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 (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교는 선박의 지휘소로, 항해 중 안전한 조타를 위해 24시간 운영된다. 초기 범선에서는 선미루에서 선장이 직접 지휘했으나, 외륜선 시대를 거치며 선교는 외륜실 위 다리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증기선 시대에는 기계 조작 기술 발달로 선박 중앙 부근에 설치되었으며, 현대에는 원격 제어 기술의 발전으로 조타 및 엔진 제어가 선교에서 이루어진다. 선교에는 항해 장비, 통신 장비 등이 갖춰져 있으며, 항해사, 조타수, 통신사 등이 당직 근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박 구획 - 현측
현측은 배의 좌우 측면을 지칭하며, 선수를 기준으로 왼쪽은 좌현(포트), 오른쪽은 우현으로 구분되어 해상에서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돕고 야간에는 각각 빨간색과 녹색의 항해등으로 표시된다. - 선박 구획 - 갑판
갑판은 선박 바닥 구조물로서 주 갑판은 선체의 박스 거더 덮개 역할을 하며, 층을 의미하기도 하고, 선박 종류와 구조에 따라 명칭과 형태가 다양하며, 강철, 목재 등으로 만들어진다. - 해양 추진력 - 외륜선
외륜선은 선체에 장착된 외륜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 배로, 스크류 프로펠러보다 효율은 낮지만 얕은 물 운항에 유리하여 초기 증기선의 주요 추진 방식이었으며 현재는 관광용 등으로 활용된다. - 해양 추진력 - 패들
패들은 카누나 카약과 같은 배를 추진하는 도구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외날과 양날 패들로 구분되고, 노와 달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하며 스포츠 외에 체벌 도구로도 사용된다.
선교 (배) | |
---|---|
개요 | |
정의 | 배를 지휘하는 장소 |
위치 | 선박의 상부 구조 |
역할 | 항해 및 선박 운항의 중심지 |
구조 및 특징 | |
형태 | 갑판실 형태의 구조물 함선의 경우 마스트와 굴뚝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음 |
재료 | 과거: 나무 현재: 강철 또는 알루미늄 |
시야 확보 | 전방 및 측방의 넓은 시야 확보 갑판과 주변 해역 관찰 용이 |
장비 | |
항해 장비 | 레이더 GPS 자동 조타 장치 통신 장비 |
조종 장치 | 조타 장치 기관 제어 장치 |
기타 장비 | 경보 장치 감시 장비 |
기능 | |
지휘 및 통제 | 선장 또는 항해 책임자가 선박의 운항을 지휘하고 통제 |
항해 계획 수립 | 항해사가 항해 계획을 수립하고 수정 |
항로 유지 | 조타수가 선박의 항로를 유지 |
통신 | 외부와의 통신 담당 |
기타 용어 | |
플라잉 브릿지 (Flying bridge) | 요트나 모터보트의 갑판 위에 설치된 개방형 조종 장소 |
2. 역사
범선 시대에는 선장이 주로 배 후미 쪽 갑판에서 배를 지휘했다. 외륜선(외부에 돌아가는 노가 있는 증기선)이 등장하면서, 기관사들이 외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선장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공간이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외륜을 연결하는 다리 형태의 구조물인 선교가 만들어졌다. 스크류 프로펠러가 외륜선을 대체했지만, 선교 구조는 그대로 남았다.
과거에는 원격 조종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선교에 있는 경험 많은 항해사가 명령을 내리면 배 전체로 전달되었다. 방향 전환 명령은 조타실로, 엔진 명령은 엔진 명령 전신을 통해 기관실의 기관사에게 전달되었다. 기관사는 증기 압력과 엔진 회전을 적절히 조절해야 했다. 선교는 보통 외부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날씨로부터 보호되는 조함실에서 조함사가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전함은 여러 개의 함교를 갖추기도 했다. 항해용 함교는 실제 배를 조종하는 데 사용되었고, 전투지휘 함교는 함장이 전투 명령과 관계없이 함대에 대한 전략적 지휘를 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었다. 과거 전함에는 지휘관이 화재 속에서도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무장한 조타탑이 설치되기도 했다.
