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에 빠른 범선 군함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군함을 의미한다. 18세기에는 함포 24~40문을 갖춘 범선 형태의 군함을 지칭했으며, 영국 해군의 등급 제도에 따라 5등함, 6등함이 프리깃으로 불렸다. 19세기에는 증기 기관과 스크류 프로펠러가 도입되었고, 남북 전쟁을 거치며 장갑함의 등장으로 인해 순양함이라는 새로운 함종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프리깃은 순양함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대잠전과 대공 방어 능력을 갖춘 함정으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유도 미사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종류의 프리깃을 운용하고 있으며, 각국의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위함 - 울산급 호위함
    자주국방을 목표로 대한민국 해군이 건조한 울산급 호위함은 총 9척이 배치되었으며 함포를 주 무장으로 하였으나 하푼 함대함 미사일을 추가 탑재했고 일부는 퇴역하여 박물관으로, 일부는 현재도 운용 중이다.
  • 호위함 - FFG-826 천안
    FFG-826 천안은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침몰한 함명을 계승하여 2023년 취역한 대한민국 해군의 호위함이며, 5인치 함포, 해궁 미사일 등을 탑재하여 대잠 및 대공 능력을 강화했다.
  • 기술에 관한 - 잉크
    잉크는 글쓰기나 그림 그리기에 사용되는 색을 내는 액체 또는 반죽 형태의 물질로, 고대 이집트와 중국에서 발명된 후 인쇄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필기구 및 인쇄 기술에 활용되고 있으며, 성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친환경 잉크도 개발되고 있다.
  • 기술에 관한 -
    책은 문자, 그림 등을 기록하고 전달하기 위해 여러 장의 종이를 묶어 만든 매체로, 고대 점토판, 파피루스부터 현대 전자책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지식과 문화를 전달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군용 범선 - 맨오브워
    맨오브워는 전투원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15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해상 전투의 주력 함선으로, 시대에 따라 캐러크, 갤리온, 전열함 등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전열함은 해상 패권 경쟁 국가들의 주력 함선이었으나 증기선 등장으로 쇠퇴했고, 최대 120문의 대포를 탑재한 강력한 화력을 자랑했다.
  • 군용 범선 - 스쿠너
    스쿠너는 두 개 이상의 마스트를 가진 배로, 뒤쪽 마스트가 가장 높거나 모든 마스트 높이가 동일하며, 빠른 속도와 역풍 항해 능력으로 19세기 상업용으로 널리 사용된 다양한 리깅 구성의 범선이다.
프리깃
개요
유형군함
분류프리깃
설명호위함이라고도 불리는 프리깃은 구축함보다 작고 코르벳함보다 큰 군함이다.
역사적 맥락
어원프랑스어 '프리갓(frégate)'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지중해에서 사용되었던 가볍고 빠른 노 젓는 배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프레가타(fregata)'에서 파생되었다.
17세기원래 17세기에 '프리깃'은 모든 종류의 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17세기 후반에는 특정 종류의 군함을 지칭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18세기18세기에는 돛을 단 프리깃이 매우 발전되어, 순항 및 전투 능력을 갖춘 배로 인정받았다.
19세기19세기 말엽에는 프리깃이 강철 증기선으로 진화했으며, 수많은 군함이 분류 체계에서 재분류되면서 '프리깃'이라는 용어는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현대의 프리깃
특징현대 프리깃은 일반적으로 구축함보다 작으며, 대잠전, 대공전, 대함전 및 호위 임무를 수행한다.
용도해상 교통로 보호, 해군 작전 지원, 국제 협력 활동 등에 사용된다.
크기 및 무장크기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배수량이 3,000~6,000톤이며, 미사일, 어뢰, 대포, 헬리콥터 등을 장착한다.
차이점구축함보다 작고, 공격력은 비교적 약하지만,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역할 변화과거에는 전투함 역할을 수행했지만, 현대에는 호위함 및 지원함 역할로 변모했다.
주요 특징 비교
프리깃 vs 구축함프리깃: 주로 호위 임무 수행, 구축함보다 작고 무장이 적음.
구축함: 주요 전투함 역할 수행, 프리깃보다 크고 무장이 강력함.
프리깃 vs 코르벳함프리깃: 코르벳함보다 크고, 장거리 작전 능력과 더 많은 무장 탑재.
코르벳함: 프리깃보다 작고, 연안 방어 및 경비 임무에 특화.
역사적 프리깃
콘스티튜션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취역 군함 중 하나로, 미국 해군 소속이다.
콘스티튜션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취역 군함이자 미국 해군의 현역 군함이다.
현대 프리깃
콘스텔레이션급 미사일 프리깃이탈리아 해군의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프리깃을 기반으로 한다.
콘스텔레이션급 미사일 프리깃은 이탈리아 해군의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프리깃을 기반으로 한다.

