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의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의정은 조선 시대의 관직으로, 판병조사, 경연영사, 춘추관감사, 홍문관영사, 예문관영사, 세자부, 비변사의 도제조 등을 겸임했다. 태종 대에 이원이 우의정에 임명된 이후 세종 대에 여러 인물들이 우의정을 역임했으며, 태조, 정종 대에도 우의정에 해당하는 직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재상 - 대제학
    대제학은 조선 시대 문한을 담당하는 관청의 최고위 정2품 관직으로, 학술 및 외교 문서 작성과 왕의 자문에 응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한국의 재상 - 문하시중
    문하시중은 고려 시대에 설치된 최고 관직 중 하나로, 시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변화하며 고려 후기 왕권 강화와 정치 개혁, 권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고, 조선 건국 후 정승으로 개칭되어 조선 정치 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조선의 우의정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조선의 우의정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의정
관직 정보
한글우의정
한자/ 右相 / 右政丞 / 右揆 / 右閤 / 右臺
로마자 표기Uuijeong / Usang / Ujeongseung / Ugyu / Uhap / Udae
영어Right State Councillor
설명조선 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영의정, 좌의정과 함께 삼정승을 구성했으며, 국정 전반을 총괄했다.

2. 겸직

우의정은 대체로 판병조사(判兵曹事), 경연영사, 춘추관감사, 홍문관영사, 예문관영사, 세자부와 비변사도제조를 겸했다.

3. 역대 우의정

91년]]) 2월 1일 ||

|-

| 이양원(李陽元) || 선조 24년(1591년) 2월 1일 || 선조 25년(1592년) 5월 1일 ||

|-

| 윤두수(尹斗壽) || 선조 25년(1592년) 5월 1일 || 선조 25년(1592년) 5월 1일 ||

|-

| 유홍(兪泓) || 선조 25년(1592년) 5월 1일 || 선조 27년(1594년) 11월 1일 ||

|-

| 김응남(金應南) || 선조 27년(1594년) 11월 1일 || 선조 28년(1595년) 2월 1일 ||

|-

| 정탁(鄭琢) || 선조 28년(1595년) 2월 1일 || 선조 28년(1595년) 3월 1일 ||

|-

| 이원익(李元翼) || 선조 28년(1595년) 6월 1일 || 선조 31년(1598년) 4월 1일 ||

|-

| 이덕형(李德馨) || 선조 31년(1598년) 4월 1일 || 선조 31년(1598년) 9월 1일 ||

|-

| 이항복(李恒福) || 선조 31년(1598년) 9월 1일 || 선조 32년(1599년) 8월 1일 ||

|-

| 이헌국(李憲國) || 선조 32년(1599년) 8월 1일 || 선조 33년(1600년) 6월 1일 ||

|-

| 김명원(金命元) || 선조 33년(1600년) 6월 1일 || 선조 34년(1601년) 5월 1일 ||

|-

| 윤승훈(尹承勳) || 선조 34년(1601년) 5월 1일 || 선조 35년(1602년) 윤2월 26일 ||

|-

| 유영경(柳永慶) || 선조 35년(1602년) 윤2월 26일 || 선조 37년(1604년) 5월 1일 ||

|-

| 기자헌(奇自獻) || 선조 37년(1604년) 5월 1일 || 선조 37년(1604년) 12월 1일 ||

|-

| 심희수(沈喜壽) || 선조 37년(1604년) 12월 1일 || 선조 39년(1606년) 7월 1일 ||

|-

| 허욱(許頊) || 선조 39년(1606년) 7월 1일 || 선조 39년(1606년) 10월 1일 ||

|-

| 한응인(韓應寅) || 선조 39년(1606년) 10월 1일|| - ||

|}

'''광해군'''

