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방은 화재를 진압하고 인명을 구조하며 재산을 보호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알렉산드리아의 소방대와 로마의 비길레스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려 시대 금화제도와 조선 시대 금화도감을 통해 한반도에서도 소방 정책이 시작되었다. 소방의 역할은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환경을 보전하는 것이며, 화재 진압, 구조, 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소방 시설 및 장비로는 소방차, 소방복, 소방수리 등이 있으며, 소방관은 작전 전술, 장비, 현장 인지에 대한 기술과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각국은 중앙 정부, 지방 정부 또는 자원 봉사 소방대를 통해 소방 활동을 수행하며, 화재 진압에는 물, 소화용 폼,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된다. 화재는 유독 환경, 고온, 구조물 붕괴 등 다양한 위험을 동반하며, 소방관은 이러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방학 - 소방시설
소방시설은 화재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설비로,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 및 관리되며, 소화 설비, 경보 설비, 피난구조 설비, 소화 용수 설비, 소화 활동 설비 등으로 구성되고, 특정소방대상물은 규모와 용도에 따라 적절한 시설을 갖춰야 한다. - 소방학 - 화재하중
- 소방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소방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소방 | |
---|---|
개요 | |
정의 | 화재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활동 |
포함 활동 | 화재 진압 화재 예방 인명 구조 재산 보호 |
역사 | |
기원 | 고대 로마 시대의 공공 노예 조직 "비길레스" |
소방관 | |
역할 | 화재 현장에서 화재 진압, 인명 구조, 응급 처치 등의 활동 수행 |
주요 업무 | 화재 진압 인명 구조 및 응급 처치 화재 원인 조사 화재 예방 교육 및 훈련 소방 장비 점검 및 유지 보수 |
장비 | 소방차 소방 호스 소방 헬멧 방화복 산소 호흡기 구조 장비 |
위험 요소 | 화재로 인한 화상, 질식, 연기 흡입 등의 위험 건물 붕괴, 폭발 등의 위험 유해 물질 노출 위험 심리적 스트레스 |
소방 기술 | |
화재 진압 방법 | 냉각 소화: 물, 포말 등을 사용하여 화재 온도를 낮추는 방법 질식 소화: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 제거 소화: 가연물을 제거하여 화재 확산을 막는 방법 억제 소화: 화학 반응을 억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 |
구조 기술 | 로프 구조 건물 구조 차량 구조 응급 처치 |
소방 조직 | |
종류 | 공공 소방: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에서 운영하는 소방 조직 민간 소방: 기업 또는 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방 조직 의용 소방대: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자원 봉사 소방 조직 |
화재 예방 | |
중요성 |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활동 |
방법 | 소방 시설 점검 및 유지 보수 화재 안전 교육 및 훈련 화재 위험 요소 제거 화재 발생 시 대피 계획 수립 |
기타 | |
관련 법규 |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 |
2. 역사
전문 소방기관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알렉산드리아의 소방대와, 이를 모델로 고대 로마 아우구스투스가 설립한 비길레스(Vigiles)가 있다.
16세기에는 주사기 피스톤 방식으로 살수를 하기도 했으며, 17세기 암스테르담에서는 최초의 소방차가 발명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국가 차원의 소방 정책인 금화 제도가 시행되었으나, 전문 조직은 없었고 정책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조선 세종 8년에 한양 대화재를 계기로 금화도감이 창설되었고, 후에 멸화군으로 개편되었으나 인조 15년에 혁파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는 보조 소방대와 국가 소방대가 조직되어 소방 역량을 강화했다. 1938년 이전에는 소방 용어, 절차, 계급, 장비 등에 대한 전국적인 표준이 없었으나, 1939년 8월 소방 서비스 법이 발효되면서 영국 소방 서비스가 통합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대비했다. 런던 대공습 기간 동안 700명의 남자 소방관과 20명의 여자 소방관이 사망했으며, 이 중 91명은 런던을 방어하는 동안 동시에 사망했다. 런던 대공습이 끝날 무렵에는 327명의 소방관이 목숨을 잃었다.
2. 1. 고대 및 중세
크테시비우스는 기원전 3세기에 피스톤 펌프를 발명하여 소방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이 펌프는 물이 관을 따라 상승하면서 내부 공기를 압축하여 물이 파이프와 노즐을 통해 일정한 흐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였다.[5]고대 로마에서는 초기에는 화재 진압을 개인이 담당해야 했다.[6]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로마 최초의 소방대를 창설했는데, 이들은 화재 현장에 도착하여 건물주에게 헐값에 건물을 매입할 것을 제안하고, 건물주가 동의하면 불을 끄고, 거부하면 건물이 전소될 때까지 방치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불렸다.[7][8][9][10]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 비길레스(Vigiles)가 창설되면서 조직적인 소방 활동이 시작되었다.[6] 비질레스는 7,000명 규모로 소방 및 경찰 업무를 수행했으며, 양동이, 도끼, 괭이, 곡괭이, 갈고리, 톱, 막대기, 사다리, 로프, 젖은 담요 등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5] 주변 건물을 파괴하여 방화선을 구축하기 위한 공성 무기나 말로 끄는 펌프차도 사용했다.
