발굴하고 학술적인 검증을 거쳐 연구성과를 발표한 절차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고고학계의 규칙에도 부합한다고 발표하며 조조의 무덤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218]하지만 이 발표는 중국 국가문물국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발표라는 설을 아직 많은 사람이 믿고 있다. 따라서 조조 무덤의 진위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6. 친족 관계
조조는 여러 명의 부인과 첩을 두었으며, 슬하에 많은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조조의 부인과 첩, 그리고 그 소생 자녀들이다.
- 부인: 정부인
- 부인: 무선황후 변씨
- * 1남: 문제 조비
- * 2남: 임성위왕 조창
- * 3남: 진사왕 조식
- * 4남: 소회왕 조웅
- 첩: 유부인(劉夫人)
- * 1남: 풍민왕 조앙
- * 2남: 상상왕 조삭
- * 1녀: 청하공주
- 첩: 환부인(環夫人)
- * 1남: 등애왕 조충
- * 2남: 팽성왕 조거
- * 3남: 연왕 조우
- 첩: 두부인(杜夫人)
- * 1남: 패목왕 조림
- * 2남: 중산공왕 조곤
- * 1녀: 금향공주
- 첩: 진부인(秦夫人)
- * 1남: 제양회왕 조현
- * 2남: 진류공왕 조준
- 첩: 윤부인(尹夫人)
- * 1남: 범양민왕 조구
- 첩: 소의 왕씨(昭儀 王氏)
- 첩: 손희(孫姬)
- * 1남: 임읍상공자 조상
- * 2남: 초왕 조표
- * 3남: 강상공자 조근
- 첩: 이희(李姬)
- * 1남: 곡성상공자 조승
- * 2남: 미대공자 조정
- * 3남: 영상공자 조경
- 첩: 주희(周姬)
- * 1남: 번안공 조균
- 첩: 유희(劉姬)
- * 1남: 광종상공자 조극
- 첩: 송희(宋姬)
- * 1남: 동평영왕 조휘
- 첩: 조희(趙姬)
- * 1남: 낙릉왕 조무
- 첩: 진씨(陳氏)
- * 1남: 조왕 조간
- 생모 미상
- * 딸: 헌목황후 조절
- * 딸: 헌효황후 조헌 - 한 헌제 귀인
- * 딸: 조화 - 한 헌제 귀인
- * 딸: 안양공주
6. 1. 가까운 친족
역사 기록에 따르면, 조조는 15명의 처첩과 25명의 아들, 6명의 딸, 그리고 2명의 양자를 두었다.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조숭(曹嵩) | |
어머니 | 정씨(丁氏) | |
첫째 동생 | 조덕 | |
둘째 동생 | 조빈(계공공) | |
셋째 동생 | 조옥(랑릉애후) | |
정실 | 유부인(劉夫人) | |
장남 | 풍민왕 조앙(曹昂)(자수, 子脩) | |
차남 | 상상왕 조삭(曹鑠) | 요절 |
장녀 | 청하공주(清河公主) | |
계실 | 정부인(丁夫人) | |
계계실 | 변왕후(贈무선황후(武宣皇后))(卞王后) | |
삼남 | 문제 조비(曹丕)(자환, 子桓) | 초대 황제 |
사남 | 임성위왕 조장(曹彰)(자문, 子文) | |
오남 | 진사왕 조식(曹植)(자건, 子建) | |
남자 | 소회왕 조웅(曹熊) | 요절 |
측실 | 두부인(杜夫人)(沛왕태비) | 원진의록(秦宜禄)의 처 |
남자 | 패목왕 조림(曹林) | |
남자 | 중산공왕 조곤(曹袞) | |
여자 | 금향공주 | 하언(何晏) 부인 |
여자 | 고성공주 | 금향공주와 동일인물설이 있음[1] |
측실 | 환부인(環太妃) | |
남자 | 등애왕 조충(曹沖)(창서, 倉舒) | |
남자 | 팽성왕 조거(曹據) | |
남자 | 연왕 조우(曹宇)(팽조, 彭祖) | 제5대 황제 원제(元帝)(曹奐)의 부친 |
측실 | 진부인(秦夫人) | |
남자 | 제양회왕 조현(曹玹) | 요절 |
남자 | 진류공왕 조준(曹峻)(자안, 子安) | |
측실 | 윤부인(尹夫人) | 원하진(何進)의 자식의 처 |
남자 | 판양민왕 조구(曹矩) | 요절 |
측실 | 왕소의(王昭儀) | |
측실 | 손희(孫姬) | |
남자 | 림읍상공 조상(曹上) | 요절 |
남자 | 초왕 조표(曹彪)(주호, 朱虎) | |
남자 | 강상공 조근(曹勤) | 요절 |
측실 | 이희(李姬) | |
남자 | 곡성상공 조승(曹乗) | 요절 |
남자 | 맥대공 조정(曹整) | |
남자 | 영상공 조경(曹京) | 요절 |
측실 | 주희(周姬) | |
남자 | 번안공 조균(曹均) | |
측실 | 유희(劉姬) | |
남자 | 광종상공 조극(曹棘) | 요절 |
측실 | 송희(宋姬) | |
남자 | 동평영왕 조휘(曹徽) | |
측실 | 조희(趙姬) | |
남자 | 낙릉왕 조무(曹茂) | |
