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교는 에도 시대 각 번에서 설립된 학교로, 무단 정치에서 문치 정치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발전했다. 1669년 오카야마번의 오카야마 학교가 최초의 번교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번정 개혁을 위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전국적으로 설립이 증가하여 255개에 달했다. 번교는 지방 문화 진흥과 인재 배출에 기여했으며, 닛신칸, 메이린칸, 조시칸 등이 대표적이다. 사쓰마번과 조슈번 등에서는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준 인재를 배출하기도 했다.
번교는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지만, 이후 중등·고등 제학교의 모체가 되었으며, 일부는 현재 고등학교로 존속하거나 대학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에도 시대 후기에는 국학, 란가쿠 등 교육 내용이 다양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교 - 메이린칸
메이린칸은 1718년 하기성에 설립된 에도 시대 조슈번의 번교로, 야마구치에도 분립되어 운영되었으며,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배출했고, 현재 하기 메이린칸 터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번교 - 닛신칸 (쓰시마 후추번)
닛신칸은 오우라 노리노스케의 건의로 설립된 쓰시마 후추번의 학교로, 존왕양이파의 거점이 되었으나 가쓰이 소동으로 폐지되었다. - 일본의 유학 - 회덕당
1724년 에도시대 오사카 상인들이 설립한 사학인 회덕당은 신분과 관계없이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개방적인 학풍을 지향하며 상인 교육에 기여하고 실학 사상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폐교되었다가 재건되어 오사카 대학으로 이관되었고 현재 장서는 '개덕당 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 일본의 유학 - 쇼헤이자카 학문소
쇼헤이자카 학문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하야시 라잔에게 하사한 사숙에서 시작된 에도 막부의 교육 기관으로, 막부 직할 기관으로 재편되어 주자학을 장려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폐교되었지만 도쿄 대학의 원류 중 하나로 여겨진다. - 에도 시대의 교육 - 고베 해군 훈련소
고베 해군 훈련소는 가쓰 가이슈가 에도 막부 말기에 서구 열강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고베에 설립한 해군 훈련 기관으로, 짧은 존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메이지 유신에 기여할 인재를 배출하고 고베를 항구 도시로 변모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 에도 시대의 교육 -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는 에도 막부가 해안 방어 강화를 위해 1855년 나가사키에 설립한 해군 장교 양성 기관으로, 네덜란드 해군의 지원을 받아 서양식 해군 기술을 교육하고 가쓰 가이슈, 에노모토 다케아키 등 일본 해군을 이끌 인물들을 배출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번교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교육 기관 |
설립 시기 | 에도 시대 |
폐지 시기 | 메이지 시대 초기 |
주요 교육 내용 | 유학, 무술 |
특징 | 각 번에서 설립 및 운영 |
배경 | |
설립 목적 | 무사 계급 자제 교육 |
영향 | 인재 양성 및 번의 통치 강화 |
사회적 역할 | 지역 사회 문화 중심지 역할 |
교육 과정 | |
주요 과목 | 유학 경전 역사 문학 무술 (검술, 창술, 궁술 등) |
교육 방법 | 강독, 토론, 습사, 무예 훈련 |
학생 구성 | 번사 자제 (일부 평민 자제 허용) |
역사적 변화 | |
에도 시대 | 번의 재정 상황에 따라 규모 및 교육 내용 변화 |
메이지 유신 이후 | 신정부 정책에 따라 폐지, 근대 교육 기관으로 전환 |
주요 번교 | |
간에이 주시가쿠 (弘道館) | 미토 번 |
메이린칸 (明倫館) | 조슈 번 |
지시칸 (時習館) | 사쓰마 번 |
고도칸 (興譲館) | 하리마 삿초 번 |
슈도칸 (修道館) | 오와리 번 |
가쿠슈칸 (学習館) | 후쿠이 번 |
참고 문헌 |
2. 번교의 성립과 발전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에 이르러 이전까지의 무단 정치에서 문치 정치로 전환되면서, 각 번에서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기관인 번교(藩校)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일본 최초의 번교는 1669년(간분 9년) 오카야마번의 번주 이케다 미쓰마사가 세운 오카야마 학교(岡山学校, 또는 국학)로 알려져 있다. 일설에는 나고야번이 간에이 연간(1624년~1644년)에 설립한 메이린도(明倫堂)가 최초라는 주장도 있다.[2]
번교가 전국적으로 본격 설립된 것은 호레키 시대(1751년~1764년) 이후이다. 많은 번들이 번정 개혁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학교를 세웠다. 야나가와번이나 요네자와번처럼 에도 시대 중기에 번의 유학자 자택에 있던 공자묘나 강당을 후기에 이전·확대하고, 번의 공식 직책에 번교 관련직을 두어 번이 직접 운영하는 형태로 발전시킨 경우도 있었다. 또한, 에치고 나가오카번의 슈세이칸(崇正館, 1831년)이나 조슈번의 유비칸(有備館, 1841년)처럼 번의 영지 내뿐만 아니라 에도 번저 안에 번교를 개설한 번도 존재했다.