2. 대항해시대

프리깃은 전열함보다 작고 빠른 유격함으로, 함대 결전에 직접 참여하기보다는 초계, 통보, 선단 호위, 통상 파괴, 해외 파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2] 이러한 프리깃은 순양함으로 발전했으며, 한때는 순양함이나 대형 구축함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영국 해군이 건조한 리버급을 시작으로, 프리깃은 구축함보다 작고 코르벳보다 큰 호위함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

일본에서는 프리깃을 카타카나어로 표기했지만, 일본베트남을 제외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호위함"(간체자: 护卫舰중국어) 또는 "순방함"(간체자: 巡防舰중국어)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2. 1. 기원

"프리깃"(frigate)이라는 용어는 15세기 후반 지중해에서 유래했으며, 노, 돛, 그리고 가벼운 무장을 갖춘 더 가벼운 갤리선 유형의 군함을 가리켰다. 이 함선은 속도와 기동성을 위해 건조되었다.[2]

약 1675년~1680년경의 가벼운 프리깃


이 단어의 어원은 불확실하지만, 하부 갑판이 없는 개방형 선박을 뜻하는 라틴어 ''aphractus''의 변형일 가능성이 있다. ''Aphraktos''는 다시 고대 그리스어 ἄφρακτος ναῦς(''aphraktos naus'') – "방어되지 않은 배"에서 유래했다.

2. 2. 디자인

마지시엔(Magicienne) 프리깃(1급)


오늘날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역할로 잘 알려진 고전적인 범선 프리깃 또는 '진정한 프리깃'은 18세기 2분기에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다. 1740년 건조된 프랑스 프리깃 메데(Médée)는 종종 이 유형의 첫 번째 예로 여겨진다. 이 배들은 사각 돛대를 사용했으며, 모든 주요 함포를 하나의 연속된 상갑판에 장착했다. '함포 갑판'으로 알려진 하갑판에는 이제 무장이 없었고, 승무원이 생활하는 '숙소 갑판'의 기능을 했으며, 사실상 새로운 프리깃의 수선 아래에 위치했다.[4]

이전의 전형적인 순양함은 부분적으로 무장된 하갑판을 가지고 있었고, '반포대' 또는 '데미-바테리'(demi-batterie) 함선으로 알려졌다. 이 갑판에서 함포를 제거함으로써 선체 상부 구조물의 높이를 낮출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진정한 프리깃'은 훨씬 향상된 항해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무장되지 않은 갑판은 프리깃의 함포가 수선보다 상대적으로 높이 장착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결과적으로, 파도가 너무 거칠어서 2층 함선이 하갑판 함포문을 열 수 없는 경우에도 프리깃은 모든 함포를 사용하여 전투를 수행할 수 있었다(1797년 1월 13일 해전 참조).[4]

2. 3. 중프리깃

1778년, 영국 해군은 18파운드 포 26문 또는 28문을 갖춘 더 큰 "중"프리깃을 도입했다. 당시 영국 해군은 프랑스와 스페인에 비해 함선 수에서 열세였기 때문에, 개별 함선의 화력을 강화하여 이를 보완하려 했다.[5] 이에 대응하여, 최초의 프랑스 18파운드 포 프리깃은 1781년에 건조되었다.

