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신여자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신여자대학교는 1936년 리숙종이 성신여학교로 설립한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1981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수정캠퍼스와 운정그린캠퍼스 두 곳에 위치하고 있다. 10개의 단과대학, 45개 학과, 5개의 대학원, 부속기관 및 연구소를 운영하며, 학부와 대학원 과정 외에 학군단, 특수대학원 등의 특별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과거 총장의 횡령 혐의 및 입시 관련 논란이 있었으며, 김윤아, 구하라, 효린, 공승연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신여자대학교 - 이숙종
이숙종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를 했으며 광복 후 교육계 활동, 정치 참여 등을 했고, 성신여학교 설립 및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회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성신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대학교를 설립했다. - 성신여자대학교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 서울 강북구의 학교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서울 강북구의 학교 - 서울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2000년 교육과학기술부 인가를 받아 설립된 4년제 사이버대학교로, 온라인 교육 시스템과 콘텐츠 개발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국내외 협력 및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08년 동원여자의숙으로 시작하여 1950년 동덕여자대학으로 개교,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와 여성 교육에 대한 헌신을 이어왔으나 남녀공학 전환 논의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고려대학교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 고려대학교는 민족 자주성을 바탕으로 국제화를 추구하며 서울과 세종에 캠퍼스를 둔,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성신여자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성신, 지신, 자동 |
개교 | 1936년 |
유형 | 사립 |
총장 | 이성근 (Seung Keun Yi), Ph.D. |
소재지 | 성북구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국가 | 대한민국 |
행정 직원 | 682명 |
학생 수 | 13,000명 |
캠퍼스 | 도시 123,395m² |
웹사이트 | 성신여자대학교 |
명칭 | |
한국어 표기 | 성신여자대학교 (Seongsin Yeoja Daehakgyo) |
한자 표기 | 誠信女子大學校 |
캠퍼스 | |
캠퍼스 위치 | 돈암 수정 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4길 미아 운정 그린 캠퍼스: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76가길 55 |
조직 | |
대학 | 13개 대학, 52개 학과, 5개 대학원 |
학부 학생 수 | 9,261명 (2021년) |
대학원생 수 | 805명 (2021년) |
교직원 수 | 1,314명 (2021년) |
기타 정보 | |
학교 색상 | 보라색 |
설립자 | 이숙종 (리숙종) |
학교 법인 | 성신학원 |
2. 연혁
- 1936년 4월 28일 리숙종 '''성신여학교''' 창립
- 1948년 6월 17일 리숙종 재단법인 성신학원 이사장 취임
- 1961년 7월 3일 조기홍 학교법인 성신학원 이사장 취임
- 1965년 1월 13일 대학기관인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승격 인가
- 1979년 10월 18일 '''성신여자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81년 7월 31일 종합대학인 '''성신여자대학교'''로 승격 인가
- 1972년 1월 28일 대학원 설립
- 1979년 12월 5일 정보산업대학원 설립
- 1981년 10월 20일 학과 신설 및 개편,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 신설
- 1982년 10월 5일 자연과학대학 분리 및 가정대학(생활과학대학)으로 개편
- 1983년 10월 29일 교육대학원 설립
- 1988년 8월 30일 운정관 준공
- 1988년 10월 29일 미술대학을 음악대학과 미술대학으로 분리
- 1994년 10월 21일 산업대학원을 조형산업대학원(디자인대학원)과 정보산업대학원(문화산업대학원)으로 분리
- 1995년 1월 10일 수정관 준공
- 1995년 3월 1일 평생교육원 설립
- 1997년 10월 25일 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설립
- 1999년 2월 12일 교육부의 종합대학평가에서 성신여자대학교 학부과정 "우수", 대학원 과정 "최우수" 평가
- 1995년 1월 10일 난향관 준공
- 2003년 9월 21일 미디어정보센터 준공
- 2003년 12월 24일 "학사 및 업무 행정 시스템에 대한 ISO 9001:2000 인증" 획득
- 2004년 9월 18일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특성화 우수대학"
