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의정은 조선 시대 의정부의 최고 관직으로,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자리였다. 1401년 영의정부사에서 영의정으로 이름이 바뀌어 조선 말기 갑오개혁 때 총리대신으로 변경되기까지 국정을 총괄했다. 주로 좌의정을 거친 고위 관료가 임명되었으며, 황희가 18년 동안 재임하여 가장 오랫동안 영의정을 지냈다. 전주 이씨, 안동 김씨, 청송 심씨 가문에서 영의정을 많이 배출했고, 초대 영의정은 이서, 마지막 영의정은 김홍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재상 - 대제학
대제학은 조선 시대 문한을 담당하는 관청의 최고위 정2품 관직으로, 학술 및 외교 문서 작성과 왕의 자문에 응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한국의 재상 - 문하시중
문하시중은 고려 시대에 설치된 최고 관직 중 하나로, 시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변화하며 고려 후기 왕권 강화와 정치 개혁, 권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고, 조선 건국 후 정승으로 개칭되어 조선 정치 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조선의 영의정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조선의 영의정 - 이준경
이준경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대에 영의정을 지냈고 선조 즉위 후 원상으로서 국정을 주도했으며, 을사사화 때 사림을 보호하고 을묘왜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영의정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영의정/영상/상상/수규/원보 |
한자 | 領議政/領相/上相/首揆/元輔 |
로마자 표기 | yeong-uijeong/sangsang/sugyu/wonbo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yŏng'ŭijŏng/sangsang/sukyu/wonbo |
IPA | /jʌŋ.ɰi.dʑʌŋ/ |
직위 정보 | |
국가 | 조선 |
명칭 | 영의정 |
원어명 | 領議政 |
소속 | 의정부 |
품계 | 정1품 |
지명자 | 조선 국왕 |
임명자 | 조선 국왕 |
임기 | 일정하지 않음 |
상관 | 조선 국왕 |
초대 | 이서 |
설치 | 1401년 8월 22일 |
마지막 | 김홍집 |
폐지 | 1894년 8월 20일 |
전신 | 고려 문하시중 |
후신 | 대조선국 총리대신 |
다른 명칭 | |
영상 (領相) | leading minister of state (국무의 주요 장관) |
상상 (上相) | upper minister of state (국무의 상위 장관) |
수규 (首揆) | head premier (수석 재상) |
원보 (元輔) | primary assistant (주요 보좌관) |
2. 역사
1401년(태종 1년) 7월 의정부가 설치될 무렵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라고 하던 것을, 1466년(세조 12년) 1월 관제개정 때 '영의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 말기까지 이어오다가, 1894년 갑오개혁 때 일본관제의 영향으로 총리대신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뒤에 의정대신, 내각총리대신으로 고쳐졌다.
=== 조선 전기 ===
조선 건국 당시(1392년)에는 전 왕조인 고려(918~1392)의 국가 체제를 계승하였다. 1400년(정종 2년), 고려 최고 행정 기관이었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추밀원)를[5]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의정부의 장은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로 불렸다. 이후 의정부 기능 강화 및 제도 개정을 통해 영의정부사는 영의정(Yeonguijeong)으로 개칭되어 직책이 확립되었다.[4]
1466년, 『경국대전』(Gyeongguk daejeon) 완성으로 영의정 직책은 공식적으로 법제화되었다.[6][7] 영의정은 주로 좌의정(Jwauijeong)을[8] 거친 고위 관료가 임명되었으며, 좌의정은 영의정 바로 아래, 우의정(Uuijeong)보다[9] 높은 자리였다.[4] 세 정승은 삼정승(Samjeongseung)[10] 또는 삼의정(三議政)[4]으로 불렸다.
1436년(세종 18년) 4월까지 영의정과 좌의정은 각각 판이조사와 판병조사를 겸임하여 양반 인사를 관장하였다. 영의정은 명예직으로 외교문서 검토, 조정, 사형수 재심 등의 업무만 담당했다. 그러나 같은 해 황희가 영의정부사로 임명되면서, 세종은 육조 중심 정치 체제에서 삼정승 권한을 강화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세종은 최고 어른 세 사람이 국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고위 국정 자문관으로 삼고자 했던 본래 의도에 어긋난다고 보았다.[4]
개혁으로 육조는 각 부 책임에 대해 의정부와 협의했고, 의정부는 정당성을 논의 후 국왕에게 보고, 국왕 재가 후 육조로 돌아가 시행했다. 이로써 영의정은 의정부 수장으로서 국정 운영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이조(吏曹, 인사부[11])의 인사권, 병조(兵曹, 군사부[12])의 군사 동원권, 형조(刑曹, 형벌부[13])의 사형수 제외 범죄자 처리권 등은 여전히 해당 장관이 직접 담당하였다.[4]
세조(수양대군)가 단종의 자리를 찬탈하면서 영의정 기능은 이전의 무력한 지위로 격하되었다. 세조가 왕자 시절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영의정 황보인과 좌의정 김종서에 의해 크게 제약받았기 때문이다. 성종과 중종 때 의정부 권한 회복 제안이 있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4]
1558년(명종 13년) 비변사 설치로 중요 국정은 비변사에서 논의되었다. 삼정승은 도제조(都提調)[14][15]로 회의에 참석했다. 영의정 권한은 왕권 강약, 의정부와 육조 관계, 비변사 설치, 후대 규장각 운영, 당쟁, 세도 정치(勢道政治, ''Sedo jeongchi''[17]) 등 시대적 정치 상황에 따라 증감했다. 그럼에도 영의정은 조선시대 전체에 걸쳐 관료 체제 최고봉으로 남아 있었다.[4]
조선 전기 역대 영의정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1 | 이서 (李舒) | 홍주 (洪州) |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1401년 8월 22일> | 태종 2년(1402년) 음력 4월 18일 <1402년 5월 19일> |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 양백 (陽伯) | 당옹 (戇翁)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영의정으로 치사(致仕) |
2 | 이거이 (李居易) | 청주 (淸州) | 태종 2년(1402년) 음력 4월 18일 <1402년 5월 19일> | 태종 2년(1402년) 음력 11월 17일 <1402년 12월 11일> |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 낙천 (樂天) | 청허자 (淸虛子) | 문도 (文度) | 정사공신 | 영사평부사에 임명 |
3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2년(1402년) 음력 11월 17일 <1402년 12월 11일> | 태종 3년(1403년) 음력 4월 3일 <1403년 4월 23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사은사로 임명 |
4 | 조준 (趙浚) | 평양 (平陽) | 태종 3년(1403년) 음력 7월 16일 <1403년 8월 3일> | 태종 5년(1405년) 음력 6월 17일 <1405년 7월 13일> | 평양부원군 (平壤府院君) | 명중 (明仲) | 우재 (吁齋) | 문충 (文忠) | 정사공신 | 재임 중 사망 |
5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5년(1405년) 음력 7월 3일 <1405년 7월 28일> |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1407년 8월 6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좌정승으로 임명 |
6 | 이화 (李和) | 전주 (全州) |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1407년 8월 6일> | 태종 8년(1408년) 음력 1월 3일 <1408년 1월 30일> | 의안대군 (義安大君) | - | 이요정 (二樂亭) | 양소 (襄昭) | 정사공신 | 사직(사면) |
7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태종 8년(1408년) 음력 2월 11일 <1408년 3월 8일> | 태종 9년(1409년) 음력 8월 10일 <1409년 9월 18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좌명공신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8 | 이서 (李舒) | 홍주 (洪州) | 태종 9년(1409년) 음력 8월 10일 <1409년 9월 18일> | 태종 9년(1409년) 음력 10월 11일 <1409년 11월 17일> |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 양백 (陽伯) | 당옹 (戇翁)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9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태종 9년(1409년) 음력 10월 11일 <1409년 11월 17일> |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1412년 9월 26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좌명공신 | 좌정승에 임명 |
10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1412년 9월 26일 |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1414년 5월 6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
11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1414년 5월 6일> | 태종 15년(1415년) 음력 5월 17일 <1415년 6월 23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부원군에 봉함 | |
