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문중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1680년 정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광주부윤을 시작으로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쳤다. 경상도관찰사, 호조참판, 어영대장, 도승지, 예조참판, 대사간, 공조참판, 우참찬 등을 역임했으며, 기사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갑술환국 이후 다시 등용되어 좌참찬을 지냈다. 1698년 우의정을 거쳐 1699년 좌의정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이르렀다. 서문중 초상 및 함은 대한민국의 보물 제1898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34년 출생 -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어린 나이에 공작위를 계승하여 발도파 박해로 비난받았으나, 니스 항구 개발, 도로 건설, 군사 개혁 등을 통해 공국의 부를 증진시킨 인물이다. - 1634년 출생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1634년)
마쓰다이라 다다토모는 에도 시대 이이야마 번을 다스린 다이묘로, 치수 사업, 관개 시설 정비, 신전 개발 등을 통해 번의 기반을 다지고 노다 기자에몬을 등용하여 번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오사카 가반 등 요직을 역임한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 1709년 사망 - 다카쓰카사 노부코
다카쓰카사 노부코는 도쿠가와 마사코를 고미즈오 천황의 중궁으로 삼는 데 관여하고,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결혼하여 에도 성 오오쿠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일화를 남겼으며, 쓰나요시 사후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 - 1709년 사망 - 마쓰다이라 무네나가
마쓰다이라 무네나가는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생모 게이쇼인의 친척으로 다카모리 번 2만 석을 받아 다이묘가 되었으나 23세에 사망했다. - 대구 서씨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대구 서씨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서문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 |
| 이름 | 서문중 |
| 원어명 | 徐文重 |
| 직책 | 조선 영의정 |
| 자 | 도윤(道潤) |
| 호 | 몽어정(夢漁亭) |
| 국적 | 조선 |
| 성별 | 남성 |
| 출생일 | 1634년 |
| 사망일 | 1709년 |
| 본관 | 대구 |
2. 생애
서문중은 1680년(숙종 6) 정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기사환국으로 잠시 파직되었으나, 갑술환국 이후 복직하여 1698년 우의정, 1699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2. 1. 관직 경력
1680년(숙종 6) 정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광주부윤이 되었다. 경상도관찰사, 승지, 동부승지를 역임하고 호조참판이 되었다. 숙종의 총애로 어영대장, 호조참판, 도승지, 예조참판, 대사간, 공조참판을 지냈다. 우참찬에 올랐으나, 기사환국으로 파직되었다. 갑술환국 이후 강릉부사로 복직하여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형조판서, 훈련대장, 대사헌을 거쳐 좌참찬을 지냈다. 1698년 우의정, 판돈녕부사를 거쳐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99년 좌의정, 영의정, 판중추부사를 역임했다.2. 2. 기사환국과 갑술환국
1680년(숙종) 6년 정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광주부윤이 되었다. 경상도관찰사, 승지, 동부승지, 호조참판을 거쳤다. 숙종의 총애로 어영대장, 도승지, 예조참판, 대사간, 공조참판을 역임했다. 우참찬에 올랐으나, 기사환국으로 파직되었다. 갑술환국 이후 서용되어 강릉부사,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형조판서, 훈련대장, 대사헌, 좌참찬을 지냈다.2. 3. 영의정 임명과 사망
1680년(숙종 6) 정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광주부윤이 되었다. 경상도관찰사, 승지를 거쳐 동부승지, 호조참판을 지냈다. 숙종의 총애로 어영대장, 도승지, 예조참판, 대사간, 공조참판을 역임하고 우참찬이 되었으나, 기사환국으로 파직되었다. 갑술환국 이후 복직되어 강릉부사,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형조판서, 훈련대장, 대사헌, 좌참찬을 지냈다. 1698년 우의정을 거쳐 판돈녕부사로 치사했다가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99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고 판중추부사로 치사했다.3. 가계
| 관계 | 이름 | 비고 |
|---|---|---|
| 고조부 | 서해(徐嶰) | |
| 증조부 | 서성(徐渻) | |
| 친조부 | 서경주(徐景霌, 1579 ~ 1643) | 달성위 |
| 친조모 | 정신옹주(貞愼翁主, 1583 ~ 1653) | |
| 친아버지 | 서정리(徐貞履, 1599 ~ 1664) | |
| 친어머니 | 경주 이씨(慶州 李氏) | 판서(判書) 이시발(李時發)의 딸 |
| 양조부 | 서경우(徐景雨) | 종조부이자 양조부 |
| 양아버지 | 서원리(徐元履) | |
| 양어머니 | 최산립의 딸 | |
| 양어머니 | 김육의 딸 | |
| 부인 | 용인 이씨 | 참판(參判) 이후산(李後山)의 딸 |
| 장남 | 서종보(徐宗普, 1653 ~ ?) | |
| 자부 | 한산 이씨 | 참판(參判) 이정기(李廷夔)의 딸 |
| 장녀 | 서경순(徐慶純, 1655 ~ ?) | 풍양 조씨 조대수(趙大壽)에게 출가 |
| 차남 | 서종로(徐宗魯, 1658 ~ ?) | |
| 자부 | 파평 윤씨 | 윤평(尹坪)의 딸 |
4. 관련 문화재
- 서문중 초상 및 함 (대한민국 보물 제1898호)
: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서문중(1634∼1709) 선생의 초상화 1폭과 초상화를 담았던 함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