- 2005년 1월 20일 가족건강복지센터 개관
- 2005년 6월 30일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특성화 우수대학" 2년 연속 선정
- 2006년 2월 20일 교육부의 종합대학평가에서 성신여자대학교 학부과정 "우수", 대학원 과정 "우수" 평가
- 2006년 7월 25일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특성화 우수대학" 3년 연속 선정
- 2006년 11월 30일 성신관 준공
- 2007년 3월 1일 간호대학 설립
- 2007년 8월 11일 제8대 총장 심화진 박사 취임
- 2008년 4월 15일 비전 선포 — 성신운정캠퍼스(성신여자대학교 제2캠퍼스) 건설
- 2017년 2월 7일 심화진 총장이 학교 자금 횡령 혐의로 서울지방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수감되었다.[1]
- 2018년 1월 23일 김호성 총장이 남녀공학 전환과 남녀공학 체제 구축을 위해 영문 명칭에서 'Women's'를 제외하고 'Sungshin University'라는 교명 사용을 논의할 계획을 발표했다.[9]
2. 1. 설립 초기 (1936~1965)
1936년 4월 28일 리숙종이 '''성신여학교'''를 창립하였다. 1948년 6월 17일 리숙종은 재단법인 성신학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61년 7월 3일 조기홍이 학교법인 성신학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65년 1월 13일 대학기관인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승격 인가되었다.2. 2. 발전 및 성장 (1972~2006)
1972년 1월 28일 대학원이 설립되었고, 1979년 10월 18일 성신여자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9년 12월 5일 정보산업대학원이 설립되었다. 1981년 7월 31일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0월 20일 학과 신설 및 개편과 함께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이 신설되었다. 1982년 10월 5일 자연과학대학이 분리되고 가정대학(생활과학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3년 10월 29일 교육대학원이, 1988년 10월 29일에는 미술대학이 음악대학과 미술대학으로 분리되었다.1994년 10월 21일 산업대학원을 조형산업대학원(디자인대학원)과 정보산업대학원(문화산업대학원)으로 분리하였다. 1995년 3월 1일 평생교육원을 설립하고, 1997년 10월 25일 인적자원개발대학원을 설립하였다. 1999년 2월 12일 교육부의 종합대학평가에서 학부과정 "우수", 대학원 과정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2003년 9월 21일 미디어정보센터가 준공되었고, 12월 24일에는 "학사 및 업무 행정 시스템에 대한 ISO 9001:2000 인증"을 획득했다. 2004년 9월 18일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특성화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2005년 1월 20일 가족건강복지센터가 개관하고, 6월 30일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특성화 우수대학"에 2년 연속 선정되었다. 2006년 2월 20일 교육부 종합대학평가에서 학부과정 "우수", 대학원 과정 "우수" 평가를 받았고, 7월 25일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특성화 우수대학"에 3년 연속 선정되었다.
2. 3. 최근 (2007~현재)
2007년 3월 1일 간호대학이 설립되었다. 같은 해 8월 11일 심화진 박사가 제8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2008년 4월 15일 성신운정캠퍼스(성신여자대학교 제2캠퍼스) 건설 비전이 선포되었다. 2017년 2월 7일 심화진 총장이 학교 자금 횡령 혐의로 서울지방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수감되었다.[1] 2018년 1월 23일 김호성 총장이 남녀공학 전환과 남녀공학 체제 구축을 위해 영문 명칭에서 'Women's'를 제외하고 'Sungshin University'라는 교명 사용을 논의할 계획을 발표했다.[9]3. 캠퍼스
3. 0. 1. 수정캠퍼스
서울시 성북구 돈암동에 자리 잡고 있는 수정캠퍼스는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자연과학대학(일부), 지식서비스공과대학(일부), Health & Wellness College(일부), 뷰티생활산업국제대학(일부), 사범대학, 미술대학, 음악대학, 교양교육대학이 위치해 있다. 대부분의 수정인들이 이용하는 강의동인 성신관, 수정관, 난향관과 중앙도서관인 운정관, 음·미대생들의 음악관과 조형관, 2020년 9월 신축하는 기숙사 그리고 주요 행정부서가 위치한 행정관이 있다.3. 0. 2. 운정그린캠퍼스
운정그린캠퍼스는 2011년 3월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에 준공한 성신여자대학교의 제2캠퍼스이다. 건물면적 76,100m2, 대지면적 25,769m2의 크기이며, 수정캠퍼스로부터 5km 거리에 있다. 서울 시내의 2개 캠퍼스 시대를 열게 한 운정그린캠퍼스는 첨단의 교육시설은 물론 넓은 녹지를 품은 환경친화적 에코 캠퍼스(Eco-Campus)이다. 자연과학대학(일부), 지식서비스공과대학(일부), 간호대학, Health & Wellness College(일부), 뷰티생활산업국제대학(일부), 융합문화예술대학 등 6개의 단과대학 학과가 이곳에 있다.