12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15년(1415년) 음력 10월 18일 <1415년 11월 19일> | 태종 16년(1416년) 음력 5월 25일 <1416년 6월 20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
13 | 남재 (南在) | 의령 (宜寧) | 태종 16년(1416년) 음력 5월 25일 <1416년 6월 20일> | 태종 16년(1416년) 음력 11월 2일 <1416년 11월 20일> | 의령부원군 (宜寧府院君) | 경지 (敬之) | 구암 (龜巖) | 충경 (忠景) | 개국공신 | |
14 | 류정현 (柳廷顯) | 문화 (文化) | 태종 16년(1416년) 음력 11월 2일 <1416년 11월 20일> | 태종 18년(1418년) 음력 6월 5일 <1418년 7월 8일> | - | 여명 (汝明) | 월정 (月亭) | 정숙 (貞肅) | 관학파 | 영돈녕부사로 임명 |
15 | 한상경 (韓尙敬) | 청주 (淸州) | 태종 18년(1418년) 음력 6월 5일 <1418년 7월 8일>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9월 3일 <1418년 10월 2일> |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 숙경 (叔敬) | 신재 (信齋)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부원군에 봉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16 | 심온 (沈溫) | 청송 (靑松)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9월 3일 <1418년 10월 2일>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12월 7일 <1419년 1월 2일> | 청천부원군 (靑川府院君) | 중옥 (仲玉) | - | 안효 (安孝) | 외척 | 역모 혐의로 인한 파면 |
17 | 류정현 (柳廷顯) | 문화 (文化)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12월 7일 <1419년 1월 2일> | 세종 6년(1424년) 음력 9월 7일 <1424년 9월 29일> | - | 여명 (汝明) | 월정 (月亭) | 정숙 (貞肅) | 관학파 | 영돈녕부사로 임명 |
18 | 이직 (李稷) | 성주 (星州) | 세종 6년(1424년) 음력 9월 7일 <1424년 9월 29일> | 세종 8년(1426년) 음력 5월 13일 <1426년 6월 18일> | 성산부원군 (星山府院君) | 우정 (虞庭) | 형재 (亨齋)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좌의정에 임명됨 |
19 | 구종길 (仇宗吉) | 창원 (昌原) | 세종 8년(1426년) 음력 5월 13일 <1426년 6월 18일> | 세종 13년(1431년) 음력 9월 3일 <1431년 10월 8일> | - | 자안 (子安) | 천곡 (川谷) | - | 세종대왕 사부(師傅) | [18] |
20 | 황희 (黃喜) | 장수 (長水) | 세종 13년(1431년) 음력 9월 3일 <1431년 10월 8일> | 세종 31년(1449년) 음력 10월 5일 <1449년 10월 21일> |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 구부 (懼夫) | 방촌 (庬村) | 익성 (益成) | 관학파 | 영의정으로 치사함 |
21 | 하연 (河演) | 진주 (晉州) | 세종 31년(1449년) 음력 10월 5일 <1449년 10월 21일> | 문종 원년(1451년) 음력 7월 13일 <1451년 8월 9일> | - | 연량 (淵亮) | 경재 (敬齋) | 문효 (文孝) | 영의정으로 치사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2 | 황보인 (皇甫仁) | 영천 (永川) | 문종 원년(1451년) 음력 10월 27일 <1451년 11월 20일> | 단종 원년(1453년) 음력 10월 10일 <1453년 11월 10일> | - | 사겸 (四兼) | 지봉 (芝峰) | 충정 (忠貞) | 관학파 | 계유정난 때 살해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3 | 이유 (李瑈) | 전주 (全州) | 단종 원년(1453년) 음력 10월 11일 <1453년 11월 11일> | 단종 3년(1455년) 음력 윤 6월 11일 <1455년 7월 25일> | 수양대군 (首陽大君) | 수지 (粹之) | - | 혜장 (惠莊)[19] | 왕실 종친 | 단종의 선위로 인한 즉위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4 | 정인지 (鄭麟趾) | 하동 (河東) | 세조 원년(1455년) 음력 윤 6월 11일 <1455년 7월 25일> | 세조 4년(1458년) 음력 2월 18일 <1458년 3월 3일> | 하동부원군 (河東府院君) | 백저 (伯雎) | 학역재 (學易齋) | 문성 (文成) | 훈구파 | 부원군에 봉함 |
25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세조 4년(1458년) 음력 12월 7일 <1459년 1월 11일> | 세조 4년(1458년) 음력 12월 18일 <1459년 1월 22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상중이라는 이유로 사직 | |
26 | 강맹경 (姜孟卿) | 진주 (晉州) | 세조 5년(1459년) 음력 11월 6일 <1459년 11월 30일> | 세조 7년(1461년) 음력 4월 17일 <1461년 5월 26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자장 (子章) | - | 문경 (文景) | 재직 중 사망 | |
27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세조 7년(1461년) 음력 4월 29일 <1461년 6월 7일> | 세조 8년(1462년) 음력 5월 10일 <1462년 6월 7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실언으로 인한 파직 | |
28 | 신숙주 (申叔舟) | 고령 (高靈) | 세조 8년(1462년) 음력 5월 20일 <1462년 6월 17일> | 세조 12년(1466년) 음력 4월 18일 <1466년 5월 31일> | 고령부원군 (高靈府院君) | 범옹 (泛翁) | 보한재 (保閑齋) | 문충 (文忠) | 고령군에 봉함 | |
29 | 구치관 (具致寬) | 능성 (綾城) | 세조 12년(1466년) 음력 4월 18일 <1466년 5월 31일> | 세조 12년(1466년) 음력 10월 19일 <1466년 11월 26일> | 능성부원군 (綾城府院君) | 이율 (而栗) | - | 충렬 (忠烈) | 능성군으로 봉함 | |
30 | 한명회 (韓明澮) | 청주 (淸州) | 세조 12년(1466년) 음력 10월 19일 <1466년 11월 26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4월 6일 <1467년 5월 9일> |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 자준 (子濬) | 압구정 (狎鷗亭) | 문성 (文成) | 상당군으로 봉함 | |
31 | 황수신 (黃守身) | 장수 (長水) | 세조 13년(1467년) 음력 4월 6일 <1467년 5월 9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5월 20일 <1467년 6월 21일> |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 계효 (季孝) | 나부 (懦夫) | 열성 (烈成)[20] | 남원군으로 봉함 | |
32 | 심회 (沈澮) | 청송 (靑松) | 세조 13년(1467년) 음력 5월 20일 <1467년 6월 21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9월 20일 <1467년 10월 17일> | 청송부원군 (靑松府院君) | 청보 (淸甫) | - | 공숙 (恭肅) | 중추부영사로 임명 | |
33 | 최항 (崔恒) | 삭녕 (朔寧) | 세조 13년(1467년) 음력 9월 20일 <1467년 10월 17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12월 12일 <1468년 1월 7일> | 영성부원군 (寧城府院君) | 정보 (貞父) | 태허정 (太虛亭) | 문정 (文靖) | 영성군으로 봉함 | |
34 | 조석문 (曺錫文) | 창녕 (昌寧) | 세조 13년(1467년) 음력 12월 12일 <1468년 1월 7일> | 세조 14년(1468년) 음력 7월 17일 <1468년 8월 4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순보 (順甫) | - | 충간 (忠簡) | 창녕군으로 봉함 | |
35 | 이준 (李浚) | 전주 (全州) | 세조 14년(1468년) 음력 7월 17일 <1468년 8월 4일> | 예종 즉위년(1468년) 음력 12월 20일 <1469년 1월 3일> | 귀성군 (龜城君) | 자청 (子淸) | 자준 (子濬) | 충무 (忠武) | 왕실 종친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36
| 박원형
(朴元亨) || 죽산
(竹山) || 예종 즉위년(1468년)
음력 12월 20일
<1469년 1월 3일>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1월 22일
<1469년 2월 3일> ||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 지구
(之衢) || 만절
(晩節) || 문헌
(文憲) || rowspan="3"| 훈구파 || 재직 중 사망
|-
|37
| 한명회
(韓明澮) || 청주
(淸州)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1월 23일
<1469년 2월 4일> || 예종 원년
2. 1. 조선 전기
조선 건국 당시(1392년)에는 전 왕조인 고려(918~1392)의 국가 체제를 계승하였다. 1400년(정종 2년), 고려 최고 행정 기관이었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추밀원)를[5]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의정부의 장은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로 불렸다. 이후 의정부 기능 강화 및 제도 개정을 통해 영의정부사는 영의정(Yeonguijeong)으로 개칭되어 직책이 확립되었다.[4]1466년, 『경국대전』(Gyeongguk daejeon) 완성으로 영의정 직책은 공식적으로 법제화되었다.[6][7] 영의정은 주로 좌의정(Jwauijeong)을[8] 거친 고위 관료가 임명되었으며, 좌의정은 영의정 바로 아래, 우의정(Uuijeong)보다[9] 높은 자리였다.[4] 세 정승은 삼정승(Samjeongseung)[10] 또는 삼의정(三議政)[4]으로 불렸다.
