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산 및 에레츠 이스라엘 신앙 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전산 및 에레츠 이스라엘 신앙 운동은 1967년 게르손 살로몬에 의해 설립된 단체로, 유대인의 성전산 장악을 주장하며, '성전산 신앙인'으로 불린다. 1970-80년대에 활발히 활동했으며, 초기에는 국가주의적 상징성을 강조했으나, 이후 종교적 색채를 띠며 종말론적 사상을 갖게 되었다. 1990년 성전산에 제3성전 주춧돌을 놓으려다 폭동이 발생, 살로몬의 성전산 출입이 금지되었다. 1987년 정통파 유대교와의 갈등으로 분열되었으며, 현재는 종말론적, 구원론적 사상을 중심으로 성전 재건을 목표로 한다. 이스라엘 법 체계 내에서 활동하며, 기독교 근본주의 단체와 연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다. 창시자 게르손 살로몬은 202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통파 유대교 - 이갈 아미르
이갈 아미르는 극우 유대인으로, 1995년 이스라엘 총리 이츠하크 라빈을 암살한 범죄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논쟁적인 인물이다. - 정통파 유대교 - 하브루타
하브루타는 유대교에서 두 학생이 짝을 이루어 토론과 질문을 통해 토라를 연구하는 학습 방식으로, 집중력 향상, 추론 능력 강화, 타인 존중심 함양 등의 효과가 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성전산 - 예루살렘 성전
예루살렘 성전은 고대 유대교의 중심 성전으로, 솔로몬 왕의 제1성전과 재건된 제2성전을 의미하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유대교는 제3성전 건설 예언을 믿는다. - 성전산 - 1990년 성전산 폭동
1990년 성전산 폭동은 예루살렘 성전산에서 유대교 단체의 초막절 행사 강행 시도와 이슬람교 측의 반발로 이스라엘 경찰과 팔레스타인인 간에 발생한 충돌로, 이스라엘 경찰의 실탄 사용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성전산 및 에레츠 이스라엘 신앙 운동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정치 조직 |
창립 | 1967년 |
위치 | 예루살렘 |
이념 | 유대교 시오니즘 |
목표 | 성전산에 세 번째 예루살렘 성전 건설 |
활동 | 성전산에서 종교 의식 수행 시도, 이스라엘 영토 확장 옹호 |
추가 정보 | |
기타 명칭 | 성전산 신앙 운동 성전산 및 에레츠 이스라엘 신앙 운동 히브리어: נאמני הר הבית וארץ ישראל (Ne'emanei Har HaBayit VeEretz Yisrael) 히브리어: נאמני הר הבית (Ne'emanei Har HaBayit) 영어: Temple Mount and Eretz Yisrael Faithful Movement |
설명 | 예루살렘에 기반을 둔 정통 유대교 운동 |
2. 역사
성전산 신앙 운동은 1967년 게르손 살로몬에 의해 창설되어,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유대인의 성전산 장악을 주장하며 활동했다. 초기에는 국가주의적 상징성을 강조했지만, 점차 종교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 1990년에는 1990년 성전산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종교적 견해 차이로 인해 분열되기도 하였다.
2. 1. 창립과 초기 활동 (1967년 ~ 1980년대)
성전산 신앙 운동은 1967년 전 이스라엘 방위군 장교이자 중동학 연구원인 게르손 살로몬이 창립하였다.[1] 이 운동의 구성원은 '성전산 신앙인'으로 불렸다.[15][16]성전산 신앙 운동은 유대인의 성전산 장악을 주장한 최초의 단체였으며,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다. 활동 초기에는 운동의 목표를 종교적인 관점보다는 국가주의적인 상징적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1983년 살로몬은 한 인터뷰에서 "성전산을 통치하는 자가 이스라엘의 땅을 통치할 권리가 있다"고 언급하였다.[19]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살로몬은 종교적 색채를 띤 종말론적 및 구원론적 사상을 갖게 되었으나, 이는 정통파 유대교의 내용과는 크게 달랐다. 1987년 정통파 유대교 파벌과의 갈등으로 인해 공식적으로 운동이 분열되었고, 더 강한 종교성을 띈 '성전 설립 운동'이 설립되었다.[20] 이후 유대교 과격파 내에서 성전산 신앙 운동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으나, 현재도 어느 정도의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21]
2. 2. 1990년 성전산 폭동
1990년 10월 8일, 성전산 신앙 운동이 성전산에 제3성전의 주춧돌을 놓겠다고 발표하면서 1990년 성전산 폭동이 발생했다.[17][4]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 국경 경찰의 진압으로 팔레스타인인 17명이 사망했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17][4] 폭동 이후, 경찰은 게르손 살로몬의 성전산 출입을 금지했으며, 이에 반발해 살로몬이 제기한 소송은 이스라엘 대법원에 의해 기각되었다.[18][5]2. 3. 종교적 변화와 분열 (1980년대 후반 ~ 현재)