16세기에는 주사기 피스톤 방식으로 살수를 하기도 했으며,[5] 17세기 암스테르담에서는 최초의 소방차가 발명되었다.[5] 1721년 영국의 발명가 리처드 뉴샴은 인기 있는 소방차를 만들었는데, 이는 바퀴 달린 직사각형 상자에 수동 펌프를 달아 양동이 부대로 저수지를 채우면서 먼 거리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했다.[5]
2. 2. 근대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영국에서는 화재 보험이 도입되었고, 보험료를 줄이기 위해 니콜라스 바본을 비롯한 여러 회사들이 자체적인 소방대를 조직했다.[11] 1800년대 초까지 보험 가입 건물은 배지 또는 표지로 식별되었으며, 특정 회사에 가입하지 않은 건물은 소방관들이 불을 끄지 않았다는 오해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인접 건물 화재 확산을 막는 것이 회사의 이익이었다.[11] 1833년 런던의 화재 보험 회사들은 합병하여 런던 소방 회사 설립(The London Fire Company Establishment)을 결성했다.1850년대에는 증기 동력 장치가 도입되어 더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1930년대 초에는 내연 기관 소방차로 대체되었다.
17세기까지는 양동이 릴레이와 주사기를 크게 만든 소화기 등으로 화재를 진압했지만, 암스테르담에서 최초로 펌프가 내장된 소방차가 제조되면서 수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대량의 물을 뿌릴 수 있게 되었다.[56]
2. 3. 한반도
고려 시대에는 국가 차원의 소방 정책인 금화 제도가 시행되었으나, 소방을 위한 전문 조직은 존재하지 않았다. 각 관아의 관리자에게 화재 예방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거나 방화를 할 경우 차등하여 벌을 주는 등 정책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조선 세종 8년에 한양 대화재를 계기로 금화도감이 창설되었으며, 후에 멸화군으로 개편되었으나 인조 15년에 혁파되었다.[52]2. 4.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는 보조 소방대와 국가 소방대가 조직되어 소방 역량을 강화했다.[56] 현대에는 소방 기술 발전과 함께 화재 안전 교육, 소방 점검 등 예방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3. 소방의 역할 및 임무
소방관의 목표는 생명을 구하고, 재산을 보호하며,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5] 화재는 빠르게 확산되어 많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지만, 현대적인 소방 기술을 통해 종종 대참사를 피할 수 있다.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소방관은 화재 안전에 대한 대중 교육과 지역 소방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 소방 점검을 수행한다.
소방의 주요 임무는 화재 현장에서의 소화 활동과 요(要)구조자 구조, 화재 예방 활동 등이다. 국가에 따라 구급 이송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더 나아가 교통사고나 NBC 재해, 자연재해 등 각종 재해 시의 수색 구조, 산악 구조, 수난 구조 등 구조 업무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3. 1. 소방관의 기술 및 전문 분야
소방 활동에는 작전 전술, 장비, 현장 인지에 대한 기술적 숙련도가 필요하다. 소방관은 부서 조직, 운영 및 절차에 대한 지식을 갖추거나 습득해야 하며,[5]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구역이나 도시의 도로 체계에 대한 지식도 갖추어야 한다.[5]소방관은 최소 신체 건강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합리적인 기간 내에 다양한 소방 임무를 배워야 한다.[5]
소방관이 습득해야 하는 기술 및 분야는 다음과 같다.
기술 및 전문 분야 |
---|
분류:소방
3. 1. 1. 전문 분야
특수 작전 분야는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을 필요로 할 수 있다.[14][15]
- '''소방 장비 운전/조작자''' - 화재 및 기타 응급 상황에 소방 장비를 운전하고, 소방 장비 펌프 및 공중 장치를 조작하며, 장비를 유지 관리하도록 훈련받는다.
- '''유해 물질 기술자''' - 유해 물질 응급 상황을 완화하도록 인증받는다.
- '''구조 기술자''' - 복잡한 기술 구조를 수행하도록 인증받는다.
- '''공항 소방관''' - ARFF 훈련을 받는다.
- '''산림 소방관''' - 산림/도시 경계를 포함하여 야외 식물에서 화재를 진압하도록 훈련받는다.