측실 | 진희(陳姬) | |
남자 | 조왕 조간(曹幹) | |
측실 | 모씨 | 원장제(張済)의 처 |
생모 불명의 자녀 | ||
여자(일설에는 장녀) | 헌제 귀인 조헌 | |
차녀 | 조절(曹節)(헌목황후, 獻穆皇后) | |
여자 | 헌제 귀인 조화 | |
여자 | 안양공주 | 순윤(荀惲) 부인 |
양자 | 하언(何晏)(데려온 자식) | |
양자 | 진랑(秦朗)(데려온 자식) | |
양자 | 조진(曹真)(종자라고도 함) |
조조의 첫 번째 정실은 정부인(丁夫人)이었는데, 그녀는 조조의 첩인 유부인(劉氏)이 낳은 장남 조앙(曹昂)을 양육했다. 조앙이 죽은 후 정부인은 조조와 불화를 겪고 사실상 별거하였다. 정부인이 떠난 후, 조조는 그의 첩 중 한 명인 변씨(卞氏)를 새로운 정실로 삼았고, 그녀는 죽을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조조의 아들들 중(조앙 제외) 주목할 만한 인물은 조비(曹丕), 조장(曹彰), 조식(曹植), 조충(曹冲)이며, 이들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여겨졌다. 변씨가 낳은 조비, 조장, 조식은 각자의 재능으로 유명했다. 조비와 조식은 뛰어난 문장가이자 시인으로 이름을 날렸고, 조장은 아버지의 무예를 이어받았다. 조비는 결국 두 동생과의 후계 다툼에서 승리하여 아버지의 적장자로 선택되었다. 환부인(環氏)이 낳은 조충은 신동으로,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코끼리의 무게를 재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조충은 12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조조의 세 딸인 조헌(조위 조헌), 조절(황후 조절), 조화는 모두 효헌제(獻帝)와 결혼했다. 조조의 두 양자인 진랑(秦朗)과 하언(何晏)은 그의 처첩들의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6. 2. 기타
역사 기록에 따르면, 조조는 15명의 처첩을 두었고 슬하에 25남 6녀와 2명의 양자를 두었다. 그의 첫 번째 정실 부인은 정부인이었는데, 그녀는 조조의 첩 유부인이 낳은 장남 조앙을 양육했다. 조앙이 죽은 후 정부인은 조조와 불화를 겪고 사실상 별거하였다. 정부인이 떠난 후, 조조는 그의 첩 중 한 명인 변씨를 새로운 정실 부인으로 삼았고, 그녀는 죽을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조조의 아들들 중(조앙 제외) 주목할 만한 인물은 조비, 조창, 조식, 조충이며, 이들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여겨졌다. 변씨가 낳은 조비, 조창, 조식은 각자의 재능으로 유명했다. 조비와 조식은 뛰어난 문장가이자 시인으로 이름을 날렸고, 조창은 아버지의 무예를 이어받았다. 조비는 결국 두 동생과의 후계 다툼에서 승리하여 아버지의 적장자로 선택되었다. 환부인(環氏)이 낳은 조충은 신동으로,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코끼리의 무게를 재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조충은 12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조조의 세 딸인 조절(曹節), 조헌, 조화는 모두 헌제와 결혼했다. 조조의 두 양자인 진랑과 하언은 그의 처첩들의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조조는 서한 초기의 재상인 조참의 후손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2010년대 초, 복단대학교 연구진은 조조의 숙부인 조등(曹鼎)의 치아에서 채취한 Y염색체를 조숭의 Y염색체와 비교 분석한 결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조조가 조참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유전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141] 연구진은 또한 조등의 Y염색체가 100대 이상의 족보를 가지고 있는 자칭 조조의 후손들의 Y염색체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42]
