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겐로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겐로쿠는 1688년부터 1704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이 시기는 히가시야마 천황의 치세에 시작되어 호에이로 개원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겐로쿠 시대에는 이하라 사이카쿠의 《닛폰에이타이구라》 간행,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의 소바요닌 취임, 나가사키의 도진야시키 설치, 안용복 사건, 겐로쿠 아코 사건, 겐로쿠 대지진 등 다양한 정치, 사회, 문화적 사건이 일어났다. 이 시기에는 지카마쓰 몬자에몬, 이하라 사이카쿠, 마츠오 바쇼 등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의 인물들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겐로쿠
개요
시대 구분일본사의 시대 구분
시대에도 시대
기간1688년 ~ 1704년
천황히가시야마 천황
특징
문화화려하고 사치스러운 문화가 번성함
사회상업 발달, 도시 성장, 경제적 변화
경제쌀 가격 폭등, 재정 위기 심화
주요 사건
겐로쿠 아코 사건아코 사건 발생 (1701년-1703년)
사회 문제빈곤, 기근 등의 문제 심화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Genroku

2. 연호 및 출전

조쿄 5년 9월 30일(1688년 10월 23일)에 히가시야마 천황의 즉위를 계기로 개원되었다. 연호 '겐로쿠'(元禄)는 문선에 실린 "建立'''元'''勲、以歴顕'''禄'''、福之上也" 구절에서 유래했으며, '원래의 행복'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당시의 낙관적인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개원 당시 조정에서는 '호에이'(宝永)와 '간로쿠'(寛禄)를 후보로 올렸고, 특히 레이겐 상황은 '호에이'를 강력히 지지했다. 그러나 막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최종 후보에서 제외되었던 '겐로쿠'를 선택했다고 전해진다.[9] 아이러니하게도 이때 막부가 거부했던 '호에이'는 다음 개원 때 채택되었다.

겐로쿠 연호는 겐로쿠 17년 3월 13일(1704년 4월 16일)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호에이로 개원되었다.

3. 주요 사건

겐로쿠 시대(1688년 ~ 1704년)는 에도 시대 중에서도 경제와 문화가 크게 발전한 시기였지만, 동시에 여러 중요한 사건과 변화가 발생했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치세 아래,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와 같은 측근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막부는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화폐를 주조했다.[2] 사회적으로는 살생금지령과 관련된 정책으로 에도에 개 보호소가 설치되기도 했고, 자녀 유기 금지령이 내려졌다.

문화적으로는 이하라 사이카쿠, 마쓰오 바쇼, 지카마쓰 몬자에몬 등이 활동하며 겐로쿠 문화가 꽃피웠다. 우키요에가부키 역시 크게 발전했다. 한편, 아코 사건(주신구라)과 같은 무사 사회의 갈등이 발생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겐로쿠 대지진[8]과 같은 대규모 자연재해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또한 조선과의 관계에서는 안용복 사건을 계기로 울릉도 영유권 문제가 불거져, 막부가 일본 어민들의 울릉도 도해를 금지하게 되었다.

3. 1. 정치 및 사회

겐로쿠 시대의 주요 정치 및 사회적 사건은 다음과 같다.

