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요시자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요시자네는 1639년에 태어나 1702년에 사망한 쓰시마 후추번의 3대 번주이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오오우라 미쓰토모를 등용하여 번의 재정을 개혁하고, 대조선 교역을 확대하는 등 번정을 안정시키며 전성기를 이끌었다. 특히, 운하 건설과 번교 설립을 통해 번의 발전을 도모했다. 그러나 급진적인 개혁은 가신들의 반발을 불렀고, 만년에 울릉도 쟁계 문제와 교역량 감소로 인해 번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는 1692년 은거했지만, 사망할 때까지 번의 실권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2년 사망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1702년 사망 - 난부 유키노부
에도 시대 모리오카 번 제5대 번주 난부 유키노부는 가즈노 금산 생산량 감소와 흉년으로 악화된 번 재정을 재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기근 속에서 유교에 심취했으며, 포술과 승마에 능하여 각 분야의 새로운 유파를 창시했다. - 1639년 출생 - 숭선군
숭선군은 조선 인조의 아들로, 1639년에 태어나 숭선군에 봉해졌으며, 귀인 조씨의 역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보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효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39년 출생 - 사카이 다다쓰네 (1639년)
사카이 다다쓰네는 1639년에 태어나 데와 쇼나이번 번주 사카이 타다카츠의 아들로, 마쓰야마번을 개척하고 슨푸성, 에도성 니노마루 성벽 축조, 심광사 창건에 기여했으며, 1675년에 사망했다. - 쓰시마 후추번주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초대 번주이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했고, 조선과의 국교 회복에 힘써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단절되었던 조선과의 관계를 복원하는 데 기여했다. - 쓰시마 후추번주 - 소 요시나리
소 요시나리는 1604년에 태어나 1657년에 사망한 쓰시마 후추번의 2대 번주이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반쇼인을 창건했으며, 조선 표류민을 송환하는 등 번정 안정에 힘썼다.
소 요시자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씨족 | 소 씨(宗氏) |
묘소 | 나가사키현(長崎県) 쓰시마시(対馬市) 이즈하라 정(厳原町) 고쿠분(国分)의 반쇼인(万松院) |
계명 | 천룡원전고암종옥대거사(天竜院殿高厳宗屋大居士) |
출생 | 간에이(寛永) 16년 11월 18일(양력 1639년 12월 12일) |
사망 | 겐로쿠(元禄) 15년 8월 7일(1702년 8월 29일) |
관직 | |
관위 | 종4위하 |
관직 | 하리마노카미(播磨守), 시종(侍従), 쓰시마노카미(対馬守), 형부대보(刑部大輔) |
번 | 쓰시마 후추 번주(対馬府中藩主)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미쓰 → 도쿠가와 이에쓰나 → 도쿠가와 쓰나요시 |
막부 | 에도 막부(江戸幕府)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소 요시나리(宗義成) |
어머니 | 히노 스케카쓰(日野資勝)의 딸 ・ 후쿠(福, 요교인養玉院) |
형제 | 요시자네, 호소카와 사네하루(細川真春) |
배우자 | 정실: 교고쿠 다카카즈(京極高和)의 딸 ・ 료(栗, 엔쇼인円照院) |
자녀 | 요시쓰구(義倫), 후루카와 사네코토(古川真言, 삼남), 요시미치(義方), 다다 쓰구요시(多田倫寛, 4남), 요시노부(義誠), 미치히로(方熈), 다카세 유키미치(高瀬行方, 10남), 딸(히노 스케나리日野資成의 아내로 후에 도쿠다이지 기미토모徳大寺公全에게 재가), 쓰네(常, 마쓰다이라 다다토시松平忠敏의 정실로 훗날 모리 다카요시毛利高慶의 정실로 재가), 로쿠(六, 가메이 고레치카亀井茲親의 정실), 이에(家, 다이고 후유히로醍醐冬熙의 아내) |
기타 정보 | |
아명 | 히코미치(彦満) |
개명 | 요시자네(義真) |
2. 생애
간에이 16년(1639년) 11월 18일, 쓰시마 후추번의 2대 번주 소 요시나리의 장남으로 태어나, 165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가독을 상속받았다. 소 요시자네는 오오우라 미쓰토모를 등용하여 번정 개혁을 단행하여, 쓰시마 후추번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번의 격식은 10만 석에 버금가는 지위로까지 상승하였고, 1671년 쓰시마섬 서부의 아소 만에서 동부 해안가로 이어지는 운하 오후나코시 해협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급속한 개혁은 가신단의 불만을 샀고, 1665년 오오우라 미쓰토모는 사형되었다. 1689년에는 아메노모리 호슈가 등용되어 조선과의 외교를 담당하였다.
1692년 아들 요시쓰구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였으나, 번의 실권은 여전히 요시자네가 쥐고 있었다. 하지만 만년에 여러 악조건이 겹치면서 쓰시마 후추번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702년 8월 7일 사망하였고, 향년 64세였다.
2. 1. 초기 생애 및 번주 즉위
간에이 16년(1639년) 11월 18일, 쓰시마 후추번의 2대 번주 소 요시나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메이레키 원년(1655년) 6월, 종4위하 하리마노카미(播磨守)로 서위되어 임관하였다. 메이레키 3년(165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가독을 상속받았고, 이때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명되었다.소 요시자네는 번을 다스림에 있어 오오우라 미쓰토모를 등용하여 석재(借財) 정리, 대조선 교역 확대, 간몬 검지(寛文検地)에 의한 지방지행제(地方知行制)에서 장전지행제(蔵前知行制)로의 이행, 간몬(寛文) 4년(1664년)의 균전제 실시와 이에 따른 세금 제도 개혁, 새로운 토지 개발, 쓰시마 은산의 생산량 증가, 조카마치(城下町)나 후추 항(府中港)의 정비와 확대, 번교(藩校)라 불리는 쓰시마 후추번의 번사와 그 자제들을 가르치는 학교를 짓는 등 번내 정치의 기초를 완전히 다졌다.