4. 소방 시설 및 장비
소방 시설은 화재를 탐지하고 알리는 시설, 불을 끄는 시설, 소화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는 시설, 소방대의 활동을 돕는 시설 등을 포함한다.[59]
소방에는 소방 감시원이라고도 불리는 총괄 책임자가 있다. 이들은 건물 구역 대피, 특정 지역 화재 통제, 산불 진압 팀 지휘, 벌목 지역 화재 순찰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18] 총괄 책임자는 화재나 비상사태 발생 시 소방관을 지휘하고 전반적인 상황을 통제한다. 또한 소방관 평가 및 철수 시점 판단, 비상 상황 대처, 소방서 활동 지휘 및 감독, 도시 배치, 소화전 및 화재 경보기 위치, 주요 건물에 대한 지식, 폭발물, 위험한 화학 물질, 건물, 주택 및 산업 플랜트의 재료 연소 특성을 포함한 화재 원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5]
특정 관할 구역에서는 민간인이 소방 감시원으로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일부 도시에서는 고층 빌딩 등에 일정 수의 소방 감시원을 배치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미국 휴스턴시는 고층 건물에 층당 최소 2명, 점유 면적 7,500제곱피트당 1명의 소방 감시원을 두도록 요구한다.[19]
4. 1. 소방 시설
대한민국에서는 소방 시설을 소화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소화 용수 설비, 소화 활동 설비로 구분한다.[59] 소방 시설은 화재 발생 시 이를 탐지하고 주변에 알리며, 화재를 진압하고 소화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며, 소방대의 활동을 돕는 시설 등을 통칭한다. 소방 설비라고도 한다.4. 2. 소방 장비
소방 시설 및 설비에는 소화수리(消防水利)를 시작으로 소방청사, 소방 차량, 각종 장비, 통신 장비, 대원의 복장 등이 있다.[1] 소방은 현장 활동이 많기 때문에, '''소방 차량'''이 필수적이다. 소방 차량은 크게 소방차, 기타 차량으로 분류된다.4. 2. 1. 소방차
소방은 현장 활동이 많기 때문에, '''소방차'''가 필수적이다. 소방차는 주로 화재의 방어·소화에 사용된다.[1] 각 소방차에는 활동 내용에 맞는 [자재/장비]가 적재된다.[1]4. 2. 2. 소방복
소방복은 소방관이 소방 활동을 할 때 착용하는 복장이다. 넓은 의미로 소방모, 소방두건, 소방화, 소방장갑도 포함한다.화재 진압을 위해 불 속에 뛰어들어야 하므로 소방관들은 소방복뿐만 아니라 머리 부위 안전을 위해 소방모와 소방두건을 착용하고, 발 부위 보호를 위해 소방화를, 손 부위 보호를 위해 소방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소방서 내 근무나 소방 행사 등에 참가하는 소방관들이 착용하는 별도의 소방복도 있다. 소방복에는 예복, 정복, 근무복, 성하복, 작업복, 외투, 잠바, 우의, 방화복이 있다. 소방 시설 및 설비에는 소화수리(消防水利), 소방청사, 소방 차량, 각종 장비, 통신 장비, 대원의 복장 등이 있다.
화재 시 소방 활동에서는 내화성을 가진 방화복을 착용하며, 고온의 화점을 억누르는 경우에는 내열복을 착용한다.
4. 2. 3. 소방수리
소방수리는 소화 활동 등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말한다. 소화전, 방화수조 외에 수영장, 연못, 하천, 바다도 소방수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 각국의 소방
각국의 소방 시스템은 각 나라의 역사, 문화, 사회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전해 왔다.
- '''영국'''의 소방은 광역 자치 단체에서 담당하며, 영국 내무부 소방정책실이 국가 단위의 소방을 담당한다. 구급 업무는 국민 건강 서비스(NHS)에서 담당한다.[1]
- '''독일'''에서는 인구 10만 명 이상의 특별시에 상비 소방이 설치되어 있고, 소도시에도 상비 소방대원이 배치되어 있다. 총 290여 개의 상비 소방이 있으며, 그 외에는 자원봉사 소방대가 소방 임무를 수행한다. 구급 업무도 대부분 소방 기관에서 담당하며, 구급 헬리콥터(닥터헬리콥터 포함)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1]

- '''프랑스'''의 소방은 국가 단위와 광역 단위가 혼재되어 있다. 파리 지역은 육군파리 소방공병여단이, 마르세유 주변은 해군 마르세유 소방 대대가 담당하고, 그 외 지역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한다.[1]
- '''미국'''의 소방은 연방 정부, 주 정부, 그리고 각 주 내의 지방 정부에서 담당한다. 군, 시, 읍, 면 등이 소방을 실시하며, 자치 제도에 따라 소방 기관 유형이 다양하다. 연방 정부에는 국토 안보부 연방 소방국이 설치되어 있다.[47][48]
thumb

- '''중국'''에서는 각 성·자치구·직할시에 소방국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의 시·구·현에 소방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국가의 소방 주관 기관은 응급관리부 소방구원국이다.[1]
- '''일본'''에서 소방은 시정촌이 책임을 지고 수행하며, 소방본부와 소방단 두 종류의 소방 기관이 있다. 도쿄도의 특별구(도쿄 23구)에서는 소방본부를 설치하고 있다. 구급 이송 업무와 구조 업무는 소방에서 담당한다.[1]

-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광역시, 도, 창원시에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광역적인 소방 기관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04년에는 소방방재청이 설치되어 국가 차원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구급 이송 및 구조 업무는 소방에서 담당한다.[1]

5. 1. 영국
영국의 소방은 광역 자치 단체에서 담당하며, 국가 단위의 소방은 영국 내무부 소방정책실에서 담당하고, 구급 업무는 국민 건강 서비스(NHS)에서 담당한다.[1]영국에서 소방을 실시하는 기관은 카운티(주) 소방·대도시권 소방 사무 조합·단일 자치체 소방 사무 조합, 단일 자치체 소방의 4가지 종류로 크게 분류된다.[1] 소방은 지방 자치에 위임되어 있으며, 약 58개의 소방 기관이 있어 일본보다 광역적이다.[1] 소방을 소관하는 국가 기관은 내무성 소방 감찰국과 동성 소방 긴급 사태 계획국이다.[1] 소방 교육 기관으로 소방 대학과 긴급 사태 계획 대학이 설치되어 있다.[1] 구급 이송 업무는 소방이 아닌 별도 조직(국민 건강 서비스)이 담당한다.[1] 연간 화재 발생 건수는 약 40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80건)으로 많으며, 약 3만 5천 명(인구 1만 명당 약 6명)의 소방 공무원이 대처하고 있다.[1]
5. 2. 독일