2. 4. 초중프리깃

USS 컨스티튜션


최초의 '초중프리깃'은 1782년 해군 건축가 프레데리크 헨리크 아프 채프만이 스웨덴 해군을 위해 건조했다. 당시 전열함이 부족했기 때문에 스웨덴은 벨로나급 프리깃이 비상시에 전열에 서기를 원했다.[30] 1790년대에 프랑스는 24파운드 포를 탑재한 포르테와 이집티엔 같은 소형 프리깃들을 만들었다. 또한 선체 높이를 증가시켜 하나의 연속된 포갑판만 제공하도록 다수의 구형 선박을 절단했고, 이 선박들은 라지함으로 불렸다. 프랑스군이 강력한 순양함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오래된 선박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초중프리깃의 가능성에 주목한 영국 해군은 소형 포 64문을 탑재한 전열함 3척을 절단하여 초중프리깃으로 개조했는데, 그중 인디파티블은 프리깃으로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이 시기에 영국군은 24파운드 포를 탑재한 대형 프리깃 몇 척을 건조했는데, 그 중 가장 성공적인 것은 HMS 엔디미온이었다.

1797년, 미국 해군의 첫 6척의 주요 함정 중 3척은 44포 프리깃으로 배정되었다. 이들은 24파운드 장포와 32파운드 또는 42파운드 캐러네이드를 탑재하여 약 1,500톤에 달하는 매우 크고 무장이 잘 되어 있어, 종종 전열함과 동등하다고 여겨졌다. 1812년 전쟁에서 영국 해군은 손실을 보자, 2:1 이하의 우위에서는 절대 대형 미국 프리깃과 교전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미국 해군박물관 배로 보존한 USS 컨스티튜션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취역 군함이며, 대항해시대 프리깃이 생존한 사례이다. USS 컨스티튜션과 자매함인 프레지던트, U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는 1794년 해군법에 따라 건조되었으며, 조슈아 험프리스는 미국에서만 자라는 생 오크나무만으로 이 배들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영국은 단일함대 전투에서의 패배에 자극받아 미국 44포 프리깃에 세 가지 방법으로 대응했다. 첫째, 엔디미온함 계열의 40포, 24파운드짜리 재래식 프리깃을 건조했다. 둘째, 낡은 74포 함선 3척을 라지함으로 절삭하여 32파운드 주력 무장에 42파운드 캐러네이드를 보충했다. 셋째, 1,500톤의 원재 갑판을 갖춘 HMS 린더와 HMS 뉴캐슬을 건조했는데, 이는 크기와 화력 면에서 미국의 44포 프리깃과 거의 일치했다.

2. 5. 역할

프리깃은 함대를 정찰하고, 상업을 습격하거나 순찰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전갈을 전달하거나 고위 인사를 수송했다.[31] 보통 프리깃은 다른 프리깃과 소규모로 또는 단독으로 전투를 벌였고, 전열함과의 교전은 피했다. 함대 교전 시에는 "반복 프리깃"으로서 함대 사령관의 신호를 함대의 다른 함선에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31]

전투 중 발생하는 연기와 혼란 속에서, 교전 중인 기함에서 보내는 함대사령관의 신호는 다른 함선들이 놓치기 쉬웠다.[31] 따라서 프리깃은 주력 함선 대열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쪽이나 가려지는 쪽에 배치되어 지휘관의 기함까지 시야를 확보해야 했다.[31] 기함의 신호는 프리깃에 의해 반복되었고, 프리깃은 함선 대열에서 벗어나 연기와 무질서한 전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함대의 다른 배들에게 더 잘 보였다.[31] 만약 돛대가 파손되거나 유실되어 기함에서 명확한 신호를 보내기 어려울 경우, 반복 프리깃은 지휘관의 지시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돛을 올바른 방식으로 올릴 수 있었다.[31]

