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경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경덕은 1489년에 태어나 1546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그는 스승 없이 학문을 연구하여 독창적인 철학을 발전시켰으며, 기(氣)를 중심으로 하는 유물론적 사상을 제시했다. 그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으며, 만년에 황진이와 교류하며 송도삼절로 불리기도 했다. 그의 저서인 《화담집》은 조선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기론, 실천 중심론, 생사일여론 등의 사상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성 서씨 - 서남수
    서남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교육 관료로 활동하며 교육부 장관, EBS 이사장을 역임했고,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부적절한 처신으로 비판을 받았다.
  • 조선의 도학자 - 정구 (1543년)
    정구는 조식과 이황에게 학문을 배우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왕사부동례를 창시하고 허목 등을 배출하며 예학 발전에 기여했다.
  • 조선의 도학자 - 남근 (1556년)
    남근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임진왜란 이후 이순신 탄핵에 가담하고 광해군 치세 동안 권세를 누렸으나 인조반정 이후 유배된, 1560년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승진했지만 불미스러운 일들과 인목대비 폐비 논의 가담 등으로 비판받는 광해군 시대의 권신이다.
서경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경덕의 초상
서경덕의 초상
본관당성
가구(可久)
복재(復齋), 화담(花潭)
시호문강(文康)
생애
출생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개성부
사망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58세)
사망지조선 경기도 개성부
사인병사
학력
학력독학 후 1531년 생원시에 장원 급제
관직
주요 직책조선 경기도 개성부 송도 태수
임기1542년 2월 18일 ~ 1546년 7월 7일
가족
배우자이씨
자녀아들 서응기(徐應麒)
아버지서호번(徐好蕃)
어머니한씨(韓氏)
친인척이계종(장인)
사상 및 학문
분야성리학
정치 성향동인 잔존 후예 중 북인

2. 생애

서경덕은 개성에서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고학하여 1531년 과거의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40년 대제학 김안국에 의해 "유일의 선비"로 추천받았지만, 평생 벼슬하지 않고 제자를 양성했다. 북송장횡거, 소강절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남송 주자학의 이원론에 반대하고, 조선 최초로 기일원론의 유물론(무신론)적이고 변증법적인 철학을 확립했다.

그의 저술로는 《화담집》, 기의 근원에 대한 《원기》, 기의 작용을 다룬 《이기설》, 무로서의 기를 설명한 《태허설》, 영혼의 정신과 생사(生死)를 논한 《귀신사생론》 등이 있다.

2. 1. 생애 초반

개성에서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고학하여 1531년 과거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40년 대제학 김안국에 의해 "유일의 선비"로 추천받았지만, 평생 벼슬하지 않고 제자를 양성했다. 어릴적 우물에 빠질 뻔 한 적이 있었는데, 3대째 독자였던 그를 애지중지 키우던 집안 어른들은 해마다 그 날을 기념하여 마을 잔치를 벌이기도 했다.[7]

2. 1. 1. 출생과 가계

1489년 음력 2월 17일 개성 화정리(禾井里)에서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서호번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보안 한씨(保安韓氏)이다. 본관은 당성(唐城)으로 자는 가구(可久), 호는 복재(復齋) 또는 화담(花潭)이다. 그의 선조들은 대대로 풍덕군에 살았다. 증조부 서득부(徐得富)는 관직이 없었고, 할아버지 서순경(徐順卿)은 진용교위(進勇校尉) 부사용을 지냈다. 아버지 서호번이 개성에 사는 보인 한씨에게 장가들면서 개성으로 이주했다 한다. 할아버지 서순경과 아버지 서호번은 하급 무사였고, 그의 가계는 빈한하였으나, 그가 학문적으로 성취를 하면서 가세를 일으켰다. 어머니 한씨가 공자(孔子)의 사당에 들어가는 꿈을 꾸고 잉태하여 그를 낳았다고 한다.

기억력이 뛰어났고, 일찍부터 말과 글을 누가 가르치지 않았는데도 스스로 터득해서 쓰기 시작하였다. 나이 7∼8세에 이르자 총명하고 영특하여 어른의 말을 공경히 받들었다. 그 뒤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한 것이 전부였고, 스승 없이 스스로 학문 연구와 사색에 몰두하였다.