독일 연방에서는 특별시(대략 10만 명 이상)에 상비 소방이 설치되어 있으며, 소도시(약 2만 명 이상)에도 상비 소방대원이 배치되어 있다. 총 290여 개의 상비 소방이 존재한다. 그 외에는 자원봉사 소방대 약 2만 6천 개 대(일본의 소방단에 해당)가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국가(연방 정부)에 소방 주관 기관은 없으며, 각 주의 내무성 등이 소방을 관할하고 있다. 소방 교육 기관도 연방 정부에는 없으며, 각 주에 설치되어 있다. 소방의 운영 방식은 각 주에 따라 규정되어 있어 세부적으로 다르지만, 구급 업무도 대부분 소방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구급 헬리콥터(닥터헬리콥터 포함) 시스템이 매우 잘 정비되어 있는 것도 독일의 특징이다. 연간 화재 출동 건수는 약 20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25건)이며, 약 2만 7천 명의 상비 소방 공무원(인구 1만 명당 약 3명)과 약 100만 명의 자원봉사 소방대원이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5. 3. 프랑스
프랑스의 소방은 국가 단위와 광역 단위가 혼재되어 있다. 파리 지역은 파리 소방 공병 여단이, 마르세유 주변은 해군 마르세유 소방 대대에서 담당하고, 그 외 지역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한다.[1] 프랑스에서 파리와 그 주변은 육군파리 소방공병여단이, 마르세유와 그 주변은 해군 마르세유 소방대대가, 그 외 지역에서는 현 소방이 소방 업무를 수행한다.[1] 국가 소방 관할 기관은 내무성 시민안전국 구급·소방부이다.[1] 소방 교육 기관으로는 국립소방대학교와 각 현의 소방학교 등이 있다.[1] 구급 이송 업무는 소방, 경찰, 민간에서 수행한다.[1] 연간 화재 출동 건수는 약 35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60건)이며, 약 3만 5천 명의 소방 공무원(인구 1만 명당 약 6명)과 약 20만 명의 자원봉사 소방대원이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5. 4. 미국
미국의 소방은 연방 정부, 주 정부, 그리고 각 주 내의 지방 정부인 군, 시, 읍, 면 등이 실시하고 있지만, 자치 제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미국의 소방 기관을 유형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연방 정부에는 국토 안보부 연방 소방국이 설치되어 있다. 대도시에는 상비 소방 조직이 정비되어 있지만, 중소 도시에서는 정규직 소방대원과 자원봉사 소방대원이 하나의 소방서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소규모 자치 단체에서는 자원봉사 소방국(일본의 소방단에 해당)이 소방의 주체가 되는 경우도 많다. 긴급 대응 부서(경찰이나 보안관 사무소 등)가 소방 업무를 수행하는 지역이나 경우도 있다.[47][48] 소방 교육 기관으로는 전미 소방 아카데미·위기 관리 연수소·각 주 및 자치 단체의 소방 교육 기관 등이 있으며, 소방 교육 시스템이 매우 충실하다. 구급 이송 업무는 소방이나 구급 조직이 수행하는 경우도 있고, 민간 회사·자원봉사·병원·경찰·적십자 등이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연간 화재 건수는 약 180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65건)이며, 약 26만 명의 소방 공무원(인구 1만 명당 약 9명)과 약 75만 명의 자원봉사 소방대원이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공장이나 알코올을 취급하는 위스키 증류소 등에서는 회사가 소방대를 조직하는 경우가 많다.

국토나 산림의 면적에 비해 인원이 충분하지 않아, 예산이 적은 자치 단체는 화재 발생 시 민간 소방 회사에 아웃소싱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대규모 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공중 소화기를 보유하는 것은 예산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에어로 유니온|Aero Union영어과 같은 전문 회사가 존재한다.
alt=Aero Union P-3A Orion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산불의 소방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교도소 수감자 중 위험도가 낮은 자에게 소방 교육을 실시한 '수감자 소방대'가 산불 발생 시 방화대를 구축하는 등의 보조 작업을 시급 1USD의 교도 작업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57]
소방 공무원이면서 총과 수갑을 장비하고 방화범을 체포할 권한을 가진 'MAST(METRO ARSON STRIKE TEAM)'라는 대원이 있다.
5. 5. 중국
중국에서는 각 성·자치구·직할시에 소방국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의 시·구·현에 소방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국가의 소방 주관 기관은 응급관리부 소방구원국이다. 소방 교육 기관으로는 전국 5곳의 소방 학교가 있다. 구급 이송 업무는 소방이 아닌 의료 기관에서 수행한다. 연간 화재 발생 건수는 약 18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1.5건)이며, 약 11만 명의 소방 공무원과 약 300만 명의 자원봉사 소방대원이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5. 6. 일본
일본에서 소방은 시정촌이 책임을 지고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의 소방 기관에는 소방본부와 소방단 두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의 시정촌에는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정촌에서는 소방단이 주로 소방 활동을 한다. 도쿄도의 특별구(도쿄 23구)에서는 도가 소방본부를 설치하고 있다. 국가 소방 기관으로는 총무성에 소방청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시정촌의 소방을 통괄하고 있다. 소방 교육 기관으로는 소방대학교와 소방학교 (각 도도부현 소방학교와 8개의 정령 지정 도시에 설치된 정령 지정 도시 소방학교)가 있다.일부 지역에서는 단독으로 상비 소방(소방본부)을 설치하기 어렵거나, 총무성 소방청이 소방 광역화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시정촌이 연합하여 특별 지방 공공 단체인 일부 사무 조합 또는 광역 연합(소방 조합)을 설치하여 소방본부를 설치하거나, 인근 시정촌에 상비 소방을 위탁하는 경우도 있다. 도쿄도 이나기시와 도서부 정촌을 제외한 도쿄도 내 각 시정촌은 도쿄 소방청에 소방 업무를 위탁하고 있다.