성신여자대학교는 서울에 두 번째 캠퍼스를 설립하면서, 서울에 두 개의 캠퍼스를 가진 유일한 대학교가 되었다. 운정그린캠퍼스는 수정캠퍼스에서 5km 이내에 위치해 있다.
운정그린캠퍼스는 2010년 3월에 3개의 단과대학 건물과 1개의 공용 시설 건물로 개교했으며, 자연과학대학, 인문생태대학, 간호대학, 융합문화예술대학 등 4개의 단과대학이 있었다.
3. 0. 3. 대중교통
성신여자대학교는 교통 요지에 위치해 있으며, 두 캠퍼스 모두 주요 지하철역 근처에 있다. 북쪽으로 운행하는 우이신설 경전철 노선은 2017년에 개통되었으며,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과 연결된다.[2]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수정캠퍼스); 4호선 미아역(운정그린캠퍼스)
4. 학부
성신여자대학교는 10개의 단과대학과 45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5년제 학·석사 통합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문과대학
- 사회과학대학
- 법과대학
- 자연과학대학
- 생활과학대학
- 간호대학
- 사범대학
- 미술대학
- 음악대학
- 융합문화예술대학
5. 일반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는 10개의 단과대학, 45개 학과, 5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5년제 학사-석사 통합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석사 과정
성신여자대학교에는 46개의 석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 인문사회 계열
-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일어일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한문학과
- 사학과
- 미술사학과
- 법학과
- 정치외교학과
- 심리학과
- 지리학과
- 경제학과
- 경영학과
- 사회생활학과
- 교육학과
- 유아교육학과
-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사회복지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윤리학과
; 자연과학 계열
- 수학과
- 화학과
- 생물학과
- 컴퓨터학과
- 의류학과
- 식품영양학과 (임상영양사 전공 포함)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사 과정 포함)
- 미래응용과학과
; 예술·체육 계열
- 동양화과
- 서양화과
- 조소과
- 공예학과
- 판화과
- 산업디자인학과
- 음악학과 (성악·기악·작곡 전공)
- 반주학과
- 체육학과
; 협동 과정
- 여성학과
- 음악치료학과
; 박사 과정
성신여자대학교에는 26개의 박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 인문 사회 계열
-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한문학과
- 사학과
- 미술사학과
- 법학과
- 정치외교학과
- 심리학과
- 지리학과
- 경제학과
- 경영학과
- 사회학과
- 교육학과
- 유아교육학과
-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사회복지학과
; 자연 과학 계열
- 화학과
- 생물학과
- 컴퓨터학과
- 의류학과
- 식품영양학과
- 미래융합과학과
; 예술·체육 계열
; 석사·박사 통합 과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는 인문사회계, 자연과학계, 예체능계에 석사·박사 통합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인문사회계에는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미술사학과, 법학과, 정치외교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생활문화소비자학과, 사회복지학과가 있다. 자연과학계에는 화학과, 생물학과, 컴퓨터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미래융합과학과가 있다. 예체능계에는 음악학과(성악·작곡 전공), 체육학과가 있다.
