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방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1948년 5월 26일 창설된 이스라엘의 군대이다. 이스라엘의 시민 보호, 테러 대응을 목표로 하며, 하가나 등 유대인 준군사 조직에서 기원한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여러 중동 전쟁 및 분쟁에 참여했으며, 징집, 정규직, 예비군 복무 제도를 운영한다. 지상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되며, 참모총장에게 보고하는 지휘 체계를 갖추고 있다. 미국, 프랑스, 인도 등과 군사적 협력을 맺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 군사 장비를 수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방위군 - 이스라엘 민정청
이스라엘 민정청은 1981년 이스라엘 군령에 의해 설립되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민간 행정 업무를 담당하지만, 실질적으로 이스라엘 군과 신베트의 통제 하에 운영되며 팔레스타인 주민 억압 정책 시행 비판과 오슬로 협정 이후에도 서안 지구 내 주요 업무를 수행하며 논란이 되고 있다. - 이스라엘 방위군 - 이스라엘 군정청
이스라엘 군정청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지역에 실시한 군정 체제로, 1982년 시나이 반도 철수와 함께 사실상 해체되었으나 서안 지구에서는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징병제 - 징병제에 대한 반대
징병제에 대한 반대는 종교적, 정치적 신념, 징병 검사 및 입영 기피, 시위, 시설 점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역사적으로 징병제에 반대하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 징병제 - 대체복무제
대체복무제는 징병 대상자 중 특정 사유로 현역 복무가 불가능한 사람들에게 군 복무 대신 다른 형태의 복무를 이행하게 하는 제도로, 대한민국에서는 종교적, 양심적 병역 거부자를 위한 대안으로 사회복무요원 제도를 통해 시행되고 있다. - 이스라엘 - 하이파
하이파는 이스라엘 북부 지중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18세기 이후 성장하여 시오니즘 운동과 이스라엘 건국 후 유대인 이민으로 크게 발전, 현재는 이스라엘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며, 바하이교의 세계 중심지로서 다문화 도시의 특징을 갖는다. - 이스라엘 - 모세 언약
모세 언약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과 맺은 언약으로, 구약성경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각각 다른 관점으로 해석된다.
이스라엘 방위군 | |
---|---|
![]() | |
![]() | |
기본 정보 | |
창설일 | 1948년 5월 26일 |
군 종류 | 이스라엘 육군 이스라엘 공군 이스라엘 해군 |
웹사이트 | idf.il |
지휘부 | |
총리 | 벤야민 네타냐후 |
총리 직책 | 총리 |
국방부 장관 | 이스라엘 카츠 |
국방부 장관 직책 | 국방부 장관 |
참모총장 | 헤르지 할레비 |
참모총장 직책 | 참모총장 |
병력 | |
징집 연령 | 17세 |
징집 기간 | 24~34개월 |
병력 데이터 | 2016년 |
병역 가능 연령 | 17~49세 |
가용 인력 | 1,554,186명 |
가용 여성 인력 | 1,514,063명 |
복무 적합 인력 | 1,499,998명 |
복무 적합 여성 인력 | 1,392,319명 |
매년 병역 도달 인원 | 60,000명 |
매년 병역 도달 여성 인원 | 60,000명 |
현역 군인 | 169,500명 |
예비군 | 465,000명 |
재정 | |
군사 예산 | USD 243억 달러 (2021년) |
군사 예산 순위 | (15위) |
GDP 대비 군사비 비율 | 5.2% (2021년) |
산업 | |
국내 공급 업체 | 이스라엘 항공 우주 산업 이스라엘 군사 산업 이스라엘 무기 산업 엘빗 시스템즈 엘리스라 엘타 시스템즈 라파엘 첨단 방위 시스템 이스라엘 조선소 |
해외 공급 업체 | 미국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
관련 역사 | |