그는 영특하였으나 가계가 빈곤하여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다가 14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처음으로 유학 경전인 상서를 접할 수 있었다고 한다.[7] 1502년(14세) ≪서경≫을 배우다가 태음력의 수학적 계산인 일(日) 월(月) 운행의 도수(度數)에 의문이 생기자 보름 동안 궁리하여 스스로 해득하였다.

2. 1. 2. 청소년기

그가 상서를 공부할 때 서당의 훈장은 '선생도 잘 알지 못하는 것을 홀로 깊이 생각하여 15일 만에 알아내고 말았으니 너는 상서를 사색으로 깨우친 것이다'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7] 어느 날 그의 어머니가 밭에 나가 푸성귀를 좀 뜯어오라고 하자, 그는 광주리의 반도 차지 않을 정도의 푸성귀만 가지고 돌아왔다. 어머니가 푸성귀를 제대로 뜯지 못한 연유를 물으니,[7] 그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새가 땅에서 하늘을 날아오르는 것을 보고 하루 종일 그 이유만을 생각하다가 그만 푸성귀 뜯는 일을 잊어버렸습니다.|새가 땅에서 하늘을 날아오르는 것을 보고 하루 종일 그 이유만을 생각하다가 그만 푸성귀 뜯는 일을 잊어버렸습니다.중국어[7]

이는 화담집 서문에 나오는 이야기로, 그의 엉뚱한 일면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향후 그가 전개해나가는 독특한 학문 수행 방법의 모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는 밭에 나가 일을 하다가도 서산에 해가 넘어가는 것이나 비 또는 바람이 부는 것을 멍하니 바라보며 그것이 왜 그렇게 되는가에 대해 깊이 의문을 품었다. 해가 뜨고 지는 이유, 비가 오고 날이 맑은 것, 바람이 부는 이유, 사람이 태어나고 죽는 것, 산 사람과 시체의 차이점 등에 대해 깊이 사색하고 서적들을 찾아 연구, 규명하려 하였다.

18세 때 ≪대학≫의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조를 읽다가 “학문을 하면서 먼저 격물을 하지 않으면 글을 읽어서 어디에 쓰리오!”라고 탄식하고, 천지만물의 이름을 벽에다 써 붙여 두고 날마다 궁구(窮究)하기를 힘썼다. 19세에 태안 이씨(泰安李氏) 선교랑(宣敎郎) 이계종(李繼從)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2. 2. 청년기

젊어서 적극적이던 학습 방법과 지나친 독서 및 사색 탓으로 과로에 지쳐 다시는 책을 손에 잡을 수 없을 만큼 몸을 상했고, 이 때문에 21세 때에는 어쩔 수 없이 학업을 포기하고 1년여 동안 전국의 명산을 돌아다니며 건강을 회복하는데 주력해야만 했다.[8] 수 년간 요양한 뒤 개성에 돌아와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31세 때 조광조 등에 의해 채택된 현량과(賢良科)에 응시하도록 수석으로 추천을 받았으나 사양하고 개성 오관산(五冠山) 화담(花潭)에 서재를 세우고 연구와 교육에 더욱 힘썼다. 그는 조광조 등이 실패할 것을 예견하였는데 기묘사화조광조, 김정 등은 몰락하게 된다.

1522년 그는 다시 병의 치료를 위해 속리산, 지리산 등의 명승지를 다니기도 했다. 이때 만난 조식, 성운 등 같은 당대의 학자들을 만나 교류하였고, 기행시(紀行詩)들을 남겼다.

2. 3. 학문 활동

서경덕은 당대 훌륭한 학자로, 제자 중에는 유명한 기생 황진이가 있었다. 서경덕은 황진이를 위해 시조를 짓기도 했다.[3]

그의 작품으로는 저술 모음집인 《화담집》, 기의 근원에 대한 《원기》, 기의 작용을 다룬 《이기설》, 무로서의 기를 설명한 《태허설》, 영혼의 정신과 생사(生死)를 논한 《귀신사생론》 등이 있다.

개성 출신인 서경덕은 한미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고학하여 1531년 과거 생원시에 합격했다. 1540년 대제학 김안국에게 "유일의 선비"로 추천받기도 했지만, 평생 벼슬하지 않고 제자를 양성하는 데 힘썼다. 북송 장횡거, 소강절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남송 주자학의 이원론에 반대하고, 조선 최초로 기일원론의 유물론(무신론)적이고 변증법적인 철학을 확립했다.