5. 1. 석사 과정
성신여자대학교에는 46개의 석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인문사회 계열
-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일어일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한문학과
- 사학과
- 미술사학과
- 법학과
- 정치외교학과
- 심리학과
- 지리학과
- 경제학과
- 경영학과
- 사회생활학과
- 교육학과
- 유아교육학과
-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사회복지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윤리학과
; 자연과학 계열
- 수학과
- 화학과
- 생물학과
- 컴퓨터학과
- 의류학과
- 식품영양학과 (임상영양사 전공 포함)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사 과정 포함)
- 미래응용과학과
; 예술·체육 계열
- 동양화과
- 서양화과
- 조소과
- 공예학과
- 판화학과
- 산업디자인학과
- 음악학과 (성악·기악·작곡 전공)
- 반주학과
- 체육학과
; 협동 과정
- 여성학과
- 음악치료학과
5. 2. 박사 과정
성신여자대학교에는 26개의 박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인문 사회 계열
-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한문학과
- 사학과
- 미술사학과
- 법학과
- 정치외교학과
- 심리학과
- 지리학과
- 경제학과
- 경영학과
- 사회학과
- 교육학과
- 유아교육학과
-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사회복지학과
; 자연 과학 계열
- 화학과
- 생물학과
- 컴퓨터학과
- 의류학과
- 식품영양학과
- 미래융합과학과
; 예술·체육 계열
5. 3. 석사·박사 통합 과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는 인문사회계, 자연과학계, 예체능계에 석사·박사 통합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인문사회계에는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미술사학과, 법학과, 정치외교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생활문화소비자학과, 사회복지학과가 있다. 자연과학계에는 화학과, 생물학과, 컴퓨터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미래융합과학과가 있다. 예체능계에는 음악학과(성악·작곡 전공), 체육학과가 있다.6. 특수대학원
교육대학원에서는 국어교육, 영어교육, 역사교육, 수학교육, 사회교육, 유아교육, 미술교육, 음악교육, 상담심리, 영양교육 전공을 운영한다.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융합디자인예술학과는 멀티미디어아트, 공공미술, 메이크업·특수분장, 융합디자인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산업대학원 문화산업학과는 스마트폰콘텐츠, Arts Management, 항공서비스경영, CP&M, 전통문화콘텐츠 전공을 운영한다. 평생복지대학원에서는 건강복지학과 피부·비만관리 전공, 보육학과 보육학 전공을 운영한다.
7. 부속 기관 및 연구소
성신여자대학교의 부속 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 박물관, 출판부, 평생교육원, 교수학습지원센터가 있다. 학보사(신문사), MIRROR사(영자 신문사), 방송국, 성신건강관리센터, 학생생활관, 중앙기기실, 학생생활상담소, 성폭력상담실, 체육부, 방송영상저널리즘스쿨, SWANS센터, 보건소, Brickwall Sound(음향 스튜디오)도 부속 기관에 포함된다.
== 연구소 ==
성신여자대학교에는 인문과학연구소, 한국지리연구소, 기초과학연구소, 생활문화연구소, 교육문제연구소, 조형연구소, 경영연구소, 한국여성연구소, 법학연구소, 동아시아연구소, 건강과학연구소, 자율연구소, 문화산업연구소, 비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소 등이 있다.
7. 1. 부속 기관
성신여자대학교의 부속 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 박물관, 출판부, 평생교육원, 교수학습지원센터가 있다. 학보사(신문사), MIRROR사(영자 신문사), 방송국, 성신건강관리센터, 학생생활관, 중앙기기실, 학생생활상담소, 성폭력상담실, 체육부, 방송영상저널리즘스쿨, SWANS센터, 보건소, Brickwall Sound(음향 스튜디오)도 부속 기관에 포함된다.7. 2. 연구소
성신여자대학교에는 인문과학연구소, 한국지리연구소, 기초과학연구소, 생활문화연구소, 교육문제연구소, 조형연구소, 경영연구소, 한국여성연구소, 법학연구소, 동아시아연구소, 건강과학연구소, 자율연구소, 문화산업연구소, 비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소 등이 있다.8. 특별 프로그램
성신여자대학교는 2011년부터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군인으로 임용되기를 희망하는 여성을 위한 학군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 숙명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세 여자대학교에서는 2016년에 총 90명의 학생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4]
9. 논란
성신여자대학교 창립자 이숙종의 손녀인 심화진은 2007년부터 두 임기 동안 총장으로 재임했다. 그녀가 세 번째 임기로 다시 총장으로 선출되어 임기가 2019년까지 연장되려 하자, 대학교 학생회 소속 학생 4명은 심화진이 학교 자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이로 인해 2016년 1월 정학 처분을 받았다.[5] 학생들은 정학 처분을 무효화하기 위한 소송에서 승소하여 10월에 처분은 취소되었다.[5] 한편, 탐사 보도 기자들은 유명 인사의 딸이 평가 과정에서 부정행위를 통해 성신여자대학교에 입학했고,[6] 심화진의 친척 중 한 명이 표절된 논문을 사용하여 전임강사로 임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7]
심화진은 횡령 혐의로 기소되었고, 2017년 2월 7일 서울북부지방법원은 심화진이 학교 자금 3억 7800만 원을 횡령했다고 판결하며 유죄를 선고했다.[1] 그녀는 총장 직에서 해임되었고, 2월 20일 5천만 원의 보석금을 내고 석방되기 전까지 9일 동안 수감되었다.[8] 김호성이 심화진의 뒤를 이어 성신여자대학교 총장이 되었다.[9]
10. 저명한 동문
- 심화진, 2007–2017년 총장
- 김혜선 (기상캐스터)
- 이지애
- 이세영[10] (배우)
- 김윤아 (가수) - 중퇴 후 명예 학위 취득[11]
- 구하라[10] (배우, 가수)
- 공승연[12] (배우)
- 효린[13] (가수)
- 윤채경[14] (가수)
- 서경덕은 조경학자이자 한국 민족주의 활동가이다.
