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의 (남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의(蕭懿)는 남제의 인물로, 소도성의 아들이자 소순지의 형이다. 안남소릉왕 행참군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진릉군 태수로 선정을 베풀어 이름을 떨쳤다. 493년에는 관군장군, 양남진이주자사에 임명되었고, 495년에는 북위의 침입을 격퇴했다. 이후 익주자사로 재직하며 배숙업과 최혜경의 반란을 진압했으나, 공을 시기한 여법진의 모함으로 사사되었다. 소의 사후, 소연에 의해 시중, 중서감, 사도, 태부로 추증되었으며, 양나라가 건국된 후에는 승상으로 추숭되고 장사선무왕으로 추봉되었다.

2. 생애

소의는 소순지의 장남으로, 처음 안남소릉왕행참군(安南邵陵王行參軍)에 임명되었고 소순지가 죽자 임상현후를 습작했다. 이후 태자사인(太子舍人), 태자세마(太子洗馬), 건안왕우(建安王友)를 거쳐 진릉태수(晉陵太守)로 재직 시 선정으로 이름을 떨쳐 중서시랑(中書侍郞)으로 임명되었다.[1]

493년 지절도독양남북진사사주제군사(持節都督梁南北秦沙四州諸軍事), 서융교위(西戎校尉), 양남진이주자사(梁南秦二州刺史)를 제수받고 관군장군(冠軍將軍)으로 임명되었다.

495년 남정에서 북위의 침입을 격퇴한 후 정로장군(征虜将軍)으로 임명되었고 식읍 300호(戶)가 더해졌으며, 독익영이주군사(督益寧二州軍事) 및 익주자사(益州刺史)로 임명되었다.

500년 배숙업이 예주에서 모반하자 소보권은 소의에게 지절(持節), 정로장군, 독예주제군사(督豫州諸軍事), 예주자사(豫州刺史), 영역양남초이군태수(領曆陽南譙二郡太守)를 제수하여 배숙업을 토벌하게 했다. 배숙업은 북위로 투항했고, 이후 최혜경의 반란도 평정했다. 그 공로로 상서령(尚書令), 도독정토수륙제군사(都督征討水陸諸軍事)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여법진이 소의를 시기하여 소보권에게 모반을 꾀한다고 무고하였고, 소의는 죽음을 받았다. 소연은 반란을 일으켜 소보권을 폐위하고 화제를 옹립한 뒤, 소의에게 시중(侍中), 중서감(中書監), 사도(司徒)를 추증하였다. 선덕태후 섭정 후에는 태부(太傅)로 고쳐 추증했다.

502년 소연이 남제를 멸망시키고 양나라를 세운 뒤에는 승상으로 추증하고 장사선무왕(長沙宣武王)으로 추봉·추시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소의는 소순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평판이 좋았으며, 안남 소릉왕 행참군, 임상현후 (임상현의 후작), 태자사인, 태자세마, 건안왕우를 거쳤다. 진릉 태수가 되자 공정한 재판으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중서시랑에 임명되었다.[1]

493년, 지절, 관군장군, 도독 양남북진사사주제군사, 서융교위, 양남진이주자사에 임명되었다.[1]

495년, 북위원영한중을 공격하자, 소의는 군대를 이끌고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 남정이 포위되었으나, 소의는 성을 굳게 지켰다. 원영이 철수하자, 소의는 양원수를 보내 북위의 역성, 고란, 낙곡, 구지 등 6개의 성을 함락시켰다. 정로장군이 되고 300호를 더 받았으며, 도독 익녕이주제군사, 익주자사로 옮겨졌다.[1]

499년, 황제 소보권의 신하들이 권력 투쟁에 매달리는 혼란스러운 조정을 염려한 소연은, 소의에게 장홍책을 보내 조정에서 거리를 두고 기회를 기다리라고 권했지만, 소의는 따르지 않았다.