성명취임퇴임비고
한응인-광해군 즉위년(1608년) 3월 5일
심희수(沈喜壽)광해 즉위년(1608년) 3월 6일광해 3년(1611년) 7월 23일
이항복(李恒福)광해 3년(1611년) 8월 24일광해 4년(1612년) 9월 5일
정인홍(鄭仁弘)광해 4년(1612년) 9월 5일광해 5년(1613년) 4월 25일
정인홍(鄭仁弘)광해 5년(1613년) 9월 25일광해군 6년(1614년) 1월 19일
정창연(鄭昌衍)광해 6년(1614년) 1월 19일광해 8년(1616년) 4월 9일
한효순(韓孝純)광해군 8년(1616년) 10월 5일광해 10년(1618년) 1월 18일
민몽룡(閔夢龍)광해 10년(1618년) 1월 18일광해 10년(1618년) 6월 8일
박승종(朴承宗)광해 10년(1618년) 6월 8일광해 10년(1618년) 8월 5일
박홍구(朴弘耉)광해 10년(1618년) 8월 5일광해 11년(1619년) 3월 13일
조정(趙挺)광해 11년(1619년) 3월 13일-



'''인조'''

성명취임퇴임비고
조정-인조 1년(1623년) 4월 5일
윤방(尹昉)인조 1년(1623년) 4월 23일인조 1년(1623년) 7월 ??일
신흠(申欽)인조 1년(1623년) 7월 29일인조 4년(1626년) 9월 24일
오윤겸(吳允謙)인조 4년(1626년) 10월 2일인조 5년(1627년) 9월 4일
김류(金瑬)인조 5년(1627년) 9월 4일인조 6년(1628년) 7월 18일
이정구(李廷龜)인조 6년(1628년) 7월 18일인조 9년(1631년) 5월 3일?
김상용(金尙容)인조 10년(1632년) 1월 19일인조 11년(1633년) 5월 18일
김류인조 11년(1633년) 9월 19일인조 12년(1634년) 8월 10일
김상용인조 12년(1634년) 9월 11일인조 13년(1635년) 6월 12일
홍서봉(洪瑞鳳)인조 14년(1636년) 1월 12일인조 14년(1636년) 5월 22일
이홍주(李弘冑)인조 14년(1636년) 5월 22일인조 15년(1637년) 1월 29일
이성구(李聖求)인조 15년(1637년) 1월 29일인조 15년(1637년) 4월 9일
최명길(崔鳴吉)인조 15년(1637년) 4월 9일인조 15년(1637년) 7월 7일
장유(張維)인조 15년(1637년) 7월 11일인조 15년(1637년) 11월 5일
신경진(申景禛)인조 15년(1637년) 11월 7일인조 16년(1638년) 9월
심열(沈悅)인조 16년(1638년) 9월 15일인조 18년(1640년) 1월 24일
강석기(姜碩期)인조 18년(1640년) 윤1월 20일인조 20년(1642년) 2월 18일
심기원(沈器遠)인조 20년(1642년) 10월 13일인조 21년(1643년)
김자점(金自點)인조 21년(1643년) 5월 6일인조 21년(1643년) 12월 5일
이경여(李敬輿)인조 21년(1643년) 12월 5일인조 22년(1644년) 7월 2일
심열인조 22년(1644년) 7월 2일인조 22년(1644년) 8월 26일
서경우(徐景雨)인조 22년(1644년) 9월 5일인조 23년(1645년) 2월 3일
심열인조 23년(1645년) 2월 3일인조 23년(1645년) 4월 13일
이경석(李景奭)인조 23년(1645년) 9월 3일인조 24년(1646년) 3월 26일
남이웅(南以雄)인조 24년(1646년) 3월 27일인조 25년(1647년) 12월 8일
이행원(李行遠)인조 25년(1647년) 12월 10일인조 26년(1648년) 4월 16일
남이웅인조 26년(1648년)인조 26년(1648년) 7월 18일
정태화(鄭太和)인조 27년(1649년) 1월 11일-



'''효종'''