상해대학교 역사학과 주자연(朱子彦) 교수는 조등의 치아만으로 조조의 혈통을 판단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칭 조조의 후손들이 실제로 조조의 후손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송나라(960~1279) 시대의 족보조차 현재는 매우 드물고, 삼국시대(220~280)의 족보는 더욱 희귀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역사 기록에 따르면 조등은 환관 조등의 아우였고, 조등은 조조의 친부 조숭을 양자로 들였다. 따라서 조조는 조등과 혈연관계가 없었으며, 즉 조등은 조조의 진짜 숙부가 아니었다. 주자연 교수는 복단대학교의 연구 결과는 자칭 조조의 후손들이 조등과 혈연관계가 있음을 증명할 뿐, 조조와 직접적인 혈연관계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언급했다.[143]
2009년에 조조의 능묘가 발견되었으나, 그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복단대학교에서는 매장된 남성의 DNA와 전국 각지의 조씨 남성들의 DNA를 대조하게 되었다. 한족에서는 성이 남계로 계승되므로 조씨 남성들은 조조의 Y염색체를 계승하고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201]
복단대학교는 중국 전국의 조씨 성을 가진 가계 258개 계통을 조사하였다. “조조의 자손”일 가능성이 있는 8개 가계에 대해 추가적인 계통 DNA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 계통을 “조조의 자손”으로 단정 지었다.[202]
조모의 66대손이자 조조로부터 70대손에 해당하는 직계 자손으로 알려진 조조의(曹祖義)가 랴오닝 성 둥강 시에 거주하고 있다. 최근 발견된 조조의 묘의 진위를 판단하기 위해 다른 조씨 남성들과 함께 복단대학교에서 DNA 감정을 받았다. 검사 결과 조조의는 자손들 중에서 조조의 직계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조조와 혈연 관계가 있다고 여겨져 왔던 하후씨 자손들의 DNA 감정을 실시한 결과, 조씨와 하후씨의 혈연 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조조의 묘 발견을 계기로 조조의 자손임을 자처하는 사람들도 나타나고 있다. 그중에는 사마씨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조(操)” 성으로 개명했다는 조씨(操氏) 사람들도 있다.[203]
7. 조조를 섬긴 사람들
다음은 조조를 섬긴 주요 인물 목록이다.
이름 | 자 | 역할 및 공헌 |
---|---|---|
가후 | 문화(文和) | 조조의 주요 책사 중 한 명 |
고람 | ||
공융 | 문거(文擧) | |
곽가 | 봉효(奉孝) | 조조의 주요 책사 중 한 명 |
곽혁 | 백익(伯益) | |
곽회 | 백제(伯濟) | |
괴월 | 이도(異度) | |
누규 | 자백(子伯) | |
만총 | 백녕(伯寧) | |
문빙 | 중업(仲業) | |
문흠 | 중약(仲若) | |
방덕 | 영명(令明) | |
배잠 | 문행(文行) | |
소유 | ||
순욱 | 문약(文若) | 조조의 주요 책사 중 한 명으로, 내정 및 전략 수립에 큰 기여 |
순유 | 공달(公達) | 조조의 주요 책사 중 한 명 |
악진 | 문겸(文謙) | |
양수 | 덕조(德祖) | |
양추 | ||
여광 | ||
여상 | ||
염유 | ||
염행 | 언명(彦明) | |
왕랑 | 경흥(景興) | |
왕릉 | 언운(彦雲) | |
왕쌍 | ||
왕충 | ||
왕평 | 자균(子均) | |
왕찬 | 중선(仲宣) | |
우금 | 문칙(文則) | |
우금 | ||
유엽 | 자양(子揚) | |
유훈 | 자대(子臺) | |
이전 | 만성(曼成) | |
이통 | ||
사환 | 공유(公劉) | |
장간 | 자익(子翼) | |
장로 | 공기(公祺) | |
장료 | 문원(文遠) | 조조 휘하의 뛰어난 장수 |
장수 | ||
장연 | ||
장합 | 준예(儁乂) | |
전만 | ||
전예 | 국양(國讓) | |
전위 | 조조의 호위 무장 | |
정무 | ||
정욱 | 중덕(仲德) | |
종요 | 원상(元常) | |
주령 | 문박(文博) | |
진군 | 장문(長文) | |
진궁 | 공대(公臺) | 한때 조조를 섬겼으나, 후에 배신 |
진림 | 공장(孔璋) | |
채모 | 덕규(德珪) | |
최염 | ||
학소 | 백도(伯道) | |
한수 | 문약(文約) | |
한호 | 원사(元嗣) | |
허유 | 자원(子遠) | |
