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닉 래버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닉 래버린스는 1995년 세가에서 출시한 액션 및 퍼즐 게임으로, 아이소메트릭 시점을 사용하고 핀볼 요소를 특징으로 한다. 닥터 에그맨의 속임수에 빠진 소닉이 특수 신발을 벗기 위해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으는 것이 목표이며, 플레이어는 소닉을 조작하여 미로형 스테이지를 통과하고 열쇠를 모아 다음 레벨로 진행해야 한다.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지만, 조작의 어려움, 점프 액션 부재, 반복적인 게임 플레이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으며, 회고적으로는 소닉 시리즈 최악의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임 기어 전용 게임 - 소닉 & 테일즈 2
소닉 & 테일즈 2는 1994년에 출시된 횡스크롤 플랫폼 게임으로, 소닉과 테일즈를 조작하여 6개의 존을 탐험하며, 링을 수집하고 파워업을 얻어 스페셜 스테이지에 진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게임 기어 전용 게임 - 알레스터
알레스터는 컴파일에서 제작한 슈팅 게임 시리즈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 및 변형되어 출시되었으며, 빠른 전개와 높은 난이도, 독창적인 게임 디자인으로 슈팅 게임 장르와 대한민국 게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게임 기어 게임 - 미스 팩맨
미스 팩맨은 1981년 개발되어 미드웨이가 배급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미스 팩맨을 조작하여 미로 속 펠릿을 먹고 유령을 피하며 점수를 얻는다는 점에서 팩맨의 후속작이지만, 새로운 미로 디자인, 무작위 유령 행동 패턴, 커피 브레이크 화면, 움직이는 보너스 과일 등 차별화된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플레이어 마케팅 전략과 완성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저작권 문제를 겪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게임 기어 게임 - 건스타 히어로즈
건스타 히어로즈는 트레저가 개발하고 세가가 1993년 메가 드라이브로 발매한 횡스크롤 런앤건 액션 슈팅 게임으로, 건스타 레드와 건스타 블루 형제가 악의 제국에 맞서 싸우며 4가지 기본 무기를 조합해 14가지 공격을 펼치는 것이 특징이며, 빠른 속도감, 화려한 그래픽, 혁신적인 게임 디자인으로 호평받고 트레저를 대표하는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1995년 비디오 게임 - 유작 (비디오 게임)
엘프에서 1996년 발매한 18금 어드벤처 게임 《유작》은 학교 구교사에 갇힌 주인공과 친구들이 던전 탐험 방식으로 탈출하는 호러·탈출 게임으로, 친구들의 탈출을 목표로 비디오테이프를 획득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며, 팬디스크 '도작'과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존재하고, 엘프 사옥 이전 전 마지막 작품이라는 의미를 담아 화제를 모았다. - 1995년 비디오 게임 - 로맨싱 사가 3
《로맨싱 사가 3》는 스퀘어에서 발매한 슈퍼 패미컴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300년마다 찾아오는 '사식' 현상과 '운명의 아이'를 둘러싼 이야기, 8명의 주인공 선택, 독특한 성장 시스템, 자유로운 시나리오 진행이 특징이며, 2019년에는 리마스터 버전이 출시되었다.
| 소닉 래버린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제목 (일본어) | 소닉 라비린스 |
| 로마자 표기 | Sonikku Rabirinsu |
| 개발 | |
| 개발사 | 미나토 기켄 |
| 유통 | |
| 배급사 | 세가 |
| 제작 | |
| 감독 | 노보루 마치다 히데아키 카타기리 |
| 디자이너 | 카즈히로 다나카 |
| 작곡가 | 아츠코 이와나가 |
| 시리즈 | |
|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 |
| 출시 | |
| 영국 | 1995년 10월 |
| 유럽 | 1995년 11월 |
| 일본 | 1995년 11월 17일 |
| 북미 | 1995년 11월 |
| 장르 | |
| 장르 | 액션 게임 퍼즐 |
| 모드 | |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 플랫폼 | |
| 플랫폼 | 게임 기어 |
2. 게임플레이

''소닉 래버린스''는 액션 및 퍼즐 게임으로, 핀볼 요소가 들어있다.[1][16][6] 이 게임은 아이소메트릭 시점으로 보여지며,[3] ''마블 매드니스''와 비슷하다는 평가도 받았다.[16] 시리즈의 악당 Dr. 로보트닉은 소닉을 속여 그의 속도를 뺏는 특수 신발을 신게 했고, 소닉은 신발을 벗기 위해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아야 한다.[6][3]