2. 3. 1. 은거와 학문 연구

그 뒤 학문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였으나 1531년(중종 26) 어머니의 요청으로 생원시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나, 대과와 벼슬을 단념하고 더욱 성리학 연구에 힘썼다.[8] 그 후 부모의 상을 당하자 여막을 짓고 생활하며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당시 3년상이 통례였으나, 3년상이나 3년복을 하지 않고 1년복으로 끝내는 일도 허다하였다. 중종실록의 평에 의하면 그의 시묘살이는 세인들을 감복시켰다고 한다.

1543년(중종 38년) 중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하자, 다들 신왕의 즉위를 기뻐하였으나 서경덕만 홀로 새 왕의 수명이 길지 못할 것을 예상하고 슬퍼하며 눈물을 흘리니 사람들이 이를 기이하게 여겼다. 당시에 국상에도 3년상과 3년 상복을 입도록 되어 있었으나 당대의 선비들, 관료들은 상복을 입지 않고 다만 흰 갓과 백의를 3년 동안 걸쳤다. 그러나 서경덕은 "임금의 상에 어찌 상복이 없어야 하겠느냐"며 자최(齊衰) 3월간 상복을 입었다. 신도비문에 의하면 중종의 3개월 상을 치르는 동안, 그는 병을 얻었다고 한다.

1544년(인종 1년) 5월 1일 김안국 등 일부 관료들과 성균관 유생들이 그를 학행으로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추천하여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계속 화담에 머물러 연구와 교육에 몰두하였다. 그러나 김안국, 이언적 등은 그를 후릉참봉에 임명했고, 그는 한사코 부임하지 않아 그해 6월 6일 해임되었다. 특히 예학에 밝았으며, 중종과 인종이 죽자 “임금의 상(喪)에 어찌 복(服)이 없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여 자최삼월(齊衰三月)의 복을 입었다.

동시대인인 중종 때의 조광조, 김정 등과 인종 때의 이언적 등이 현실정치에 적극 진출하여 문제해결을 하려고 한 반면, 그는 이것을 모두 공리공담으로 보고 수신과 제가, 학문연구에 치중, 전념하였다.

그가 이처럼 은거생활을 고집하고 있었던 것은 시대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 그가 살았던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중엽은 사회가 심한 혼란기에 있었고, 정치적으로도 사림과 훈척 세력의 대립이 극으로 치닫고 있었다.[8] 관료와 지주 계급은 토지 겸병과 사치 행각을 일삼았고, 이로 인해 농민들은 계속해서 토지를 상실해갔다.[8] 그는 관직 출사나 속된 시류와의 타협을 거부하는 대신 학문 연구와 교육으로 사회에 기여하리라 다짐하였다.

2. 3. 2. 사회 불안과 학문적 성취

1545년(인종 2년) 7월 인종이 사망하자 자최 3년복을 입었다고 한다.

중종 때 조광조 일파나 온건파인 김안국 일파, 남곤 일파 등이 여러 번 그를 초빙하려 하였지만, 그는 나보다 덕망 높은 인재들이 많은데 어찌 내가 나가느냐며 모두 거절하였다. 혼란한 시대의 사회적 불안은 그를 결코 불행으로 몰고 가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는 사회에 나가지 않고 은둔을 고집한 덕분에 독보적인 학문적 업적을 쌓을 수 있었고, 학문 수행의 결과물인 화담집 같은 저작들은 후대 조선성리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수 있었다.[9]

만년에 천하의 명기이자 시인황진이와 함께 자연을 향유하면서도 선비로서의 인격을 잃지 않는 고고한 학자로써 이름을 떨칠 수 있었다.[9] 사람들은 그와 황진이, 박연폭포를 일러 송도삼절이라 불렀다.[9]

그는 조선의 많은 성리학자나 양명학, 실학 등 유학자들을 통틀어 스승이 없는 몇 안 되는 특이한 인물로 기록된다. 그는 겨우 서당에서 한문을 깨우치는 정도의 교육밖에 받지 못했다.[9] 그의 스승은 자연과 책뿐이었다. 그 때문에 서경덕은 기존의 유학자들과는 달리 아주 독특하고 진귀한 학문적 업적을 일궈낼 수 있었다.[9]

2. 4. 생애 후반

개성에서 태어난 서경덕은 한미한 집안 출신이었으나, 어려서부터 고학하여 1531년 과거의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40년 대제학 김안국에게 "유일의 선비"로 추천받았으나, 평생 벼슬하지 않고 제자 양성에 힘썼다. 그는 북송 장횡거소강절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남송 주자학의 이원론에 반대하고, 조선 최초로 기일원론의 유물론적이고 변증법적인 철학을 확립했다.