허저 | 중강(仲康) | 조조의 호위 무장 |
화흠 | 자어(子魚) | |
황권 | 공형(公衡) | |
희지재 | 조조의 초기 참모 |
참조
[1]
harvard
[2]
harvard
[3]
harvard
[4]
harvard
[5]
harvard
[6]
book
Hou Han shu
Zhonghua Shuju
1965
[7]
harvard
[8]
harvard
[9]
harvard
[10]
harvard
[11]
harvard
[12]
harvard
[13]
harvard
[14]
harvard
[15]
harvard
[16]
harvard
[17]
harvard
[18]
harvard
[19]
harvard
[20]
harvard
[21]
harvard
[22]
harvard
[23]
harvard
[24]
harvard
[25]
harvard
[26]
harvard
[27]
harvard
[28]
harvard
[29]
harvard
[30]
harvard
[31]
harvard
[32]
harvard
[33]
harvard
[34]
harvard
[35]
harvard
[36]
논문
初,太祖父嵩去官後還譙...爲陶謙所害,故太祖志在復讎東伐。夏...復征陶謙,拔五城,遂略地至東海。還過郯,謙將曹豹與劉備屯郯東,要太祖。太祖擊破之,遂攻拔襄賁,所過多所殘戮。
429
[37]
논문
429
[38]
논문
布出兵戰,先以騎犯青州兵。青州兵奔,太祖陳亂馳突火出,墜馬,燒左手掌。司馬樓異扶太祖上馬,遂引去。 ...與布相守百餘日。蝗蟲起,百姓大餓,布糧食亦盡,各引去。
429
[39]
논문
布復從東緍與陳宮將萬餘人來戰,時太祖兵少,設伏,縱奇兵擊,大破之。
429
[40]
논문
於是兵皆出取麥,在者不能千人,屯營不固。太祖乃令婦人守陴,悉兵拒之。屯西有大隄,其南樹木幽深。布疑有伏,...引軍屯南十餘里。明日復來,太祖隱兵隄裏,出半兵隄外。布益進,乃令輕兵挑戰,旣合,伏兵乃悉乘隄,步騎並進,大破之。
[41]
논문
會張邈與陳宮叛迎呂布,郡縣皆應。 ...布夜走,太祖復攻,拔定陶,分兵平諸縣。布東奔劉備 ...冬十月,天子拜太祖兖州牧。
429
[42]
논문
[獻帝建安二年]...袁術稱帝於壽春,自稱仲家
1084
[43]
논문
袁術欲稱帝於淮南,使人告呂布。布收其使,上其書。術怒,攻布,為布所破。
429
[44]
논문
呂布復為袁術使高順攻劉備,公遣夏侯惇救之,不利。備為順所敗。九月,公東征布。 ...月餘,布將宋憲、魏續等執陳宮,舉城降,生禽布、宮,皆殺之。太山臧霸、孫觀、吳敦、尹禮、昌豨各聚衆。布之破劉備也,霸等悉從布。布敗,獲霸等,公厚納待,遂割青、徐二州附於海以委焉,分琅邪、東海、北海為城陽、利城、昌慮郡。
429
[45]
논문
太祖將迎天子,諸將或疑,荀彧、程昱勸之,乃遣曹洪將兵西迎,衞將軍董承與袁術將萇奴拒險,洪不得進。汝南、潁川黃巾何儀、劉辟、黃邵、何曼等,衆各數萬,初應袁術,又附孫堅。二月,太祖進軍討破之,斬辟、邵等,儀及其衆皆降。天子拜太祖建德將軍,夏六月,遷鎮東將軍,封費亭侯。
429
[46]
논문
又領司隷校尉。
[47]
논문
Cao Cao's ''Apologia''
429
[48]
논문
秋七月,楊奉、韓暹以天子還洛陽,奉別屯梁。太祖遂至洛陽,衞京都,暹遁走。天子假太祖節鉞,錄尚書事。洛陽殘破,董昭等勸太祖都許。九月,車駕出轘轅而東,以太祖為大將軍,封武平侯。自天子西遷,朝廷日亂,至是宗廟社稷制度始立。
429
[49]
논문
於是以袁紹為太尉,紹恥班在公下,不肯受。公乃固辭,以大將軍讓紹。天子拜公司空,行車騎將軍。是歲用棗祗、韓浩等議,始興屯田。
429
[50]
논문
袁紹之在河北,軍人仰食桑椹。袁術在江、淮,取給蒲蠃。民人相食,州里蕭條。 ...是歲乃募民屯田許下,得穀百萬斛。於是州郡例置田官,所在積穀。征伐四方,無運糧之勞。
[51]
논문
二年春正月,公到宛。張繡降,旣而悔之,復反。公與戰,軍敗,為流矢所中,長子昂、弟子安民遇害。 ...冬十一月,公自南征,至宛。 ...湖陽降。攻舞陰,下之。 ...公將引還,繡兵來追,公軍不得進,連營稍前。 ...會明,賊謂公為遁也,悉軍來追。乃縱奇兵步騎夾攻,大破之。秋七月,公還許。 ...冬十一月,張繡率衆降,封列侯。
429
[52]
논문
秋九月,術侵陳,公東征之。術聞公自來,棄軍走,留其將橋蕤、李豐、梁綱、樂就;公到,擊破蕤等,皆斬之。術走渡淮。公還許。 ...袁術自敗於陳,稍困,袁譚自青州遣迎之。術欲從下邳北過,公遣劉備、朱靈要之。會術病死。
429
[53]
논문
是時袁紹旣并公孫瓚,兼四州之地,衆十餘萬,將進軍攻許... 秋八月,公進軍黎陽,使臧霸等入青州破齊、北海、東安,留于禁屯河上。九月,公還許,分兵守官渡。 ...十二月,公軍官渡。
429
[54]
논문
程昱、郭嘉聞公遣備,言於公曰:「劉備不可縱。」公悔,追之不及。備之未東也,陰與董承等謀反,至下邳,遂殺徐州刺史車冑,舉兵屯沛。遣劉岱、王忠擊之,不克。
429
[55]
논문
五年春正月,董承等謀泄,皆伏誅。公將自東征備,諸將皆曰:「與公爭天下者,袁紹也。今紹方來而棄之東,紹乘人後,若何?」公曰:「夫劉備,人傑也,今不擊,必為後患。袁紹雖有大志,而見事遟,必不動也。」郭嘉亦勸公,遂東擊備,破之... 公還官渡,紹卒不出。
