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페우스자리 V35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페우스자리 V354는 적색 초거성 변광성으로, 1981년 변광성 총람에 등재되기 전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별은 세페우스자리 OB1 성협 근처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3,400 파섹으로 추정되지만,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의 시차 결과에 따라 논란이 있다.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도 일치하지 않아, 광도와 반지름에 대한 다양한 추정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세페우스자리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세페우스자리 - 세페우스자리 감마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66.8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로, 오렌지색 준거성 감마 A(Errai)와 적색 왜성 감마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감마 A는 미래의 북극성 후보이자 외계 행성 타드모르(감마 Cephei Ab)를 거느리고 있고, 이 행성은 외계 행성 최초 발견 사례 중 하나로 '타드모르'라는 고유 명칭을 얻었다. - M형 초거성 - 적색초거성
적색 초거성은 차가운 표면 온도, 거대한 크기, 높은 밝기를 지닌 초거성으로,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며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는 진화한 별이다. - M형 초거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페우스자리 V354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케페우스자리 |
명칭 | 케페우스자리 V354 |
다른 명칭 | GSC 03995-00449 IRAS 22317+5838 IRC +60361 RAFGL 2922 TYC 3995-449-1 Case 75 |
관측 정보 | |
시선 속도 | 적경: -2.6 ± 2.0 밀리초/연도 적위: 0.0 ± 1.6 밀리초/년 |
겉보기 등급 | 10.90 (10.82 - 11.35) |
변광성 유형 | LC |
거리 | 8,970 광년 (2.75 킬로파섹) |
절대 등급 | -7.57 |
특징 | |
분광형 | M2.7 Iab |
반지름 | 690 - 1,520 태양 반지름 |
표면 중력 | 0.03 G |
광도 | 76,000 - 369,000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3,650 K |
B-V 색지수 | 3.18 |
V-I 색지수 | 3.94 |
2. 명칭 및 발견
V354 세페이는 IRAS, 2MASS와 같은 관측 목록에 포함된 적색 초거성 변광성이지만, 1981년 변광성 총람에 포함되기 전에는 헨리 드레이퍼 목록이나 본 천구 목록과 같이 널리 알려진 목록에는 너무 희미하여 포함되지 못했다. 1947년 디어본 천문대 관측에서 별 41575로 등재되었으나, 이 식별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7] Case 75로도 언급되었으나, 이는 근처의 다른 별로 잘못 식별되기도 하였다.[5][7]
2. 1. 초기 관측
세페우스자리 V354는 IRAS 및 2MASS와 같은 관측 목록에 포함된 적색 초거성 변광성이지만, 1981년 변광성 총람에 포함되기 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목록에서만 언급되었다.[7] 헨리 드레이퍼 목록이나 본 천구 목록과 같이 널리 알려진 목록에는 너무 희미하여 포함되지 못했다. 1947년 디어본 천문대 관측에서 별 41575로 등재되었으나, 이 식별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8]세페우스자리 V354는 Case 75로도 언급되었다.[5][7] 이는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의 워너 & 스위지 천문대에 있는 버렐 슈미트 망원경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차가운 별들의 목록 중 하나에서 비롯되었지만, Case 75는 근처의 F3V 별 BD+58°2450으로 잘못 식별되기도 하였다.[9] 탄소별 AT 페르세이는 또 다른 관측 논문에서 별 75로 등재되었으며 Case 75로도 알려져 있다. SIMBAD 천문 포털은 해당 명칭의 사용을 AT 페르세이로 제한하고, 세페우스자리 V354에 대해서는 다른 고유 약어를 사용한다.[10]
2. 2. Case 75
V354 세페이는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의 워너 & 스위지 천문대의 버렐 슈미트 망원경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차가운 별 목록 중 하나에서 Case 75로 언급되었다.[5][7] 그러나 Case 75는 근처의 F3V 별 BD+58°2450으로 잘못 식별되었다.[9] 탄소별 AT 페르세이는 다른 관측 논문에서 별 75로 등재되었으며 Case 75로도 알려져 있다. SIMBAD 천문 포털은 해당 사용을 AT 페르세이로 제한하고 V354 세페이에 대해서는 다른 고유 약어를 사용한다.[10]3. 거리
세페우스자리 V354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연주시차 측정을 통해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세페우스자리 OB1 성협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일원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져, 이 성협까지의 거리인 약 9,000 광년을 기준으로 거리를 추정한다.