3. 증기 기관 시대

19세기에 들어 선박용 증기 기관이 보급되면서, 1839년 영국 해군이 진수한 「사이클롭스」를 시작으로 프리깃에도 증기 기관이 도입되어 기관 범선 시대가 열렸다. 초기에는 외륜선 방식이었으나, 측면 함포 설치를 방해하고 크림 전쟁에서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이 드러나면서, 곧 스크루 프로펠러 추진 방식이 주류가 되었다.[4] 일본에서도 에도 막부 (막부 해군)가 네덜란드에서 범선 프리깃 「개양」을 수입했다.[5]

3. 1. 장갑 프리깃

1859년부터 기존의 프리깃과 전열함 설계를 기반으로 함선에 장갑이 추가되었다. 최초의 철갑함에 장갑을 추가하면서 무게 때문에 함포 갑판은 하나만 설치할 수 있었는데, 기존의 전열함보다 더 강력하고 같은 전략적 역할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으로는 프리깃이었다. "장갑 프리깃"이라는 용어는 범선을 장착하고 측면 사격을 하는 철갑선을 가리키는 데 상당 기간 사용되었다. 최초의 장갑 프리깃은 12cm(4.7인치) 두께의 장갑판으로 보호된 프랑스 해군의 목조 선체였다. 영국의 대응은 1860년에 진수된 워리어급 철갑함이었다. 철제 선체, 9137ton의 선박을 14노트의 속도로 추진하는 증기 기관, 라이플드 후장식 110파운드포 함포를 갖춘 워리어급은 모든 현대 군함의 조상이다.

1880년대에는 군함 설계가 철에서 강철로 바뀌고 범선이 없는 순양함이 등장하면서 "프리깃"이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현대

현대적인 프리깃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이 코르벳보다 크고 구축함보다 작은 대잠 호위함을 프리깃으로 명명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프리깃"이라는 단어가 순양함이나 대형 구축함을 가리키기도 했지만, 영국 해군의 리버급을 시초로 구축함보다 작고 코르벳보다는 큰 항양 호위함을 지칭하게 되었다.[27]

일본에서는 프리깃을 카타카나어로 표기하며, "프리깃함"이라고도 불리지만 "프리깃"만으로도 함종을 나타낸다.[28] 일본베트남을 제외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호위함"(护卫舰중국어, 호위함한국어) 또는 "순방함"(巡防舰중국어)으로 번역된다.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프리깃을 "순방함", 코르벳을 "호위함"으로 구별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인민해방군에서는 자국의 프리깃과 코르벳을 통틀어 "호위함"이라고 부른다.

유럽 대륙 여러 국가의 해군에서는 중령 계급 호칭으로 "프리깃 함장"에 상당하는 어휘를 사용한다. (예: 독일 해군 Fregattenkapitände, 프랑스 해군 Capitaine de frégate프랑스어)

현대 프리깃은 대잠전, 대공전, 대함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함으로 발전했다. 특히, 함대공 미사일의 도입으로 비교적 작은 함선도 대공전에서 효과적으로 활약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잠전 능력 강화를 위해 소나와 특수 무기를 탑재하고 헬리콥터를 운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레이더 반사 면적을 최소화하는 스텔스 기술이 적용된 프리깃도 등장하고 있다.