2. 1. 범선 시대
초기 범선에서는 선장이 선미 부근 갑판에서 배를 직접 지휘했다. 대형 범선이 등장하면서 타륜과 닻을 연결하는 인력 조타 장치가 생겨났고, 이는 선미루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5]2. 2. 증기선 시대
외륜선의 등장으로 기관을 관찰하고 선장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외륜을 잇는 통로 형태의 선교가 만들어졌다. 스크류 프로펠러가 외륜을 대체한 후에도 선교 구조는 유지되었다. 증기선 시대에 기계력을 이용한 조타 장치가 보급되면서, 타륜과 조타수를 반드시 선미 부근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졌고, 배의 중앙 부근에서 배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선교를 설치하게 되었다.외륜선 시대에는 배의 전주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로 좌우 외륜 덮개를 연결했던 교량 형태의 구조물이 선교라는 명칭의 유래이다. 외륜선 시대가 끝나고 스크류 프로펠러가 일반화된 후에도 선교는 작업과 전투 지휘에 편리한 장소로서 현창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양 현을 연결하는 다리로 남아 있었다. 선교는 선장 등이 조선 지휘를 맡는 장소로 선택되었고, 선장의 지휘하에 조타수와 항해사가 타륜을 조작하며 주된 항해 당직 요원이 주변 해상을 감시하면서 적절한 조선을 담당하는 지휘소가 되었다.[5]
2. 3. 현대
원격 조종 장치의 발달로 실제 조종 권한은 함교로 점차 옮겨갔다. 함교에서 타륜과 엔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서, 현대 전함에서는 함교에서 명령을 내리고 실제 무기 시스템은 전함 내부 깊은 곳에서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지휘 방식의 이원화는 지휘부가 무너지더라도 함선이 전투를 계속할 수 있게 한다.현대 군함에서 항해 명령은 브리지에서 나오지만, 전자적으로 지시되는 무기 시스템은 보통 함선 내부 구획에서 제어된다.
상업용 선박의 브리지에는 선박을 안전하게 항해하는 데 필요한 장비가 갖춰져 있다. 선박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장비로는 GPS 항법 장치, Navtex 수신기, ECDIS 또는 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레이더, 통신 시스템(조난 호출 장비 포함), 엔진(전신) 제어, 휠/자동 조종 장치 시스템, 자기 나침반(중복 및 상호 점검 기능), 조명/음향 신호 장치 등이 있다.
3. 구조 및 배치
전통적으로 범선에서는 선미 부근의 갑판에서 선장이 배를 지휘했다. 외륜선의 등장 이후, 엔지니어들은 외륜이 잘 돌아가는지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선장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공간이 필요했고, 이에 따라 외륜을 잇는 통로인 선교가 생겨났다. 스크루 프로펠러가 외륜선을 대체한 이후에도 선교의 구조는 그대로 남았다.
원격 조종 장치가 없던 시절, 선교에 있는 숙련된 항해사의 명령은 배를 실제로 조종하는 곳으로 전달되었다. 방향 전환 명령은 조타실로, 엔진 명령은 엔진 명령 전신을 통해 엔진룸의 엔지니어들에게 전달되었다. 엔지니어들은 적절한 증기 압력과 엔진 회전을 조합해야 했다.
전함들은 여러 개의 함교를 갖추기도 했다. 항해용 함교는 실제 배를 움직이는 데 사용되었고, 전투지휘 함교는 보통 기함에서 함장의 전투 명령과 관계없이 지휘관이 함대에 대한 전략적 지휘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과거의 전함에는 핵심 지휘관들이 화재 속에서도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무장한 조타탑을 갖추기도 했다.
원격 조종 장치의 발달로 실제 조종 권한은 점차 함교로 옮겨갔다. 함교에서 타륜과 엔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서, 최근의 전함에서는 함교에서 명령을 내리고, 실제 무기 시스템은 전함 내부 깊은 곳에서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중복 지휘 방식은 지휘부가 무너지더라도 함선이 계속 전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1. 전통적인 구조
전통적으로 선교는 주변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날씨로부터 보호받는 조함실(pilot house)이 설치되기도 했다. 철 및 강철 선박에는 자침이 선박의 철금속 간섭을 받지 않는 곳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나침반 플랫폼이 필요했다.3. 2. 현대 선박의 구조
많은 현대 선박에는 조종실 위에 플라잉 브리지(flying bridge)가 설치되어 있어, 탁 트인 곳에서 배를 조망할 수 있다.[1][2] 플라잉 브리지는 '몽키 아일랜드(monkey island)'라고도 불리며,[1][2] 선장이나 당직 사관과 같은 지휘관이 배를 조작하는 곳이다. 1980년대 이후 대형 유람선은 선미 쪽에 플라잉 브리지를 설치하여 추가 야외 좌석 공간과 텐더 보관 장소로 활용하기도 한다.대형 군함은 항해용 함교와 전투 지휘용 함교를 분리하여 운영한다. 전함은 기함 (사령관이 탑승)인 경우가 있어, 때로는 '''기함교'''를 갖추기도 했다. "제독교"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제독과 같은 고위 장교가 함대 작전을 수행하고, 전략을 계획하며, 대규모 전투를 지휘할 수 있는 곳이다. 잠수함의 함교는 사관실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어 수상 항해 시 시야를 확보한다.