성명취임퇴임비고
정태화-효종 즉위년(1649년) 8월 20일
조익(趙翼)효종 즉위년(1649년) 8월 20일효종 즉위년(1649년) 9월 1일
김육(金堉)효종 즉위년(1649년) 9월 1일효종 1년(1650년) 1월 25일
조익효종 1년(1650년) 3월 2일효종 1년(1650년) 8월 29일
이시백(李時白)효종 1년(1650년) 8월 29일효종 1년(1650년) 12월 30일
한흥일(韓興一)효종 2년(1651년) 1월 11일효종 2년(1651년) 10월 9일
이시백효종 2년(1651년) 12월효종 4년(1653년) 10월 6일
구인후(具仁垕)효종 4년(1653년) 10월 20일효종 5년(1654년) 7월
심지원(沈之源)효종 5년(1654년) 7월 2일효종 7년(1656년) 12월 30일
원두표(元斗杓)효종 7년(1656년) 12월 30일효종 8년(1657년)
이후원(李厚源)효종 8년(1657년) 9월 2일효종 9년(1658년) 2월 10일병으로 면직을 청함
이후원효종 9년(1658년) 7월 8일효종 9년(1658년)
원두표효종 10년(1659년) 3월 25일효종 10년(1659년) 4월 8일병으로 면직을 청함



'''현종'''

성명취임퇴임비고
정유성(鄭維城)현종 즉위년(1659년) 6월 5일현종 1년(1660년) 4월 3일
원두표현종 1년(1660년) 4월 10일현종 3년(1662년) 4월 24일
정유성현종 3년(1662년) 4월 24일현종 4년(1663년) 10월 14일
홍명하(洪命夏)현종 4년(1663년) 10월 29일현종 5년(1664년) 9월
허적(許積)현종 5년(1664년) 9월 3일현종 8년(1667년) 3월
정치화(鄭致和)현종 8년(1667년) 3월 19일현종 9년(1668년) 2월 24일
송시열(宋時烈)현종 9년(1668년) 2월 24일현종 9년(1668년) 12월 3일
홍중보(洪重普)현종 10년(1669년) 12월 27일현종 12년(1671년) 4월 20일
송시열현종 12년(1671년) 5월 13일현종 13년(1672년) 5월 16일
김수항(金壽恒)현종 13년(1672년) 5월 16일현종 13년(1672년) 11월 30일
이경억(李慶億)현종 13년(1672년) 11월 30일현종 14년(1673년) 4월
김수흥(金壽興)현종 14년(1673년) 4월 24일현종 15년(1674년) 4월 26일
이완(李浣)현종 15년(1674년) 4월 26일현종 15년(1674년) 6월 14일
정지화(鄭知和)현종 15년(1674년) 7월 26일-



'''숙종'''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5%; text-align: center;"