역사 |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1948년~1949년) 보복 작전 (1951년~1956년) 시나이 전쟁 (1956년) 6일 전쟁 (1967년) 소모전 (1967년~1970년) 욤 키푸르 전쟁 (1973년) 리타니 작전 (1978년) 1982년 레바논 전쟁 (1982년~1985년) 남부 레바논 분쟁 (1985년~2000년) 제1차 인티파다 (1987년~1993년) 제2차 인티파다 (2000년~2005년) 2006년 레바논 전쟁 (2006년) 가자 전쟁 (2008년~2009년) (2008년~2009년) 2012년 가자 전쟁 (2012년) 2014년 가자 전쟁 (2014년)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2021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년~현재) 2024년 이스라엘 레바논 침공 기타 |
계급 | |
계급 | 이스라엘 방위군 계급 |
2. 역사
IDF(이스라엘 방위군)의 기원은 신 이쉬브 시대의 유대인 준군사 조직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1904~1914년)부터 시작된다.[9] 1891년 마이클 할페린이 설립한 "마하네 예후다" 기마 경비대(Ness Ziona 참조)와 같이 여러 유사 조직이 있었거나, 일부는 그보다 더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10] (1915~1917년),[11] 하노테르[11](1912~1913년; 시온주의: 건국 전 자위활동 참조) 그리고 훨씬 더 중요한 바르기오라(1907년 9월 설립) 등이 있다. 바르기오라는 1909년 4월 하쇼메르로 개편되었고, 1920년 영국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이 시작될 때까지 운영되었다. 하쇼메르는 범위가 좁은 엘리트 조직으로 주로 재산을 훔치려는 범죄 조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시온 뮬 코르프와 유대인 레기온은 모두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의 일부였으며, 이후 준군사력의 기반을 형성하는 군사 경험과 인력을 이쉬브에 제공했다.[12]
1920년 4월 유대인을 대상으로 한 1920년 팔레스타인 폭동 이후, 이쉬브 지도부는 전국적인 지하 방위 조직의 필요성을 깨닫고 1920년 6월 하가나를 창설했다.[12] 하가나는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봉기 이후 정규 방위군으로 발전하여 야전 군단, 경비대, 팔마흐 세 개의 주요 부대로 구성된 조직적인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쉬브는 영국의 전쟁 노력에 참여하여 유대인 여단의 창설로 이어졌다. 이들은 결국 이스라엘 방위군의 중추를 이루고 초기 인력과 교리를 제공했다.
이스라엘의 독립 선언 이후, 총리 겸 국방장관인 다비드 벤구리온은 1948년 5월 26일 이스라엘 방위군 창설 명령을 발표했다. 벤구리온에게는 그러한 명령을 내릴 법적 권한이 없었지만, 이 명령은 5월 31일 내각에 의해 합법화되었다. 같은 명령은 다른 모든 유대인 무장 세력의 해산을 명령했다.[13] 다른 두 개의 유대인 지하 조직인 이르군과 레히는 독립 부대를 편성할 수 있고 독자적인 무기 구매를 하지 않으면 IDF에 합류하는 데 동의했다. 이것이 알탈레나 사건의 배경이 되었는데, 이르군이 구입한 무기를 둘러싼 대치로 이르군 대원과 새로 창설된 IDF 간의 대치 상황이 발생했다. 무기를 실은 배인 '알탈레나'가 IDF에 의해 포격당하면서 사건은 종결되었다. 이 사건 이후 모든 독립적인 이르군과 레히 부대는 해산되거나 IDF에 합병되었다. 하가나의 주요 구성 요소였던 팔마흐도 IDF에 조건부로 합류했고, 벤구리온은 1949년 팔마흐 참모진을 해산함으로써 대응했으며, 그 후 많은 고위 팔마흐 장교들이 은퇴했는데, 특히 초대 사령관인 이츠하크 사데가 그러했다.
1949년부터 1956년까지 이스라엘 방위군은 아랍 국가들과의 전쟁을 통해 현대화와 효율화를 추진했다. 그 후 10년 동안은 소수 정예주의의 직업 군대화를 목표로 하는 동시에 핵무기 개발에도 힘썼다.
제4차 중동 전쟁(1973년) 이후인 1978년, 서방의 큰 위협이었던 이집트와는 평화를 이루었지만, 이후에도 2006년 레바논 침공 등 크고 작은 전쟁과 분쟁을 겪고 있다.
1976년 엔테베 작전에서 특수부대는 우간다에서 인질로 잡혀 있던 납치된 항공기 승객들을 성공적으로 구출했다. 이 시기에 IDF는 이라크의 원자로를 파괴하기 위한 오페라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도 했다. IDF는 레바논 내전에 개입하여 리타니 작전을 시작했고, 나중에는 IDF가 팔레스타인 게릴라 조직을 레바논에서 축출한 1982년 레바논 전쟁을 시작했다.