구급 이송 업무와 구조 업무는 소방이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연간 화재 발생 건수는 약 6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5건)이며, 약 15만 명의 소방 공무원(인구 1만 명당 약 12명)과 약 90만 명의 소방 단원이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5. 7.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광역시, 도, 창원시에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광역적인 소방 기관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04년에는 소방방재청이 설치되어 국가 차원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소방 교육 기관으로는 중앙과 지방에 5곳의 소방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구급 이송 및 구조 업무는 소방에서 담당한다. 연간 화재 발생 건수는 약 3만 건(인구 1만 명당 약 7건)이며, 약 2만 3천 명의 소방 공무원(인구 1만 명당 약 5명)과 약 8만 명의 의용소방대원이 소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6. 화재 진압
소방관은 인명 구조, 재산 보호,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한다.[38] 화재는 빠르게 확산되어 많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지만, 현대 소방 기술로 대형 참사를 막는 경우가 많다. 소방관은 화재 예방을 위해 화재 안전 교육을 하고, 지역 소방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현장 점검도 수행한다.[38]
6. 1. 화재 진압의 과학적 원리
불을 시작하고 유지하려면 온도, 연료, 산화제(산소), 화학 반응이라는 네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38] 이 중 하나라도 없으면 불은 꺼진다.[38]연료는 연소 과정에서 산화되거나 타는 물질이다. 가장 흔한 연료는 탄소, 수소, 산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은 불의 에너지 요소로, 연료와 만나 점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또한 연료 증기나 가스가 계속 생성되고 점화되도록 하며, 고체 및 액체 연료를 기화시킨다. 그 결과 발생하는 화학 연쇄 반응은 복잡하며, 연료, 산화제, 열 에너지가 매우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산화제는 적절한 조건에서 산소를 포함한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로, 불꽃이나 화재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물을 사용하는 것은 불을 끄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물은 냉각을 통해 불을 끄는데, 기화하면서 많은 양의 열을 흡수하여 수증기로 변하기 때문에 열을 제거한다. 열이 없으면 연료는 산화제가 연료를 환원하는 것을 막아 불을 유지할 수 없다. 물은 또한 불을 질식시켜 끈다. 물이 끓는점에 도달하면 수증기로 변환되는데, 이때 불 위의 공기 중 산소를 희석시켜 불이 타는 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를 제거한다. 거품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불을 끄는 또 다른 방법은 연료 제거이다. 액체나 기체 연료의 흐름을 중단하거나, 불길 속의 고체 연료를 제거하거나, 모든 연료가 소모될 때까지 불을 태워 스스로 꺼지게 할 수 있다.
마지막 소화 방법은 화학적 화염 억제이다. 화학 연쇄 반응을 방해하고 불꽃을 멈추는 건조 화학 물질이나 할로겐화 제제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가스 및 액체 연료에 효과적인데, 가스와 액체 연료는 연소되기 위해 불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지 메이슨 대학교의 두 공학도 비엣 트란과 세스 로버트슨이 만든 장치로 음파를 사용하여 불을 끄는 데 성공했지만, 이 절차는 아직 특허 출원 중이다(2015년 기준).[39]
6. 2. 화재 진압 전술
개방 공간 화재 진압은 화재의 중심에 직사 주수를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기화로 인한 "질식" 효과와 냉각 효과를 발생시켜 추가적인 물 필요량을 줄인다. 강력한 주수는 가연성 물질을 분산시켜 화재 재발을 방지하는 기계적인 효과도 있다.[40][41] 주수는 항상 표면이나 물체를 향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전략은 2차원(2D) 공격이라고도 불린다. 개방 공간 화재는 항상 공기를 공급받으며, 산불이나 덤불 화재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람들이 불길에 쉽게 둘러싸일 위험이 있어 인명 피해 위험은 제한적이다.[40][41]밀폐된 공간 화재의 경우, 화재 중심에 직접 물을 뿌리면 물보다 먼저 공기가 밀려들어 화재에 추가적인 산소를 공급하므로 위험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화염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연기를 냉각시켜 화재 확산과 인명 피해를 막는 것이다. 스웨덴에서 시작된 3차원(3D) 공격은 천장에 짧은 간격으로 분사하여 연기를 냉각시킨다.[43] 가스가 냉각되면 밀도가 높아져 연기의 이동성을 줄이고 수증기의 "역화"를 방지한다. 또한 분사 주수는 "롤오버"(뜨거운 연소 가스에 의해 천장에 생기는 화염 덩어리)를 방지하는 "수증기 하늘"을 생성한다.