2. 1. 기본 조작
플레이어는 소닉을 조종하여, 적과 장애물로 가득 찬 미로형 스테이지를 통과하게 된다.[1] 소닉은 평소와는 다르게 느리게 걷지만,[3] 공으로 굴러가 적을 물리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레벨을 가로지를 수 있다.[16] 이 스핀 대시 기술은 추가 속도와 데미지를 위해 충전할 수 있다.[16]2. 2. 스테이지 진행
플레이어는 소닉을 조종하여, 적과 장애물로 가득 찬 미로형 스테이지를 통과하게 된다.[1][16] 소닉은 평소와는 다르게 느리게 걷지만,[3] 공으로 굴러가 적을 물리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레벨을 가로지를 수 있다.[16] 이 스핀 대시 기술은 추가 속도와 데미지를 위해 충전할 수 있다.[16] 소닉은 각 스테이지에서 세 개의 열쇠를 모아 목표 지점으로 가져가 다음 레벨로 진행해야 한다.[3] 열쇠는 때때로 적 안에 숨겨져 있을 수 있다.[16] 게임에는 네 개의 존이 있으며, 각 존은 세 개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세 개의 스테이지를 완료한 후에는 링을 모으는 보너스 라운드와 보스 전투가 있다.[3] 보너스 라운드에서 100개의 링을 모으면 추가 목숨을 얻을 수 있다.[16] 타임 어택 모드도 이용 가능하다.[3]2. 3. 보너스 라운드 및 보스전
플레이어는 소닉을 조종하여 네 개의 존을 탐험한다. 각 존은 세 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테이지는 적과 장애물로 가득 찬 미로 형태이다.[1][16] 소닉은 각 스테이지에서 세 개의 열쇠를 모아 목표 지점으로 가져가 다음 레벨로 진행해야 한다.[3] 열쇠는 때때로 적 안에 숨겨져 있을 수 있다.[16]
세 개의 스테이지를 완료하면 링을 모으는 보너스 라운드와 보스 전투가 이어진다.[3] 보너스 라운드에서 100개의 링을 모으면 추가 목숨을 얻을 수 있다.[16] 타임 어택 모드도 이용 가능하다.[3]
3. 개발 및 출시
''소닉 래버린스''는 미나토 기켄에서 개발하고 세가에서 배급했다.[3][4][2] 1995년 11월 17일에 일본에서 출시되었고,[5] 같은 해 11월에 북미,[6] 10월[1] 또는 11월 경에 유럽에서 출시되었다.[2]
이 게임은 ''소닉 어드벤처 DX''(2003)와[7] ''소닉 메가 컬렉션 플러스''(2004)에[8] 잠금 해제 가능한 보너스로 포함되었다. 2012년에는 닌텐도 3DS로 재출시되었는데, eShop을 통해 2012년 5월 16일에 일본,[9] 5월 10일에 유럽,[10] 2013년 6월 17일에 북미에서 출시되었다.[11] 북미 출시는 닌텐도가 3DS e숍에서 8비트 게임 출시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게임은 3DS의 입체 기능을 활용하지 않는다.[11][12]
3. 1. 개발
''소닉 래버린스''는 미나토 기켄에서 개발하고 세가에서 배급했다.[3][4][2] 1995년 11월 17일에 일본에서 출시되었고,[5] 같은 해 11월에 북미,[6] 10월[1] 또는 11월 경에 유럽에서 출시되었다.[2] 이 게임은 ''소닉 어드벤처 DX''(2003)와[7] ''소닉 메가 컬렉션 플러스''(2004)에[8] 잠금 해제 가능한 보너스로 포함되었다. 2012년 5월 16일에는 일본 eShop을 통해 닌텐도 3DS로 재출시되었으며,[9] 이후 2012년 5월 10일에 유럽,[10] 2013년 6월 17일에 북미에서 출시되었다.[11] 북미 출시는 닌텐도가 배포 서비스의 릴리스 가뭄 이후 3DS e숍에서 8비트 게임을 출시하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12] 이 게임은 시스템의 3D 입체 기능을 활용하지 않는다.[11]3. 2. 출시
''소닉 래버린스''는 미나토 기켄에서 개발하고 세가에서 배급했다.[3][4][2] 1995년 11월 17일에 일본,[5] 같은 해 11월에 북미,[6] 10월[1] 또는 11월경에 유럽에서 출시되었다.[2] 이 게임은 ''소닉 어드벤처 DX''(2003)의 잠금 해제 가능한 보너스와[7] ''소닉 메가 컬렉션 플러스''(2004)에 포함되었다.[8]2012년 5월 16일, 일본 eShop을 통해 닌텐도 3DS로 재출시되었다.[9] 이후 2012년 5월 10일에 유럽,[10] 2013년 6월 17일에 북미에서 출시되었다.[11] 북미 출시는 닌텐도가 3DS e숍에서 8비트 게임 출시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게임은 3DS의 입체 기능을 활용하지 않는다.[12][11]
3. 3. 이식
《소닉 래버린스》는 2003년 발매된 소닉 어드벤처 DX와 2004년 발매된 소닉 메가 컬렉션 플러스에 잠금 해제 가능한 보너스로 포함되었다.[7][8] 2012년 5월 16일에는 일본 eShop 디지털 유통 플랫폼을 통해 닌텐도 3DS로 재출시되었으며,[9] 이후 2012년 5월 10일에 유럽,[10] 2013년 6월 17일에 북미에서 출시되었다.[11]4. 등장인물
에그맨의 계략으로 소닉은 평소의 속도를 낼 수 없게 되었다.[1] 시리즈의 악당은 닥터 에그맨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적 캐릭터와 보스가 등장한다.