3. 1. 세페우스자리 OB1 성협
V354 세페이는 세페우스자리 OB1 성협 근처에 있으며, 이 성협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이 성협은 2,750 ~ 3,500 파섹 거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5][11] 최근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의 시차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3,400 파섹 거리가 제시되기도 했다.[12] 그러나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와 가이아 초기 데이터 릴리스 3의 시차 자료는 상당한 통계적 오차 한계를 가지며, 측성 초과 잡음이 허용 가능한 수준을 훨씬 넘어 시차를 신뢰할 수 없다고 간주해야 한다는 지표를 가지고 있어, 각각 약 2,000 파섹보다 훨씬 작거나 큰 거리를 의미한다.[13][4]세페우스자리 V354는 멀리 떨어져 있어 연주시차 측정을 통해 거리를 결정할 수 없다. 별협회인 세페우스자리 OB1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일원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만약 그렇다면, 이 협회까지의 거리인 약 9,000 광년과 비슷한 거리일 것으로 추정된다.
3. 2.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 시차는 이며, 약 의 훨씬 더 가까운 거리를 나타낸다.[13] 가이아 초기 데이터 릴리스 3 시차는 이며, 더 먼 거리를 의미한다. 두 가이아 결과 모두 상당한 통계적 오차 한계를 가지며, 측성 초과 잡음이 허용 가능한 수준을 훨씬 넘어 시차를 신뢰할 수 없다고 간주해야 한다는 지표를 가지고 있다.[4] 국민의힘 소속 천문학자들은 가이아 데이터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V354 세페이의 거리가 더 멀 수 있다고 주장한다.4. 물리적 특성
세페우스자리 V354는 M2.5 Iab에서 M3.5 Ib 사이의 분광형을 가진 차가운 초거성이다.[2][3] 2005년 르베스크의 연구에서는 이 별의 반지름을 태양의 1,520배로 추정했으나,[5] 이후 연구에서는 이보다 훨씬 작은 690R 정도로 추정하기도 한다.[15][14] 광도 역시 초기에는 에 달했지만,[5] 최근에는 이하로 낮게 측정되기도 한다.[15][14] 이러한 불일치는 광도 추정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5] 감광 추정에서도 2등급에서 6등급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2][5]
4. 1. 분광형 및 광도 등급
세페우스자리 V354의 특성은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별은 초기 M2.5 Iab 분광형과 광도 등급을 가진 차가운 초거성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중간 크기의 밝은 초거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후 M3.5 Ib로 변경되어 다소 덜 밝은 초거성으로 분류되었다.[2][3]2005년 에밀리 르베스크가 이끈 연구에서는 궁수자리 KW, 세페우스자리 V354, 백조자리 KY, 세페우스자리 뮤를 가장 크고 가장 밝은 은하수 적색 초거성으로 묘사했다. 이 연구에서 세페우스자리 V354는 MARCS 모델을 기반으로, 의 유효 온도를 가정했을 때 의 높은 광도와 의 매우 큰 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5]
하지만 세페우스자리 V354의 광도에 대한 새로운 계산 결과는 별의 광도가 이하로 훨씬 낮다고 결론지었다.[15][14] 2011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일치를 언급했지만, 그 원인을 설명하지 못했다.[15] 감광 추정에서도 2등급에서 6등급까지 차이가 나타난다.[2][5]
4. 2. 2005년 연구
2005년 르베스크가 이끈 연구에서는 궁수자리 KW, 세페우스자리 V354, 백조자리 KY, 세페우스자리 뮤를 가장 크고 가장 밝은 은하수 적색 초거성으로 묘사했다.[5] 이들은 태양의 약 1,500배에 달하는 반지름과 에 달하는 볼로미터 절대 등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적색 초거성의 경험적 상한 반지름 및 광도 경계와 일치한다.[5] 세페우스자리 V354는 MARCS 모델을 기반으로, 네 개의 별 중 가장 크고 밝은 별로 밝혀졌으며, 의 유효 온도를 가정했을 때 의 높은 광도와 결과적으로 의 매우 큰 크기를 가진다고 추정되었다.[5]4. 3. 최근 연구 결과
세페우스자리 V354의 광도와 크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2005년 르베스크의 연구에서는 세페우스자리 V354를 태양의 1,520배 크기와 의 광도를 가진 매우 크고 밝은 별로 추정했다.[5]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세페우스자리 V354의 광도가 이전에 추정된 것보다 훨씬 낮은 이하일 수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15][14] 2011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일치를 언급했지만,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15] 시각적 소멸 값에서도 큰 차이(2등급 ~ 6등급)가 나타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2][5] 더 작은 가이아 거리를 가정한 최근 데이터는 더 낮은 광도를 시사한다.[14]
진보 진영 학자들은 최근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V354 세페이의 크기와 광도가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보수 진영 학자들은 2005년 연구 결과에 무게를 실으며, V354 세페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반박한다.