1436년(세종 18년) 4월까지 영의정과 좌의정은 각각 판이조사와 판병조사를 겸임하여 양반 인사를 관장하였다. 영의정은 명예직으로 외교문서 검토, 조정, 사형수 재심 등의 업무만 담당했다. 그러나 같은 해 황희가 영의정부사로 임명되면서, 세종은 육조 중심 정치 체제에서 삼정승 권한을 강화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세종은 최고 어른 세 사람이 국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고위 국정 자문관으로 삼고자 했던 본래 의도에 어긋난다고 보았다.[4]
개혁으로 육조는 각 부 책임에 대해 의정부와 협의했고, 의정부는 정당성을 논의 후 국왕에게 보고, 국왕 재가 후 육조로 돌아가 시행했다. 이로써 영의정은 의정부 수장으로서 국정 운영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이조(吏曹, 인사부[11])의 인사권, 병조(兵曹, 군사부[12])의 군사 동원권, 형조(刑曹, 형벌부[13])의 사형수 제외 범죄자 처리권 등은 여전히 해당 장관이 직접 담당하였다.[4]
세조(수양대군)가 단종의 자리를 찬탈하면서 영의정 기능은 이전의 무력한 지위로 격하되었다. 세조가 왕자 시절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영의정 황보인과 좌의정 김종서에 의해 크게 제약받았기 때문이다. 성종과 중종 때 의정부 권한 회복 제안이 있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4]
1558년(명종 13년) 비변사 설치로 중요 국정은 비변사에서 논의되었다. 삼정승은 도제조(都提調)[14][15]로 회의에 참석했다. 영의정 권한은 왕권 강약, 의정부와 육조 관계, 비변사 설치, 후대 규장각 운영, 당쟁, 세도 정치(勢道政治, ''Sedo jeongchi''[17]) 등 시대적 정치 상황에 따라 증감했다. 그럼에도 영의정은 조선시대 전체에 걸쳐 관료 체제 최고봉으로 남아 있었다.[4]
조선 전기 역대 영의정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1 | 이서 (李舒) | 홍주 (洪州) |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1401년 8월 22일> | 태종 2년(1402년) 음력 4월 18일 <1402년 5월 19일> |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 양백 (陽伯) | 당옹 (戇翁)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영의정으로 치사(致仕) |
2 | 이거이 (李居易) | 청주 (淸州) | 태종 2년(1402년) 음력 4월 18일 <1402년 5월 19일> | 태종 2년(1402년) 음력 11월 17일 <1402년 12월 11일> |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 낙천 (樂天) | 청허자 (淸虛子) | 문도 (文度) | 정사공신 | 영사평부사에 임명 |
3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2년(1402년) 음력 11월 17일 <1402년 12월 11일> | 태종 3년(1403년) 음력 4월 3일 <1403년 4월 23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사은사로 임명 |
4 | 조준 (趙浚) | 평양 (平陽) | 태종 3년(1403년) 음력 7월 16일 <1403년 8월 3일> | 태종 5년(1405년) 음력 6월 17일 <1405년 7월 13일> | 평양부원군 (平壤府院君) | 명중 (明仲) | 우재 (吁齋) | 문충 (文忠) | 정사공신 | 재임 중 사망 |
5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5년(1405년) 음력 7월 3일 <1405년 7월 28일> |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1407년 8월 6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좌정승으로 임명 |
6 | 이화 (李和) | 전주 (全州) |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1407년 8월 6일> | 태종 8년(1408년) 음력 1월 3일 <1408년 1월 30일> | 의안대군 (義安大君) | - | 이요정 (二樂亭) | 양소 (襄昭) | 정사공신 | 사직(사면) |
7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태종 8년(1408년) 음력 2월 11일 <1408년 3월 8일> | 태종 9년(1409년) 음력 8월 10일 <1409년 9월 18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좌명공신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8 | 이서 (李舒) | 홍주 (洪州) | 태종 9년(1409년) 음력 8월 10일 <1409년 9월 18일> | 태종 9년(1409년) 음력 10월 11일 <1409년 11월 17일> |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 양백 (陽伯) | 당옹 (戇翁)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9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태종 9년(1409년) 음력 10월 11일 <1409년 11월 17일> |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1412년 9월 26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좌명공신 | 좌정승에 임명 |
10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1412년 9월 26일 |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1414년 5월 6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
11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1414년 5월 6일> | 태종 15년(1415년) 음력 5월 17일 <1415년 6월 23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부원군에 봉함 | |
12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태종 15년(1415년) 음력 10월 18일 <1415년 11월 19일> | 태종 16년(1416년) 음력 5월 25일 <1416년 6월 20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
13 | 남재 (南在) | 의령 (宜寧) | 태종 16년(1416년) 음력 5월 25일 <1416년 6월 20일> | 태종 16년(1416년) 음력 11월 2일 <1416년 11월 20일> | 의령부원군 (宜寧府院君) | 경지 (敬之) | 구암 (龜巖) | 충경 (忠景) | 개국공신 | |
14 | 류정현 (柳廷顯) | 문화 (文化) | 태종 16년(1416년) 음력 11월 2일 <1416년 11월 20일> | 태종 18년(1418년) 음력 6월 5일 <1418년 7월 8일> | - | 여명 (汝明) | 월정 (月亭) | 정숙 (貞肅) | 관학파 | 영돈녕부사로 임명 |
15 | 한상경 (韓尙敬) | 청주 (淸州) | 태종 18년(1418년) 음력 6월 5일 <1418년 7월 8일>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9월 3일 <1418년 10월 2일> |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 숙경 (叔敬) | 신재 (信齋)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부원군에 봉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16 | 심온 (沈溫) | 청송 (靑松)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9월 3일 <1418년 10월 2일>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12월 7일 <1419년 1월 2일> | 청천부원군 (靑川府院君) | 중옥 (仲玉) | - | 안효 (安孝) | 외척 | 역모 혐의로 인한 파면 |
17 | 류정현 (柳廷顯) | 문화 (文化)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12월 7일 <1419년 1월 2일> | 세종 6년(1424년) 음력 9월 7일 <1424년 9월 29일> | - | 여명 (汝明) | 월정 (月亭) | 정숙 (貞肅) | 관학파 | 영돈녕부사로 임명 |
18 | 이직 (李稷) | 성주 (星州) | 세종 6년(1424년) 음력 9월 7일 <1424년 9월 29일> | 세종 8년(1426년) 음력 5월 13일 <1426년 6월 18일> | 성산부원군 (星山府院君) | 우정 (虞庭) | 형재 (亨齋)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좌의정에 임명됨 |
19 | 구종길 (仇宗吉) | 창원 (昌原) | 세종 8년(1426년) 음력 5월 13일 <1426년 6월 18일> | 세종 13년(1431년) 음력 9월 3일 <1431년 10월 8일> | - | 자안 (子安) | 천곡 (川谷) | - | 세종대왕 사부(師傅) | [18] |
20 | 황희 (黃喜) | 장수 (長水) | 세종 13년(1431년) 음력 9월 3일 <1431년 10월 8일> | 세종 31년(1449년) 음력 10월 5일 <1449년 10월 21일> |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 구부 (懼夫) | 방촌 (庬村) | 익성 (益成) | 관학파 | 영의정으로 치사함 |
