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비 엽혁륵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비 엽혁륵씨는 엽혁륵씨 가문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다. 1741년 귀인으로 입궁하여 서빈, 서비로 진봉되었으며, 1751년 아들 융월을 낳았으나 요절했다. 1777년 사망하여 유릉 비원침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7년 사망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스위스 태생의 독일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로, 원주율의 무리수성 증명, 쌍곡선 함수 삼각법 도입, 비유클리드 기하학 추측 제시 등 수학과 과학 분야는 물론 '현상학' 용어 사용과 칸트와의 서신 교환 등 철학 분야에도 기여했다.
  • 1777년 사망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 1728년 출생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1728년 출생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스위스 태생의 독일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로, 원주율의 무리수성 증명, 쌍곡선 함수 삼각법 도입, 비유클리드 기하학 추측 제시 등 수학과 과학 분야는 물론 '현상학' 용어 사용과 칸트와의 서신 교환 등 철학 분야에도 기여했다.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서비 엽혁륵씨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서비 (舒妃)
원래 성씨엽혁륵씨 (葉赫那拉氏) 또는 엽혁나랍씨 (葉赫那拉氏)
출생옹정제 6년 6월 1일 (1728년 7월 7일)
사망건륭제 42년 5월 30일 (1777년 7월 4일)
배우자건륭제
자녀황10자 (요절)
아버지영수 (永綬, 확실치 않음)
어머니관사백 (官史伯, 확실치 않음)
매장지유릉비원침 (裕陵妃園寢)
봉호귀인 (貴人) → 서빈 (舒嬪) → 서비 (舒妃)
혼인1741년 ~ 1777년 (건륭제와의 혼인)
가문엽혁륵씨 (葉赫那拉氏, 출생 시)
아이신 교로 (愛新覺羅, 혼인 후)
가문 유형엽혁나라씨 (출생 시)
아이신 교로 (혼인 후)
심사치평 서비 전부분
심사치평 서비 초상화

2. 가계와 출신

서비 엽혁륵씨의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건륭제의 문헌에서는 그녀를 엽혁륵씨라고 불렀는데 가문의 기록에는 전무하다. 후대에 편찬된 《애신각라종보·성원집경》에서는 서비를 엽혁나랍씨, 시랑 영수의 딸이라고 썼다. 납란명주의 손자인 영수(永壽)는, 일명 영수(永綬)로 병부좌시랑을 지냈다. 황일농은 영수와 시랑 영수가 같은 사람이라고 보고 있으나, 직접적인 증거는 언급하지 않았다. 황일농은 그녀를 영수와 그의 처 관씨 (한군정황기 부도함태공녀, 1품부인)의 딸로 여겼다. 아울러 부항의 처 나랍씨가 영수와 관씨의 또 다른 딸로, 그녀의 언니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나랍씨가 영수와 관씨의 딸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명주 가문은 성간달한계 출신으로, 저쿵거의 둘째 아들인 태탄주의 아들이다.[1]

항목내용
아버지융수(永壽, 1702–1731), 1727년부터 1729년까지 병부 상서 역임[1]
조부궤방(揆方, 1679–1707), 액부 작위, 명주의 셋째 아들[1]
조모아이신 교로 숙신(淑慎, 1681–1706), 군주 작위, 기예수의 여덟째 딸[1]
어머니관 사백(思柏)[1]
외조부한태(含太)[1]
남동생1명[1]
언니


3. 생애

서비 엽혁륵씨는 옹정 6년 (1728년) 6월 1일에 태어났다. 건륭 6년 (1741년), 13세의 나이로 입궁하여 귀인이 되었고, 이후 서빈으로 책봉되었다.[1]

건륭 13년 (1748년) 7월, 한귀비 나랍씨가 황귀비로 책봉되고 황후로 세워질 때, 서빈은 가비 등과 함께 은덕을 입어 한 계급 진봉되었다. 건륭 14년 (1749년) 4월 5일, 정식으로 서비 책봉례를 행하였다.[1]

건륭 32년(1767년) 6월 1일, 서비의 40세 생일을 맞아 연회가 열렸고, 건륭제는 은 450냥을 하사했다.[1]

건륭 37년 (1772년) 8월, 화각공주와 초정례연회를 가졌다. 건륭제와 황태후는 열하행궁에 있었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했고, 화각공주의 양어머니인 서비가 영수궁에서 연회를 주관했다.[1]