번교 설립이 활발해지면서 각지에서 우수한 학자를 초빙하는 일도 잦아졌다. 발전기에는 전국적으로 번교 수가 255개에 달해[3] 거의 모든 번에 번교가 설립되었다. 번교의 융성은 지방 문화의 진흥에 기여했으며, 각 지역에서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를 배출하는 기반이 되었다. 대표적인 번교로는 아이즈번의 닛신칸, 요네자와번의 코죠칸, 조슈번의 메이린칸, 나카쓰번의 신슈칸(進脩館), 사가번의 고도칸, 구마모토번의 지시칸, 가고시마번(사쓰마번)의 조시칸 등이 유명하다. 특히 사쓰마번, 조슈번과 같은 웅번들은 교육에서도 앞서 나갔으며, 이들 번교는 메이지 유신을 이끈 주요 인물들을 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번주의 영지 이동이나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번교가 이전되거나 새로 설립되는 경우도 있었다. 시라카와번에서 구와나번으로 이전한 릿쿄칸(立教館)은 영지 이동에 따른 이전의 예이다. 또한 조슈번은 막부 타도와 양이 운동에 대비해 하기에서 야마구치로, 고쿠라번은 조슈 정벌로 고쿠라성이 함락되자 도요쓰로, 오카베번은 보신 전쟁 후 미카와 한바라로 번청을 옮기면서 새로운 번청 소재지에 번교를 신설했다.
에도 시대 막부 말기에는 사가번, 가나자와번, 야마구치번, 나카쓰번, 사쓰마번, 사쿠라번 등 일부 번교에서는 국학이나 한학뿐만 아니라 의학, 화학, 물리학, 서양 병학 등을 가르치는 학과를 병설하여 사실상 종합 대학과 같은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1871년 8월(메이지 4년 7월) 폐번치현으로 번(藩) 제도가 폐지되면서 번교 역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하지만 1872년 9월(메이지 5년 8월) 학제가 공포된 이후 설립된 중학교, 고등학교 등 근대적 중등·고등 교육기관들의 직간접적인 모체가 되었다.[4] 1886년(메이지 19년) 중학교령 공포로 도쿄 대학 예비문이 폐지되고 전국에 7개의 관립 고등중학교(이후 (구제) 고등학교로 개칭)가 설립될 때, 야마구치, 가고시마, 가나자와(제4)의 본과와 오카야마(제3), 센다이(제2), 가나자와(제4)의 의학부는 각각 구 번교(야마구치 메이린칸, 가고시마 조시칸, 가나자와 메이린도)나 번의 의학교(오카야마 의학관, 센다이 양현당, 가나자와 의학관)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었다. 이들 학교는 이후 여러 변화를 거쳐 대학으로 발전했다. 그 외 다수의 번교는 구제 중학교를 거쳐 현재의 신제 고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2. 1. 번교의 교육 과정과 내용



번교의 교육은 기본적으로 사무라이 계급의 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유능하고 덕망 있는 관료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 교육 내용의 핵심은 유교 경전 학습이었다. 특히 사서오경과 小學|소학중국어, 주자나 왕양명 같은 유학자들의 저작을 주로 다루었다.[1] 학생들은 보통 7~8세에 입학하여 먼저 고전 중국어로 된 경전을 소리 내어 읽는 素読|소독일본어과 글씨 쓰기 연습인 習字|습자일본어를 배웠다.[1] 수업 방식은 교사가 경전 구절을 읽으면 학생들이 따라 읽는 형태였으며, 정해진 해석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시되어 학생들의 자유로운 해석이나 토론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 이는 모든 진리가 이미 중국 고전에 담겨 있다는 전제에 기반한 보수적인 교육 방식이었다.[1]
학문 교육(文)과 함께 무예 교육(武)도 중요하게 여겨졌다. 학생들은 오전에 중국 서적을 읽고 오후에는 무예를 연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 보통 성인식인 元服|겐푸쿠일본어를 치른 후인 15세(일본 나이 기준) 무렵부터 본격적인 군사 훈련을 시작했으며,[1] 검술, 검도, 창술, 궁도, 마술, 유술 등을 배웠다.[1] 일부 번교에서는 전투 수영인 水術|수술일본어을 가르치기도 했고, 시대가 흐르면서 포술도 교육 과정에 추가되었다.[1]