429
[56]
논문
429
[57]
논문
二月,紹遣郭圖、淳于瓊、顏良攻東郡太守劉延於白馬,紹引兵至黎陽,將渡河。夏四月,公北救延。 ...公乃引軍兼行趣白馬,未至十餘里,良大驚,來逆戰。使張遼、關羽前登,擊破,斬良。遂解白馬圍,徙其民,循河而西。紹於是渡河追公軍,至延津南。 ...時騎不滿六百,遂縱兵擊,大破之,斬醜、良。醜、良皆紹名將也,再戰,悉禽,紹軍大震。公還軍官渡。紹進保陽武。關羽亡歸劉備。
429
[58]
논문
孫策聞公與紹相持,乃謀襲許,未發,為刺客所殺。汝南降賊劉辟等叛應紹,略許下。紹使劉備助辟,公使曹仁擊破之。備走,遂破辟屯。袁紹運穀車數千乘至,公用荀攸計,遣徐晃、史渙邀擊,大破之,盡燒其車。公與紹相拒連月,雖比戰斬將,然衆少糧盡,士卒疲乏。
429
[59]
논문
公謂運者曰:「却十五日為汝破紹,不復勞汝矣。」冬十月,紹遣車運穀,使淳于瓊等五人將兵萬餘人送之,宿紹營北四十里。紹謀臣許攸貪財,紹不能足,來奔,因說公擊瓊等。左右疑之,荀攸、賈詡勸公。公乃留曹洪守,自將步騎五千人夜往,會明至。瓊等望見公兵少,出陳門外。公急擊之,瓊退保營,遂攻之。紹遣騎救瓊。左右或言「賊騎稍近,請分兵拒之」。公怒曰:「賊在背後,乃白!」士卒皆殊死戰,大破瓊等,皆斬之。紹初聞公之擊瓊,謂長子譚曰:「就彼攻瓊等,吾攻拔其營,彼固無所歸矣!」乃使張郃、高覽攻曹洪。郃等聞瓊破,遂來降。紹衆大潰,紹及譚棄軍走,渡河。追之不及,盡收其輜重圖書珍寶,虜其衆。公收紹書中,得許下及軍中人書,皆焚之。冀州諸郡多舉城邑降者。
429
[60]
논문
紹遣先主將本兵復至汝南,與賊龔都等合,眾數千人。曹公遣蔡陽擊之,為先主所殺。
429
[61]
논문
六年夏四月,揚兵河上,擊紹倉亭軍,破之。紹歸,復收散卒,攻定諸叛郡縣。九月,公還許。紹之未破也,使劉備略汝南,汝南賊共都等應之。遣蔡揚擊都,不利,為都所破。公南征備。備聞公自行,走奔劉表,都等皆散。
429
[62]
논문
七年春正月,公軍譙,令曰:「吾起義兵,爲天下除暴亂。舊土人民,死喪略盡,國中終日行,不見所識,使吾悽愴傷懷。其舉義兵已來,將士絕無後者,求其親戚以後之,授上田,官給耕牛,置學師以教之。爲存者立廟,使祀其先人,魂而有靈,吾百年之後何恨哉!」
429
[63]
논문
紹自軍破後,發病歐血,夏五月死。小子尚代,譚自號車騎將軍,屯黎陽。秋九月,公征之,連戰。譚、尚數敗退,固守。 八年春三月,攻其郭,乃出戰,擊,大破之,譚、尚夜遁。夏四月,進軍鄴。五月還許,留賈信屯黎陽。
429
[64]
논문
秋七月,令曰:「...其令郡國各修文學,縣滿五百戶置校官,選其鄉之俊造而教學之...」
429
[65]
논문
八月,公征劉表,軍西平。公之去鄴而南也,譚、尚爭冀州,譚為尚所敗,走保平原。尚攻之急,譚遣辛毗乞降請救。諸將皆疑,荀攸勸公許之,公乃引軍還。冬十月,到黎陽,為子整與譚結婚。 ...九年春正月,濟河,遏淇水入白溝以通糧道。二月,尚復攻譚,留蘇由、審配守鄴。 ...八月,審配兄子榮夜開所守城東門內兵。配逆戰,敗,生禽配,斬之,鄴定。公臨祀紹墓,哭之流涕;慰勞紹妻,還其家人寶物,賜雜繒絮,廩食之。 ...九月,令曰:「河北罹袁氏之難,其令無出今年租賦!」重豪彊兼幷之法,百姓喜恱。天子以公領冀州牧,公讓還兖州。
429
[66]
논문
公之圍鄴也,譚略取甘陵、安平、勃海、河閒。尚敗,還中山。譚攻之,尚奔故安,遂幷其衆。公遺譚書,責以負約,與之絕婚,女還,然後進軍。譚懼,拔平原,走保南皮。十二月,公入平原,略定諸縣。十年春正月,攻譚,破之,斬譚,誅其妻子,冀州平。 ...是月,袁熙大將焦觸、張南等叛攻熙、尚,熙、尚奔三郡烏丸。觸等舉其縣降,封為列侯。
429
[67]
논문
初,袁紹以甥高幹領幷州牧,公之拔鄴,幹降,遂以為刺史。幹聞公討烏丸,乃以州叛,執上黨太守,舉兵守壺關口。遣樂進、李典擊之,幹還守壺關城。十一年春正月,公征幹。幹聞之,乃留其別將守城,走入匈奴,求救於單于,單于不受。公圍壺關三月,拔之。幹遂走荊州,上洛都尉王琰捕斬之。秋八月,公東征海賊管承,至淳于,遣樂進、李典擊破之,承走入海島。割東海之襄賁、郯、戚以益瑯邪,省昌慮郡。
429
[68]
논문
夏四月,黑山賊張燕率其衆十餘萬降,封為列侯。故安趙犢、霍奴等殺幽州刺史、涿郡太守。三郡烏丸攻鮮于輔於獷平。秋八月,公征之,斬犢等,乃渡潞河救獷平,烏丸奔走出塞。 ...冬十月,公還鄴。
429
[69]
논문
三郡烏丸承天下亂,破幽州,略有漢民合十餘萬戶。袁紹皆立其酋豪為單于,以家人子為己女,妻焉。遼西單于蹋頓尤彊,為紹所厚,故尚兄弟歸之,數入塞為害。公將征之,鑿渠,自呼沲入泒水,名平虜渠;又從泃河口鑿入潞河,名泉州渠,以通海。將北征三郡烏丸, ...八月,登白狼山,卒與虜遇,衆甚盛。公車重在後,被甲者少,左右皆懼。公登高,望虜陳不整,乃縱兵擊之,使張遼為先鋒,虜衆大崩,斬蹋頓及名王已下,胡、漢降者二十餘萬口。遼東單于速僕丸及遼西、北平諸豪,棄其種人,與尚、熙奔遼東,衆尚有數千騎。初,遼東太守公孫康恃遠不服。及公破烏丸,或說公遂征之,尚兄弟可禽也。公曰:「吾方使康斬送尚、熙首,不煩兵矣。」九月,公引兵自柳城還,康即斬尚、熙及速僕丸等,傳其首。諸將或問:「公還而康斬送尚、熙,何也?」公曰:「彼素畏尚等,吾急之則幷力,緩之則自相圖,其勢然也。」十一月至易水,代郡烏丸行單于普富盧、上郡烏丸行單于那樓將其名王來賀。
429
[70]