25년 동안 IDF는 남 레바논 군과 함께 남 레바논 내에 안전 지대를 유지했다. 그 이후로 특히 제1차와 제2차 인티파다 그리고 방어막 작전, 2008~2009년 가자 전쟁, 2012년 가자 전쟁, 2014년 가자 전쟁,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의 무장 세력이 IDF의 주요 초점이 되어 IDF의 많은 가치관을 바꾸고 IDF 윤리 강령을 발표하게 되었다. 레바논의 시아파 조직인 헤즈볼라는 점점 더 커지는 위협이 되었고,[15] IDF는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이들과 비대칭 전쟁을, 그리고 2006년에는 대규모 전쟁을 치렀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여러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스라엘은 1951년 7월 6일 제네바 협약을 비준했고,[16] 2015년 1월 2일 팔레스타인 국가는 로마 조약에 가입하여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OPT)에서 저질러진 전쟁 범죄에 대한 사법권을 부여했다.[17] 휴먼 라이츠 워치의 2017년 보고서는 IDF가 불법 살인, 경찰 업무 상 과도한 무력 사용, 강제 이주, 과도한 구금 및 이동에 대한 과도한 제한을 저질렀다고 비난했으며, 점령된 팔레스타인 영토의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IDF의 지원과 보호를 비판했다.[18] 인권 전문가들은 OPT에서의 무력 충돌 중 IDF가 취한 조치는 전쟁 범죄의 범주에 속한다고 주장한다.[19] UN 특별 보고관을 비롯한 인권 및 구호 단체(휴먼 라이츠 워치, 국경없는 의사회, 국제앰네스티 등)는 이스라엘을 전쟁 범죄로 비난했다.[20][21][22][23][24]
2. 1. 창설 배경
1948년 5월 26일 창군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창군 목적이 "이스라엘의 시민들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을 위협하는 테러리즘과 싸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260]기존 이슈프의 준군사조직인 하가나, 이르군, 레히에서 징집병들을 끌어 모으면서 징집군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스라엘 독립선언 직후 결성되었으며, 이스라엘과 관련된 모든 무력 분쟁에 참여해 왔다. 원래는 북쪽의 레바논과 시리아, 동쪽의 요르단과 이라크, 남쪽의 이집트 등 세 개의 주요 전선에서 활동했지만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과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협정 이후 주로 레바논 남부와 팔레스타인 영토로 초점이 옮겨졌다. 그러나 2011년 이후로 계속되는 다자간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지역 불안정으로 인해 주목할 만한 이스라엘-시리아 국경 사건이 자주 발생했다.
이스라엘 내각은 1948년 5월 26일 "이스라엘 방위군"(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츠바 하하가나 레 이스라엘he)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확정했다. 다른 주요 후보 명칭은 "이스라엘 군대"(צְבָא יִשְׂרָאֵל|츠바 이스라엘he)였다. "이스라엘 방위군"이라는 명칭이 선택된 것은 군대의 역할이 방어임을 전달하고, 새로운 군대의 기반이 된 국가 건립 이전의 방위 조직인 하가나의 이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8]
이스라엘 방위군은 제1차 중동 전쟁 중이던 1948년 5월 26일에 창설되었다. 독립 이전부터 유대인 공동체의 방위를 담당했던 자치 방위 조직인 하가나, 특히 그 상비 부대인 팔마흐가 기반이 되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을 영국군 지휘하에 참전했던 유대 여단 출신자들도 다수 참여하였다. 지하 조직 에첼과 레히는 방위군과의 협력을 약속했지만,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 종전까지는 독자성을 유지했다. 전쟁 후 이들 지하 조직 구성원들은 방위군에 참여하였다.
2. 2. 주요 분쟁
이스라엘 방위군은 1948년 5월 26일 창군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창군 목적이 "이스라엘 시민들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을 위협하는 테러리즘과 싸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260]제1차 중동 전쟁을 비롯하여 이스라엘과 관련된 모든 무력 분쟁에 참여해 왔다. 초기에는 북쪽의 레바논과 시리아, 동쪽의 요르단과 이라크, 남쪽의 이집트 등과 대치하였으나,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과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협정 이후에는 주로 레바논 남부와 팔레스타인 영토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2011년 이후 다자간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지역 불안정으로 이스라엘-시리아 국경 분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다음은 이스라엘 방위군이 참여한 주요 분쟁 목록이다.