4. 1. 제2차 세계 대전

영국 해군은 플라워급 코르벳의 부족한 무장, 대양 작전에 부적합한 선체, 단일 추진축으로 인한 느린 속도와 기동성, 짧은 항속거리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리깃을 도입했다. 리버급 프리깃(1941년)은 상선 건조 표준을 따라 설계 및 건조되어 군함 건조 경험이 없는 조선소에서도 제작이 가능했으며, 더 큰 선체에 코르벳 기계 장치 두 세트를 장착하고 최신 헤지호그 대잠 무기를 탑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에 따라, 런던 해군 군축 회의의 제약이 덜했던 슬루프를 선단 호위에 배치했지만, 기존 군함의 복잡한 설계로는 전시 긴급 건조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우선 지역 방위용으로 포경선 설계를 발전시킨 플라워급 코르벳을 건조했지만, 대서양 전투에 투입되면서 원양 작전 능력 부족이 드러났다. 이에 더 크고 원양 작전에 적합하며 생산성이 뛰어난 호위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건조된 것이 리버급 프리깃이며, 당초에는 “고속 코르벳”, 후에는 “이축 코르벳”이라고 불렸지만, 1943년 2월, 코르벳보다 상위의 군함으로 “프리깃”으로 재분류되어 현대식 프리깃의 시초가 되었다.

프리깃은 호위 구축함을 포함한 구축함보다 공격 화력과 속도가 떨어졌지만, 잠수함은 잠항 중 속도가 느렸고, 어뢰탐지기(ASDIC)는 시속 20kn을 초과하는 속도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아 대잠전에는 문제가 없었다. 프리깃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최신 대잠전 기술을 갖춘, 험한 날씨에도 견딜 수 있는 함정으로, 순전히 호송 임무를 위해 설계되었기에 함대와 함께 배치될 목적이 아니었으므로 항속거리와 속도가 제한적이었다.

미국 해군은 리버급에 준하는 타코마급 프리깃(PF)과, 구축함에 준하는 호위 구축함(DE)을 건조했다.

1944년 5월 30일 캘리포니아주 산 페드로(San Pedro)에 정박한 미 해군 타코마급 프리깃 7번함 USS 갤럽(Gallup, PF-47)


미 해군의 캐나다 건조 애슈빌급 프리깃 2척과 영국 영향을 받은 미국 건조 타코마급 프리깃 96척은 원래 미 해군에서 "순찰정(PG)"으로 분류되었지만, 1943년 4월 15일 모두 '''순찰 프리깃(PF)'''으로 재분류되었다.

4. 2. 유도 미사일 역할

함대공 미사일의 도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상대적으로 작은 함선도 대공전에서 효과적으로 활약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유도 미사일 프리깃"이다. 미국 해군에서는 이러한 함정을 호위함이라 칭하고 1975년까지 "DE" 또는 "DEG"로 분류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구축함 호위함 또는 "DE"에서 유래했다.[8]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국 해군은 유도 미사일 프리깃(DLG/DLGN, 유도 미사일 구축함 함대장을 의미)으로 분류된 함선을 취역시켰는데, 이들은 실제로는 구축함 선체에 건조된 대공전 순양함이었다. 이 함선들은 함당 1~2개의 RIM-2 테리어 미사일 이중 발사기를 갖추었고, 1980년대에는 RIM-67 스탠더드 ER 미사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 함선들은 주로 항공모함을 대함 순항 미사일로부터 보호하고, 개조된 제2차 세계 대전 순양함(CAG/CLG/CG)을 보강 및 대체하는 역할을 했다. 유도 미사일 프리깃은 제2차 세계 대전 순양함 개조형 대부분이 갖추지 못한 대잠 능력도 보유했다. USS 베인브리지 (CGN-25), USS 트럭스턴 (CGN-35), 캘리포니아급, 버지니아급과 같이 일부 함선은 원자력 추진(DLGN)이었다.[9]

이러한 "프리깃"은 크기가 순양함과 구축함의 중간 정도였다. 이는 범선 시대 중형 군함을 의미했던 "프리깃" 용어 사용과 유사했지만, 프리깃을 구축함보다 작은 함선으로 간주했던 다른 해군들의 관례와는 달랐다. 1975년 함선 재분류를 통해 대형 미국 프리깃은 유도 미사일 순양함이나 구축함(CG/CGN/DDG)으로 재분류되었고, 호위함(구축함보다 작은 함선에 대한 미국의 분류, 선체 기호 DE/DEG)인 녹스급 등은 프리깃(FF/FFG)으로 재분류되었다. 1970년대 후반, ''녹스''급 프리깃의 후계함으로, 미국 해군은 51척의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유도 미사일 프리깃(FFG)을 도입했다.

