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니 쁘라못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니 쁘라못은 라마 2세의 후손으로, 주미 태국 대사 시절 일본의 태국 침공에 저항하며 자유 태국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1945년 태국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이후 동생 크릿 쁘라못에게 총리직을 넘겨주기도 했다. 1970년대 말 탐마삿 대학교 학살 사건 이후 정계에서 은퇴했으며, 1997년 사망했다. 그는 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보수적인 성향과 탐마삿 대학교 학살 사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주재 태국 대사 - 폿 사라신
    폿 사라신은 태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57년 총리를 역임했으며, 사릿 타나랏의 쿠데타 이후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 사무총장을 지냈다.
  • 나콘사완주 출신 - 와산 시티켓
    와산 시티켓은 1970년대부터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는 예술 활동을 펼쳐온 태국의 저명한 예술가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권위주의, 불평등, 민주주의 위협 등의 주제를 다루며 2000년대 초 정치 세력화를 시도하고 2020년 음악 작품 활동을 데뷔하여 사회적 소외, 양극화, 분단, 환경 문제 등을 다루고, 2007년 실라파톤 상을 수상하며 탁신 친나왓 정부 시기 정부 정책 비판 작품으로 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나콘사완주 출신 - 쁘라파와디 짜른라따나타라꾼
    쁘라파와디 짜른라따나타라꾼은 태국의 여자 역도 선수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53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태국 역도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메달을 획득했다.
  • 태국의 변호사 - 쁘리디 파놈용
    쁘리디 파놈용은 태국의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1932년 쿠데타를 통해 입헌군주제 전환에 기여하고, 탐마삿 대학교 설립, 치외법권 폐지, 자유 타이 운동을 이끌었으나, 라마 8세 의문사와 쿠데타로 실각하여 망명 생활을 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태국의 변호사 - 워라쳇 파키랏
    워라쳇 파키랏은 태국의 법학자이자 탐마삿 대학교 교수이며, 행정법과 헌법 관련 교과서를 출판하고 헌법 개혁 및 불경죄법 개정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으며, 불경죄법 개정 운동 반대 남성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쿠데타 이후 군부에 체포되었다가 석방되었다.
세니 쁘라못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4년 세니 쁘라못
존칭몸 라자웡
로마자 표기Seni Pramot
직업
직업변호사
정치인
외교관
정치 경력
소속 정당민주당
기타 소속자유 타이 운동
주요 직책
제6대 태국 총리재임 시작: 1976년 4월 20일
재임 종료: 1976년 10월 6일
이전: 큭릿 쁘라못
이후: 상갓 찰로류 (사실상)
제17대 태국 총리재임 시작: 1975년 2월 15일
재임 종료: 1975년 3월 13일
이전: 산야 탐마삭
이후: 큭릿 쁘라못
제6대 태국 총리재임 시작: 1945년 9월 17일
재임 종료: 1946년 1월 31일
이전: 타위 분야껫
이후: 쿠앙 아파이웡
국방부 장관재임 시작: 1976년 8월 27일
재임 종료: 1976년 9월 23일
이전: 타위치 세니웡
이후: 상갓 찰로류
내무부 장관재임 시작: 1976년 4월 20일
재임 종료: 1976년 10월 6일
이전: 큭릿 쁘라못
이후: 사막 순다라베
야당 대표재임 시작: 1975년 3월 22일
재임 종료: 1976년 1월 12일
이전: 타윗 클린쁘라툼
이후: 분텡 통사와
야당 대표재임 시작: 1969년 2월 12일
재임 종료: 1971년 11월 17일
이전: 쿠앙 아파이웡
이후: 타윗 클린쁘라툼
법무부 장관재임 시작: 1947년 11월 24일
재임 종료: 1948년 2월 21일
이전: 타완 탐롱나와사왓
이후: 프라야 앗타가리니폰
민주당 대표재임 시작: 1968년
재임 종료: 1979년
이전: 쿠앙 아파이웡
이후: 타낫 코만
개인 정보
출생일1905년 5월 26일
출생지나콘사완주 나콘사완, 시암 (현재 므앙나콘사완군 나콘사완, 태국)
사망일1997년 7월 28일
사망지방콕 병원, 후아이쾅구, 방콕, 태국
배우자웃사나 살리굽타
자녀
웃사니 쁘라못
니야나 쁘라못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