번교 교육의 또 다른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의 인격을 형성하고 에도 시대의 엄격한 계층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규율과 예절을 가르치는 것이었다.[1] 교육은 종교적 색채 없이 세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일 년에 한두 번 공자에게 제사를 지내는 釈奠|석전일본어 의식을 거행하는 학교도 많았다.[1] 입학 시에는 주로 사서(四書)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게 읽는지를 평가하는 '소독 음미' 시험을 치렀다. 입학 후에도 계속되는 시험에서 낙제할 경우, 가문의 봉록인 家禄|가록일본어이 감봉되거나 벌금, 관직 진출 제한 등 엄격한 처벌이 내려지기도 했다.[1]
에도 시대 후기로 가면서 교육 내용은 점차 다양해졌다.[1] 유교 경전 외에도 국학, 蘭学|란가쿠일본어(네덜란드를 통해 들어온 서양 학문으로 주로 의학, 군사학, 과학 등), 수학 등이 교육 과정에 포함되기 시작했다.[1] 특히 막부 말기에는 사가번, 가나자와번, 야마구치번, 나카쓰번, 사쓰마번, 사쿠라번 등 일부 번교에서는 의학, 화학, 물리학, 서양 병학 등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며 사실상 종합 대학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다.[1]
2. 2. 번교의 운영과 특징


번교는 각 번의 다이묘가 사무라이 계급 남성 자제를 유능한 행정가로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교육 기관이다.[1] 초기에는 성인 사무라이를 대상으로 했으나 점차 교육 연령이 낮아졌다. 번사의 자제는 의무적으로 입학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일부 상류층 사무라이는 교육이 법적 의무였음에도 대부분 선택 사항이었다. 여성은 번교에 입학할 수 없었고 주로 가정 교육을 받았다. 에도 시대 말기에는 일부 번교에서 상류층 평민의 입학을 허용하기도 했는데, 1857년 도이 도시타다가 세운 오노 번 학교가 최초 사례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수업은 신분에 따라 분리되었다.
주요 교육 내용은 유교 경전(사서오경 등) 강독, 습자, 무술 등이었다.[1] 에도 시대 후기에는 란가쿠(네덜란드 학문)나 검술 등 다양한 학문과 무예가 추가되기도 했다.[1] 일반적으로 7~8세에 입학하여 글과 학문을 먼저 배우고 이후 무예를 익혔으며, 14~15세에서 20세 정도에 졸업했다.[1] 입학 시에는 사서오경 내용을 소리 내어 읽는 능력(소독 음미, 素読吟味)을 평가하는 시험이 중요했다. 이 시험은 내용 이해보다 정확한 낭독 능력에 중점을 두었으며, 읽기 오류나 망각 정도에 따라 합격 여부가 결정되었다.[1] 입학 후에도 여러 차례 시험을 치렀고, 낙제 시 엄격한 처벌이 따랐다. 특히 세 번 낙제하면 상속 시 가록(家禄) 감봉, 벌금, 고위직 진출 제한 등의 처분을 받았고, 심하면 평생 관직 없이 지내야 할 수도 있었다(무역, 無役).[1] 일반적인 처벌은 방과 후 남기기 등이었으며, 체벌은 드물었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수업료(월사)를 내지 않았고, 학교 운영은 번의 재정 지원, 사찰 및 개인 기부금 등으로 충당되었다. 많은 학교는 학생들이 직접 경작하여 판매용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농지를 보유하기도 했다. 성적 우수자에게는 번에서 장학금을 지급하여 에도 등지로 유학을 보내기도 했다.[1]
초기에는 다이묘의 유교 자문관인 주샤(儒者)가 교사 한 명과 학생 한 명으로 운영하는 단출한 형태도 있었다. 점차 규모가 커져 18세기 말에는 연습실, 강의실, 의례용 홀, 무예 수련 도장, 기숙사 등을 갖춘 경우가 많았다. 에도 막부의 관학인 쇼헤이코(昌平黌) 출신이 번교 교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기도 했지만, 번교가 쇼헤이코에 종속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막부는 번교를 감시하고 막부 방침에 어긋나는 사상을 가르치는 교직원을 처벌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1839년에는 여러 란가쿠 학자들이 투옥되었다. 일부 학생들은 당번으로서 새벽 기상 알림, 수업 시작 고지, 부지 순찰, 날씨 기록 등의 역할을 맡기도 했다.