현대적인 도시 화재 진압 방법은 대규모 초기 물 공급(예: 각 소방 호스당 500L/분)을 지시한다. 목표는 화재 확산을 막고 연기를 줄이기 위해 처음부터 최대한 많은 열을 흡수하는 것이다. 유량이 너무 낮으면 냉각이 불충분하고 생성된 증기가 소방관을 태울 수 있다. 효율적인 전략(분사 주수, 작은 물방울)을 사용하면 더 적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온도가 낮아지면 직선 주수로 화재 중심을 진압하는 데 제한된 양의 물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50m2의 거실의 경우 필요한 물의 양은 60L로 추정된다.
프랑스 소방관들은 1970년대에 뜨거운 벽에 물을 뿌려 수증기 대기를 생성하고 화재를 질식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생성된 압력이 뜨거운 가스와 수증기를 소방관 쪽으로 밀어내 심각한 화상을 입히고 다른 방으로 밀어내 다른 화재를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한 것으로 판명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전술적 환기는 화재 현장의 연기와 열을 제어하여 소방관의 안전을 확보하고 화재 진압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기술이다. 1980년대 폴 그림우드(Paul Grimwood)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영국 소방 서비스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43] 전술적 환기는 갇힌 사람과 물체로부터 화재를 '끌어냄'으로써 생명 안전, 소화, 재산 보호를 향상시킨다.
일반적인 환기 방법은 건물의 외부에서 창문을 깨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화재실 바로 위에 있는 지붕에 구멍을 내어 뜨거운 연기와 가스를 배출할 수도 있다. 환기 구멍을 열면 화재에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므로 내부 화재 공격과 환기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46] 양압 환기 (PPV)는 팬을 사용하여 건물의 일부에 과도한 압력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연기와 열을 건물 밖으로 밀어낸다. 수압 환기는 구조물 내부에서 창밖으로 안개 패턴을 사용하여 물줄기를 직접 분사하는 과정으로, 연기를 효과적으로 밖으로 끌어낸다.[25]
7. 화재의 위험성
화재는 연기, 유독 가스, 고온, 산소 부족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동반한다.[22]
- 연기: 합성 가정용 재료의 종류와 양이 증가하면서 연기는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다.
- 산소 부족: 화재로 인해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위험하다.
- 고온: 화재로 인한 고온은 화상을 유발하거나 심각한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유독성 환경: 연소 물질은 유독 가스를 생성하여 인체에 해롭다.
소방관은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공기 호흡기(SCBA)를 착용하고, 개인 보호 장비(PPE)를 갖추며, 내화 의류와 헬멧을 착용하여 신체로의 열 전달을 제한한다. 하지만 모든 PPE가 모든 화재 상황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할 수는 없다.[24]
화재는 백드래프트와 같은 현상을 일으켜 폭발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소방관은 물론 일반인에게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다.[26][27] 또한, 화재는 연기로 인한 시야 방해, 낙상, 방향 감각 상실, 구조물 붕괴 등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28]
7. 1. 화재 중 위험
소방 작전과 관련된 주요 위험 중 하나는 연소 물질에 의해 생성되는 유독 환경이다.[22] 주요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다.[22]- 연기: 합성 가정용 재료의 종류와 양이 증가하면서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다.
- 산소 부족 환경: 21% O2는 정상이며 19.5% O2는 산소 부족으로 간주된다.
- 고온
- 유독성 환경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소방관은 연기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호흡기(SCBA)를 휴대한다. 이것은 산소 탱크가 아니라 (가연성 촉진제인 산소는 화재 시 사실상 모든 가연성 물질과 결합될 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스쿠버 다이빙 장비와 유사한 방식으로 압축 공기를 사용한다. 소방관의 SCBA는 탱크 크기와 격렬한 활동 중 소비율에 따라 일반적으로 30~45분 동안의 공기를 담을 수 있다. 이 장비는 위험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소방관은 여전히 연기, 유독성 먼지, 매연 및 방사선에 노출되어 소방관이 암에 걸릴 확률이 14% 더 높다.
불꽃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직접적인 화염 충돌)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엄청난 열과 관련된 명백한 위험, 예를 들어 전도열 및 복사열은 멀리서도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다. 뜨거운 가스(예: 공기), 증기, 뜨겁거나 유독한 연기로 인한 화상과 같이 비교적 심각한 열 관련 위험이 많이 있다. 뜨거운 환경에서 장시간 격렬한 운동을 하면 소방관의 횡문근융해증과 같은 열 관련 질병 위험도 증가한다.[23] 따라서 소방관은 개인 보호 장비(PPE)를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는 노멕스 또는 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PBI) 와 같은 내화 의류와 신체로의 열 전달을 제한하는 헬멧이 포함된다. 그러나 모든 PPE는 가능한 모든 화재 상황의 영향으로부터 사용자를 완전히 보호할 수 없다.[24]
열은 탱크에 들어있는 가연성 액체가 격렬하게 폭발하여 BLEVE(끓는 액체 팽창 증기 폭발)를 일으킬 수 있다.[25] 질산암모늄 비료와 같은 일부 화학 제품도 폭발하여 폭발 부상 또는 파편 부상으로 인해 신체적 외상을 입을 수 있다. 충분한 열은 인체의 살을 연료로 태우거나 그 안의 물을 끓게 하여 잠재적으로 심각한 의학적 문제를 일으킨다.