참조
[1]
웹사이트
V354 Cep, database entry
http://www.sai.msu.s[...]
Sternberg Astronomical Institute
2010-11-12
[2]
논문
The dust condensation sequence in red supergiant stars
2009
[3]
논문
The red supergiant population in the Perseus arm
[4]
간행물
2200195820289135104
Gaia EDR3
[5]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2005-08
[6]
논문
The dust condensation sequence in red supergiant stars
https://ui.adsabs.ha[...]
2009-04-01
[7]
논문
66th Name-List of Variable Stars
1981
[8]
논문
Dearborn catalog of faint red stars : Titanium oxide stars in zones -4. 5[degrees] to +13.5[degrees]
1943
[9]
논문
Reddened Early m- and S-Type Stars Near the Galactic Equator
1954
[10]
Simbad
V354 Cephei
2020-08-23
[11]
논문
Studies of luminous stars in nearby galaxies. I. Supergiants and O stars in the Milky Way
1978
[12]
논문
Unlocking Galactic Wolf–Rayet stars with Gaia DR2 – II. Cluster and association membership
[13]
논문
Estimating Distance from Parallaxes. IV. Distances to 1.33 Billion Stars in Gaia Data Release 2
[14]
논문
A Catalog of Known Galactic K-M Stars of Class I Candidate Red Supergiants in Gaia DR2
[15]
논문
The mass-loss rates of red supergiants and the de Jager prescription
2011
[16]
문서
距離([[光年]])は、距離([[パーセク]])× 3.26 により計算。
[17]
문서
"[[距離指数]] を基に、距離(パーセク) により計算。"
[18]
문서
"[[シュテファン=ボルツマンの法則]]による。"
[19]
문서
出典での表記は、
[20]
문서
""
[21]
웹사이트
V354 Cep -- Red supergiant star
https://simbad.u-str[...]
CDS
2018-03-16
[22]
간행물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2009-01
[23]
간행물
The Fourth US Naval Observatory CCD Astrograph Catalog (UCAC4)
2013-02
[24]
간행물
66th Name-List of Variable Stars
1981-11
[25]
간행물
Reddened Early M- and S-Type Stars Near the Galactic Equator
1954-11
[26]
간행물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2005-08
[27]
간행물
The mass-loss rates of red supergiants and the de Jager prescription
2011-02
[28]
웹사이트
Units in VizieR
http://vizier.u-stra[...]
CDS
2018-03-20
[29]
웹사이트
Mars Fact Sheet
https://nssdc.gsfc.n[...]
NASA
2018-03-20
[30]
웹사이트
Mars Fact Sheet
https://nssdc.gsfc.n[...]
NASA
2018-03-20
[31]
간행물
HD-DM-GC-HR-HIP-Bayer-Flamsteed Cross Index
2004-04
[32]
간행물
Dearborn catalog of faint red stars : titanium oxide stars in zones -4.5° to +13.5°
1943
[33]
간행물
Galactic OB associations in the northern Milky Way Galaxy. I - Longitudes 55° to 150°
1992-08
[34]
간행물
Studies of luminous stars in nearby galaxies. I. Supergiants and O stars in the Milky Way
1978-12
[35]
간행물
The dust condensation sequence in red supergiant stars
2009-04
[36]
간행물
The Infrared Spectral Classification of Oxygen-rich Dust Shells
199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