4. 3. 대잠전 역할

현대 프리깃은 대잠전에 특화되어 건조되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 XXI형 잠수함과 같이 잠수함 속도가 증가하면서 프리깃과 잠수함 간의 속도 우위 차이가 줄었다. 그 결과, 전후 프리깃은 더 빨라졌다.

이러한 함선은 소나(예: 가변 수심 소나 또는 예인식 소나)와 특수 무기(예: 어뢰, 림보, ASROC, 이카라)를 탑재한다. 영국 해군의 22형 호위함은 특수 대잠전 프리깃의 한 예이지만, 근접 방어용 시 울프 함대공 미사일과 제한적인 공격 능력을 위한 엑소세 함대함 미사일도 갖추고 있다.[10]

대부분의 현대 프리깃은 헬리콥터를 운용하기 위한 후미 착륙갑판격납고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프리깃이 위험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빠른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잠수함을 탐지하고 공격할 수 있다. 헬리콥터는 소노부이, 유선식 딥 소나, 자력 이상 탐지기와 같은 센서와 어뢰 또는 심해탄을 갖추어 위협을 식별하고 공격한다.

헬리콥터는 탑재된 레이더를 통해 수평선 너머의 표적을 정찰하고, 대함 미사일(예: 펭귄, 시 스쿠아)을 장착한 경우에는 이들을 공격할 수도 있다. 또한 수색 및 구조 작전, 인원, 우편물 및 화물 이송 등의 임무에도 헬리콥터가 활용되어, 소형 보트나 잭스테이 장비를 대체하여 더 빠르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영국 해군의 23형 호위함은 대잠전을 위해 건조되었지만 다목적 함선으로 활용 가능하다.

4. 4. 대공 방어 역할

현대 프리깃들은 전투기탄도 미사일의 발전으로 인해 "지역 방어" 대공 방어에 특화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설계된 미국 해군녹스급 프리깃, 서독의 브레멘급 프리깃, 그리고 영국 해군의 타입 22 프리깃과 같은 프리깃들은 근거리 지대공 미사일(시 스패로우 또는 시 울프)을 소수만 장착하여 자체 방어에만 집중했다.[11]



최근의 예로는 네덜란드 왕립 해군의 대공 방어 및 지휘 프리깃인 데 제번 프로빈시언급 프리깃이 있다. 이 함정들은 VL 스탠더드 미사일 2 블록 IIIA, 1~2개의 골키퍼 CIWS 시스템 (에버트센급 프리깃은 골키퍼를 두 개 장착하고, 다른 함선들은 추가 장착이 가능하다.), VL 발전형 시 스패로우 미사일, 특수 SMART-L 레이더, 탈레스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APAR)를 장착하여 모두 대공 방어에 사용된다. 또 다른 예로는 덴마크 왕립 해군아이버 후이트펠트급 프리깃이 있다.[11]

4. 5. 추가 발전

프랑스 해군라파예트급 호위함 설계를 통해 스텔스 기술이 현대 호위함 설계에 도입되었다.[12] 호위함의 형태는 최소한의 레이더 반사 면적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우수한 공기 침투력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호위함의 기동성은 범선과 비교될 정도이다.

1990년대 초 스텔스 기술을 도입한 프랑스 해군의 스텔스 기능을 갖춘 라파예트급 호위함


프랑스 해군의 스텔스 기능을 갖춘 FREMM 다목적 호위함


스텔스 기술이 적용된 호위함의 예로는 대함 능력을 갖춘 아스터 15 및 아스터 30 미사일을 장착한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오리존급 호위함, 독일의 F125급 및 작센급 호위함, MK-41 수직 발사 시스템을 갖춘 터키의 TF2000급 호위함, 브라마스 미사일 시스템을 갖춘 인도의 시발릭급, 탈워급, 닐기리급 호위함, 해상 공격 미사일을 갖춘 말레이시아의 마하라자 렐라급 호위함 등이 있다.