2. 4. 1. 말년

만년에는 황진이, 대곡 성운 등 소수의 인물들과 교류하며 시문으로 소일하였다. 또한 허엽 등 소수의 제자들에게 자신의 철학을 구술하여 기록하게 했다. 조선 각지의 명승지를 다니며 경치를 구경하며 풍류를 즐기기도 했다.[10]

조선 중종, 명종 때의 기생 황진이는 당대 최고의 은둔학자였던 서경덕을 유혹하기도 했다.[10] 그러나 황진이는 서경덕을 유혹하는 데는 실패하고, 오히려 그의 학문과 고고한 인품에 매료되어 사제 관계를 맺기도 한다.[10]

그의 문인으로는 허엽, 박순, 민순, 박민헌, 고경허, 신응시, 황진이 등이 배출되었다. 문인의 한 사람인 신응시는 훗날 '오관산 아래 화담 위에 대그릇 / 밥 한 평생 가난을 즐겼네. / 오도가 떨어지지 않아 선각이 되었는데 / 성대에 불행히 일민으로 마쳤네 / 고도 당시에 고사를 흠앙하였더니 / 오늘 지하에 덕인을 매장하였네 / 유명에 알려 그 포증 두루하니 / 아! 백골에도 성은이 젖었어라.' 하며 그를 추모하는 시를 한 수 남겼다.

2. 4. 2. 최후

1546년 (명종 1년) 개성에서 58세로 세상을 떠났다.[1]

3. 사후

1567년(명종 22년) 2월호조좌랑(戶曹佐郞)에 추증되었다.[1]

그 뒤 선조 때인 1575년의정부우의정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의정부좌의정에 추서되었다.[1] 문묘 종사 후보자로까지 올랐으나 그의 사상에 도가적 색채가 일부 가미되어있어 거절되었다.[1] 허엽 등이 꾸준히 서경덕의 문묘 종사를 상소하자 선조는 불쾌감을 드러내며 우의정도 과한데 정몽주와 같은 자리에 놓을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1] 1585년에는 신도비가 세워지고, 개성의 숭양서원, 화곡서원 등지에 제향되었다.[1]

그의 문하생들은 대체로 붕당 출현 이후 허엽, 박순 등을 따라 동인이 되었다가, 동인의 남북 분당 이후 북인이 되었고, 북인1623년(광해군 15) 인조 반정으로 정계에서 완전히 몰락하면서 그의 사상은 평가받지 못하였다.[1] 그러나 그의 학맥 중 일부는 남인으로 계승되었다.[1] 제자인 민순(閔純)의 문인은 윤효전한백겸 등인데, 윤효전은 백호 윤휴의 아버지였다.[1] 또 다른 제자는 박지화의 문인인 허교(許喬)로 그는 허목의 아버지였다.[1]

4. 저서


  • 화담집
  • * 〈섹알기〉
  • * 〈원이기〉
  • * 〈이기설
  • * 〈태허설〉
  • * 〈귀신사생론〉
  • 화담집》(화담집|花潭集한국어) - 서경덕의 저술 모음집이다.
  • 《원이기》(원이기|原理氣한국어) - 기의 근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이기설》(이기설|理氣說한국어) - 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 《태허설》(태허설|太虛說한국어) - 무로서의 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귀신사생론》(귀신사생론|鬼神死生論한국어) - 영혼의 정신과 생사(生死)에 대해 다룬다.

5. 사상과 신념

서경덕은 당대 훌륭한 학자였다. 그는 제자 중 유명한 기생 황진이를 두었으며, 그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조를 썼다.[3]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萬重雲山)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귄가 하노라|내 마음이 어리니
하는 일이 모두 어리석다.
구름 속에 멀리 떨어진 산에
그 누가 나를 찾아오려나.
지는 잎이 바람에 흩날리니
혹시 그대인가 하노라.한국어

그의 저술로는 《화담집》, 기의 근원에 대한 내용을 담은 《원기》, 기의 작용을 다룬 《이기설》, 무로서의 기를 설명한 《태허설》, 영혼의 정신과 생사를 논한 《귀신사생론》 등이 있다.