3. 1. 입궁과 초기

옹정 6년 (1728년) 6월 1일, 엽혁나랍씨가 태어났다. 건륭 6년 (1741년) 2월 7일, 당시 13살이었던 엽혁나랍씨는 외팔기 수녀선발에서 내정의 주위로 지정되어 입궁하였다. 귀인이라는 지위를 받았으나, 관련 문헌에는 휘호가 언급되지 않았다. 같은 해 2월 13일 황태후의 명에 따라 가빈은 비로 진봉되고, 해귀인, 귀인 백씨와 함께 빈으로 진봉되었으며, 11월에 정식 서빈 책봉례가 행해졌다.[1]

건륭 8년 (1743년) 1월 24일, 궁중 기록에는 승건궁에 기평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승건궁에 후비가 살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서빈이 언제 승건궁으로 이주했는지는 기록이 없어 확실하지 않다. 건륭 9년 12월 18일 《옹화궁 만문 기록물 번역편》에는 승건궁 서빈이 수강궁 황태후, 서난전 황후와 함께 옹화궁으로 향했고, 궁중에서는 승건궁의 수령태감이 말 두 필을 준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

건륭 10년 (1745년) 3월 3일 《옹화궁 만문 기록물 번역편》에는 승건궁 서빈이 황제황후 등을 따라 혜현황귀비의 금관정령지의 육고도로 간 것이 기록되어 있다. 승건궁 서빈, 연희궁 이빈, 영수궁 영빈의 환관들이 같은 수레를 타고 육고도로 향했다.[1]

3. 2. 황자 출산과 양녀

건륭 16년 (1751년) 5월 19일, 서비는 승건궁에서 황10자를 낳았으나, 건륭 18년 (1753년) 6월 7일에 3살의 나이로 요절하였다.[1]

3. 3. 후궁 최고 서열이 되다

황귀비 위씨가 건륭 40년(1775년) 1월 29일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서비는 궁중 비빈 중 최고 서열에 올랐다. 건륭 40년 11월 3일, 영수궁의 서비는 경인궁 영비 등을 거느리고 수강궁에 가서 숭경황태후께 문안을 드렸다.

3. 4. 죽음

건륭 42년 (1777년) 5월 30일, 서비는 5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궁내에서는 황11자 영성, 영기의 다섯째 아들 면억, 영용의 장남 면총이 서비의 복상을 했다. 궐밖에서는 화각공주의 부마인 찰란태, 화가공주의 액부 풍신제륜이 서비를 위해 입효하였다. 서비의 장례의례는 황6자 영용, 강희제의 황16자 윤록의 둘째 아들인 장친왕 영상, 내무부 대신 김간이 총괄하였다.[1] 서릉 업무를 처리하던 진국공 면덕은 서비가 병으로 사망하자, 어떻게든 상경하였다. 건륭제는 면덕이 온 것이 여러 황자들이 모인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여 굳이 경성에 올 필요가 없다고 말하였다.[1]

건륭 42년 6월 9일, 서비의 금관이 서화원에 잠시 안치되는 동안, 승건궁 유비와 경인궁 영비, 저수궁의 내정 주위는 서비의 초제례에 제사를 지냈고, 서문은 황6자 영용이 읽었다. 이후 대제례는 황11자 영성이 서문을 읽었다. 건륭제는 친히 서화원에 있는 서비의 금관에 들러 술을 올리고, 그 해 9월 20일 묘시에 유릉비원침에 묻혔다.[1]

4. 자녀

건륭제의 열 번째 아들 융월(永玥, 1751년 6월 12일 ~ 1753년 7월 7일)은 요절하였다.[1]

5. 미디어에서의 등장

년도제목배우극중 이름극중 호칭
1999금옥만당강화(康華)납란 기서서비
2004건륭흥향기훈니엽혁나랍씨서비
2018연희공략이춘애납란 순설서귀인 → 서빈 → 서비
여의전진호우엽혁나랍 의환서귀인 → 서빈 → 서비


  • 1999년 홍콩 드라마 《해피 에버 애프터》에서 홍악나(Akina Hong)가 연기하였다.
  • 2018년 드라마 《연희공략》에서 이춘애(Li Chun'ai)가 연기하였다.
  • 2018년 드라마 《여의전》에서 진호우(Chen Haoyu)가 연기하였다.
  • 연희공략 (2018년, 중국, 연기: 李春嫒|리 춘위안중국어)
  • 여의전: 자금성에 피어난 꽃 (2017년, 중국, 연기: 천하오위)

참조

[1] 문서 乾隆六年 二月 七月
[2] 문서 乾隆六年 十一月
[3] 문서 乾隆十四年 四月 五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