MEKO 200, 안작급, 핼리팩스급과 같은 다목적 프리깃은 일반적인 프리깃급으로는 충족할 수 없는 다양한 상황에 배치해야 하는 해군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구축함을 배치할 필요성을 줄여준다.

4. 6. 연안 전투함 (LCS)

미국 해군의 연안 전투함(LCS)은 코르벳과 유사하며, 빠른 속도로 배치되어 소형 함정과의 전투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이 함정들은 임무 모듈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5. 운용 국가

미국 해군의 독립함(LCS-2), 인디펜던스급 연안 전투함


일부 신형 함선은 코르벳함과 유사하며, 동급 함정 간 전투보다는 고속 배치 및 소형 함정과의 전투에 최적화되어 있다. 미국의 연안 전투함(LCS)이 그 예이다. 2015년 기준으로 미국 해군의 모든 페리급 프리깃은 퇴역했으며, 그 역할은 새로운 LCS가 부분적으로 대신하고 있다. LCS급 함선은 대체할 프리깃급 함선보다 크기는 작지만, 비슷한 수준의 무장을 갖추면서도 절반 이하의 승무원으로 운영되며, 최고 속도는 40kn을 넘는다.

미국의 최신 퇴역 계획에 따르면, 미국 해군은 1943년 이후 처음으로 프리깃급 함선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기술적으로는 컨스티튜션함이 프리깃으로 분류되고 여전히 현역이지만, 해군 전력 수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17] 2019년 이후 취득될 나머지 20척의 LCS는 개량되어 프리깃으로 지정될 것이며, 기존 함선 중 개조된 함선도 분류가 'FF'로 변경될 수 있다.[18]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프리깃을 운용하고 있으며, 주요 운용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운용 함급수량
알제리아드하페르급, MEKO A-200AN3척, 2척
아르헨티나에스포라급6척
방글라데시개조된 울산급, 해밀턴급1척, 2척
브라질니테로이급6척
불가리아비엘링언급3척
캐나다할리팩스급12척
중국장카이 II급, 장카이 I급31척, 2척
중국 해양경비대장웨이 I급3척
콜롬비아알미란테 파딜라급4척
덴마크테티스급, 이베르 후이트펠트급, 압살론급4척, 3척, 2척
에콰도르콘델급2척
이집트MEKO A-200EN, 블랙 스완급1척, 1척
적도 기니웨레 냐스급1척
프랑스플로레알급6척
독일브란덴부르크급, 바덴뷔르템베르크급, 작센급4척, 4척, 3척
그리스엘리급, 히드라급9척, 4척
인도시발릭급, 탈워급, 브라마푸트라급3척, 6척, 3척
인도네시아마르타디나타급, 아마드 야니급, 붕 토모급2척, 5척, 3척
이란무드제급, 알반드급4척, 3척
이탈리아타온 디 레벨급, 마에스트랄레급2척, 4척
일본모가미급, 아부쿠마급4척, 6척
북한나진급2척
대한민국인천급, 울산급, 대구급6척, 2척, 8척
말레이시아레키우급2척
멕시코레포르마도르급1척
모로코타릭 벤 지야드급3척
미얀마껀 시타급, 아웅 제야급2척, 1척
나이지리아해밀턴급, 아라두급, 오부마급2척, 1척, 1척
파키스탄투그릴급4척
페루루포급7척
페루 해양경비대루포급1척
필리핀호세 리살급, 미구엘 말바르급2척, 2척
포르투갈바스쿠 다 가마급3척
러시아그레먀시치급, 스테레구시치급, 아드미랄 고르슈코프급, 아드미랄 그리 고로비치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네우스트라시미급1척, 7척, 3척, 3척, 2척, 2척, 2척
러시아 해양경비대크리박급2척
사우디아라비아알 마디나급4척
남아프리카 공화국밸러급4척
태국붐볼 아둘야데치급, HTMS 마쿳 라자쿠마른, HTMS 핀 클라오1척, 2척
터키야부즈급, 바르바로스급, 이스탄불급4척, 4척, 1척
베네수엘라루포급1척