겐로쿠 시대 주요 사건 연표
연도 (겐로쿠 연호)사건
1688년 (원년)1월이하라 사이카쿠가 소설 《日本永代蔵|닛폰에이타이구라일본어》를 간행함.
1688년 (원년)11월야나기사와 요시야스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측근인 側用人|소바요닌일본어에 임명됨.
1688년 (원년)-오사카의 도지마 (堂島) 지역이 개발됨.
1688년 (원년)-도쿠가와 막부가 장례 및 상중(喪中)에 관한 규정인 《복기령(服忌令)》을 개정함.[4]
1689년 (2년)3월 27일마쓰오 바쇼와 제자 가와이 소라가 에도 후카가와를 출발하여 {{lang 기행을 시작함. (음력 기준)
1689년 (2년)4월나가사키에 중국인 거주 구역인 唐人屋敷|도진야시키일본어가 설치됨.
1689년 (2년)7월 3일
(양력 9월 16일)
독일인 의사 엥겔베르트 켐퍼가 나가사키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에 도착함.[5]
1689년 (2년)8월마쓰오 바쇼오가키에서 오쿠노 호소미치 기행을 마침.
1689년 (2년)11월천문학자 시부카와 하루미천문대를 건설함.
1690년 (3년)10월자녀 유기를 금지하는 명령이 공식적으로 반포됨.
1692년 (5년)-에도 내에서의 사찰 신규 건립이 금지됨.
1692년 (5년)-나가노 젠코지의 비불(秘仏)이 실제로는 없다는 소문이 퍼지자, 막부가 진위 조사를 위해 사자를 파견함.
1693년 (6년)12월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가 고후 번주이자 훗날 6대 쇼군이 되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侍講|지코일본어(학문 강사)가 됨.
1693년 (6년)-장례 규정 《복기령》이 다시 개정됨.[6]
1694년 (7년)2월다카다노바바 결투 발생. 이 결투에서 조력자로 나선 호리베 야스베가 명성을 얻음.
1695년 (8년)2월간토 지방의 덴료(天領, 막부 직할령)에 대한 겐치(検地, 토지 측량 및 수확량 조사)를 실시함.
1695년 (8년)8월 7일금은 개주령(改鋳令)이 발표되어 새로운 화폐(겐로쿠 금은) 주조가 결정됨. 9월 15일부터 주조 시작. 막부는 구리 동전 앞면에 元|겐일본어 자를 새겼는데, 이는 현대 중국의 위안(元)과 같은 글자지만 연관성은 없음.[2]
1695년 (8년)11월에도 나카노에 유기견 보호 시설인 犬小屋|이누고야일본어가 설치됨. 이와 관련하여 쇼군 쓰나요시는 개 쇼군(犬公方)이라는 별명을 얻음.
1695년 (8년)12월 22일오기와라 시게히데가 간조부교(勘定奉行)에 취임함. 그는 겐로쿠 화폐 개주를 주도함.
1696년 (9년)-안용복의 도일 활동 결과, 에도 막부울릉도(당시 일본 명칭 다케시마)로의 일본 어민 도해를 금지함.
교토와 주변 지역 지도 (1696년경).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지명을 표기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1697년 (10년)-일본의 네 번째 공식 지도인 《겐로쿠 구니에즈(元禄国絵図)》가 제작됨. 그러나 이전 지도보다 부정확하다는 평가를 받음.[7]
1697년 (10년)-에도에서 대화재 발생.[2]
1698년 (11년)9월 6일에도에서 다시 대화재 발생. 간에이지 경내에 새로운 건물이 건설됨.[2]
1700년 (13년)8월닛코 동조궁 관리를 위한 닛코 부교(日光奉行) 직책이 설치됨.
1700년 (13년)11월금화와 은화 간의 교환 비율이 정해짐.
1701년 (14년)3월 14일에도성 내 마쓰노 오로카(松之大廊下)에서 아코 번주 아사노 나가노리가 의전 담당관(고케) 기라 요시나카에게 칼을 휘두르는 사건 발생. 아사노는 당일 할복 처분됨.
1703년 (15년)12월 14일아사노 나가노리의 가신들(아코 로시)이 기라 요시나카의 저택을 습격하여 복수함 (겐로쿠 아코 사건).
1703년 (16년)2월 4일아코 사건에 가담한 오이시 요시오 등 로시(浪士)들이 할복 처분됨.
1703년 (16년)5월지카마쓰 몬자에몬 작의 닌교조루리 작품 《소네자키 신주》가 오사카에서 초연되어 큰 인기를 얻음.
1703년 (16년)-유학자 가이바라 에키켄이 《지쿠젠 국 속풍토기(筑前国続風土記)》를 편찬함.
1703년 (16년)11월 23일
(양력 12월 31일)
사가미 해곡을 진원으로 하는 겐로쿠 대지진 발생. 에도가 큰 피해를 입고 쇼군 거성 일부가 붕괴됨.[8] 다음날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으며, 혼슈 해안 지역은 쓰나미 피해를 입어 최대 2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함.[8][2][11]



겐로쿠 시대는 일본 역사상 세계 인구에서 일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던 시기로, 세계 인구의 약 5% (20명 중 1명)가 일본인이었다.