백드래프트는 산소가 고갈된 화재에 많은 양의 산소가 유입될 때 발생한다.[26] 화재가 구획화되어 산소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소모된 경우 창문이나 문과 같은 것이 열리면 백드래프트의 위험이 높다. 불이 약하게 타는 곳에 산소를 도입하면 가는 길에 있는 모든 산소에 불이 붙어 파괴적일 수 있다.[27] 또한 충격적인 폭발로 인해 몇 마일 밖에서도 들릴 수 있다. 소방관은 화재 현장에서 항상 극도의 의사 소통을 해야 한다. 잘못된 시간에 창문이 하나 깨지면 건물에서 작업하는 모든 사람에게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
화재의 열에 따라 화상은 순식간에 발생할 수 있다.
화재의 추가 위험으로는 연기로 인한 시야 방해, 잠재적으로 낙상 또는 방향 감각 상실을 유발하고, 화재에 갇히고, 구조물 붕괴가 있다.[28]
7. 2. 잔해 정리 중 위험
화재가 진압된 후, 화재 잔해를 청소하는 작업자들에게는 여러 가지 안전 및 건강 위험이 따른다.[30][31]화재 잔해에서는 많은 유해 물질이 발견된다. 실리카는 콘크리트, 지붕 타일 등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자연적인 원소일 수도 있다. 실리카 먼지에 노출되면 규폐증, 폐암, 폐결핵, 기도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32] 석면 흡입은 석면증, 폐암, 중피종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33] 화재 잔해 청소 작업자는 공기 중 또는 피부를 통해 불에 타거나 녹은 전자 제품, 자동차, 냉장고, 스토브 등에서 나오는 금속 또는 연소 생성물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에는 베릴륨, 카드뮴, 크롬, 코발트, 납, 망간, 니켈 등이 포함될 수 있다.[30]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는 유기 물질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발생하며 구조적 화재 및 산불의 결과로 자주 발견되는 발암성 물질이다.[34]
화재 청소 중 안전 위험에는 타는 잔해의 재점화, 끊어지거나 노출된 전선으로 인한 감전, 물과 전기 장비의 접촉 등이 있다. 불에 탄 구조물은 불안정하여 갑작스럽게 붕괴될 위험이 있다.[31][35]
화재 청소를 위한 표준 개인 보호 장비에는 안전모, 보안경 또는 안전 안경, 튼튼한 작업 장갑, 귀마개 또는 기타 청력 보호 장치, 안전화, 추락 방지 장치가 포함된다.[35][36] 전기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모든 전선은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확인하기 전까지는 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간주하고, 전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전선을 접지하며,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35] 적절한 호흡 보호는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유해 물질 노출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환기 시설을 설치하는 공학적 제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환기가 불충분하거나 먼지를 피할 수 없는 경우, N95 마스크와 같은 개인 보호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35][37]
참조
[1]
웹사이트
Firefighting {{!}}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023-08-17
[2]
웹사이트
Firefighter
https://nationalcare[...]
National Careers Service (UK)
2017-09-13
[3]
웹사이트
Recruitment « UK Fire Service Resources
http://www.fireservi[...]
2016-11-30
[4]
웹사이트
Fire Fighter: OSH Answers
http://www.ccohs.ca/[...]
Government of Canada, Canadian Centr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016-11-30
[5]
간행물
Fire Service Orientation and Indoctrination
Board of Regents
[6]
서적
Ancient Rome: From the Early Republic to the Assassination of Julius Caesa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10-17
[7]
서적
The Great Fire of Rome: Life and Death in the Ancient City
[8]
문서
The Life of Crassus 2.3–4
[9]
서적
Crassus: A Political Biography
Adolf M Hakkert
[10]
웹사이트
Richest People in History Ancient Roman Crassus
http://www.trivia-li[...]
2009-12-23
[11]
웹사이트
Early fire brigades
https://www.london-f[...]
London Fire Brigade
2023-08-16
[12]
웹사이트
Fire History - A Historical Repository for the Fire Servi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firehistory.o[...]
2015-02-21
[13]
웹사이트
Firefighting in Colonial America
http://lishfd.org/Hi[...]
KSFFA
[14]
웹사이트
Fire-Rescue - Special Operations Command
https://www.fortlaud[...]
fortlauderdale.gov
2011-04-01
[15]
웹사이트
City of Dallas:Dallas Fire-Rescue Department
http://dallasfireres[...]
City of Dallas
2014-01-01
[16]
웹사이트
Firefighter Schedules and Work Life
http://www.jobmonkey[...]
jobmonkey.com
2014-01-01
[17]
웹사이트
Fire & Rescue NSW - Annual Report 2012/13
https://www.parliame[...]
Fire.nsw.gov.au
[18]
웹사이트
7 key duties of a fire warden
http://www.healthand[...]
2015-02-21
[19]
웹사이트
Houston Fire Department - Houston Fire Marshal Office - Fire Warden Certification Classes (High Rise)
http://houstontx.gov[...]
2016-06-28
[20]
웹사이트
|
https://www.fs.fed.u[...]
2021-01-10
[21]
웹사이트
NWCG Incident Response Pocket Guide
https://www.nwcg.gov[...]
2022-01-01
[22]
서적
Essentials of Fire Fighting and Fire Department Operations 5th Edition
[23]
웹사이트
Rhabdomyolysis in structural fire fighters: a patient population at risk.
https://www.cdc.gov/[...]