번교 외에 특정 분야(주로 의학 등)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사립학교인 시주쿠(私塾)도 있었다. 일부 시주쿠는 번교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많은 사무라이 자제들이 번교와 시주쿠를 병행하거나 시주쿠 수료 후 번교에 진학하기도 했다.
3. 대표적인 번교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에 무단 정치에서 문치 정치로 전환되면서 각지에 번교가 세워지기 시작했다. 일본 최초의 번교는 1669년 오카야마번의 번주 이케다 미쓰마사가 세운 오카야마 학교(또는 국학)로 알려져 있다.
번교가 전국적으로 설립된 것은 호레키 시기(1751년-1764년) 이후로, 많은 번들이 번정 개혁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키우기 위해 학교를 세웠다. 요나가와 번이나 요네자와번처럼 번 내에 있던 공자묘와 강당을 확장하고, 번교 관련 직책을 만들어 번이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각지에서 우수한 학자를 초빙하는 일도 활발했다. 번교는 발전기에 전국 255개에 달해 거의 모든 번에 설립되었으며, 이는 지방 문화 발전과 각 지역 인재 배출로 이어졌다.
대표적인 번교로는 아이즈번의 닛신칸(日新館), 요네자와번의 코죠칸(興譲館), 조슈번의 메이린칸(明倫館), 가고시마 번(사쓰마번)의 조시칸(造士館) 등이 유명하다. 특히 사쓰마번이나 조슈번과 같은 유력 번들은 교육에서도 앞서 나갔으며, 이들 번 출신 인재들은 이후 메이지 유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번교는 번 내부에만 설치된 것이 아니라, 나가오카 번의 슈타다칸(1831년)이나 조슈번의 유소나에칸(1841년)처럼 에도에 있는 번주의 저택 안에 세워지기도 했다. 번주의 영지 이동이나 번청 이전에 따라 새로운 곳으로 이전하거나 신설되기도 했는데, 시라카와번에서 구와나번으로 옮겨간 릿쿄칸(立教館)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조슈번은 막부 타도와 양이 운동에 대비하여 하기에서 야마구치로, 고쿠라번은 조슈 정벌 전쟁으로 고쿠라성이 함락되자 도요쓰로 번청을 옮기면서 번교도 새로 지었다.