2. 2. 번정 개혁과 전성기
메이레키 3년(1657년) 아버지가 사망하여 가독을 상속받았다. 오오우라 미쓰토모를 등용하여 석재(借財) 정리, 대조선 교역 확대, 간몬 검지(寛文検地)에 의한 지방지행제(地方知行制)에서 장전지행제(蔵前知行制)로의 이행, 간몬(寛文) 4년(1664년)의 균전제 실시와 이에 따른 세금 제도 개혁, 새로운 토지 개발, 쓰시마 은산의 생산량 증가, 조카마치나 후추 항의 정비와 확대, 번교라 불리는 쓰시마 후추번의 번사와 그 자제들을 가르치는 학교를 짓는 등 번내 정치의 기초를 완전히 다졌다.이러한 쓰시마 후추번의 전성기를 쌓아올림으로써 번의 격식은 10만 석에 버금가는 지위로까지 상승하였다.( 쓰시마 후추번의 실질 고쿠다카는 1만 석 정도였으나 교역 수지가 확대된 것이 고려된다.) 간몬 12년(1671년) 쓰시마섬 서부의 아소 만에서 동부 해안가로 이어지는 운하 오후나코시 해협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급속한 개혁, 특히 지행제도 개혁은 쓰시마 후추번의 가신단의 불만을 샀고, 간몬 5년(1665년) 2월에 오오우라 미쓰토모가 사형에 처해졌다. 겐로쿠 2년(1689년) 5월에는 기노시타 준안의 제자로 준안의 추천을 받아 쓰시마 후추번에 채용된 아메노모리 호슈가 쓰시마 후추번에 부임해 번의 문교(文教)나 대조선 외교문서를 전담하는 진문역(真文役)이 되었다.
2. 3. 개혁의 한계와 가신 반발
그러나 급속한 개혁, 특히 지행제도 개혁은 쓰시마 후추번의 가신단의 불만을 샀고, 간몬 5년(1665년) 2월에 오우라 미쓰토모는 사형되었다. 겐로쿠 2년(1689년) 5월에는 기노시타 준안의 제자로 준안의 추천을 받아 쓰시마 후추번에 채용된 아메노모리 호슈가 쓰시마 후추번에 부임해 번의 문교(文教)나 대조선 외교문서를 전담하는 진문역(真文役)이 되었다.2. 4. 아메노모리 호슈 등용과 조선과의 관계
겐로쿠 2년(1689년) 5월, 기노시타 준안의 제자로 준안의 추천을 받아 쓰시마 후추번에 채용된 아메노모리 호슈가 쓰시마 후추번에 부임해 번의 문교(文教)나 대조선 외교문서를 전담하는 진문역(真文役)이 되었다.2. 5. 은거와 번정 악화
겐로쿠 5년(1692년) 6월 27일, 차남 요시쓰구에게 가독을 넘겨주고 은거하였으나, 그 뒤로도 번내 정치의 실권은 요시자네에게 있었다. 하지만 만년에 요시쓰구가 요절하고 울릉도 쟁계 문제로 조선과의 교섭에 차질이 빚어져 조선과의 교역량 수지도 감퇴하는 등 악조건이 겹쳐 쓰시마 후추번의 쇠퇴가 시작되었다. 겐로쿠 12년(1699년)에는 재정 재건을 위해 가신에 대한 지행석상(知行借上)을 행하였다.요시자네 사후 넷째 아들 요시미치를 새로운 번주로 옹립하고, 자신은 겐로쿠 15년(1702년) 8월 7일에 사망할 때까지 번의 실권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향년 64세였다.
2. 6. 사망
겐로쿠 15년(1702년) 8월 7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64세였다. 아메노모리 호슈의 《교린제성》에는 그의 계명을 따서 덴류인 공(天竜院殿)이라 부르고 있다.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소 요시나리 | (1604년 ~ 1657년) |
어머니 | 후쿠, 요교쿠인 | 히노 스케카츠의 딸 |
정실 | 큐리, 아구리, 엔쇼인 | 교고쿠 타카카즈의 딸 |
측실 | 쓰가와, 코쥬인 | 미우라 나리토모의 딸 |
차남 | 소 요시미치 | (1671년 ~ 1694년) |
사남 | 소 요시카타 | (1684년 ~ 1718년), 소 요시미치의 양자 |
측실 | 우몬, 홋쇼인 | 사사키 씨 |
칠남 | 소 요시자네 | (1692년 ~ 1730년), 소 요시카타의 양자 |
십남 | 타카세 유키카타 | |
측실 | 마츠오카 씨 | |
삼남 | 후루카와 신고 | |
측실 | 츠치다 씨 | |
딸 | 히노 스케나리의 처, 이후 토쿠다이지 킨마사 계실 | |
측실 | 이와사키 씨 | |
측실 | 노무라 씨 | |
아들 | 타다 노리히로 | |
딸 | 이에 | 다이고 후유히로의 처 |
측실 | 지겐인 | 쇼지 칸자에몬의 딸 |
구남 | 소 요시히로 | (1696년 ~ 1760년), 소 요시자네의 양자 |
딸 | 죠 | 마츠다이라 타다토시 정실, 이후 모리 타카요시 정실 |
딸 | 로쿠 | 카메이 코레치카 정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