21 | 하연 (河演) | 진주 (晉州) | 세종 31년(1449년) 음력 10월 5일 <1449년 10월 21일> | 문종 원년(1451년) 음력 7월 13일 <1451년 8월 9일> | - | 연량 (淵亮) | 경재 (敬齋) | 문효 (文孝) | 영의정으로 치사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2 | 황보인 (皇甫仁) | 영천 (永川) | 문종 원년(1451년) 음력 10월 27일 <1451년 11월 20일> | 단종 원년(1453년) 음력 10월 10일 <1453년 11월 10일> | - | 사겸 (四兼) | 지봉 (芝峰) | 충정 (忠貞) | 관학파 | 계유정난 때 살해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3 | 이유 (李瑈) | 전주 (全州) | 단종 원년(1453년) 음력 10월 11일 <1453년 11월 11일> | 단종 3년(1455년) 음력 윤 6월 11일 <1455년 7월 25일> | 수양대군 (首陽大君) | 수지 (粹之) | - | 혜장 (惠莊)[19] | 왕실 종친 | 단종의 선위로 인한 즉위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4 | 정인지 (鄭麟趾) | 하동 (河東) | 세조 원년(1455년) 음력 윤 6월 11일 <1455년 7월 25일> | 세조 4년(1458년) 음력 2월 18일 <1458년 3월 3일> | 하동부원군 (河東府院君) | 백저 (伯雎) | 학역재 (學易齋) | 문성 (文成) | 훈구파 | 부원군에 봉함 |
25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세조 4년(1458년) 음력 12월 7일 <1459년 1월 11일> | 세조 4년(1458년) 음력 12월 18일 <1459년 1월 22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상중이라는 이유로 사직 | |
26 | 강맹경 (姜孟卿) | 진주 (晉州) | 세조 5년(1459년) 음력 11월 6일 <1459년 11월 30일> | 세조 7년(1461년) 음력 4월 17일 <1461년 5월 26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자장 (子章) | - | 문경 (文景) | 재직 중 사망 | |
27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세조 7년(1461년) 음력 4월 29일 <1461년 6월 7일> | 세조 8년(1462년) 음력 5월 10일 <1462년 6월 7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실언으로 인한 파직 | |
28 | 신숙주 (申叔舟) | 고령 (高靈) | 세조 8년(1462년) 음력 5월 20일 <1462년 6월 17일> | 세조 12년(1466년) 음력 4월 18일 <1466년 5월 31일> | 고령부원군 (高靈府院君) | 범옹 (泛翁) | 보한재 (保閑齋) | 문충 (文忠) | 고령군에 봉함 | |
29 | 구치관 (具致寬) | 능성 (綾城) | 세조 12년(1466년) 음력 4월 18일 <1466년 5월 31일> | 세조 12년(1466년) 음력 10월 19일 <1466년 11월 26일> | 능성부원군 (綾城府院君) | 이율 (而栗) | - | 충렬 (忠烈) | 능성군으로 봉함 | |
30 | 한명회 (韓明澮) | 청주 (淸州) | 세조 12년(1466년) 음력 10월 19일 <1466년 11월 26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4월 6일 <1467년 5월 9일> |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 자준 (子濬) | 압구정 (狎鷗亭) | 문성 (文成) | 상당군으로 봉함 | |
31 | 황수신 (黃守身) | 장수 (長水) | 세조 13년(1467년) 음력 4월 6일 <1467년 5월 9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5월 20일 <1467년 6월 21일> |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 계효 (季孝) | 나부 (懦夫) | 열성 (烈成)[20] | 남원군으로 봉함 | |
32 | 심회 (沈澮) | 청송 (靑松) | 세조 13년(1467년) 음력 5월 20일 <1467년 6월 21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9월 20일 <1467년 10월 17일> | 청송부원군 (靑松府院君) | 청보 (淸甫) | - | 공숙 (恭肅) | 중추부영사로 임명 | |
33 | 최항 (崔恒) | 삭녕 (朔寧) | 세조 13년(1467년) 음력 9월 20일 <1467년 10월 17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12월 12일 <1468년 1월 7일> | 영성부원군 (寧城府院君) | 정보 (貞父) | 태허정 (太虛亭) | 문정 (文靖) | 영성군으로 봉함 | |
34 | 조석문 (曺錫文) | 창녕 (昌寧) | 세조 13년(1467년) 음력 12월 12일 <1468년 1월 7일> | 세조 14년(1468년) 음력 7월 17일 <1468년 8월 4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순보 (順甫) | - | 충간 (忠簡) | 창녕군으로 봉함 | |
35 | 이준 (李浚) | 전주 (全州) | 세조 14년(1468년) 음력 7월 17일 <1468년 8월 4일> | 예종 즉위년(1468년) 음력 12월 20일 <1469년 1월 3일> | 귀성군 (龜城君) | 자청 (子淸) | 자준 (子濬) | 충무 (忠武) | 왕실 종친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36
| 박원형
(朴元亨) || 죽산
(竹山) || 예종 즉위년(1468년)
음력 12월 20일
<1469년 1월 3일>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1월 22일
<1469년 2월 3일> ||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 지구
(之衢) || 만절
(晩節) || 문헌
(文憲) || rowspan="3"| 훈구파 || 재직 중 사망
|-
|37
| 한명회
(韓明澮) || 청주
(淸州)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1월 23일
<1469년 2월 4일>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8월 22일
<1469년 9월 27일> ||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 자준
(子濬) || 압구정
(狎鷗亭) || 문성
(文成) || 상당군으로 복귀
|-
|38
| 홍윤성
(洪允成) || 회인
(懷仁)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8월 22일
<1469년 9월 27일> || 성종 원년(1470년)
2. 2. 조선 후기
조선 후기 영의정은 1573년(선조 6년) 권철이 임명된 이후 여러 인물들이 거쳐갔다.[23][24][25][26] 선조 대에는 사림파의 권철, 홍섬, 박순과 동인의 노수신, 서인의 윤두수 등이 영의정을 역임했다. 임진왜란 시기에는 이산해, 류성룡, 이원익 등이 영의정을 맡아 국난 극복에 힘썼다.[27][28][29]광해군 대에는 남인 이원익과 대북의 기자헌, 정인홍 등이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서인이 주로 영의정을 맡았으며, 김류, 최명길, 홍서봉 등이 대표적이다.[30][31][32] 효종 대에는 김육, 정태화 등이, 현종 대에는 허적이 남인으로서 영의정에 올랐다.
숙종 대에는 서인과 남인 간의 정권 교체가 빈번하게 일어났으며, 김수항, 남구만, 권대운 등이 영의정을 역임했다. 이후 소론의 최석정, 노론의 신완 등이 영의정에 올랐다. 경종 대에는 소론의 조태구, 최규서가, 영조 대에는 노론과 소론이 번갈아 영의정을 맡았다. 김재로, 조현명, 홍봉한 등이 대표적인 영조 대의 영의정이다.
정조 대에는 노론 벽파와 시파, 소론, 남인 등 다양한 붕당 출신 인물들이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김상철, 서명선, 채제공 등이 대표적이다. 순조 대에는 심환지, 이병모, 남공철 등이, 헌종 대에는 조인영, 권돈인 등이 영의정을 지냈다. 철종 대에는 안동 김씨 세력이 강세를 보이며 김좌근, 정원용 등이 영의정을 역임했다. 고종 대에는 흥선대원군의 섭정 하에 조두순, 김병학 등이 영의정을 맡았으며, 이후 이유원, 김홍집 등도 영의정을 지냈다.
3. 특징
좌의정을 역임한 원로대신을 대부분 임명했으며, 좌의정·우의정과 함께 삼공(三公) 또는 삼정승(三政丞), 삼의정(三議政), 삼상신(三相臣)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품계는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이다. 영의정은 주로 육조의 판서, 우참찬과 좌참찬, 우찬성과 좌찬성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친 사람들이 임명되었다.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치지 않고 영의정에 임명된 사람은 청천부원군 심온, 구성군 이준 둘 뿐이다.
역대 영의정 중 황희가 18년 동안 재임하여 가장 오랫동안 영의정을 역임하였고, 정창손과 심순택이 10여 년 동안 재임하여 뒤를 이었다. 황희에 이어 조선 왕조 500년 동안 의정부에 들어가 약 20년간 법을 잘 지키고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이라는 최고의 재상으로 평가를 받은 하연 이후, 왕권의 강약, 의정부와 육조의 관계, 비변사의 설치, 여러 상황의 변화에 따라 권한 변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 영사(領事), 승문원 도제조(都提調), 세자시강원 세자사(世子師)를 겸임했다.
종묘배향공신을 가장 많이 배출한 벼슬이기도 하다.
4. 역대 영의정
wikitext
조선의 영의정은 의정부의 최고 관직으로,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한다.