2. 생애

세니 쁘라못은 영국 유학 후 태국으로 돌아와 법률가로 활동하다 태국 외무부에 소속되어 미국 대사로 파견되었다.[1]

1941년 12월 8일, 일본 제국진주만 공격 직후 태국을 침공하자, 쁠랙 피분송크람 육군 원수는 휴전을 명령하고 일본과 군사 동맹을 체결했다. 1942년 1월 25일 피분송크람 정부는 영국미국에 전쟁을 선포했지만, 세니는 이를 거부하고 미국에서 자유 태국 운동을 조직했다.[1]

1945년 9월 17일 총리가 되었지만, 쁘리디 파놈용의 지지자들로 가득 찬 내각에 불편함을 느꼈다. 귀족 출신인 세니는 티앙 시리칸트와 같은 북동부 출신 정치인들과 잘 어울리지 못했고, 그들은 세니를 엘리트주의자로 여겼다.[2]

1946년 세니와 그의 형제는 민주당에 합류하여 쁘리디에 대한 개인적인 공격을 계속했다. 아난타 마히돈 국왕의 죽음 직후, 세니와 그의 당은 쁘리디가 국왕 암살의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4] 1947년 11월, 민주당은 군부와 협력하여 정부를 전복시켰고, 세니는 쿠데타로 설치된 내각에서 각료직을 받았다.

1949년 세니는 시암 협회 강연에서 "나는 불가능한 것을 성취하려는 고질적인 습관을 가진 정치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몽꿋 국왕의 입법 활동을 언급하며 국왕이 "최초이자 최고의 민주주의자"였다고 주장했다.[5]

세니는 변호사로 복귀했지만 민주당에서 계속 활동했다. 1975년 잠시 총리직을 다시 맡았지만 동생 크릿 쁘라못에게 패했다. 1976년 10·6 탐마삿 대학교 학살 사건 이후 군부에 의해 해임되고 타닌 끄라이위치엔이 총리로 임명되자, 정계를 떠나 변호사로 일하다 1997년 사망했다.[6][7][8]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세니 쁘라못과 그의 아내. 이 사진은 1944년에 촬영되었다.


세니 쁘라못은 라마 2세의 후손인 카롬롭 친왕과 정계의 세력가였던 분나크 가문 출신의 멈 덴 사이에서 태어났다.[1] 영국으로 유학을 가 더비셔의 트렌트 칼리지에서 공부하였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워스터 칼리지에서 법학 2등 학위(second-class degree)를 받았다. 그 후 그레이 법조원에서 공부를 계속하여 최우등(first honours)으로 졸업하였다.

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태국 법률을 공부하며 6개월 간 태국 대법원 수습직을 맡은 후 민사법원에서 일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얼마 후 세니는 태국 외무부 소속이 되었다가 미국에 대사로 떠나게 되었다. 쭐랄롱꼰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도 받았다.

2. 2. 주미 태국 대사 및 자유 태국 운동

1940년, 세니 쁘라못은 주미 태국 대사로 임명되어 미국으로 파견되었다. 1941년 12월 8일, 일본 제국이 태국을 침공하고 괴뢰화된 쁠랙 피분송크람 정권이 들어섰다.[1] 1942년 1월 25일, 쁠랙 피분송크람 정권은 영국미국에 선전포고를 했으나, 세니 쁘라못은 이를 거부하고 미국에서 일본에 저항하는 자유 태국 운동을 조직하기로 결심했다.[1]