3. 2. 문화

겐로쿠 시대는 에도 시대 중에서도 특히 조닌(町人, 도시 상공업자) 문화가 활발하게 꽃피었던 시기이다. 문학, 미술,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 '''원년 (1688년)'''
  • 1월: 우키요조시 작가 이하라 사이카쿠가 상인들의 생활상을 그린 『닛폰에이타이구라』(日本永代蔵)를 간행했다.[10]
  • 고치에서 처음으로 기요다유절(浄瑠璃節)이 불려지기 시작했다.[10]
  • '''2년 (1689년)'''
  • 3월 27일: 하이쿠 시인 마쓰오 바쇼가 제자 가와이 소라와 함께 에도의 후카가와를 출발하여 오쿠의 호소미치(おくのほそ道) 기행에 나섰다. 이 여정은 같은 해 8월 오가키에서 마무리되었다.
  • 11월: 천문학자 시부카와 하루미가 천문 관측을 위한 전망대를 건설했다.
  • '''3년 (1690년)'''
  • 8월: 나가사키의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독일인 의사이자 박물학자인 엥겔베르트 캠프퍼가 일본에 도착했다.[5] 그는 이후 일본의 자연과 문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 '''6년 (1693년)'''
  • 12월: 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가 고후 번주이자 훗날 쇼군이 되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지코(侍講, 학문 강의자)로 임명되었다.

  • '''7년 (1694년)'''
  • 2월: 스게노 로쿠로자에몬과 무라카미 쇼자에몬 사이에 다카다노바바의 결투가 벌어졌고, 이 결투에서 조력자로 나선 호리베 야스베가 명성을 얻었다. 이는 후일 주신구라 이야기에도 영향을 주었다.
  • '''10년 (1697년)'''
  • 일본의 네 번째 공식 지도인 겐로쿠 국에즈(元禄国絵図)가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는 쇼호 1년(1644년)에 제작된 지도보다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7]

  • '''16년 (1703년)'''
  • 5월: 지카마쓰 몬자에몬이 쓴 닌교조루리 작품 『소네자키 신주』(曽根崎心中)가 오사카에서 초연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 유학자이자 본초학자인 가이바라 에키켄이 『지쿠젠국 속 풍토기』(筑前国続風土記)를 편찬했다.

3. 3. 겐로쿠 시대의 주요 인물


  • '''문학 및 예술'''
  • * '''이하라 사이카쿠''': 우키요조시 작가. 겐로쿠 원년(1688년)에 대표작 『닛폰에이타이구라』(日本永代蔵)를 간행했다.
  • * '''마츠오 바쇼''': 하이쿠 시인. 겐로쿠 2년(1689년) 가와이 소라와 함께 오쿠노 호소미치 기행을 떠났다.
  • * '''치카마쓰 몬자에몬''': 조루리 및 가부키 극작가. 겐로쿠 16년(1703년)에 『소네자키 신주』(曽根崎心中)를 초연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 * '''오가타 코린''', '''오가타 겐잔''': 형제 화가로, 린파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화려하고 장식적인 화풍으로 유명하다.
  • * '''히시카와 모로노부''', '''토리이 키요노부''', '''미야가와 초슌''': 우키요에 화가들로, 당시 서민 문화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 * '''가이바라 에키켄''': 유학자이자 본초학자. 겐로쿠 16년(1703년) 『지쿠젠국 속 풍토기』(筑前国続風土記)를 편찬했다.