재위 기간 | 국왕 | 날짜 | 영의정 | 번호 | 한글 | |||
---|---|---|---|---|---|---|---|---|
1 | 1392–1398 | 태조 (이성계) | 1 | 1392년 7월 17일 | 정도전 | 정도전 | ||
2 | 1398–1400 | 정종 (이방과) | ||||||
3 | 1400–1418 | 태종 (이방원) | 1 | 1401년 7월 13일-1402년 4월 18일 | 이서 | 이서 | ||
2 | 1402년 4월 18일-1402년 11월 7일 | 이거이 | 이거이 | |||||
3 | 1402년 10월 4일 | 성석린 | 성석린 | |||||
4 | 1403년 7월 16일 | 조준 | 조준 | |||||
5 | 1405년 7월 3일 | 성석린 | 2 | 성석린 | ||||
6 | 1406년 12월 4일 | 이서 | 2 | 이서 | ||||
7 | 1407년 7월 4일-1408년 1월 3일 | 의안대군 (이화) | 의안대군 (이화) | |||||
8 | 1408년 5월 27일-1412년 8월 21일 | 하륜 | 하륜 | |||||
9 | 1409년 8월 10일 | 이서 | 3 | 이서 | ||||
10 | 1408년 10월 11일 | 하륜 | 2 | 하륜 | ||||
11 | 1412년 8월 21일 | 성석린 | 3 | 성석린 | ||||
12 | 1414년 4월 17일 | 하륜 | 3 | 하륜 | ||||
13 | 1415년 10월 28일 | 성석린 | 4 | 성석린 | ||||
14 | 1416년 5월 25일 | 남재 | 남재 | |||||
15 | 1416년 11월 2일 | 유정현 | 유정현 | |||||
16 | 1418년 6월 5일 | 한상경 | 한상경 | |||||
4 | 1418–1450 | 세종 (이도) | 1 | 1418년 9월 3일 | 심온 | 심온 | ||
2 | 1418년 12월 7일 | 유정현 | 2 | 유정현 | ||||
3 | 1424년 9월 7일 | 이직 | 이직 | |||||
4 | 1431년 9월 7일 | 황희 | 황희 | |||||
5 | 1449년 10월 5일-1451년 7월 13일 | 하연 | 하연 | |||||
5 | 1450–1452 | 문종 (이항) | 1 | 1451년 10월 27일 | 황보인 | 황보인 | ||
6 | 1452–1455 | 단종 (이홍위) | 1 | 1453년 10월 11일 | 수양대군 (세조) (이유) | 수양대군 (이유) | ||
7 | 1455–1468 | 세조 (이유) | 1 | 1455년 6월 11일 | 정인지 | 정인지 | ||
2 | 1458년 12월 7일 | 정창손 | 정창손 | |||||
3 | 1459년 11월 5일 | 강맹경 | 강맹경 | |||||
4 | 1461년 4월 29일 | 정창손 | 2 | 정창손 | ||||
5 | 1461년 5월 20일 | 신숙주 | 신숙주 | |||||
6 | 1466년 4월 18일 | 구치관 | 구치관 | |||||
7 | 1466년 10월 19일 | 한명회 | 한명회 | |||||
8 | 1467년 4월 6일 | 황수신 | 황수신 | |||||
9 | 1467년 5월 20일 | 심회 | 심회 | |||||
10 | 1467년 12월 12일 | 조석문 | 조석문 | |||||
11 | 1468년 7월 17일 | 구성군 (이준) | 구성군 (이준) | |||||
8 | 1468–1469 | 예종 (이숭) | 1 | 1468년 12월 20일 | 박원형 | 박원형 | ||
2 | 1469년 1월 23일 | 한명회 | 2 | 한명회 | ||||
3 | 1469년 8월 22일 | 홍윤성 | 홍윤성 | |||||
9 | 1469–1494 | 성종 (이㦕) | 1 | 1470년 4월 6일 | 윤자운 | 윤자운 | ||
2 | 1471년 10월 23일 | 신숙주 | 2 | 신숙주 | ||||
3 | 1475년 7월 1일 | 정창손 | 3 | 정창손 | ||||
4 | 1485년 3월 28일 | 윤필상 | 윤필상 | |||||
5 | 1493년 11월 6일 | 이극배 | 이극배 | |||||
10 | 1494–1506 | 연산군 (이융) | 1 | 1495년 3월 20일 | 노사신 | 노사신 | ||
2 | 1495년 10월 4일 | 신승선 | 신승선 | |||||
3 | 1500년 4월 11일 | 한치형 | 한치형 | |||||
4 | 1503년 1월 4일 | 성준 | 성준 | |||||
5 | 1504년 4월 4일 | 유순 | 유순 | |||||
11 | 1506–1544 | 중종 (이역) | 1 | 1506년 9월 2일 | 박원종 | 박원종 | ||
2 | 1510년 3월 6일 | 김수동 | 김수동 | |||||
3 | 1512년 10월 7일 | 유순정 | 유순정 | |||||
4 | 1513년 4월 2일 | 성희안 | 성희안 | |||||
5 | 1513년 10월 27일 | 송일 | 송일 | |||||
6 | 1514년 10월 1일 | 유순 | 2 | 유순 | ||||
7 | 1516년 4월 9일 | 정광필 | 정광필 | |||||
8 | 1520년 2월 14일 | 김전 | 김전 | |||||
9 | 1523년 4월 18일 | 남곤 | 남곤 | |||||
10 | 1527년 10월 21일 | 정광필 | 2 | 정광필 | ||||
11 | 남곤 | 2 | 남곤 | |||||
12 | 1527년 3월 10일 | 장순손 | 장순손 | |||||
13 | 1534년 11월 20일 | 한효원 | 한효원 | |||||
14 | 1535년 3월 26일 | 김근사 | 김근사 | |||||
15 | 1537년 11월 2일 | 윤은보 | 윤은보 | |||||
12 | 1544–1545 | 인종 (이방의) | 1 | 1545년 1월 13일 | 홍언필 | 홍언필 | ||
2 | 1545년 1월 6일 | 윤인경 | 윤인경 | |||||
13 | 1545–1567 | 명종 (이환) | 1 | 1548년 5월 17일 | 홍언필 | 2 | 홍언필 | |
2 | 1549년 5월 21일 | 이기 | 이기 | |||||
3 | 1551년 8월 23일 | 심연원 | 심연원 | |||||
4 | 1558년 5월 29일 | 상진 | 상진 | |||||
5 | 1563년 1월 17일 | 윤원형 | 윤원형 | |||||
6 | 1565년 8월 15일 | 이준경 | 이준경 | |||||
14 | 1567–1608 | 선조 (이연) | 1 | 1573년 3월 22일 | 권철 | 권철 | ||
2 | 1574년 4월 11일 | 홍섬 | 홍섬 | |||||
3 | 1576년 8월 18일 | 권철 | 2 | 권철 | ||||
4 | 1580년 5월 25일 | 박순 | 박순 | |||||
5 | 1588년 5월 11일 | 노수신 | 노수신 | |||||
6 | 최흥원 | 최흥원 | ||||||
7 | 이원익 | 이원익 | ||||||
8 | 유성룡 | 유성룡 | ||||||
9 | 윤두수 | 윤두수 | ||||||
10 | 이산해 | 이산해 | ||||||
11 | 이항복 | 이항복 | ||||||
12 | 윤승훈 | 윤승훈 | ||||||
13 | 유영경 | 유영경 | ||||||
15 | 1608–1623 | 광해군 (이혼) | 1 | 1608년 | 이원익 | 2 | 이원익 | |
2 | 이덕형 | 이덕형 | ||||||
3 | 기자헌 | 기자헌 | ||||||
4 | 정인홍 | 정인홍 | ||||||
5 | 박승종 | 박승종 | ||||||
16 | 1623–1649 | 인조 (이종) | 1 | 1623년 | 이원익 | 3 | 이원익 | |
2 | 신흠 | 신흠 | ||||||
3 | 오윤겸 | 오윤겸 | ||||||
4 | 윤방 | 윤방 | ||||||
5 | 김류 | 김류 | ||||||
6 | 이홍주 | 이홍주 | ||||||
7 | 최명길 | 최명길 | ||||||
8 | 이성구 | 이성구 | ||||||
9 | 홍서봉 | 홍서봉 | ||||||
10 | 심열 | 심열 | ||||||
11 | 김자점 | 김자점 | ||||||
17 | 1649–1659 | 효종 (이호) | 1 | 김자점 | 2 | 김자점 | ||
2 | 이경석 | 이경석 | ||||||
3 | 김육 | 김육 | ||||||
4 | 이시백 | 이시백 | ||||||
5 | 심지원 | 심지원 | ||||||
6 | 정태화 | 정태화 | ||||||
18 | 1659–1674 | 현종 (이현) | 1 | 정태화 | 2 | 정태화 | ||
2 | 홍명하 | 홍명하 | ||||||
3 | 김수흥 | 김수흥 | ||||||
4 | 허적 | 허적 | ||||||
19 | 1674–1720 | 숙종 (이순) | 1 | 허적 | 2 | 허적 | ||
2 | 김석주 | 김석주 | ||||||
3 | 김수항 | 김수항 | ||||||
4 | 권대운 | 권대운 | ||||||
5 | 남구만 | 남구만 | ||||||
6 | 1696–1699 | 유상운 | 유상운 | |||||
7 | 1700–1701 | 서문중 | 서문중 | |||||
8 | 1701 | 최석정 | 최석정 | |||||
9 | 1702 | 서문중 | 2 | 서문중 | ||||
10 | 1702–1703 | 최석정 | 2 | 최석정 | ||||
11 | 1703–1705 | 신완 | 신완 | |||||
12 | 1705–1710 | 최석정 | 3 | 최석정 | ||||
13 | 1710 | 이여 | 이여 | |||||
14 | 1711–1712 | 서종태 | 서종태 | |||||
15 | 1712–1713 | 이유 | 이유 | |||||
16 | 1714–1716 | 서종태 | 2 | 서종태 | ||||
17 | 1717–1720 | 김창집 | 2 | 김창집 | ||||
20 | 1720–1724 | 경종 (이금) | 1 | 1720–1721 | 김창집 | 2 | 김창집 | |
2 | 1721–1723 | 조태구 | 조태구 | |||||