1941년 12월 8일, 코델 헐 미 국무장관과 회견 후, 세니 쁘라못은 태국 대사관 직원들과 만장일치로 연합국 측에 협력하기로 결정했다.[1] 세니 쁘라못은 미국 정부에 태국인의 미국 내 자산 동결 해제를 요구하고, 자유 태국 운동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으며, 미국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세니 쁘라못이 계속해서 태국 정부를 대변하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허용하고 자유 태국 운동을 지원했다.[1]

세니 쁘라못은 쁘리디 파놈용, 쿠앙 아파이웡 등 태국 내 반일 인사들과 협력하여 자유 태국 운동을 전개했다.[1] 자유 태국 운동에는 주미 태국 대사관 직원, 가족, 그리고 하버드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코넬 대학교와 같은 미국 대학에 다니는 태국 학생들이 참여했다.[1]

2. 3. 전후 정치 활동

1945년 9월 17일, 세니 쁘라못은 태국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쁘리디 파놈용 중심의 내각 구성에 불편함을 느꼈다.[11][2] 귀족적인 배경을 가진 세니는 띠앙 시리칸 등 북동부의 포퓰리스트 정치인들과 갈등을 빚었다. 이들은 세니를 태국 정치 현실과 동떨어진 엘리트주의자로 여겼다.[11][2] 쁘리디는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고, 세니는 이에 반발했다.

1946년, 세니는 동생 므엉랏차웡 크릿 쁘라못과 함께 민주당을 창당했다. 세니는 쁘리디를 비판하며 정쟁을 벌였다. 미국 정부가 해제한 태국 자산 사용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며 쁘리디를 공격했으나, 독립 조사단은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3] 아난타 마히돈 국왕 사망 이후, 세니와 민주당은 쁘리디가 국왕 암살의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4]

1947년 11월, 민주당은 군부 쿠데타에 협력하여 타완 탐롱나와사왓 정부를 전복시키고, 세니는 쿠앙 아파이웡 내각에 입각했다.

2. 4. 1970년대와 말년

태국 정부 고문 외교 자문관인 엘든 R. 제임스 박사와 세니 쁘라못


세니는 변호사로 복귀했지만, 군사 통치 기간 동안 민주당에서 계속 활동했다. 1975년 2월 15일부터 3월 13일까지 잠시 총리직을 맡았으나, 동생인 라자와옹세 크릿 쁘라못에게 패하여 자리를 내주었다. 그러나 크릿의 정부는 1976년 4월 20일까지밖에 지속되지 못했고, 세니가 다시 최고 정치 직책을 되찾았다.

세니의 마지막 임기는 국가적 위기의 시기였다. 1976년 10월 6일 탐마삿 대학교 학살로 좌익 학생 시위대에 대한 우익의 반발이 최고조에 달한 후, 군부는 그를 강제로 해임하고 강경 왕당파인 타닌 끄라이위치엔을 총리로 임명했다.

세니는 민주당 대표직에서 사임하기로 결정하고 정계를 영원히 떠났다. 그는 은퇴할 때까지 변호사로 일했다.

쁘라못은 1997년 7월 28일 심혈관 질환 및 신부전으로 92세의 나이로 방콕 병원에서 사망했다.[6][7][8]

참조

[1] 웹사이트 An Impressive Day at M.R. Kukrit's Home http://www.thaiwaysm[...]
[2] 서적 A Memorandum on Certain Aspects of Siamese Politics Wanthani
[3] 서적 Thailand's Secret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in Thailand's World War II Peace Settlements Georgetown University
[5] 간행물 King Mongkut as a Legislator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6] 뉴스 Seni Pramoj, 92, Is Dead; Thai Defied Japan on War https://www.nytimes.[...] 2020-08-02
[7] 웹사이트 FORMER THAI LEADER SENI PRAMOJ, 92, DIES - the Washington Post https://web.archive.[...] 2022-01-12
[8] 뉴스 FORMER THAI LEADER SENI PRAMOJ, 92, DIES https://www.washingt[...] 2022-06-11
[9] 문서 Document https://web.archive.[...]
[10] 문서 Document https://web.archive.[...]
[11] 서적 A Memorandum on Certain Aspects of Siamese Politics Wantha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