번교는 주로 사무라이 계층 남성을 유능한 행정가로 교육하기 위해 각 번의 다이묘가 설립했다. 처음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했으나 점차 학생 연령이 낮아졌다. 교육 내용은 주자학과 무술이 중심이었다. 일부 상류층 사무라이는 의무적으로 교육을 받아야 했지만, 대부분은 선택 사항이었다. 여성은 입학할 수 없었고 집에서 교육받았다. 에도 시대 말기에는 일부 번교에서 상류층 평민을 받아들이기도 했지만(오노 번 학교가 1857년 최초), 수업은 철저히 신분별로 분리되었다. 막부 말기에는 사가번, 가나자와 번, 야마구치 번, 나가쓰 번, 사쓰마번, 사쿠라번 등 일부 번교에서 국학, 한학 외에 의학, 화학, 물리학, 서양 병학 등을 가르치며 사실상 종합 대학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번교는 '한가쿠'(藩学일본어), '한각코'(藩学校일본어), '한코'(藩黌/藩校일본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는데, 이는 번교의 역할이나 형태에 대한 공식적인 규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번교는 폐지되었지만, 1872년 학제 공포 이후 중등, 고등 교육기관의 직간접적인 모체가 되었다. 1886년 중학교령 공포와 함께 도쿄대학 예비문이 폐지되고 전국에 7개의 관립 고등중학교(이후 구제 고등학교로 개칭)가 세워졌는데, 이 중 야마구치, 가고시마, 가나자와(제4고등중학교) 본과와 오카야마(제3), 센다이(제2), 가나자와(제4) 의대는 이전 번교(야마구치 메이린칸, 가고시마 조시칸, 가나자와 명륜당)나 번의학교(오카야마 의학관, 센다이 명륜양현당, 가나자와 의학관)의 맥을 이은 것이었다. 이들 학교는 이후 대학으로 발전했으며, 구제 중학교에 머물렀던 다른 번교들도 대부분 현재의 신제 고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3. 1. 주요 번교 목록
다음은 에도 시대 각 번에서 설립한 주요 번교 목록이다. 번교는 번의 사무라이 자제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점차 유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을 가르치는 종합 교육 기관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폐번치현 이후 많은 번교가 근대 학교의 모체가 되었다.번교명 | 소속 번 | 주요 연도 | 비고 (후신 학교 등) |
---|---|---|---|
오카야마 학교 (국학) | 오카야마번 | 1669년 설립 | 일본 최초의 번교로 알려짐. |
요켄도(養賢堂) | 센다이번 | 1736년 설립 | 후신: 도호쿠 대학 의학부, 미야기현 센다이 제일고등학교 |
고조칸(興譲館) | 요네자와번 | 1776년 설립 (학문소에서 개칭) | 후신: 야마가타현립 요네자와 고조칸 고등학교 |
메이린칸(明倫館) | 조슈번 | 1718년 설립 (하기), 1863년 이전 (야마구치) | 야마구치 대학의 전신 중 하나. |
고도칸(弘道館) | 사가번 | 1834년 설립 | 막부 말기 서양 학문 교육으로 유명. |
번교시습관(藩校時習館) | 구마모토번 | 1755년 설립 | 구마모토 대학의 전신 중 하나. |
조시칸(造士館) | 가고시마 번 (사쓰마번) | 1773년 설립 | 가고시마 대학의 전신 중 하나. |
닛신칸(日新館) | 아이즈번 | 1799년 설립 (게이코도에서 개칭) | 후신: 후쿠시마현립 아이즈 고등학교 |
치도칸(致道館) | 쇼나이번 | 1805년 설립 | 후신: 야마가타현립 치도칸 중학교・고등학교 (명칭 차용) |
메이토쿠칸(明徳館) | 구보다번 (아키타번) | 1811년 설립 (메이도칸에서 개칭) | 후신: 아키타현립 아키타 고등학교, 아키타 대학 |
고도칸(弘道館) | 미토번 | 1841년 설립 | 일본 최대 규모의 번교 중 하나. 후신: 이바라키 중학교・이바라키 고등학교 |
진수관(進脩館) | 나카쓰 번 | 불명 | 후쿠자와 유키치가 수학한 곳으로 알려짐. |
4. 번교의 폐지와 근대 교육으로의 전환
에도 시대 막부 말기에는 사가번, 가가번, 조슈번, 나카쓰번, 사쓰마번, 사쿠라번 등 일부 번교에서 국학이나 한학뿐만 아니라 의학, 화학, 물리학, 서양 병학 등 서양 학문을 가르치는 학료를 병설하여 사실상의 종합 대학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1871년 8월 폐번치현이 단행되면서 각 번이 운영하던 번교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1872년 9월 새로운 학제가 공포되면서, 근대적인 교육 제도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폐지된 번교의 시설과 교육 내용은 새로운 학교 설립의 기반이 되기도 하였으며, 에도 시대의 교육 유산이 근대 교육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계기가 되었다.[4]
4. 1. 번교의 유산을 이어받은 근대 교육 기관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정부는 1871년 폐번치현을 단행하여 번 제도를 폐지하고, 1872년 학제를 공포하여 기존의 교육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개혁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각 번이 운영하던 번교 역시 폐지되었으나, 이는 일본 근대 교육 시스템, 특히 중학교 설립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4]1886년 공포된 중학교령에 따라 전국에 7개의 관립 고등중학교(후에 (구제) 고등학교로 개칭)가 설립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과거 번교의 유산을 직접적으로 계승하였다. 예를 들어, 야마구치 고등중학교는 조슈번의 메이린칸, 가고시마 고등중학교는 사쓰마번의 조시칸, 제4고등중학교(가나자와)는 가가번의 메이린도의 맥을 잇는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또한 제3고등중학교(오카야마) 의학부, 제2고등중학교(센다이) 의학부, 제4고등중학교(가나자와) 의학부 역시 각각 오카야마 의학관, 센다이 양현당, 가나자와 의학관 등 번의 의학교를 계승한 것이었다. 이들 학교는 이후 여러 변화를 거쳐 오늘날 대학으로 발전하는 모체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가나자와의 메이린도와 의학관 등은 통합과 개편을 거쳐 가나자와 대학으로 이어졌다.