상업용 선박의 선교에는 항해 시 배를 안전하게 운항하는 데 필요한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비에는 GPS 항법 장치, Navtex 수신기, ECDIS 또는 차트 시스템, 레이더, 통신 시스템(조난 호출 장비 포함), 엔진(전신) 제어, 휠/자동 조종 장치, 자기 나침반, 조명/음향 신호 장치 등이 있다.
3. 3. 브리지 윙
브리지 윙은 배의 측면에서 약 3.05m에서 약 4.57m 가량 돌출된 개방된 구역으로, 선박 장교가 도킹을 하거나 작은 선박과 작업할 때 선박의 측면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브리지 윙은 조종실 양쪽에서 선박 전체 너비 또는 약간 더 넓게 뻗어 있어, 브리지 직원이 선박 조종을 도울 수 있도록 전체 시야를 제공하는 좁은 통로이다. 선박 장교는 도킹 또는 갑문과 좁은 수로에서 조종할 때 브리지 윙을 사용한다. 각 브리지 윙에는 선수 스러스터, 선미 스러스터, 방향타 및 엔진을 제어하는 콘솔이 설치될 수 있다.
4. 기능 및 역할
선교는 배 전체를 지휘하는 곳으로, 항해 중에는 24시간 안전한 조타가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원격 조종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선교에 있는 항해사가 직접 명령을 내려 배를 조종했다. 방향 전환 명령은 조타실로, 엔진 명령은 엔진 텔레그래프를 통해 기관실의 엔지니어에게 전달되었고, 엔지니어는 증기 압력과 엔진 회전을 조절했다.
전함은 항해용 함교와 전투지휘 함교를 আলাদা আলাদা로 두었다. 항해용 함교는 배의 운항에, 전투지휘 함교는 함대 지휘에 사용되었다. 과거 전함에는 화재 발생 시에도 지휘가 가능하도록 무장된 조타탑(conning tower)이 있었다.
원격 조종 장치가 발달하면서 조종 권한은 점차 선교로 이동했다. 타륜과 엔진을 선교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면서, 최근 전함에서는 선교에서 명령을 내리고 무기 시스템은 전함 내부에서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중 지휘 방식은 지휘부가 공격받더라도 전투를 계속할 수 있게 한다.
4. 1. 항해
항해사는 레이더나 쌍안경 등으로 주변 해상을 감시하는 "망루"를 수행한다.[5] 또한, 배가 안전한 항로를 진행하도록 항로를 설정하고, 적시에 조타수에게 타 조작을 지시하여 "조선"을 수행한다.[5] 필요에 따라, 엔진 텔레그래프로 기관부에 엔진 운전 변경 (엔진 출력 증감, 전진 또는 후진 등)을 지시하는 것도 항해사의 역할이다.[5] 조타수는 항해사가 명령한 대로 "조타"한다.[5]4. 2. 통신
통신사가 승선하지 않은 배에서는 당직 항해사가 통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6][7][8]4. 3. 기관 제어
현대 선박에서는 원격 제어 장비가 발달하면서 선교에서 엔진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는 엔진 명령을 엔진 텔레그래프를 통해 기관실의 엔지니어에게 전달했지만, 현대에는 선교에서 스로틀을 직접 조작하여 무인 기관실을 제어하기도 한다.4. 4. 당직 근무
항해사와 조타수가 2인 1조로 교대 근무하며 24시간 항해 당직을 수행한다.[5] 선장은 당직 근무 외에 필요에 따라 선교에서 지휘한다.항해 당직에서 항해사는 레이더나 쌍안경 등으로 주변을 감시하는 "망루" 역할을 하고, 배가 안전한 항로로 가도록 지시한다. 조타수는 항해사의 명령에 따라 배의 방향을 조작한다. 통신사가 없는 배에서는 당직 항해사가 통신을 담당하기도 한다.[6][7][8]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Monkey Island on Ships?
https://www.marinein[...]
2019-06-07
[2]
서적
Introduction to Container Ship Operations and Onboard Safe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
[3]
간행물
古今(こきん)用語撰
2020-06-17
[4]
웹사이트
艦長・機長の席は右?左?
http://www.mod.go.jp[...]
自衛隊鹿児島地方協力本部
2018-02-21
[5]
문서
[6]
문서
[7]
서적
図解入門よくわかる最新船舶の基本と仕組み 船舶の最新技術を基礎から学ぶ 船舶の常識
秀和システム
2010-06-01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