논문
於是大封功臣二十餘人,皆爲列侯,其餘各以次受封。
429
[71]
harvard
""
null
[72]
harvard
""
null
[73]
harvard
""
null
[74]
harvard
Yitong ping
null
[75]
harvard
""
null
[76]
harvard
Shanyang Gong zaiji
null
[77]
harvard
""
null
[78]
harvard
""
null
[79]
book
Chinese Autobiographical Writing: An Anthology of Personal Account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80]
harvard
""
null
[81]
harvard
""
null
[82]
harvard
""
null
[83]
harvard
""
null
[84]
harvard
""
null
[85]
harvard
""
null
[86]
harvard
""
null
[87]
harvard
""
null
[88]
harvard
""
null
[89]
harvard
""
null
[90]
harvard
""
null
[91]
harvard
""
null
[92]
harvard
""
null
[93]
harvard
""
null
[94]
harvard
""
null
[95]
harvard
""
null
[96]
harvard
""
null
[97]
harvard
""
null
[98]
harvard
""
null
[99]
harvard
""
null
[100]
harvard
""
null
[101]
harvard
""
null
[102]
harvard
""
null
[103]
harvard
Wu Li
null
[104]
harvard
""
null
[105]
harvard
""
null
[106]
서적
Xiandi qiju zhu
Chen and Pei
null
[107]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08]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09]
서적
Wei Shi Chunqiu
Chen and Pei
null
[110]
백과사전
zdic 漢典
null
[111]
서적
Xiandi qiju zhu
Chen and Pei
null
[112]
서적
Xiandi qiju zhu
Chen and Pei
null
[113]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14]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15]
서적
Cao Man zhuan
Chen and Pei
null
[116]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17]
서적
Book of Wei
Chen and Pei
null
[118]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19]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0]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1]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2]
서적
Book of Wei
Chen and Pei
null
[123]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4]
서적
Book of Wei
Chen and Pei
null
[125]
서적
Book of Wei
Chen and Pei
null
[126]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7]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8]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29]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30]
서적
Wei Shi Chunqiu
Chen and Pei
null
[131]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32]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33]
서적
null
Chen and Pei
null
[134]
서적
Zizhi Tongjian
null
[135]
웹사이트