번 | 번교 | 후신 학교 (일부) |
---|---|---|
조슈번 (야마구치번) | 메이린칸 | (구) 야마구치 고등중학교 (현 야마구치 대학의 전신 중 하나) |
사쓰마번 (가고시마번) | 조시칸 | (구) 가고시마 고등중학교 (현 가고시마 대학의 전신 중 하나) |
가가번 (가나자와번) | 메이린도, 의학관 등 | 구제 제4고등학교, 구제 가나자와 의과대학 등 (현 가나자와 대학) |
에치고 나가오카번 | 소토쿠칸 (양학국) | 현 니가타현립 나가오카 고등학교 |
다카다번 | 슈도칸 | 현 니가타현립 다카다 고등학교 |
후쿠이번 | 메이도칸 | 현 후쿠이현립 후지시마 고등학교 |
오바마번 | 쥰조칸 | 현 후쿠이현립 와카사 고등학교 |
미카와 요시다번 | 지슈칸 | 현 아이치현립 지슈칸 고등학교 (현 아이치현립 도요하시 미나미 고등학교의 전신) |
나고야번 | 메이린도 | 현 아이치현립 메이와 고등학교 |
히코네번 | 코도칸 | 현 시가현립 히코네히가시 고등학교 |
한편, 중학교령에 따라 각 현에는 원칙적으로 하나의 심상중학교만 두도록 했기 때문에, 현청 소재지에 있던 번교 중 다수는 구제 중학교로 개편되어 현재 신제 고등학교로 명맥을 잇고 있다. 하지만 현청 소재지가 아닌 곳에 있던 번교들은 고등소학교로 개편되었다가 이후 폐지되어 사라진 경우도 적지 않다. 일부 고등학교는 역사적 연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과거 번교의 이름을 따서 교명을 정하기도 했다.
5. 번교와 한국의 서원·향교
- 돗토리번
- * 학관(통칭: 쇼토쿠칸)(1757년) → 현 돗토리현립 돗토리 니시 고등학교
- * 에도 학문소(1843년, 에도)
- 마쓰에번
- * 문명관(1758년) → 메이쿄칸(1784년) → 문무관(1863년)
- * 다이쿄칸(간세이 무렵)
- * 존제이칸(1806년)
- * 서양관(1862년)
: 문무관, 다이쿄칸, 존제이칸, 서양관은 슈도칸(1865년)으로 통합 → 그 흐름을 이어받아 마쓰에 공립 병원 → 현 일본 적십자사 마쓰에 적십자병원
- 모리번
- * 메이토쿠칸(1836년경 - 1870년)
- 히로세번
- * 한학소(1801년)
- * 산술소(1809년)
- * 의학소(1844년)
- * 산술소(1870년)
- * 가의학교(1870년)
- * 가 황학 연수소(1870년)
: 위의 번교는, 슈분칸(1871년 - 1872년)으로 통합
- 하마다번
- * 쵸젠칸(1791년)
- * 도가쿠칸(1837년)
- 쓰와노번
- * 요로칸(1786년 - 1853년 소실)
- * 요로칸(1855년)
- 쓰야마번
- * 학문소(1765년) → 문무 연습장(1843년 - 1871년)
- * 학문소(1870년)
- 가쓰야마번
- * 번교(1865년)
- * 메이젠칸(1870년)
- 오카야마번
- * 하나하타 교장(1641년) → 오카야마 학교(1669년) → 일부 현 오카야마현립 오카야마 아사히 고등학교, 현 오카야마 대학 교육학부
- **(참고) 칸코 학교(1670년) → 일부 현 오카야마현립 와케 칸코 고등학교
- 니와세번
- * 세이이칸(1823년)
- 아시모리번
- * 추탁사(1792년 - 1871년)
- * 삼여사(1792년 - 1871년)
- 오카다번
- * 연무장(1792년) → 오카다촌 시습 소학교 (오늘의 구라시키 시립 오카다 소학교에 해당한다.) 교사(1875년) → 오카다 국민학교 교사 당시 소실(1947년)
- * 경학관(1792년)