| 적 캐릭터 | 보스 |
|---|---|
| | |
4. 1. 소닉
Sonic the Hedgehog|소닉 더 헤지혹영어은 스피드를 중시하는 게임답게 이동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그러나 본작에서는 에그맨의 계략에 의해 스피드가 나오지 않는 부츠를 신게 되어 스피드를 낼 수 없게 되었다.[1]4. 2. 닥터 에그맨
시리즈의 악당은 닥터 에그맨이다.4. 3. 적 캐릭터
| 이름 |
|---|
| 뻬뻬뻬 |
| 토리리 |
| 플라와와 |
| 푸요요 |
| 오토토 |
| 카부토토 |
| 야도카카 |
| 타코코 |
| 키바바 |
| 무카카 |
| 아로로 |
| 뇨로로 |
| 페로로 |
| 로보토토 |
| 가이코코 |
| 카푸푸 |
| 드라고고 |
4. 4. 보스
- 메카고릴라
- 카니 펄
- 니들맨
- 스마일리 봄
5. 평가
''소닉 래버린스''는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모두 존재했으며, 특히 조작 난이도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 매체 | 점수 |
|---|---|
| Mean Machines Sega | 76%[23] |
| Mega Fun | 59%[24] |
| Sega Magazin | 81%[25] |
| Famitsu | 22/40[22] |
| EGM | 6.0, 4.0, 4.5, 4.5 / 10 (4명의 평론가)[20] |
| 게임프로 | 그래픽: 4.5/5, 사운드: 3.5/5, 조작: 4.0/5, 재미: 4.5/5[21] |
5. 1. 긍정적 평가
''Mega Fun''은 ''소닉 래버린스''가 혁신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한다고 생각했다.[15] ''게임프로''와 ''Famitsu''는 게임을 ''Marble Madness''에 비교했다.[16][13] ''Sega Magazin''은 게임이 정교한 레벨 디자인으로 인해 도전적이라고 생각했다.[2] ''GamePro''는 이 게임이 최근 Game Gear 라이브러리에 추가된 ''소닉'' 게임 중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했다.[16] ''Mean Machines Sega''의 한 평론가는 짧은 시간 동안 즐기기에 좋은 퍼즐 게임이며, ''소닉'' 게임, 핀볼 또는 퍼즐 팬이라면 시간을 할애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1]5. 2. 부정적 평가
비평가들은 대체로 ''소닉 래버린스''의 조작이 어렵다고 평가했다. 소닉이 레벨 안에서 정신없이 튀어 다니는 점과 등각 투영 시점이 조작을 어렵게 만든다는 지적이 있었다.[1][2][14][15] ''Mean Machines Sega''는 "조금 연습하면 각 레벨을 통과할 수 있지만, 어떻게 해냈는지 궁금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1] ''Electronic Gaming Monthly(EGM)''는 등각 투영 시점이 소닉을 조종하는 데 문제를 일으킨다고 지적했다.[14] ''GamePro''는 작은 화면 때문에 게임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고 언급했다.[16]게임의 반복성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Mean Machines Sega''의 한 평론가는 게임이 좌절감을 주고 반복적이라고 평가했으며,[1] ''EGM'' 또한 몇몇 레벨을 지나면 게임이 반복적이고 숙련된 플레이어에게는 지루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14] ''EGM''은 "이 게임은 전반적으로 일반적인 횡스크롤 ''소닉'' 게임과 쓸모없는 핀볼을 섞으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결과적으로, 이 게임은 플레이성과 즐거움 모두에서 부족하여, 처음 몇 단계를 지나면 지루함을 유발한다."라고 결론 내렸다.[14]
회고적 평가는 더욱 부정적이다. ''Nintendo Life''는 10점 만점에 4점을 주며 조작, 비논리적인 레벨 디자인, 게임 플레이의 시작과 멈춤의 성격을 비판했다.[3] ''USgamer''는 이 게임을 "''Marble Madness''의 형편없는 버전"이라고 평가했다.[7] ''Nintendo World Report''는 ''소닉 3D 블래스트''의 정신 나간 버전이라고 불렀다.[7] ''Official Nintendo Magazine''은 "정체성 혼란을 겪는 끔찍한 게임"이자 "역대 최악의 ''소닉'' 게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18]
5. 3. 회고적 평가