1980년대 후반, 게르손 살로몬은 종교적, 종말론적, 메시아적 사상을 발전시켰지만, 이는 정통파 유대교와는 크게 달랐다.[20] 이러한 변화는 정통파 유대교 파벌과의 갈등을 야기했고, 결국 1987년 성전산 신앙 운동은 공식적으로 분열되어, 더 강한 종교성을 띈 '성전 설립 운동'이 새롭게 설립되었다.[20]이후 유대교 과격파 내에서 성전산 신앙 운동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지만, 현재까지도 어느 정도의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다.[21]
3. 활동
성전산 신앙 운동은 시위 성격을 띠지만, 이스라엘 사법 체계 안에서 활동한다. 이들은 종말론 및 구원론적 사상을 중심으로 성전 재건을 주요 목표로 삼고, 기독교 근본주의 단체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24] 주요 유대교 행사일에 성전산 진입을 시도하지만, 이스라엘 경찰과 법원에 의해 제지당한다.[23]
3. 1. 이스라엘 법 체계 내 활동
성전산 신앙 운동은 시위 성격을 띠지만, 일부 유대교 과격파와 달리 이스라엘 사법 체계 안에서 활동하는 것을 지향한다.[22] 이들은 주요 유대교 행사일 직전 이스라엘 경찰에 성전산 진입 및 기도 행사 주최를 신청하지만, 경찰은 보안상의 문제를 이유로 계속 불허하고 있다. 이에 이스라엘 고등 법원에 탄원이 이어졌고, 고등 법원은 입장 자체는 허가하되 기도 행사는 불허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경찰 대표단이 입장 자체는 보안상 허용 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3] 그럼에도 경찰은 여전히 보안 문제를 이유로 부정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성전산 신앙 운동은 분문에서 시위를 진행하며 성전산 진입 직전에 경찰에 제지당한다.[23]3. 2. 주요 목표
근래에 게르손 살로몬은 성전산 신앙 운동의 활동 방향을 종말론적 및 구원론적 사상을 중심으로 옮겼으며, 성전의 재건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24]3. 3. 기독교 근본주의 단체와의 관계
근래에 성전산 신앙 운동은 기독교 근본주의 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11][24] 미국 등 몇몇 국가의 기독교 단체에게서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다.[12][13][25][26] 이러한 국제적 연대는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4. 게르손 살로몬
게르손 살로몬은 이스라엘 방위군 장교이자 중동 연구원이었다. 그가 1967년에 설립한 성전산 및 에레츠 이스라엘 신앙 운동의 구성원은 '성전산 신앙인'으로 불린다.[15][16]
1990년 10월 8일, 성전산 신앙 운동이 성전산에 제3성전의 주춧돌을 놓겠다고 발표하면서 1990년 성전산 폭동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 국경경찰의 진압으로 팔레스타인인 17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7] 폭동 이후, 경찰은 살로몬의 성전산 출입을 금지하였으며, 이에 반발한 살로몬의 소송은 이스라엘 고등 법원에서 기각되었다.[18]
성전산 신앙 운동은 유대인의 성전산 장악을 주장한 최초의 단체였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활동 초기에는 운동의 목표를 종교적인 관점보다는 국가주의적인 상징적 관점으로 제시했다. 1983년 살로몬은 한 인터뷰에서 "성전산을 통치하는 자가 이스라엘의 땅을 통치할 권리가 있다"고 언급하였다.[19] 시간이 흐르면서 살로몬은 종교적 색채를 띈 종말론적 및 구원론적 사상을 갖게 되었으나, 이는 정통파 유대교의 내용과는 크게 달랐다. 1987년 정통파 유대교 파벌과의 갈등으로 인해 공식적으로 운동이 분열되었고, 더 강한 종교성을 띈 '성전 설립 운동'이 설립되었다.[20] 이후 유대교 과격파 내에서 성전산 신앙 운동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으나, 현재도 어느 정도의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21]
4. 1. 사망
גרשון סלומון|게르손 솔로몬he은 2022년 11월 23일에 사망했다.[14] 그는 수년간 성전산 출입이 금지되었지만, 생애 마지막 해에 한 차례 방문이 허용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Status of Jerusalem
https://www.un.org/u[...]
1997-01-01
[2]
서적
Inbari, p. 79, p. 81
[3]
서적
Dumper, p. 55
[4]
서적
Inbari, p. 80
[5]
서적
Ramon, p. 307
[6]
서적
Don-Yehiya, p. 280
[7]
서적
Inbari, p. 85
[8]
서적
Inbari, p. 80, pp. 88-89, p. 92
[9]
서적
Ramon, p. 306
[10]
서적
Inbari, p. 82
[11]
서적
Inbari, p. 89
[12]
서적
Damper, p. 55
[13]
서적
Selengut, pp. 109-110
[14]
간행물
Julian, 2022
[15]
서적
Dumper, p. 55
[16]
서적
Inbari, p. 79, p. 81
[17]
서적
Inbari, p. 80
[18]
서적
Ramon, p. 307
[19]
서적
Don-Yehiya, p. 280
[20]
서적
Inbari, p. 85
[21]
서적
Inbari, p. 80, pp. 88-89, p. 92
[22]
서적
Ramon, p. 306
[23]
서적
Inbari, p. 82
[24]
서적
Inbari, p. 89
[25]
서적
Damper, p. 55
[26]
서적
Selengut, pp. 109-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