  • '''연극 (가부키)'''
  • * '''이치카와 단주로 1세''': 아라고토 양식을 확립한 대표적인 가부키 배우.
  • * '''사카타 도주로 1세''': 와고토 양식을 대표하는 배우로, 주로 오사카에서 활동했다.
  • * '''요시자와 아야메 1세''': 뛰어난 온나가타(여성 역할을 하는 남자 배우)로 명성을 떨쳤다.

  • '''정치 및 학문'''
  • *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은 소바요닌(側用人). 겐로쿠 원년(1688년)에 소바요닌에 취임하여 막부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 '''아라이 하쿠세키''': 유학자이자 정치가. 겐로쿠 6년(1693년) 고후 번주였던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시강(侍講)이 되었고, 이후 이에노부가 쇼군이 되자 막부 정치 개혁에 참여했다.
  • * '''오기와라 시게히데''': 간조 부교. 겐로쿠 8년(1695년) 겐로쿠 화폐 개주를 주도했으나,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한 경제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겐로쿠 8년 12월 22일에 간조 부교에 취임했다.
  • * '''시부카와 하루미''': 천문학자. 조쿄력을 만들었으며, 겐로쿠 2년(1689년)에는 막부의 명으로 천문방(天文方)을 설치하고 전망대를 건설했다.

  • '''기타'''
  • * '''엥겔베르트 캠프퍼''': 독일인 의사 겸 박물학자. 겐로쿠 3년(1690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의사로 나가사키의 데지마에 도착하여 약 2년간 일본에 머물며 일본의 자연, 문화, 사회 등을 상세히 기록한 『일본지』(History of Japaneng)를 남겼다.[5]
  • * '''47인의 로닌''': 겐로쿠아코 사건(아코 사건)의 주역들. 주군 아사노 나가노리의 원수를 갚기 위해 겐로쿠 15년(1702년) 12월 14일 기라 요시히사(吉良義央)의 저택을 습격했다. 오이시 요시오를 비롯한 로닌들은 겐로쿠 16년(1703년) 2월 4일 할복했다. 이 사건은 주신구라(忠臣蔵)라는 이름으로 각색되어 현재까지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3. 4. 사건사고