분쟁 |
---|
제1차 중동 전쟁 |
제2차 중동 전쟁 |
제3차 중동 전쟁 |
소모 전쟁 |
제4차 중동 전쟁 |
레바논 내전 |
2006년 레바논 침공 |
2006년 가자 지구 공격 |
2008년-2009년 가자 지구 분쟁 |
2014년 가자 지구 전쟁 |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
2. 3. 전후 재편성과 변화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확대되면서 조직을 정비했다. 보병 및 기갑 여단 12개(골라니, 카르멜리, 알렉산드로니, 키리아티, 기바티, 에트시오니, 제7기갑여단, 제8기갑여단, 오데드, 하렐, 이프타흐, 네게브)가 편성되었다.[14] 전쟁 후 일부 여단은 예비 부대로 전환되었고 다른 일부는 해산되었다. 하가나의 군단 및 부대에서 본부와 군단이 창설되었으며, IDF의 이 기본 구조는 오늘날까지도 존재한다.1948년 전쟁 직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IDF와 팔레스타인 페다예인 사이의 저강도 분쟁으로 바뀌었다. 1956년 수에즈 위기에서 신생 군대는 이집트로부터 시나이 반도를 점령했지만, 나중에 반환되었다. 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주변 아랍 국가들로부터 시나이 반도, 가자 지구, 요르단 강 서안 지구(예루살렘 동부 포함), 골란 고원을 정복하여 지역의 역학 관계와 IDF의 역할을 변화시켰다. 그 후 욤 키푸르 전쟁까지 이어지는 몇 년 동안 IDF는 시나이에서 이집트와의 마모 전쟁과 요르단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의 국경 전쟁을 벌였고, 카라메 전투로 절정에 달했다.
욤 키푸르 전쟁의 기습과 그 여파는 IDF의 절차와 전쟁 방식을 완전히 바꾸었다.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고 재래전 훈련에 더 많은 시간이 할애되었다. 그러나 그 후 몇 년 동안 군대의 역할은 다시 저강도 분쟁, 도시전 및 테러 대응으로 서서히 바뀌었다.
3. 임무
이스라엘 방위군(IDF)의 사명은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 영토 보전 및 주권을 수호하는 것이다. 또한 이스라엘 주민들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을 위협하는 모든 형태의 테러와 싸우는 것을 임무로 하고 있다.[261]
IDF는 수적으로 우세한 적들과 싸워야 한다는 이스라엘의 필요성에 따라, 군대를 신속하게 동원하여 적들이 적 영토에 개입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면 모든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믿는다.[262] 21세기 들어, 테러리스트 조직, 하마스가 운영하는 지하 사회 기반 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비전통적인 위협들이 IDF로 하여금 공식적인 국방 교리를 수정하도록 강요해 왔다.[263]
4. 조직
이스라엘 방위군(IDF)의 모든 부서는 단일 참모총장에게 보고한다. 이스라엘에서 가장 높은 계급은 중장으로 참모총장이 유일하게 중장 직급을 가진다. 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추천에 따라 내각이 공식적으로 임명하며 임기는 3년이다. 정부는 투표를 통해 복무 기간을 4년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드문 경우지만 최대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현재 참모총장은 헤르지 할레비이다.[25]
1948년에 설립된 IDF는 중동 전쟁 등 5차례의 대규모 전쟁과 여러 비밀 작전 및 특수 작전, 공습 임무를 수행했다.[228] 가자 지구와 레바논 등과의 국경 지역과 점령지, 국내에서도 테러와 반란 진압 작전으로 항상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실전 경험이 풍부하고 숙련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22년 기준으로 16만 9,500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다.[229] 이 중 육군은 12만 6,000명, 해군은 9,500명, 공군은 3만 4,00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46만 5,000명의 예비역이 있어 총동원 시 병력은 63만 4,500명에 달한다. 장교는 일반 병사 중에서 우수한 자를 선발하여 사관학교에서 양성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스라엘에서는 여성에게도 병역 의무가 있다는 점 때문에 '전 국민에게 병역 의무가 있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는 병역 의무를 지는 대상은 이스라엘 거주 유대인(유대교도), 드루즈족 이슬람교도, 베두인, 체르케스인이다. 유대교 초정통파는 건국 이래 징병이 면제되어 왔지만, 1998년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재검토가 이루어졌고,[230] 우여곡절 끝에 2024년 7월 하순 초정통파에 대한 소집령 발부 절차가 시작되었다.[231] 기독교인이나 다른 무슬림은 병역 의무가 없다(지원은 가능하며, 기독교인에 대한 징병 의무화 움직임도 있다[232]). 또한, 유대교도나 드루즈파 교도라면 이스라엘 국적이 없더라도 이스라엘에 거주하기만 해도 병역 의무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자신의 신념(평화주의 등)에 따라 병역을 거부할 권리(양심적 병역 거부)는 이스라엘 법률로 인정되지만, 실제로 심사를 통해 허가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양심적 병역 거부가 인정되지 않고 병역을 거부한 경우, 1~4주 정도의 금고형을 받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한다.[233]
이스라엘에서는 취업에 있어 군 복무 경력이 조건으로 되는 경우가 많고,[234][235][236] 취업 외에도 군 복무 경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병역 거부 또는 비유대인 주민의 병역 선택 불가는 이스라엘에서 매우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237][238] 이 때문에 병역이 면제된 비유대인 주민이라도 지원병으로 입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239] 군 내 선발 시스템에서 유럽 출신 아슈케나짐 계열이 자연스럽게 군 고위 장교로 승진하고, 미즈라힘 계열은 블루칼라 직무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병역 의무 후 직업 군인으로 군에 남은 경우, 40대에 정년을 맞이하고, 그 후에는 고액의 연금을 받을 수 있다.