- 신미번
- * 사세이칸(1755년)
- 마쓰야마번
- * 학문소(1746년) → 유종관(간세이 무렵)
- 나루와번
- * 권학소(분세이 무렵) → 문무관(1867년) → 확지교(1869년) → 확지심상소학교 → 현 오카야마현 다카하시 시립 나루와 소학교
- 후쿠야마번
- * 홍도관(1786년) → 세이시칸(1855년 - 1872년) → 현 히로시마현립 후쿠야마 세이시칸 고등학교
- 히로시마번
- * 강학소(1725년) → 강학관(1734년 - 1743년)
- * 학문소(1782년) → 수도관(1871년) → 사립 아사노 학교(1878년) → 현 수도 중학교・수도 고등학교, 히로시마 수도 대학
- 이와쿠니번 (깃카와번)
- * 요코야마 강당(1753년)
- * 요코야마 강당(1768년)
- * 긴켄 강당(1812년)
- * 요로칸(1848년) → 현 야마구치현립 이와쿠니 고등학교
- * 아이치칸(1854년)
- * 소독료(1863년)
- * 의학교(1869년)
- * 문학교(1869년)
- * 병학교(1870년)
- 도쿠야마번
- * 메이호칸(1785년) → 쿄조칸(1852년) → 도쿠야마 소학교(1871년) → 현 야마구치현 슈난 시립 도쿠야마 소학교
- 하기번 (조슈번, 스오 야마구치번)
- * (조슈번 시대) 메이린칸(1719년) → 신 메이린칸(1849년) → 하기 메이린칸(1863년) → 하기 중학교(1870년) → 현 야마구치현 하기 시립 메이린 소학교, 야마구치현립 하기 고등학교
- * (번청 이전 후, 야마구치번 시대) 야마구치 메이린칸(1863년) → 관립 야마구치 고등중학교 → 구 구 관립 야마구치 고등학교 → 구제 관립 야마구치 고등상업학교 → 구제 야마구치 경제전문학교 → 현 야마구치 대학 경제학부, 일부 현 야마구치현립 야마구치 고등학교
- 초후번 (조슈번 지번)
- * 경업관(1792년경) → 현 야마구치현립 도요우라 고등학교
- 기요스에번 (조슈번 지번)
- * 육영관(1787년)
참조
[1]
방송
タイムスクープハンター
NHK総合1ch
2013-05-25
[2]
논문
学制の主導者的研究 : 特に洋行/洋学者
https://nittaidai.re[...]
日本体育大学
1973-06
[3]
서적
歴史と旅 新・藩史事典
秋田書店
1993
[4]
웹사이트
幕末期の教育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ホームページ
2014-06-01
[5]
웹사이트
147年の歴史に幕…埼玉・行田の北河原小学校が閉校 朝夕に鳴らしていたカリヨンベル最後、花火舞う
https://www.saitama-[...]
埼玉新聞
2022-03-15
[6]
웹사이트
29.培根堂・洋学館・国学館跡/行田史跡石碑
http://www.gyoda-kan[...]
行田市観光協会
2019-03-15
[7]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雲浜奨学会「講正学舎の歩み」
https://www.unpin.jp[...]
2021-08-16
[8]
웹사이트
好古学園大学校の概要
https://www.city.him[...]
姫路市
2014-04-03
[9]
웹사이트
東学問所修猷館跡碑
http://www.city.fuku[...]
福岡市中央区ホームページ
2014-06-01
[10]
방송
タイムスクープハンター
NHK総合1ch
2013-05-25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