연도 (겐로쿠 연호)사건
1688년 (원년)1월이하라 사이카쿠가 《일본영대장(日本永代蔵)》을 간행함.[10]
1688년 (원년)11월야나기사와 요시야스측용인(側用人)에 취임함.
1688년 (원년)-오사카 도지마 지역이 개발됨.
1688년 (원년)-고치에서 처음으로 기요다유절(浄瑠璃節)이 공연됨.[10]
1688년 (원년)-도쿠가와 막부가 장례 규정인 《복기령(服忌令, Fuku-kiju-ryō)》을 개정하여 상중(喪中)에 대한 규정을 포함시킴.[4]
1689년 (2년)3월 27일마쓰오 바쇼와 가와이 소라가 에도 후카가와에서 오쿠의 호소미치(おくのほそ道) 여정을 시작함.
1689년 (2년)4월나가사키당인저택(唐人屋敷, 중국인 거주지)이 설치됨. 나가사키 외국인 거류지가 가능해짐.[5]
1689년 (2년)7월 3일
(양력 9월 16일)
독일인 의사 엥겔베르트 캠프퍼가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에 도착함.[5]
1689년 (2년)8월마쓰오 바쇼오가키에서 오쿠의 호소미치 여정을 마침.
1689년 (2년)11월시부카와 하루미전망대를 건설함.
1690년 (3년)10월자녀 유기 금지령이 공식적으로 선포됨.
1692년 (5년)-에도에서의 사찰 건립이 금지됨.
1692년 (5년)-젠코지의 비불(秘仏) 존재 여부에 대한 소문이 퍼져 막부가 진위 조사를 위해 사자를 파견함.
1693년 (6년)12월아라이 하쿠세키가 고후 번주이자 미래의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시코(侍講, 학문 강사)가 됨.
1693년 (6년)-장례 규정이 다시 개정됨.[6]
1694년 (7년)2월스게노 로쿠로자에몬과 무라카미 쇼자에몬의 다카다노바바 결투 발생. 호리베 야스베가 조력하여 명성을 얻음.
1695년 (8년)2월간토 지방의 막부 직할령(天領)에 대한 토지 측량(検地)을 실시함.
1695년 (8년)8월 7일금은 개주령(改鋳令)이 발표되고, 9월 15일부터 겐로쿠 화폐(元禄貨幣) 주조가 시작됨. 막부는 구리 동전 앞면에 (겐) 자를 새김.[2]
1695년 (8년)11월에도의 들개들을 나카노에 만든 개 보호소(犬小屋)에 수용함. 이 정책으로 도쿠가와 쓰나요시 쇼군은 "개 쇼군"(犬公方)이라는 별명을 얻게 됨.
1695년 (8년)12월 22일오기와라 시게히데가 감정봉행(勘定奉行)에 취임함.
1696년 (9년)-안용복 사건 발생. 막부는 울릉도(당시 일본명 다케시마)로의 도해를 금지함.
1697년 (10년)-일본의 네 번째 공식 지도인 《겐로쿠 구니에즈(元禄国絵図)》가 제작됨. 그러나 1639년에 완성된 이전 지도보다 부정확하다는 평가를 받음. 이 지도는 교호 4년(1719년) 수학자 다테베 카타히로(1644–1739)가 1:21,600 축척으로 수정함.[7]
1697년 (10년)-에도에서 대화재 발생.[2]
1698년 (11년)9월 6일에도에서 다시 대화재 발생. 간에이 사(寛永寺, 도에이잔 간에이 사) 경내에 새로운 건물이 건설됨.[2]
1700년 (13년)8월닛코 부교(日光奉行) 직책이 설치됨.
1700년 (13년)11월금화와 은화의 교환 비율이 정해짐.
1701년 (14년)3월 14일에도 성 내 소나무 복도(松之大廊下)에서 아코 번주 아사노 나가노리가 고케 키모이리(高家肝煎) 기라 요시나카를 칼로 공격하는 사건 발생.
1702년 (15년)12월 14일겐로쿠 아코 사건(아코 사건, 47인의 로닌) 발생.
1703년 (16년)2월 4일오이시 요시오 등 아코 로닌(浪人)들이 할복함.
1703년 (16년)-가이바라 에키켄이 《지쿠젠 국 속풍토기》(筑前国続風土記)를 편찬함.
1703년 (16년)5월지카마쓰 몬자에몬조루리 작품 《소네자키 신주》가 초연됨.
1703년 (16년)11월 23일
(양력 12월 31일)
겐로쿠 대지진 발생. 사가미 해곡 거대지진 중 하나로, 에도와 쇼군의 성 일부가 붕괴되고 다음 날 대화재로 번짐.[2][8] 혼슈 해안 지역에 쓰나미 피해가 발생하여 최대 2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8][11]


