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섭론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섭론종은 남북조 시대부터 당나라 초기까지 유행했던 불교 종파로, 진제가 종조이다. 《섭대승론》과 《섭대승론석》을 기반으로 하며, 진제의 번역을 통해 널리 퍼졌다. 섭론종은 아뢰야식의 순수한 경지를 아마라식이라 칭하고 제9식을 설정하는 특징을 갖는다.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에 화북 지역에서 유행했으나, 현장의 법상종 등장으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식유가행파 - 법상종
    법상종은 유가유식파에 기원하여 현장과 규기에 의해 체계화된 불교 종파로, 유식 사상을 중심으로 모든 존재가 의식일 뿐이라는 교리를 강조하며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론적 성격으로 쇠퇴하여 불교 연구의 기초 학문으로 중시된다.
  • 유식유가행파 - 육식
    육식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 마음을 6가지 식, 즉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으로 구분한 것이다.
섭론종
지도
종교 정보
종류신종교
창시자사키야 지쓰묘
창립 연도1930년
근거지일본 도쿄도
주요 경전법화경
관련 정보
다른 이름불립 문자(不立文字) 섭론종

2. 역사

섭론종은 진제가 번역한 《섭대승론》을 중심으로 남북조 시대부터 초기까지 중국에서 유행한 불교 종파이다.[1] 현장법상종이 등장하면서 섭론종은 쇠퇴하여 법상종에 흡수되었다.[1] 일본에는 나라 시대에 전래되었으나 종파로 정착하지는 못했다.[1]

2. 1. 중국

섭대승론과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은 적어도 3회 이상 한역되었는데, 섭론종(攝論宗)은 진제의 번역에 바탕을 두었다.[1] 불타선다(佛陀扇多)가 한 번 번역한 일이 있으나, 번역이 난해하고 해석이 서로 맞지 않아 유행하지 못하다가 진제(眞諦)가 이를 번역하게 되자 갑자기 일파를 이루게 되었다.[1]

진제(499~569)는 원명을 파라마르타(Paramartha)라고 하며, 서북 인도브라만 출신으로, 548년 다수의 범어불전(梵語佛典)을 가지고 바다를 건너 건강(建康)에 상륙하여 양나라 말기 전란의 와중에서 각지로 전전하면서 563년 《섭대승론》 3권, 《섭대승론석》 15권을 번역하고, 《의소(義疏)》 8권을 만들어 인도 유식파(唯識派)의 무착 '''·''' 세친(世親)의 학설을 체계화하여 수입 '''·''' 소개하였다.[1]

진제의 한역 당시 필수자였던 혜개, 진제의 역경 사업을 광저우에서 지원한 법태에서 시작된다. 법태의 유식(唯識) 학통은 북주의 폐불을 피해 강남으로 옮겨간 정숭에게 전해졌고, 정숭은 《섭론소》 등의 저서를 남겼다. 지응, 승변으로 섭론의 학통은 계승되었다.

진제의 문하생인 도니590년(개황 10년)에 문제의 칙령에 의해 대흥의 국사(國寺)인 대흥선사(大興禪寺)에 들어갔다. 도니의 계통에서는 도악이 나왔다. 지론종(地論宗)에 속하는 담천(542~607)도 폐불 때 강남으로 피난하여 《섭대승론》의 교의에 접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팽성을 거점으로 하였지만 건강을 거쳐 587년(개황 7년)에 대흥선사에 칙주(勅住)하게 되었다. 《섭론소》, 《망시비론》 등의 저서가 있다.

에서 초엽에 걸쳐 화북(華北)에서 유통했으나, 현장(玄奬)의 법상종(法相宗)이 일어나 진제의 유식설(唯識說)이 비판되었기 때문에 급속히 쇠퇴했다.[1]

2. 2. 일본

나라 시대에 문헌을 통해 유입되었지만, 하나의 종파로는 정착하지 못했다.[1]

3. 사상적 특징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순정(純淨)한 곳을 아마라식(阿摩羅識)이라 칭하고, 제9식(第九識)을 세운 것이 특징이다.[1]

참조

[1] 백과사전 섭론종
[2] 웹사이트 眞諦(진제)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