|-

! 성명 !! 취임 !! 퇴임 !! 비고

|-

| 정지화(鄭知和) || - || 숙종 즉위년(1674년) 10월 20일 ||

|-

| 김수항(金壽恒) || 숙종 즉위년(1674년) 11월 2일 || 숙종 1년(1675년) 2월 18일 ||

|-

| 권대운(權大運) || 숙종 1년(1675년) 2월 18일 || 숙종 1년(1675년) 6월 23일 ||

|-

| 허목(許穆) || 숙종 1년(1675년) 6월 23일 || 숙종 4년(1678년) 윤3월 4일 ||

|-

| 민희(閔熙) || 숙종 4년(1678년) 윤3월 24일 || 숙종 5년(1679년) ||

|-

| 오시수(吳始壽) || 숙종 5년(1679년) 6월 29일 || 숙종 6년(1680년) 3월 30일 ||

|-

| 민정중(閔鼎重) || 숙종 6년(1680년) 4월 29일 || 숙종 6년(1680년) 10월 12일 ||

|-

| 이상진(李尙眞) || 숙종 6년(1680년) 10월 12일 || 숙종 8년(1682년) 5월 13일 ||

|-

| 김석주(金錫冑) || 숙종 8년(1682년) 5월 18일 || 숙종 9년(1683년)? ||

|-

| 남구만(南九萬) || 숙종 10년(1684년) 1월 12일 || 숙종 11년(1685년) 5월 18일 ||

|-

| 정재숭(鄭載嵩) || 숙종 11년(1685년) 5월 18일 || 숙종 12년(1686년) 8월 14일 ||

|-

| 이단하(李端夏) || 숙종 12년(1686년) 9월 2일 || 숙종 13년(1687년) 5월 1일 ||

|-

| 조사석(趙師錫) || 숙종 13년(1687년) 5월 1일 || 숙종 13년(1687년) 7월 24일 ||

|-

| 이숙(李䎘) || 숙종 13년(1687년) 7월 25일 || 숙종 14년(1688년) 5월 2일 ||

|-

| 여성제(呂聖齊) || 숙종 14년(1688년) 5월 19일 || 숙종 14년(1688년) 11월 3일 ||

|-

| 여성제 || 숙종 15년(1689년) 1월 16일 || 숙종 15년(1689년) 1월 27일 ||

|-

| 목내선(睦來善) || 숙종 15년(1689년) 1월 27일 || 숙종 15년(1689년) 2월 2일 ||

|-

| 김덕원(金德遠) || 숙종 15년(1689년) 2월 2일 || 숙종 15년(1689년) 5월 15일 ||

|-

| 김덕원 || 숙종 15년(1689년) 5월 22일 || 숙종 17년(

3. 1. 태조

'''문하우시중'''

성명취임퇴임비고
조준태조 1년(1392년) 7월 28일태조 1년(1392년) 12월 13일
김사형태조 1년(1392년) 12월 13일-



'''문하 우정승'''

성명취임퇴임비고
김사형-정종 1년(1399년) 12월 1일


3. 2. 정종

성명취임퇴임비고
성석린정종 1년(1399년) 12월 1일정종 2년(1400년) 3월 15일좌정승에 임명됨
민제정종 2년(1400년) 3월 15일정종 2년(1400년) 9월 8일좌정승에 임명됨
하륜정종 2년(1400년) 9월 8일태종 1년(1401년) 윤3월 1일진산 부원군에 봉해짐


3. 3. 태종

성명취임퇴임비고
이서태종 1년(1401년) 윤3월 1일태종 1년(1401년) 7월 13일영의정부사가 됨
이무태종 1년(1401년) 7월 13일태종 3년(1403년) 4월 4일단산 부원군이 됨
성석린태종 3년(1403년)태종 4년(1404년) 6월 6일
이서태종 4년(1404년) 6월 6일태종 5년(1405년) 1월 15일
조영무태종 5년(1405년) 1월 15일태종 7년(1407년) 7월 4일
이무태종 7년(1407년) 7월 4일태종 9년(1409년) 7월 9일
이서태종 9년(1409년) 7월 9일태종 9년(1409년) 8월 10일
조영무태종 9년(1409년) 8월 10일태종 13년(1413년) 10월 16일
남재태종 13년(1413년) 10월 22일태종 14년(1414년) 4월 17일
이직태종 14년(1414년) 4월 17일태종 14년(1414년) 6월 12일판의정부사
이직태종 14년(1414년) 6월 12일태종 15년(1415년) 5월 9일
유양태종 15년(1415년) 6월 19일태종 15년(1415년) 10월 28일
남재태종 15년(1415년) 10월 28일태종 16년(1416년) 5월 25일
박은태종 16년(1416년) 5월 25일태종 16년(1416년) 11월 2일
한상경태종 16년(1416년) 11월 2일태종 18년(1418년) 6월 5일
이원태종 18년(1418년) 6월 5일세종 3년(1421년) 12월 7일


3. 4. 세종

wikitext

성명취임퇴임비고
정탁1421년 12월 10일1423년 10월 21일
류관1424년 6월 20일1426년 1월 15일
조연1426년 1월 15일1426년 5월 13일
황희1426년 5월 13일1427년 1월 25일
맹사성1427년 1월 25일1431년 9월 3일
권진1431년 9월 3일1433년 5월 16일
최윤덕1433년 5월 16일1435년 2월 1일
노한1435년 2월 1일1438년 5월 19일
허조1438년 5월 19일1439년 6월 12일
신개1439년 6월 12일1445년 1월 24일
하연1445년 1월 24일1447년 6월 10일
황보인1447년 6월 10일1449년 10월 5일
남지1449년 10월 5일1451년 10월 17일


참조

[1] 웹사이트 우의정(右議政) http://encykorea.aks[...]
[2] 서적 Admiral Yi Sun-Sin: A National Hero of Korea
[3] 서적 六典條例 http://db.history.go[...]
[4] 문서 연산군일기 관련 내용
[5] 문서 연산군일기 관련 내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