국가에 따라 이중 국적자의 군 복무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이스라엘에서는 문제시되지 않으며, 기바티 여단에 이스라엘과 일본의 국적을 가진 여성이 배속된 사례도 있다.[241]
병역을 마치고 제대하는 날에는 병역을 마쳤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를 받는 것 외에, ID 카드에 가위로 자르는 행사가 관례가 되어 있다.[242]
이스라엘 국방군은 점령지의 행정 조직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점령지에서 비유대인 주민은 이스라엘 국방군의 점령 통치하에 있다. 1981년 명목상으로는 민정 이양하여 행정 조직으로 이스라엘 민정국(Israeli Civil Administration)이 설립되었지만, 민정국장의 인사권은 IDF에 있으며, 여전히 IDF가 실권을 쥐고 있다. 2024년 5월 29일 명령 2195호로 민정국 부국장의 설치와 부국장에 대한 대규모 권한 이양을 공포했다.[243] 이 명령은 베자렐 스모트리치 재무장관 겸 국방부 차관의 의향을 반영한 것으로, 민간인 부국장을 통해 유대인 정착민에 의한 민정 이양 및 실질적인 합병을 추진하면서, 국제적으로는 "일시적인 점령"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표면상으로는 군정을 계속할 목적이 있다고 한다.[244][245][246]
이스라엘 국방군이 공포하는 군율(이스라엘 국방군 군율)은 헤이그 육전 조약 제43조를 법적 근거로 주장하며, 구법(오스만 제국법·영국법·요르단법)을 덮어쓰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247] 점령지라도 기본적으로 이스라엘 주민(유대인 정착민 등)은 구속되지 않는다. 1949년 8월 12일의 제네바 제4조약에 대해서는 제3차 중동 전쟁 점령 직후(1967년 6월 7일)에 발표된 선언 제3호 제35조에서 적용을 공포했다.[249] 그러나 10월 22일 공포의 명령 144호로 시나이 반도(후에 이집트에 반환)를 제외한 점령지의 점령 주민에 대해 35조를 전혀 다른 조항으로 대체하는 것을 공포하고, 사실상 제네바 제4조약의 적용 의무를 삭제했다.[250]
4. 1. 지휘 구조
이스라엘 방위군(IDF)의 모든 부서는 단일 참모총장에게 보고한다. 참모총장은 중장(Rav Aluf) 계급을 가진 유일한 현역 장교이며,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보고하고, 이스라엘 총리와 내각에는 간접적으로 보고한다. 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추천을 바탕으로 내각에서 공식적으로 3년 임기로 임명된다. 정부는 임기를 4년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드물게 5년으로 연장하기도 한다. 현직 참모총장은 헤르지 할레비이다.[25]
참모본부는 통칭 '마트칼'(Matkal)이라고 불리며, 텔아비브의 라빈 캠프에 위치한 키르야 합동청사(Kirya compound)에 있다. 참모본부는 중장으로 임명되는 참모총장과 소장으로 임명되는 참모차장을 중심으로 육군, 공군, 해군 각 사령관(모두 소장), 야전군 각 사령관(모두 소장), 참모본부 각 국장(모두 소장), 기타 고위 장교(소장 또는 준장), 민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4. 2. 구조
("분대장")하사 또는 중사
("소대장")
상사
소위
대위
(1968–현재) 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