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페우스자리 감마 A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세페우스자리 감마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1988년 최초 발견 시도가 있었으나 1992년 관측 자료 문제로 철회되었고, 2002년 9월 24일 최종 확인되었다. 이 행성은 약 2년 반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궤도 이심률은 0.115이다. 국제천문연맹은 2015년 12월 이 행성의 이름을 타드모르로 명명했다. 2018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세페우스자리 감마 Ab의 실제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9.4배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페우스자리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세페우스자리 - 세페우스자리 감마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66.8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로, 오렌지색 준거성 감마 A(Errai)와 적색 왜성 감마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감마 A는 미래의 북극성 후보이자 외계 행성 타드모르(감마 Cephei Ab)를 거느리고 있고, 이 행성은 외계 행성 최초 발견 사례 중 하나로 '타드모르'라는 고유 명칭을 얻었다. - 목성형 행성 -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며, 1846년에 발견되었고,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인 거대 얼음 행성으로, 푸른색을 띠며 강력한 폭풍과 1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목성형 행성 - 토성
토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거대 가스 행성이며, 아름다운 고리, 많은 위성, 물보다 낮은 밀도, 빠른 자전으로 인한 편구체 형태, 북극의 육각형 구름, 그리고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타이탄과 엔켈라두스로 특징지어진다.
| 세페우스자리 감마 Ab | |
|---|---|
| 명칭 | |
| 명칭 | 세페우스자리 감마 Ab / Tadmor (타드모르) |
| 개요 | |
![]() | |
| 별자리 | 세페우스자리 |
| 항성 | 세페우스자리 감마 A |
| 적경 | RA|23|39|20.8 |
| 적위 | DEC|+77|37|56 |
| 겉보기 등급 | 3.22 |
| 거리 | 44.9 ± 0.3 광년(13.76 ± 0.08 파섹) |
| 궤도 정보 | |
| 궤도 긴반지름 | 2.05 ± 0.06 AU |
| 궤도 이심률 | 0.049 ± 0.034 |
| 공전 주기 | 903.3 ± 1.5 일 |
| 근성점 통과 시간 | 2453227 ± 87 |
| 근일점 각 | 94.6 ± 34.6 |
| 반진폭 | 27.5 ± 1.5 |
| 물리적 특징 | |
| 질량 | 9.4 +1.1-0.7 목성 질량 |
| 발견 정보 | |
| 발견자 | 브루스 캠벨, 고든 워커, Stephenson Yang, Hatzes 외 |
| 발견 장소 | 미국 |
| 발견 날짜 | 1988년 7월 13일 (추정), 2003년 5월 7일 (확인) |
| 발견 방법 | 도플러 분광법 |
2. 발견 역사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외계 행성 발견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88년 시선 속도 기법을 통해 처음 그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당시 관측 자료의 한계로 공식적인 확인에는 이르지 못하고 1992년에 발견 주장이 철회되었다.[6][7] 이후 약 10년이 지난 2002년에 이르러서야 행성의 존재가 최종적으로 확인되었고, 이듬해 공식 발표되었다.[9] 이후 추가적인 관측과 분석을 통해 행성의 궤도와 질량 등 물리적 특성이 더욱 정밀하게 밝혀졌다.[8][10]
2. 1. 초기 발견 시도 (1988년 ~ 1992년)
1988년 7월, 세페우스자리 감마 Ab의 존재 가능성이 처음 보고되었다. 이 행성은 캐나다의 브루스 캠벨, 고든 워커, 스테판슨 양이 이끄는 천문학자 팀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되었으며,[6] 1989년에는 앤서니 로턴과 P. 라이트 역시 행성의 존재를 발표했다. 비록 공식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이는 시선 속도 기법을 이용한 최초의 실질적인 외계 행성 발견 사례가 될 수 있었다. 이 시선 속도 기법은 이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1992년, 관측 자료의 품질이 발견 사실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이유로 발견 주장은 철회되었다.[7]2. 2. 최종 확인 (2002년)
2002년 9월 24일 세페우스자리 감마 Ab의 존재가 정식으로 증명되었고[9], 이듬해인 2003년 5월 7일 윌리엄 D. 코크란, 아티 P. 하체스 등을 포함한 천문학자 팀이 행성계 및 형성 워크숍에서 이 외계 행성의 존재를 최종적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하며 공식적으로 외계 행성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은 목성 질량의 1.59배로 발표되었다.[9]이후 세페우스자리 감마 항성계의 동반성인 세페우스자리 감마 B를 직접 관측하여 항성계의 매개변수들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행성 Ab의 매개변수들도 재조정되었다.[8]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중심 별로부터 평균 긴반지름 천문단위 2.044 AU 거리에서 타원 궤도를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2년 반이다. 궤도이심률은 0.115로, 항성에 가장 가까울 때는 1.81 AU, 가장 멀 때는 2.28 AU까지 거리가 변한다. 이는 태양계에서 화성 궤도부터 내부 소행성대 바로 바깥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며, 당시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공전 궤도에 해당한다.