3 | 1723–1724 | 최규서 | 최규서 | |||||
21 | 1724–1776 | 영조 (이금) | 1 | 1724-1729 | 이광좌 | 이광좌 | ||
2 | 1729–1732 | 홍치중 | 홍치중 | |||||
3 | 1732–1735 | 심수현 | 심수현 | |||||
4 | 1735–1737 | 이의현 | 이의현 | |||||
5 | 1737–1740 | 이광좌 | 2 | 이광좌 | ||||
6 | 1740–1754 | 김재로 | 김재로 | |||||
7 | 1754–1758 | 이천보 | 이천보 | |||||
8 | 1758–1759 | 유척기 | 유척기 | |||||
9 | 1759 | 이천보 | 2 | 이천보 | ||||
10 | 1759–1760 | 김상로 | 김상로 | |||||
11 | 1761–1762 | 홍봉한 | 홍봉한 | |||||
12 | 1762–1763 | 신만 | 신만 | |||||
13 | 1763–1766 | 홍봉한 | 2 | 홍봉한 | ||||
14 | 1766–1767 | 서지수 | 서지수 | |||||
15 | 1767–1768 | 김치인 | 김치인 | |||||
16 | 1768 | 서지수 | 2 | 서지수 | ||||
17 | 1768 | 김치인 | 2 | 김치인 | ||||
18 | 1768–1770 | 홍봉한 | 3 | 홍봉한 | ||||
19 | 1770–1772 | 김치인 | 3 | 김치인 | ||||
20 | 1772 | 김상복 | 김상복 | |||||
21 | 1772 | 신회 | 신회 | |||||
22 | 1772 | 김상복 | 2 | 김상복 | ||||
23 | 1772 | 한익모 | 한익모 | |||||
24 | 1772 | 김상복 | 3 | 김상복 | ||||
25 | 1772–1773 | 신회 | 2 | 신회 | ||||
26 | 1773 | 한익모 | 2 | 한익모 | ||||
27 | 1773–1774 | 김상복 | 4 | 김상복 | ||||
28 | 1774 | 한익모 | 3 | 한익모 | ||||
29 | 1774–1775 | 신회 | 3 | 신회 | ||||
30 | 1775 | 한익모 | 4 | 한익모 | ||||
31 | 1775–1776 | 김상철 | 김상철 | |||||
? | 1731 | 김흥경 (조선) | 김흥경 (조선) | |||||
? | 신임 | 신임 | ||||||
? | 정호 | 정호 | ||||||
22 | 1776–1800 | 정조 (이산) | 1 | 1776–1779 | 김양택 | 김양택 | ||
2 | 1779–1780 | 서명선 | 서명선 | |||||
3 | 1780–1781 | 김양택 | 2 | 김양택 | ||||
4 | 1781–1783 | 서명선 | 2 | 서명선 | ||||
5 | 1783–1784 | 정존겸 | 정존겸 | |||||
6 | 1784–1785 | 서명선 | 3 | 서명선 | ||||
7 | 1785–1786 | 정존겸 | 정존겸 | |||||
8 | 1786–1789 | 김치인 | 2 | 김치인 | ||||
9 | 1789 | 김익 | 김익 | |||||
10 | 1789–1790 | 이재협 | 이재협 | |||||
11 | 1790 | 김익 | 2 | 김익 | ||||
12 | 1790–1793 | 최효원 | 최효원 | |||||
13 | 1793 | 채제공 | 채제공 | |||||
14 | 1793–1798 | 홍낙성 | 홍낙성 | |||||
15 | 1799–1800 | 이병모 | 이병모 | |||||
? | 김종수 | 김종수 | ||||||
23 | 1800–1834 | 순조 (이공) | 1 | 1800–1802 | 심환지 | 심환지 | ||
2 | 1802–1803 | 이시수 | 이시수 | |||||
3 | 1803–1805 | 이병모 | 이병모 | |||||
4 | 1805–1806 | 서매수 | 서매수 | |||||
5 | 1806 | 이병모 | 2 | 이병모 | ||||
6 | 1806–1812 | 공석 | ||||||
7 | 1812–1816 | 김재찬 | 김재찬 | |||||
8 | 1816–1819 | 공석 | ||||||
9 | 1819–1821 | 서용보 | 서용보 | |||||
10 | 1821 | 한용귀 | 한용귀 | |||||
11 | 1821–1823 | 김재찬 | 2 | 김재찬 | ||||
12 | 1823–1833 | 남공철 | 남공철 | |||||
13 | 1833–1834 | 이상황 | 이상황 | |||||
24 | 1834–1849 | 헌종 (이환) | 1 | 1834–1835 | 심상규 | 심상규 | ||
2 | 1835–1837 | 공석 | ||||||
3 | 1837–1838 | 이상황 | 2 | 이상황 | ||||
4 | 1838–1841 | 공석 | ||||||
5 | 1841–1844 | 조인영 | 조인영 | |||||
6 | 1845–1848 | 권돈인 | 권돈인 | |||||
7 | 1848–1849 | 정원용 | 정원용 | |||||
25 | 1849–1863 | 철종 (이원범) | 1 | 1849–1850 | 정원용 | 정원용 | ||
2 | 1850 | 조인영 | 2 | 조인영 | ||||
3 | 1851–1852 | 권돈인 | 2 | 권돈인 | ||||
4 | 1853 | 김흥근 | 김흥근 | |||||
5 | 1853–1859 | 김좌근 | 김좌근 | |||||
6 | 1859–1861 | 정원용 | 2 | 정원용 | ||||
7 | 1861–1862 | 김좌근 | 2 | 김좌근 | ||||
8 | 1862–1863 | 정원용 | 3 | 정원용 | ||||
26 | 1863–1897 | 고종 (이희) | 1 | 1863–1864 | 김좌근 | 2 | 김좌근 | |
2 | 1864–1866 | 조두선 | 조두선 | |||||
3 | 1866–1867 | 이경재 | 이경재 | |||||
4 | 1867–1868 | 김병학 | 김병학 | |||||
5 | 1868 | 정원용 | 4 | 정원용 | ||||
6 | 1868–1872 | 김병학 | 2 | 김병학 | ||||
7 | 1872–1873 | 홍순목 | 홍순목 | |||||
8 | 1873–1875 | 이유원 | 이유원 | |||||
9 | 1875–1882 | 이최응/흥인군 | 이최응/흥인군 | |||||
?? | 1878 | 민규호 | 민규호 | |||||
10 | 1882 | 서방보 | 서방보 | |||||
11 | 1882–1884 | 홍순목 | 2 | 홍순목 | ||||
12 | 1884 | 김병국 | 김병국 | |||||
13 | 1884–1894 | 심선택 | 심선택 | |||||
14 | 1894 | 김병시 | 김병시 | |||||
15 | 1894–1895 | 김홍집 | 김홍집 | |||||
16 | 1895 | 박정양 | 박정양 | |||||
17 | 1895-1896년 2월 11일 | 김홍집 | 2 | 김홍집 | ||||
18 | 1896 | 김병시 | 2 | 김병시 | ||||
19 | 1896–1898 | 윤용순 | 윤용순 |
4. 1. 주요 영의정
조선의 영의정은 의정부의 최고 관직으로,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한다. 다음은 조선시대 주요 영의정 목록이다.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1 | 이서 (李舒) | 홍주 (洪州) | 1401년 음력 7월 13일 <1401년 8월 22일> | 1402년 음력 4월 18일 <1402년 5월 19일> |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 양백 (陽伯) | 당옹 (戇翁)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영의정으로 치사(致仕) |
2 | 이거이 (李居易) | 청주 (淸州) | 1402년 음력 4월 18일 <1402년 5월 19일> | 1402년 음력 11월 17일 <1402년 12월 11일> |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 낙천 (樂天) | 청허자 (淸虛子) | 문도 (文度) | 정사공신 | 영사평부사에 임명 |
3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1402년 음력 11월 17일 <1402년 12월 11일> | 1403년 음력 4월 3일 <1403년 4월 23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사은사로 임명 |
4 | 조준 (趙浚) | 평양 (平陽) | 1403년 음력 7월 16일 <1403년 8월 3일> | 1405년 음력 6월 17일 <1405년 7월 13일> | 평양부원군 (平壤府院君) | 명중 (明仲) | 우재 (吁齋) | 문충 (文忠) | 정사공신 | 재임 중 사망 |
5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1405년 음력 7월 3일 <1405년 7월 28일> | 1407년 음력 7월 4일 <1407년 8월 6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좌정승으로 임명 |
6 | 이화 (李和) | 전주 (全州) | 1407년 음력 7월 4일 <1407년 8월 6일> | 1408년 음력 1월 3일 <1408년 1월 30일> | 의안대군 (義安大君) | - | 이요정 (二樂亭) | 양소 (襄昭) | 정사공신 | 사직(사면) |