5. 1. 실천 중심론

서경덕은 실천과 직접 연구, 탐구를 통해 진리를 알아낼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진리는 누군가 알려주는 것이 아니며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18세 때 대학의 '격물치지' 장을 읽고 크게 깨달은 바가 있어 눈물을 흘리면서 "학문을 하는데 먼저 격물을 하지 않는다면 책은 읽어서 어디에 쓰겠는가."라고 중얼거렸다. 그 뒤부터는 세상의 모든 사물들의 이름을 써서 풀로 벽에 붙여놓고, 날마다 그것을 하나하나 규명하는 것을 일로 삼았다.[11]

이 기록은 그가 얼마나 실험적이고 과학적인 인간인가를 잘 보여주며, 평생 동안 추구했던 유물론적 주기철학의 방법론이 무엇이었는지를 알려준다.[8]

5. 2. 생사일여론(生死一如論)

그는 기와 이가 둘이 아닌 하나이며 기가 곧 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사람이나 생명이 살아있을 때는 기가 있고 죽었을 때는 그 기가 빠져나가는 것이며, 다만 육체에서 기가 빠져나갔지만 기는 소멸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의 학문적 요체는 끊임없는 사색에 있었다. 그는 물질의 힘이 영원하다고 믿었으며, 물질의 분리는 단순히 형체의 분리이지 힘의 분리는 아니라고 생각했다.[9] 그것은 곧 서구의 물리학에서 말하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과 비교되고 있다.[9] 그는 심지어 죽음 조차도 생물에게 일시적으로 머물러 있던 기(에너지)가 우주의 기에 환원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말하자면 생사일여(生死一如)를 주장함으로써 우주와 인간, 우주와 만물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이론을 정립시켰던 것이다.[9] 그의 이 같은 독특한 학문과 사상은 이황이이 같은 학자들에 의해 그 독창성을 인정받아 조선 기 철학의 중심으로 자리하게 된다.[9]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기 철학자인 최한기는 그의 학문을 사숙하였다.

6. 가족 관계

항목내용
조부서순경(徐順卿)
아버지서호번(徐好蕃)
어머니보안 한씨(保安韓氏)
동생서숭덕(徐崇德)
부인태안 이씨(泰安李氏) (이계종의 딸, ? - 1561년 1월 7일)
아들서응가(徐應暇), 서응기(徐應麒)
손자서우신(徐佑申)
손녀당성 서씨, 당성 서씨, 당성 서씨, 당성 서씨
손녀사위임련(任鍊), 이응조(李應祚)
당성 서씨
사위유경담(柳景湛)
외손자유익(柳益)
외손녀유씨, 유씨
외손녀사위윤복(尹福), 강호선(康好善)
이름 미상
서자서응봉(徐應鳳), 서응구(徐應龜)
서손자서춘학(徐春鶴), 서운학(徐雲鶴)


7. 평가

서경덕은 만물의 이치를 이해하고자 한 철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역사학자 이덕일은 저서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에서 서경덕의 이기설(理氣說)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유물론의 원류로 평가받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서경덕은 황진이, 박연폭포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릴 만큼 유명하다.

서경덕은 시인으로도 활동했는데, '조용하고 온화한 것을 즐겨 많은 사람들이 사모했고, 지은 시도 자유롭고 안서(安舒)하여 강절(康節)의 기풍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8. 기타

서경덕은 유교 성리학에 얽매이지 않고 도교적인 사상도 일부 받아들였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그를 이단이라며 공격하기도 했다.[12]

한때 김종직의 문인이며 좌의정영의정을 지낸 이기가 그를 찾아와 학문을 논하였으나 그는 이기의 학문을 인정하지 않았고, 화가 난 이기는 대놓고 노기를 드러냈다고도 한다.[12]

9. 제자

10. 대중문화

영화 《전우치》에서 빌런으로 묘사된다.

참조

[1] 문서 In Lunar Calendar, Seo was born on 17 February 1489 and died on 7 July 1546
[2] 웹사이트 화담 서경덕(徐敬德)의 기(氣) 철학 https://kisslog.tist[...] 2014-04-03
[3] 간행물 Sijo Poetry of Korean Kisaeng https://sites.google[...] Hangul Herald 2008
[4] 웹사이트 서경덕(徐敬德) http://encykorea.aks[...] 2023-01-12
[5] 뉴스 唐城 徐氏 (당성 서씨) http://www.jokbo.re.[...] 부천족보전문도서관
[6] 웹사이트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http://gsm.nricp.go.[...]
[7]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8]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9]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0]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1]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2] 기사 영부사 이기의 졸기 1552-04-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