2006년,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세페우스자리 감마 Ab의 질량 상한선이 95% 신뢰도로 목성 질량의 13.3배 미만, 99.73%(3시그마) 신뢰도로 16.9배 미만으로 추정되었다.[10] 이 결과는 세페우스자리 감마 Ab가 갈색 왜성이나 적색 왜성일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10]
3. 명칭
2014년 7월, 국제천문연맹 (IAU)은 특정 외계행성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인 NameExoWorlds를 시작했다.[2] 이 과정은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지명과 투표를 포함했다.[3] 2015년 12월, IAU는 이 행성의 당선된 이름이 타드모르(Tadmor)라고 발표했다.[4] 이 이름은 시리아 천문 협회가 제출한 것으로, 고대 셈족의 이름이자 현대 아랍어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팔미라의 이름이다.[5]
4. 물리적 특성 및 궤도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중심별 세페우스자리 감마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2년 그 존재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9] 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여러 배에 해당하며, 이는 갈색 왜성이나 적색 왜성보다는 행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중심별로부터 태양계의 화성 궤도와 소행성대 사이 정도의 거리에 해당하는 타원 궤도를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2년 반이다.
4. 1. 추가 관측
결국 2002년 9월 24일 세페우스자리 감마 Ab의 존재는 정식으로 증명되었고 외계 행성 목록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윌리엄 D. 코크란, 아티 P. 헤이츠 등으로 구성된 천문학자 팀은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이 목성의 1.59배라고 발표했다.[9] 이후 세페우스자리 감마의 동반성 B를 직접 관찰하여 감마 항성계의 매개변수들을 더욱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고, 행성의 매개변수들도 재조정되었다.[8]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항성으로부터 2.044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찌그러진 궤도를 돌고 있고, 1회 항성을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2년 반이다. 궤도이심률은 0.115로 항성에 가장 가까울 때는 1.81 천문단위, 멀어질 때는 2.28 천문단위까지 물러난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비교적 공전 궤도가 균형잡힌 축에 든다.2006년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 자료에 따르면, 세페우스자리 감마 Ab의 질량 상한선은 95% 신뢰 수준에서 목성의 13.3배 미만, 99.73%(3시그마) 신뢰 수준에서 16.9배 미만으로 제한되었다.[10] 이를 통해 이 천체가 갈색 왜성이나 적색 왜성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10]
2018년, 허블 우주 망원경의 천체 측량 관측 결과 γ 세페이 Ab의 실제 질량은 목성의 9.4배임이 밝혀졌다.
참조
[1]
웹사이트
ESA Science & Technology - A brief introduction to exoplanets
https://sci.esa.int/[...]
2023-02-04
[2]
뉴스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IAU.org
2014-07-09
[3]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Process
http://nameexoworlds[...]
2015-09-05
[4]
뉴스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5]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nameexoworlds[...]
2015-12-30
[6]
웹사이트
ESA Science & Technology - A brief introduction to exoplanets
https://sci.esa.int/[...]
2023-02-04
[7]
서적
The Crowded Universe: The Search for Living Planets
Basic Books
2009
[8]
논문
Direct detection of exoplanet host star companion γ Cep B and revised masses for both stars and the sub-stellar object
http://cdsads.u-stra[...]
2007
[9]
논문
A Planetary Companion to Gamma Cephei A
http://www.iop.org/E[...]
2009-06-26
[10]
논문
The Planet Host Star γ Cephei: Physical Properties, the Binary Orbit, and the Mass of the Substellar Companion
http://www.iop.org/E[...]
2009-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