7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1408년 음력 2월 11일 <1408년 3월 8일> | 1409년 음력 8월 10일 <1409년 9월 18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좌명공신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8 | 이서 (李舒) | 홍주 (洪州) | 1409년 음력 8월 10일 <1409년 9월 18일> | 1409년 음력 10월 11일 <1409년 11월 17일> |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 양백 (陽伯) | 당옹 (戇翁)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9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1409년 음력 10월 11일 <1409년 11월 17일> | 1412년 음력 8월 21일 <1412년 9월 26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좌명공신 | 좌정승에 임명 |
10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1412년 음력 8월 21일 <1412년 9월 26일 | 1414년 음력 4월 17일 <1414년 5월 6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파직시켜 부원군에 봉함 | |
11 | 하륜 (河崙) | 진주 (晉州) | 1414년 음력 4월 17일 <1414년 5월 6일> | 1415년 음력 5월 17일 <1415년 6월 23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대림 (大臨) | 호정 (浩亭) | 문충 (文忠) | 부원군에 봉함 | |
12 | 성석린 (成石璘) | 창녕 (昌寧) | 1415년 음력 10월 18일 <1415년 11월 19일> | 1416년 음력 5월 25일 <1416년 6월 20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자수 (自修) | 독곡 (獨谷) | 문경 (文景) | ||
13 | 남재 (南在) | 의령 (宜寧) | 1416년 음력 5월 25일 <1416년 6월 20일> | 1416년 음력 11월 2일 <1416년 11월 20일> | 의령부원군 (宜寧府院君) | 경지 (敬之) | 구암 (龜巖) | 충경 (忠景) | 개국공신 | |
14 | 류정현 (柳廷顯) | 문화 (文化) | 1416년 음력 11월 2일 <1416년 11월 20일> | 1418년 음력 6월 5일 <1418년 7월 8일> | - | 여명 (汝明) | 월정 (月亭) | 정숙 (貞肅) | 관학파 | 영돈녕부사로 임명 |
15 | 한상경 (韓尙敬) | 청주 (淸州) | 1418년 음력 6월 5일 <1418년 7월 8일>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9월 3일 <1418년 10월 2일> |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 숙경 (叔敬) | 신재 (信齋) | 문간 (文簡) | 개국공신 | 부원군에 봉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16 | 심온 (沈溫) | 청송 (靑松)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9월 3일 <1418년 10월 2일>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12월 7일 <1419년 1월 2일> | 청천부원군 (靑川府院君) | 중옥 (仲玉) | - | 안효 (安孝) | 외척 | 역모 혐의로 인한 파면 |
17 | 류정현 (柳廷顯) | 문화 (文化) | 세종 즉위년(1418년) 음력 12월 7일 <1419년 1월 2일> | 1424년 음력 9월 7일 <1424년 9월 29일> | - | 여명 (汝明) | 월정 (月亭) | 정숙 (貞肅) | 관학파 | 영돈녕부사로 임명 |
18 | 이직 (李稷) | 성주 (星州) | 1424년 음력 9월 7일 <1424년 9월 29일> | 1426년 음력 5월 13일 <1426년 6월 18일> | 성산부원군 (星山府院君) | 우정 (虞庭) | 형재 (亨齋) | 문경 (文景) | 좌명공신 | 좌의정에 임명됨 |
19 | 구종길 (仇宗吉) | 창원 (昌原) | 1426년 음력 5월 13일 <1426년 6월 18일> | 1431년 음력 9월 3일 <1431년 10월 8일> | - | 자안 (子安) | 천곡 (川谷) | - | 세종대왕 사부(師傅) | [18] |
20 | 황희 (黃喜) | 장수 (長水) | 1431년 음력 9월 3일 <1431년 10월 8일> | 1449년 음력 10월 5일 <1449년 10월 21일> |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 구부 (懼夫) | 방촌 (庬村) | 익성 (益成) | 관학파 | 영의정으로 치사함 |
21 | 하연 (河演) | 진주 (晉州) | 1449년 음력 10월 5일 <1449년 10월 21일> | 문종 원년(1451년) 음력 7월 13일 <1451년 8월 9일> | - | 연량 (淵亮) | 경재 (敬齋) | 문효 (文孝) | 영의정으로 치사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2 | 황보인 (皇甫仁) | 영천 (永川) | 문종 원년(1451년) 음력 10월 27일 <1451년 11월 20일> | 단종 원년(1453년) 음력 10월 10일 <1453년 11월 10일> | - | 사겸 (四兼) | 지봉 (芝峰) | 충정 (忠貞) | 관학파 | 계유정난 때 살해됨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3 | 이유 (李瑈) | 전주 (全州) | 단종 원년(1453년) 음력 10월 11일 <1453년 11월 11일> | 단종 3년(1455년) 음력 윤 6월 11일 <1455년 7월 25일> | 수양대군 (首陽大君) | 수지 (粹之) | - | 혜장 (惠莊)[19] | 왕실 종친 | 단종의 선위로 인한 즉위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24 | 정인지 (鄭麟趾) | 하동 (河東) | 세조 원년(1455년) 음력 윤 6월 11일 <1455년 7월 25일> | 세조 4년(1458년) 음력 2월 18일 <1458년 3월 3일> | 하동부원군 (河東府院君) | 백저 (伯雎) | 학역재 (學易齋) | 문성 (文成) | 훈구파 | 부원군에 봉함 |
25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세조 4년(1458년) 음력 12월 7일 <1459년 1월 11일> | 세조 4년(1458년) 음력 12월 18일 <1459년 1월 22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상중이라는 이유로 사직 | |
26 | 강맹경 (姜孟卿) | 진주 (晉州) | 세조 5년(1459년) 음력 11월 6일 <1459년 11월 30일> | 세조 7년(1461년) 음력 4월 17일 <1461년 5월 26일> |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 자장 (子章) | - | 문경 (文景) | 재직 중 사망 | |
27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세조 7년(1461년) 음력 4월 29일 <1461년 6월 7일> | 세조 8년(1462년) 음력 5월 10일 <1462년 6월 7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실언으로 인한 파직 | |
28 | 신숙주 (申叔舟) | 고령 (高靈) | 세조 8년(1462년) 음력 5월 20일 <1462년 6월 17일> | 세조 12년(1466년) 음력 4월 18일 <1466년 5월 31일> | 고령부원군 (高靈府院君) | 범옹 (泛翁) | 보한재 (保閑齋) | 문충 (文忠) | 고령군에 봉함 | |
29 | 구치관 (具致寬) | 능성 (綾城) | 세조 12년(1466년) 음력 4월 18일 <1466년 5월 31일> | 세조 12년(1466년) 음력 10월 19일 <1466년 11월 26일> | 능성부원군 (綾城府院君) | 이율 (而栗) | - | 충렬 (忠烈) | 능성군으로 봉함 | |
30 | 한명회 (韓明澮) | 청주 (淸州) | 세조 12년(1466년) 음력 10월 19일 <1466년 11월 26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4월 6일 <1467년 5월 9일> |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 자준 (子濬) | 압구정 (狎鷗亭) | 문성 (文成) | 상당군으로 봉함 | |
31 | 황수신 (黃守身) | 장수 (長水) | 세조 13년(1467년) 음력 4월 6일 <1467년 5월 9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5월 20일 <1467년 6월 21일> |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 계효 (季孝) | 나부 (懦夫) | 열성 (烈成)[20] | 남원군으로 봉함 | |
32 | 심회 (沈澮) | 청송 (靑松) | 세조 13년(1467년) 음력 5월 20일 <1467년 6월 21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9월 20일 <1467년 10월 17일> | 청송부원군 (靑松府院君) | 청보 (淸甫) | - | 공숙 (恭肅) | 중추부영사로 임명 | |