- 장미란은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남현희는 2008년 하계 올림픽 펜싱 여자 플뢰레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성신여자대학교 출신 인물로는 배우 공승연, 구하라, 이세영, 신도현 등이 있다.[10][12] 가수로는 카라의 구하라, 키메라, 자우림의 김윤아, 씨스타의 효린과 소유, 여자친구의 유주, 에이프릴의 김채원, 아이비아이 및 씨아이브이에이의 윤채경 등이 있다.[13][14] 김윤아는 중퇴 후 명예 학위를 취득했다.[11]
10. 1. 학계
서경덕은 조경학자이자 한국 민족주의 활동가이다.10. 2. 정치 및 사회
wikitext10. 3. 스포츠
- 장미란은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남현희는 2008년 하계 올림픽 펜싱 여자 플뢰레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0. 4. 연예계
성신여자대학교 출신 인물로는 배우 공승연, 구하라, 이세영, 신도현 등이 있다.[10][12] 가수로는 카라의 구하라, 키메라, 자우림의 김윤아, 씨스타의 효린과 소유, 여자친구의 유주, 에이프릴의 김채원, 아이비아이 및 씨아이브이에이의 윤채경 등이 있다.[13][14] 김윤아는 중퇴 후 명예 학위를 취득했다.[11]11. 국제 교류
성신여자대학교는 일본 내 여러 대학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11. 1. 일본 협정교
12.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Sungshin Women's Univ. president jailed for embezzlement
https://www.koreatim[...]
2017-02-08
[2]
웹사이트
Ui-Sinseol Light Rapid Transit line opens in Seoul
http://www.metro-rep[...]
2017-09-04
[3]
웹사이트
Military at crossroads on female soldiers
http://www.koreahera[...]
2016-04-08
[4]
웹사이트
Defector becomes first North Korean to join ROTC
http://koreajoongang[...]
2016-11-05
[5]
웹사이트
'총장 비리의혹 제기' 성신여대 학생들, 징계 무효소송 승소
http://www.yonhapnew[...]
2016-10-30
[6]
웹사이트
나경원 의원 딸, 대학 부정 입학 의혹
https://newstapa.org[...]
2016-03-17
[7]
웹사이트
성신여대 총장, '표절의혹' 친인척 교수 채용
https://newstapa.org[...]
2016-03-17
[8]
웹사이트
Sungshin Women's University chief out on bail
https://www.koreatim[...]
2017-02-21
[9]
웹사이트
Sungshin students protest school's co-ed plan
https://www.koreatim[...]
2018-01-23
[10]
뉴스
구하라·이세영·민지원, 성신여대 3대 퀸카답네 ‘눈부신 미모’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13-01-09
[11]
뉴스
자우림 김윤아 성신여대 명예학사 학위 받는다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17-02-22
[12]
뉴스
[단독]여자친구 소원, 성신여대 장학금 받는다.."좋은 성적으로 입학"
http://star.mt.co.kr[...]
star.mt.co.kr
2016-02-26
[13]
뉴스
씨스타 효린·소유, 성신여대 입학홍보 나서
http://www.asiae.co.[...]
アジア経済
2014-12-17
[14]
뉴스
【PHOTO】April チェウォン&チェギョン、大学の入学式に出席“華の女子大生になりました”
https://news.kstyle.[...]
Kstyle
2017-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