4. 연표



연도 (겐로쿠/서기)사건
겐로쿠 원년 (1688년)1월이하라 사이카쿠가 『닛폰에이타이구라』(日本永代蔵)를 간행함.[4]
11월야나기사와 요시야스소바요닌(側用人)에 취임함.[4]
-오사카 도지마(堂島)가 개발됨.
-도쿠가와 막부가 장례 및 상중 규정인 부키료(服忌令)를 개정함.[4]
-고치에서 처음으로 조루리(浄瑠璃)가 불림.[10]
겐로쿠 2년 (1689년)3월 27일마쓰오 바쇼와 가와이 소라가 에도 후카가와에서 오쿠노호소미치(奥の細道) 여정을 시작함.
4월나가사키도진야시키(唐人屋敷, 중국인 거주지)가 설치됨.
7월 3일
(양력 9월 16일)
독일인 의사 엥겔베르트 켐퍼가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에 도착함.[5]
8월마쓰오 바쇼오가키에서 오쿠노호소미치 여정을 마침.
11월시부카와 하루미가 천문대를 건설함.
겐로쿠 3년 (1690년)10월자녀 유기 금지령이 반포됨.
겐로쿠 5년 (1692년)-에도에서의 사찰 건립이 금지됨.
-젠코지의 비불(秘仏) 존재 여부에 대한 소문이 퍼져 막부가 조사관을 파견함.
겐로쿠 6년 (1693년)12월아라이 하쿠세키가 고후 번주 도쿠가와 이에노부시강(侍講)이 됨.
-장례 규정이 다시 개정됨.[6]
겐로쿠 7년 (1694년)2월스게노 마키코와 무라카미 쇼자에몬의 다카다노바바 결투. 호리베 야스베가 조력자로 명성을 얻음.
겐로쿠 8년 (1695년)2월간토 지방의 덴료(天領, 막부 직할령)에 대한 겐치(検地, 토지 조사)를 실시함.
8월 7일금은화 개주령(改鋳令)이 발표되고, 9월 15일부터 겐로쿠 가헤이(元禄貨幣) 주조가 시작됨. 화폐 앞면에 (겐) 글자를 새김.[2]
11월에도의 들개들을 나카노에 설치한 개 보호소(이누야시키(犬屋敷))에 수용함. 이로 인해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이누쿠보(犬公方, 개 쇼군)라는 별명을 얻음.
12월 22일오기와라 시게히데가 간조부교(勘定奉行)에 취임함.
겐로쿠 9년 (1696년)-안용복 사건 발생. (일본 측 기록: 다케시마(울릉도) 도해 금지령)
겐로쿠 10년 (1697년)-일본의 네 번째 공식 지도인 겐로쿠 구니에즈(元禄国絵図)가 제작됨.[7]
-에도에서 대화재 발생.[2]
겐로쿠 11년 (1698년)9월 6일에도에서 다시 대화재 발생. 간에이지(寛永寺) 경내에 새로운 건물이 세워짐.[2]
겐로쿠 13년 (1700년)8월닛코 부교(日光奉行) 직책이 설치됨.
11월금화와 은화의 교환 비율이 정해짐.
겐로쿠 14년 (1701년)3월 14일에도 성 내 마쓰노 오로카(松之大廊下)에서 아코 번주 아사노 나가노리가 고케(高家) 기라 요시히사(吉良義央)를 칼로 공격하는 사건 발생.
겐로쿠 15년 (1702년)12월 14일겐로쿠아코 사건(주신구라) 발생. 47인의 로닌이 기라 요시히사의 저택을 습격함.
겐로쿠 16년 (1703년)2월 4일오이시 요시오 등 아코 로닌들이 할복함.
5월지카마쓰 몬자에몬의 닌교조루리 작품 『소네자키 신주』(曽根崎心中)가 초연됨.
11월 23일겐로쿠 대지진 발생. 에도와 오다와라 등 간토 남부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히고 쓰나미를 동반함. 사망 및 부상자가 최대 20만 명에 달함.[8][2][11]
-가이바라 에키켄이 『지쿠젠 국 속 풍토기』(筑前国続風土記)를 편찬함.


참조

[1] 서적 "''Genroku''"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3] 논문 The Crisis of Japan's Liberal Democratic Party https://www.jstor.or[...] 1975
[4] 서적 Japanese Culture: Its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2004
[5]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2006
[6] 문서
[7] 서적 The Tokaido Road: Traveling and Representation in Edo and Meiji Japan 2004
[8] 서적 Yokohama Burning: The Deadly 1923 Earthquake and Fire that Helped Forge the Path to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2006
[9] 서적 改元にみる朝幕関係 岩田書院 1998
[10] 서적 武市佐市郎集 風俗事物編 高知市民図書館
[11] 서적 大日本地震史料 増訂 第二巻 文部省震災予防評議会 19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