Tomb of legendary ruler unearthed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23-07-28
[136]
웹사이트
Experts say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confirm that Cao Cao's tomb is in Anyang, Henan
https://news.sina.cn[...]
Tengxun News
2023-07-28
[137]
웹사이트
SACH confirms that the Eastern Han tomb in Anyang, Henan belonged to Cao Cao
http://news.ppzw.com[...]
Tengxun News
2023-07-28
[138]
웹사이트
Cao Cao's tomb: Experts reveal that findings and artifacts are fake
https://web.archive.[...]
Global Times
2010-08-24
[139]
웹사이트
Henan's Cao Cao Mausoleum and Shaolin Monastery are selected to be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Protected at the National Level
https://web.archive.[...]
CRI online
2013-05-03
[140]
뉴스
Anyang Cao Cao Gaoling Archaeological Site Museum opens
https://hct.henan.go[...]
Henan Daily
2023-04-28
[141]
논문
Present Y chromosomes reveal the ancestry of Emperor CAO Cao of 1800 years ago
[142]
논문
Ancient DNA of Emperor Cao Cao's granduncle matches those of his present descendants: a commentary on present Y chromosomes reveal the ancestry of Emperor Cao Cao of 1800 years ago
https://www.research[...]
The Japan Society of Human Genetics
2013-02-14
[143]
웹사이트
Scholars from Shanghai (University) discuss Fudan (University)'s research on Cao Cao's DNA: A tooth from Cao Ding is insufficient to determine (Cao Cao's) ancestry
http://dailynews.sin[...]
2013-12-11
[144]
서적
Book of Wei
[145]
서적
Cao Man zhuan
[146]
서적
Fu Zi
[147]
서적
Fu Zi
[148]
서적
Book of Wei
[149]
서적
Yitong Zayu
[150]
서적
Book of Wei
[151]
서적
Yitong Zayu
[152]
서적
Book of Wei
[153]
서적
Jiang Biao zhuan
[154]
서적
[155]
서적
Book of Wei
[156]
서적
The Penguin Book of Chinese Verse (The Penguin Poets D65)
Penguin Books
[157]
서적
Chinese Lyricism: Shih Poetry from the Second to the Twelf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58]
서적
Chinese Poetry: An Anthology of Major Modes and Genres
Duke University Press
[159]
서적
[160]
서적
Zizhi Tongjian
[161]
서적
Taiping Yulan
984
[162]
서적
Shitong
710
[163]
서적
Zizhi Tongjian
[164]
회의록
Dongpo Zhilin: Huaigu
[165]
서적
Shengren Yu Ri Zhong Wenhua
社会科学文献出版社 (Social Sciences Academic Press)
1999
[166]
회의록
Wei–Jin Fengdu ji Wenzhang yu Yao ji Jiu zhi Guanxi
1927
[167]
웹사이트
Cao Cao was Chairman Mao's most highly praised historical figure
http://news.banbijia[...]