참조

[1] 웹사이트 Frigate vs destroy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rships? https://www.naval-te[...] 2021-03-30
[2] 서적 Frigates Sloops & Brigs Pen & Sword Books 2005
[3]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Military Innovation and the Rise of the West 1500–1800
[4] 논문 The French Shipwreck La Surveillante, Lost in Bantry Bay, Ireland, in 1797 2007
[5] 간행물 Six ships that shook the world 1997
[6]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7] 웹사이트 Top 10 Frigates http://www.military-[...] 2017-07-13
[8] 웹사이트 Ques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Frigate and Destroyer? - Naval Post- Naval News and Information https://navalpost.co[...] Naval Post 2021-03-07
[9] 웹사이트 Frigate vs destroy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rships? https://web.archive.[...] Naval-technology.com 2019-04-24
[10] 웹사이트 Type 23 Frigates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De Zeven Provinciën classe (LCF) https://marineschepe[...] Jaime Karreman
[12] 웹사이트 Navy Frigate Warships http://www.militaryf[...]
[13] 웹사이트 Update to French Military Planning Law Means New Capabilities for Lafayette Class Frigates http://www.navyrecog[...] navyrecognition.com 2015-05-21
[14] 웹사이트 Myanmar navy's quick march https://www.newagebd[...] 2021-02-05
[15] 뉴스 Brasil inicia construcción de fragatas clase Tamandaré https://www.pucara.o[...] 2022-09-09
[16] 뉴스 Batimento de quilha da Fragata 'Tamandaré' será em março de 2023 https://www.defesaae[...] 2022-09-11
[17] 웹사이트 Decommissioning plan pulls all frigates from fleet by end of FY '15 http://www.militaryt[...] 2014-07-02
[18] 웹사이트 SNA: Modified Littoral Combat Ships to be Designated Frigates http://news.usni.org[...] 2015-01-15
[19] 웹사이트 HMS Ambuscade is Coming Home https://hmsardent.or[...]
[20] 웹사이트 Taiwan's CSBS Unveils New Frigate Design For ROC Navy https://www.navalnew[...] 2020-12-12
[21] 웹사이트 Greece Signs MOU with Naval Group and MBDA for FDI Frigates https://www.navalnew[...] 2021-09-28
[22] 웹사이트 Indo Defence 2022: Indonesia prepares to cut steel on first 'Red White' frigate https://www.janes.co[...] 2022-11-07
[23] 웹사이트 Pemotongan baja pertama Kapal Fregat Merah Putih telah dilakukan oleh PT PAL https://www.airspace[...] 2022-12-10
[24] 웹사이트 WILL PROVIDE 8 VESSELS TO INDONESIA https://www.fincanti[...] Fincantieri 2021-06-10
[25] 웹사이트 Polish Navy chooses Arrowhead 140 design for new frigates https://www.defensen[...] 2022-03-04
[26] 웹사이트 У Міноборони опрацьовують питання добудови корабля «Володимир Великий» проекту 58250, – Андрій Таран | Міністерство оборони України https://web.archive.[...]
[27] 뉴스 艦種記号「FFM」新設 多機能化の30護衛艦に適用 2018-04-06
[28] 보고서 海上自衛隊の部隊、機関等における英語の呼称について http://www.clearing.[...] 2020-03-30
[29] 웹인용 Frigate vs destroy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rships? https://www.naval-te[...] 2019-04-24
[30] 간행물 Six ships that shook the world 1997
[31]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