시간이 흐른 후, 《소닉 래버린스》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며, 종종 최악의 《소닉》 게임 중 하나로 묘사된다.[3] 닌텐도 라이프는 회고적 리뷰에서 이 게임에 10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며 "저조한" 평가를 내렸다. 닌텐도 라이프는 조작, 비논리적인 레벨 디자인, 그리고 게임 플레이의 시작과 멈춤의 성격을 비판했다. 또한 소닉이 발로 걸을 때 속도가 부족한 것에 대해 언급했으며, 이는 《소닉》 게임에서 당황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했다.[3] US게이머는 이 게임을 "《마블 매드니스》의 형편없는 버전"이라고 부르며, 그 게임의 최악의 부분과 《소닉》의 최악의 부분을 섞어 한 작품으로 만들었다고 평했다. "정말 끔찍하다."[7] 닌텐도 월드 리포트는 이 게임을 "소닉 3D 블래스트의 정신 나간 버전"이라고 부르며, 등각 투영 스타일을 통해 유사점을 그렸다.[7] 오피셜 닌텐도 매거진은 이 게임을 "정체성 혼란을 겪는 끔찍한 게임"이자 "역대 최악의 《소닉》 게임 중 하나"라고 불렀다.[18]참조
[1]
간행물
Game Gear Review: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1995-11
[2]
간행물
Review: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1996-01
[3]
뉴스
Review: Sonic Labyrinth (3DS eShop / GG)
http://www.nintendol[...]
2018-08-10
[4]
서적
The History of Sonic the Hedgehog
Pix'n Love
[5]
웹사이트
ソニックラビリンスのご紹介|SEGA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公式
http://vc.sega.jp/3d[...]
2018-08-09
[6]
간행물
Next Wave: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8-08-10
[7]
웹사이트
Grinding Game Gears: An Overview of Sonic's Portable Origins
http://www.nintendow[...]
2018-08-10
[8]
웹사이트
Sonic Mega Collection Plus
http://www.ign.com/a[...]
2018-08-10
[9]
뉴스
ソニックラビリンス {{!}} ニンテンドー3DS {{!}} 任天堂
https://www.nintendo[...]
2018-08-09
[10]
웹사이트
Sonic Labyrinth
https://www.nintendo[...]
2018-08-09
[11]
웹사이트
Sonic Labyrinth
https://www.nintendo[...]
2018-08-09
[12]
웹사이트
Nintendo's "8-Bit Summer" Announced for the 3DS eShop
http://www.ign.com/a[...]
2018-08-09
[13]
뉴스
"New Games Cross Review - ソニックラビリンス"
Shūkan Famicom Tsūshin
1995-11-24
[14]
간행물
Review Crew: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8-08-10
[15]
간행물
Test Mixed: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8-08-10
[16]
간행물
ProReview: Sonic Labyrinth
https://archive.org/[...]
1996-01
[17]
웹사이트
Gotta Go Fast: Ranking All of The Sonic The Hedgehog Games
https://www.usgamer.[...]
2018-08-09
[18]
웹사이트
Sonic Labyrinth review
http://www.officialn[...]
2012-05-16
[19]
웹사이트
"[セガハード大百科] ゲームギア対応ソフトウェア(セガ発売)"
http://sega.jp/archi[...]
セガ
2015-05-30
[20]
잡지 인용
Review Crew: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8-08-10
[21]
잡지 인용
ProReview: Sonic Labyrinth
https://archive.org/[...]
1996-01
[22]
뉴스
"New Games Cross Review - ソニックラビリンス"
Shūkan Famicom Tsūshin
1995-11-24
[23]
잡지 인용
Game Gear Review: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6-08-17
[24]
잡지 인용
Test Mixed: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8-08-10
[25]
잡지 인용
Review: Sonic Labyrinth
https://retrocdn.net[...]
2018-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