半壁江中文网 (banbijiang.com)
2013-04-10
[168]
웹사이트
Yi Zhongtian
http://www.cbi.gov.c[...]
China Book International
2023-07
[169]
서적
Cao Man zhuan
[170]
서적
Cao Man zhuan
[171]
서적
Cao Man zhuan
[172]
서적
Cao Man zhuan
[173]
서적
Cao Man zhuan
[174]
서적
Cao Man zhuan
[175]
서적
Cao Man zhuan
[176]
서적
Jiu Zhou Chunqiu
[177]
서적
Cao Man zhuan
[178]
서적
Shiyu
[179]
서적
Cao Man zhuan
[180]
서적
Shishuo Xinyu, ch. 27 §1
[181]
서적
Shishuo Xinyu, ch. 27 §5
[182]
서적
Shishuo Xinyu, ch. 27 §2
[183]
백과사전
Dictionary definition of 望梅止渴
https://www.zdic.net[...]
[184]
서적
Shishuo Xinyu, ch. 27 §3
[185]
서적
Shishuo Xinyu, ch. 27 §4
[186]
서적
Shishuo Xinyu, ch. 14 §1
[187]
서적
Shishuo Xinyu, ch. 31 §1
[188]
서적
Peng Te-huai: The Man and the Image
C. Hurst & Company
[189]
서적
The Story of the Stone
Doubleday
[190]
위키소스
昭明文選/卷27#樂府二首
[191]
위키소스
短歌行 (曹操)
[192]
서적
中国の五大小説 上 三国志演義・西遊記
https://books.google[...]
岩波書店
[193]
뉴스
央広新聞
中国之声
2009-12-27
[194]
뉴스
主張喪葬從簡 墓穴發掘不易
http://hk.news.yahoo[...]
明報
2009-12-28
[195]
뉴스
曹操高陵在河南得到考古確認
http://www.haww.gov.[...]
中国河南省文物局
2009-12-27
[196]
뉴스
「三国志」曹操の陵墓発見 中国河南省、遺骨も出土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9-12-27
[197]
뉴스
「三国志」曹操の陵墓を発見、中国河南省「魏武王」の文字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9-12-28
[198]
뉴스
中國社會科學院等方面專家基本認定:西高穴大墓是曹操的陵墓
http://www.sach.gov.[...]
光明日報
2009-12-28
[199]
뉴스
曹操遺骸大發現?考古團隊急發文:只是研究整理...
http://news.ltn.com.[...]
自由時報
2018-03-26
[200]
뉴스
三国志 曹操(そうそう)の遺骨と断定
https://hongkong-bs.[...]
香港BS
2018-03-27
[201]
웹사이트
遺骨のDNA鑑定を計画 曹操の陵墓真偽解明で
https://usfl.com/new[...]
U.S. FrontLine - フロントライン
2013-11-13
[202]
뉴스
曹操の子孫が集合、互いに「探り合い」でぎこちなく=中国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ニュース
2013-11-26
[203]
웹사이트
曹操の墓発見で“自称子孫”が次々現る
https://media.yucase[...]
2010-01-07
[204]
문서
王朗伝
[205]
위키소스
魏武帝集#○與諸葛亮書
[206]
서적
위진남북조사
지식산업사
2003-09-15
[207]
서적
후한서, 제9권
[208]
소설
삼국지연의
[209]
서적
삼국지, 1권 위서 제1 무제 조조
[210]
서적
위서
[211]
서적
후한서 68권 열전 제58 허소
[212]
서적
진서 권105 석륵 재기
[213]
웹사이트
김태규 명리학 <348> 회남자를 읽다가 조조를 떠올리다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7-07
[214]
서적
김운회 교수의 삼국지 바로 읽기 1
삼인
2004-12-10
[215]
서적
삼국지
민음사
[216]
뉴스
허난서 삼국시대 조조 무덤 발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2-27
[217]
뉴스
조조 무덤은 가짜?‥진위 여부 논란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09-12-31
[218]
뉴스
中 문물국 '조조무덤' 공식 인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