2019-06-26
[24]
웹사이트
3 heat-related threats to firefighters and how to fix them
http://www.firerescu[...]
2016-06-16
[25]
간행물
The Firefighter's Handbook: Essentials of Fire Fighting and Emergency Response. Second Edition
Delmar Publishers
[26]
웹사이트
Coffee Break Bulletin
https://www.usfa.fem[...]
2021-02-26
[27]
저널
Defining the Difference between Backdraft and Smoke Explosions
2013-12-01
[28]
웹사이트
The Risks of Being a Fireman
http://work.chron.co[...]
2016-06-16
[29]
웹사이트
Firefighting stiffens arteries, impairs heart function - News Bureau - University of Illinois
http://news.illinois[...]
2015-02-21
[30]
웹사이트
Evaluation of fire debris cleanup employees' exposure to silica, asbestos, metals, and polyaromatic hydrocarbons
https://www.cdc.gov/[...]
2020-04-07
[31]
웹사이트
Worker Safety and Health During Fire Cleanup
https://www.dir.ca.g[...]
2020-03-27
[32]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https://www.cdc.gov/[...]
2020-04-07
[33]
법규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9 CFR 1910.1001
[34]
문서
IARC 2002
[35]
웹사이트
Worker Safety During Fire Cleanup
https://www.cdc.gov/[...]
2020-03-25
[36]
웹사이트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uring Fire Cleanup Operations
https://www.dir.ca.g[...]
2020-03-28
[37]
웹사이트
Respiratory Protection During Fire Cleanup
https://www.dir.ca.g[...]
2020-03-28
[38]
서적
Essentials of Fire Fighting
Fire Protection Publications
1998
[39]
웹사이트
George Mason University Students Use Sound to Put Out Fire
https://www.msn.com/[...]
2016-11-30
[40]
서적
Principles of Fire Behavior and Combustion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3-12-03
[41]
서적
Data Process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for Cyber-Physical Systems (DPTA 2019)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2-03
[42]
웹사이트
Fire Prevention/Protection
http://www.fireengin[...]
2018-04-29
[43]
웹사이트
Firefighter Career Guide
http://www.firetacti[...]
2015-02-21
[44]
웹사이트
Why Sodium And Potassium Really Explode In Water
https://cen.acs.org/[...]
2021-08-23
[45]
웹사이트
What firefighters need to know about BLEVEs
https://www.fireresc[...]
2018-10-09
[46]
서적
Structural Firefighting: Strategies and Tactics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7
[47]
웹사이트
Washington DC Business News - Business, Money, Financial & Corporate News
https://web.archive.[...]
2015-02-21
[48]
웹사이트
Four-alarm fire on Avenue B
https://web.archive.[...]
2015-02-21
[49]
간행물
Shropshire Fire and Rescue Service, Operational Note 3
http://www.shropshir[...]
Shropshire Fire and Rescue Service
2007-05-22
[50]
서적
Fireman! A Personal Account
David & Charles
1979-02-22
[51]
뉴스
London fire brigade boss: 'It was a massive risk, but it's our job to go in'
https://www.theguard[...]
2017-06-18
[52]
서적
The Great Fire of Rome: Life and Death in the Ancient City
[53]
문서
The Life of Crassus 2.3–4
[54]
서적
Crassus: A Political Biography
Adolf M Hakkert
1976
[55]
웹사이트
Richest People in History Ancient Roman Crassus
http://www.trivia-li[...]
2009-12-23
[56]
서적
Fire Service Orientation and Indoctrination
Board of Regents
1984
[57]
뉴스
山火事と闘う受刑者たち、時給1ドルの消火プログラム 米加州
https://www.afpbb.co[...]
AFP
2017-10-16
[58]
서적
소방정책개발 소방교육 체계구축을 위한 소방학 정립 연구
소방방재청
2009
[59]
웹인용
서울소방재난본부 - 소방시설의 종류
https://web.archive.[...]
2010-08-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부산 동래구 아파트서 불…대피하던 2명 화상
인천 장봉도서 50대 낚시객 실종…"물살에 휩쓸려"
서울 노원구 공릉동 아파트 화재…70대 1명 사망
경기 일산 도로서 SUV 차량 화재…15분 만에 진화
김포 건설자재 창고서 불…대응 1단계 발령해 진화
한강 세빛섬 인근 사람 빠져...경찰 소방 수색 중
파주 요양원서 승강기에 불…88명 대피
부산 북구 여관서 화재…50대 투숙객 숨져
또 테러 협박 소동…‘청주 건설사·초등교 공격’ 문자에 경찰 출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는 '과실'…공장장 등 4명 송치
내년 소방 R&D 예산 65% 증액…150만 화재 취약 세대에 감지기 보급
안양 상가건물 1층 음식점서 불…120여 명 한때 대피
남양주서 농기계 보관용 비닐하우스 화재…인명피해 없어
전북 고창서 주택 화재…70대 1명 숨진 채 발견
대구 다세대주택서 불…모녀 숨지고 아들은 중상
홍천 펜션 주방 불로 5명 대피…인명 피해 없어
뚝섬유원지 보트 정박장서 화재…인명 피해 없어
김포 고촌읍 농수로서 70대 실종 신고…이틀째 수색 작업
서울 서초구 내곡동 화훼단지 화재…1명 사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