33 | 최항 (崔恒) | 삭녕 (朔寧) | 세조 13년(1467년) 음력 9월 20일 <1467년 10월 17일> | 세조 13년(1467년) 음력 12월 12일 <1468년 1월 7일> | 영성부원군 (寧城府院君) | 정보 (貞父) | 태허정 (太虛亭) | 문정 (文靖) | 영성군으로 봉함 | |
34 | 조석문 (曺錫文) | 창녕 (昌寧) | 세조 13년(1467년) 음력 12월 12일 <1468년 1월 7일> | 세조 14년(1468년) 음력 7월 17일 <1468년 8월 4일> |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 순보 (順甫) | - | 충간 (忠簡) | 창녕군으로 봉함 | |
35 | 이준 (李浚) | 전주 (全州) | 세조 14년(1468년) 음력 7월 17일 <1468년 8월 4일> | 예종 즉위년(1468년) 음력 12월 20일 <1469년 1월 3일> | 귀성군 (龜城君) | 자청 (子淸) | 자준 (子濬) | 충무 (忠武) | 왕실 종친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
36 | 박원형 (朴元亨) | 죽산 (竹山) | 예종 즉위년(1468년) 음력 12월 20일 <1469년 1월 3일>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1월 22일 <1469년 2월 3일> |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 지구 (之衢) | 만절 (晩節) | 문헌 (文憲) | 훈구파 | 재직 중 사망 |
37 | 한명회 (韓明澮) | 청주 (淸州)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1월 23일 <1469년 2월 4일>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8월 22일 <1469년 9월 27일> |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 자준 (子濬) | 압구정 (狎鷗亭) | 문성 (文成) | 상당군으로 복귀 | |
38 | 홍윤성 (洪允成) | 회인 (懷仁) | 예종 원년(1469년) 음력 8월 22일 <1469년 9월 27일> | 성종 원년(1470년) 음력 4월 6일 <1470년 5월 6일> | 인산부원군 (仁山府院君) | 수옹 (守翁) | 영해 (領海) | 위평 (威平) | 인산군으로 봉함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 대수 !! 성명 !! 본관 !! 취임일 !! 퇴임일 !! 봉호 !! 자 !! 아호 !! 시호 !! 붕당 !! 비고
|-
|39
| 윤자운
(尹子雲) || 무송
(茂松) || 성종 원년(1470년)
음력 4월 6일
<1470년 5월 6일> || 성종 2년(1471년)
음력 10월 23일
<1471년 12월 4일> || 무송부원군
(茂松府院君) || 망지
(望之) || 낙한재
(樂閑齋) || 문헌
(文憲) || rowspan="5"| 훈구파 || 부원군으로 봉함
|-
|40
| 신숙주
(申叔舟) || 고령
(高靈) || 성종 2년(1471년)
음력 10월 23일
<1471년 12월 4일> || 성종 6년(1475년)
음력 6월 21일
<1475년 7월 23일> || 고령부원군
(高靈府院君) || 범옹
(泛翁) || 보한재
(保閑齋) || 문충
(文忠) || 재직 중 사망
|-
|41
| 정창손
(鄭昌孫) || 동래
(東萊) || 성종 6년(1475년)
음력 7월 1일
<1475년 8월 2일> || 성종 16년(1485년)
음력 3월 27일
<1485년 4월 11일> ||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 효중
(孝仲) || 동산
(東山) || 충정
(忠貞) || 사직
|-
|42
| 윤필상
(尹弼商) || 파평
(坡平) || 성종 16년(1485년)
음력 3월 28일
<1485년 4월 12일> || 성종 24년(1493년)
음력 10월 29일
<1493년 12월 7일> || 파평부원군
(坡平府院君) || 탕좌
(湯佐) || - || - || 사직
|-
|43
| 이극배
(李克培) || 광주
(廣州) ||
4. 2. 평가
영의정은 국정을 총괄하고 모든 관원을 대표하는, 한 사람의 아래, 만 명의 위에 있는 중요한 직책이다.[34] 연산군은 정승이 5만 명을 데리고 가서 꿩 한 마리를 잡았다고 비웃기도 했다.[34]역대 영의정 중 재임 기간이 가장 긴 사람은 황희로 18년간 재임했다. 조선 500년 동안 의정부에 들어가 약 20년 동안 법을 잘 지켜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이라 불렸지만, 최고의 평가를 받은 재상은 황희 다음으로 영의정을 지낸 하연이 유일하다.
5. 추서된 영의정
6. 기타
전주 이씨, 안동 김씨, 청송 심씨는 영의정을 가장 많이 배출한 세 가문이다. 초대 영의정은 이서이고, 마지막 영의정은 김홍집이다. 황희는 18년 동안 재임하여 최장 재임 영의정이며, 정창손과 심순택이 10여년 간 영의정으로 재임하여 그 뒤를 잇는다. 영의정에서 유일하게 왕위에 오른 자는 조선 제7대 왕인 세조이다. 조선왕조 500년 역대 재상 중,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으로 평가받은 이는 하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영의정(領議政), yeong-uijeong
http://www.aks.ac.kr[...]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29
[2]
서적
The Origi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https://books.google[...]
2006
[3]
웹사이트
http://engdic.daum.n[...]
Daum Communications|Daum Korean-English Dictionary
[4]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2024-08-21
[5]
웹사이트
도평의사사 (都評議使司), Dopyeonguisasa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31
[6]
웹사이트
경국대전(經國大典), Gyeonggukdaejeon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29
[7]
서적
The Origins of the Chosŏn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8]
서적
The Origi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https://books.google[...]
2006
[9]
웹사이트
우의정(右議政), uuijeong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29
[10]
웹사이트
정승(政丞), Jeongseung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29
[11]
웹사이트
이조(吏曹), Ijo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31
[12]
웹사이트
병조(兵曹), Byeong-jo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31
[13]
웹사이트
형조(刑曹), Hyeongjo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31
[14]
서적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 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EncyKorea
[16]
웹사이트
비변사(備邊司), Bibyeonsa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17]
웹사이트
세도정치(勢道政治), sedo jeongchi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18]
문서
조선왕조실록과 창원 구씨 족보, 소눌선생문집(小訥先生文集)에 기록된 인물
[19]
문서
명나라가 하사한 왕의 시호
[20]
문서
세조 42권, 1467년 4월 6일 기사
[21]
문서
연산군일기 기록: 박숭질의 우의정 임명
[22]
문서
인종실록 기록: 홍언필의 영의정 및 좌의정 임명
[23]
문서
선조수정실록 기록: 권철의 영의정 사직
[24]
문서
선조수정실록 기록: 권철의 영의정 사직
[25]
문서
선조수정실록 기록: 홍섬의 영의정 사직
[26]
문서
선조수정실록 기록: 홍섬의 영의정 사직
[27]
문서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기록 차이: 퇴임일
[28]
문서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기록 차이: 졸기
[29]
문서
임진왜란으로 인한 기록 부실: 이산해의 영의정 취임일
[30]
문서
인조반정 후 봉호 삭제
[31]
문서
인조반정 후 봉호 삭제
[32]
문서
인조반정 후 봉호 삭제
[33]
문서
추증 및 가증 기록: 임진왜란 이후 인물
[34]
웹인용
꿩 한 마리와 한강 배다리 (상)
https://www.sciencet[...]
사이언스타임즈
2009-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