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시메트로9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사업시행법인이다. 1991년 6월부터 2009년 7월 24일 9호선 1단계 구간(개화역~신논현역) 개통까지의 과정을 거쳐, 2015년 3월 2단계 구간(언주역~종합운동장역), 2018년 12월 3단계 구간(종합운동장역~중앙보훈병원역)을 개통했다. 총 연장 40.8km, 38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5편성의 전동차를 운행한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1단계 구간을 직영하고, 2~3단계 구간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 운영하며, 운행은 현대로템과 RATP 데브 트랑스데브 아시아의 합작 회사인 서울9호선운영에서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설립된 철도 기업 - 히사쓰 오렌지 철도
    히사쓰 오렌지 철도는 구마모토현 야쓰시로시 야쓰시로역과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센다이역을 잇는 116.9km의 철도 노선으로, 규슈 신칸센 개통 후 JR 규슈에서 분리되어 제3섹터 방식으로 운영되며, 관광열차 '오렌지 식당'을 통해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2004년 설립된 철도 기업 - 티치노 롬바르디아 지역 철도
    티치노 롬바르디아 지역 철도(TILO)는 스위스 티치노주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철도 네트워크로, S-반 노선과 RE80 레지오익스프레스 노선을 운행하며, 슈타들러 FLIRT 열차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울시메트로9호선 주식회사 본사
명칭 (한국어)서울시메트로9호선 주식회사
명칭 (로마자 표기)Seoul-si meturo 9 hoseon jusikhoesa
명칭 (한자)서울市메트로9號線 株式會社
명칭 (영어)Seoul Metro Line Nine Corporation
유형비상장, 주식회사, 중견기업
설립일2004년 12월
소재지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로8길 38 차량기지 내 종합관리동 5층
경영진
사장배현근
대표한인권
산업 정보
산업운수업
제품/서비스서울 지하철 9호선 운송업
재무 정보 (2016년 기준)
자본금74,640,000,000원
매출액103,942,933,457원
영업 이익-21,096,784,960원
순이익-6,728,947,723원
자산 총액657,908,721,441원
주주 정보
주주부산은행(100%)
신탁업자신한지하철9호선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등
기타 정보
모기업농협은행 (구: 부산은행)
직원 수662명 (2019년 9월 기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연혁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여러 단계를 거쳐 건설되었고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기내용
1991년 6월 ~ 1994년 6월3기 지하철 기본계획 수립
2000년 9월 ~ 2012년 6월 23일1단계 구간 관련[1]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2013년 10월 23일서울시와 변경 실시협약 체결, 관리운영위탁계약 재체결
2013년 12월 30일수송승객 5억명 달성
2015년 3월 28일2단계 구간 (언주역 - 종합운동장역) 개통[1]
2016년 11월 28일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 8개편성 (937~945편성) 차량 위탁 관리
2018년 12월 1일3단계 구간 (종합운동장역 - 중앙보훈병원역) 개통
2019년 7월 1일시행사 직영 실시
2022년 7월 1일9호선 일반열차 한정 진입음 변경


2. 1. 9호선 건설

시기내용
1991년 6월 ~ 1994년 6월3기 지하철 기본계획 수립
2000년 9월도시철도 9호선 1단계 구간 건설기본계획 승인
2003년 11월우선협상대상자 선정(로템컨소시엄)
2004년 12월 20일사업시행법인 서울시메트로9호선 설립
2005년 1월기획예산처 민간투자심의 승인
2005년 5월 16일서울시와의 실시협약 체결
2005년 5월 17일서울시메트로9호선과 시공사간 공동도급계약 체결, 금융단과의 금융약정 체결
2006년 6월서울시 실시계획서 승인, 서울시에 착공계 제출
2007년 1월하부 작업장 인수 개시
2007년 2월상부공사 착공
2008년 4월초도 차량 반입
2008년 6월종합 시운전 개시
2009년 3월영업 시운전 개시
2009년 5월9호선 시승행사 실시
2009년 7월 24일도시철도 9호선 개통
2010년 9월 8일수송승객 1억명 달성
2011년 10월 5일열차 12편성 증편 운영
2012년 6월 23일수송승객 3억명 달성
2013년 10월 23일서울시와 변경 실시협약 체결, 관리운영위탁계약 재 계약 체결
2013년 12월 30일수송승객 5억명 달성
2015년 3월 28일2단계 구간 개통
2016년 11월 28일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 8개편성 (937~945편성)차량 위탁 관리
2018년 12월 1일3단계 구간 개통
2019년 7월 1일시행사 직영 실시
2022년 7월 1일9호선 일반열차 한정 진입음 변경


2. 2. 1단계 구간 개통 (개화-신논현)

날짜내용
2000년 9월도시철도 9호선 1단계 구간 건설기본계획 승인
2003년 11월우선협상대상자 선정(로템컨소시엄)
2004년 12월 20일사업시행법인(서울시메트로9호선) 설립
2005년 1월기획예산처 민간투자심의 승인
2005년 5월 16일서울시와의 실시협약 체결
2005년 5월 17일서울시메트로9호선과 시공사간 공동도급계약 체결, 금융단과의 금융약정 체결
2006년 6월서울시 실시계획서 승인, 서울시에 착공계 제출
2007년 1월하부 작업장 인수 개시
2007년 2월상부공사 착공
2008년 4월초도 차량 반입
2008년 6월종합 시운전 개시
2009년 3월영업 시운전 개시
2009년 5월9호선 시승행사 실시
2009년 7월 24일도시철도 9호선 개통
2010년 9월 8일수송승객 1억명 달성
2011년 10월 5일열차 12편성 증편 운영
2012년 6월 23일수송승객 3억명 달성


2. 3. 2단계 구간 개통 (언주-종합운동장)

2015년 3월 28일 언주역에서 종합운동장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

2. 4. 3단계 구간 개통 (종합운동장-중앙보훈병원)

2018년 12월 1일, 9호선 3단계 구간(종합운동장 - 중앙보훈병원)이 개통되었다.

2. 5. 운영 변경


  • 2013년 10월 23일: 서울시와 변경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관리운영위탁계약을 다시 체결하였다.
  • 2019년 7월 1일: 시행사 직영으로 운영 방식이 변경되었다.
  • 2022년 7월 1일: 9호선 일반열차에 한하여 진입음이 변경되었다.

3. 운영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시행사이며, 1단계 구간 (개화역 - 신논현역)은 직접 운영하고, 2~3단계 구간 (언주역 - 중앙보훈병원역)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하여 운영한다.[1]

3. 1. 노선

(영어)노선명
(한글)기점종점총 연장
(km)Line 9영어 (관할)9호선한국어개화역신논현역27kmLine 9영어 (운행)9호선한국어개화역중앙보훈병원역40.8km


3. 2. 운행 정보

영어노선명
한글기점종점총 연장
(km)style="text-align:center;"|9호선|9호선한국어개화역신논현역27kmstyle="text-align:center;"|9호선|9호선한국어개화역중앙보훈병원역


4. 보유차량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5. 차내 안내방송

6. 열차 접근음

구분접근음
상행선연결음 (급행열차 한정), 실로폰 (일반열차 한정)
하행선끊긴음 (급행열차 한정), 트럼펫 (일반열차 한정)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