500년, 배숙업이 예주에서 모반을 일으키자, 소의는 지절, 정로장군, 도독 예주제군사, 예주자사에 임명되었고, 역양, 남초군의 태수를 겸임하며 배숙업 토벌을 명받았다. 배숙업은 북위에 항복했다.[1]

얼마 후 최혜경이 반란을 일으키고, 소보현을 받들어 도성을 공격했다. 소의는 정예 3천 명을 이끌고 성을 구원하러 갔다. 최혜경이 파견한 최각을 격파하고, 최혜경을 격파했다. 상서령, 도독 정토수륙제군사에 임명되었고, 2천 5백 호가 더해졌다.[1]

여법진 등은 소의의 공을 두려워하여 소보권에게 소의가 모반을 일으키려 한다고 참언했고, 소보권도 이를 믿었다. 소의는 상양으로 도망가라는 권유를 거절했고, 결국 죽음을 받았다.[1]

소의가 죽은 후 소연이 거병하여 소보권이 폐위되고, 화제가 즉위하자, 소의에게 시중, 중서감, 사도가 추증되었고, 선덕태후가 섭정하면서 다시 태부가 추증되었다. 502년, 소연이 양나라를 건국하자 승상으로 추숭되었으며, 장사왕에 추봉되어 "선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

2. 2. 북위 격퇴 및 익주자사 부임

495년, 남정에서 북위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이후 정로장군(征虜将軍)에 임명되었고 식읍 300호(戶)가 더해졌으며, 독익영이주군사(督益寧二州軍事) 및 익주자사(益州刺史)로 임명되었다.

2. 3. 배숙업과 최혜경의 난 진압

493년에 지절도독양남북진사사주제군사(持節都督梁南北秦沙四州諸軍事), 서융교위(西戎校尉), 양남진이주자사(梁南秦二州刺史)를 제수받고 관군장군(冠軍將軍)으로 임명되었다.

495년 남정(南鄭)에서 북위의 침입을 격퇴하고 정로장군(征虜将軍)으로 임명되었으며, 식읍 300호(戶)가 더해졌다. 독익영이주군사(督益寧二州軍事) 및 익주자사(益州刺史)로 임명되었다.

500년 배숙업이 예주에서 모반하자 소보권은 소의에게 지절(持節), 정로장군, 독예주제군사(督豫州諸軍事), 예주자사(豫州刺史), 영역양남초이군태수(領曆陽南譙二郡太守)를 제수하여 배숙업을 토벌하게 했다. 배숙업은 북위로 투항했고, 이후 최혜경의 반란도 평정했다. 그 공로로 상서령(尚書令), 도독정토수륙제군사(都督征討水陸諸軍事)에 임명되었다.

2. 4. 모함과 죽음

493년 소의는 지절도독양남북진사사주제군사(持節都督梁南北秦沙四州諸軍事), 서융교위(西戎校尉), 양남진이주자사(梁南秦二州刺史)를 제수받고 관군장군(冠軍將軍)으로 임명되었다.

495년 남정(南鄭)에서 북위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이후 정로장군(征虜将軍)으로 임명되었고 식읍 300호(戶)가 더해졌다. 또한 독익영이주군사(督益寧二州軍事) 및 익주자사(益州刺史)로 임명되었다.

500년 배숙업이 예주에서 모반하자, 소보권은 소의에게 지절(持節), 정로장군, 독예주제군사(督豫州諸軍事), 예주자사(豫州刺史), 영역양남초이군태수(領曆陽南譙二郡太守)를 제수하고 배숙업을 토벌하게 했다. 배숙업은 북위로 투항했고, 이후 최혜경의 반란도 소의가 평정하였다. 그 공로로 소의는 상서령(尚書令), 도독정토수륙제군사(都督征討水陸諸軍事)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여법진이 소의를 시기하여 소보권에게 모반을 꾀한다고 무고하였고, 소의는 죽음을 받았다.

소연은 반란을 일으켜 소보권을 폐위하고 화제를 옹립한 뒤, 소의에게 시중(侍中), 중서감(中書監), 사도(司徒)를 추증하였다. 선덕태후 섭정 후에는 태부(太傅)로 고쳐 추증했다.

502년 소연이 남제를 멸망시키고 양나라를 세운 뒤에는 승상으로 추증하고 장사선무왕(長沙宣武王)으로 추봉·추시했다.

2. 5. 사후 추증

양나라를 세운 소연은 소의를 승상으로 추증하고, 장사선무왕(長沙宣武王)으로 추봉하였다.

3. 가족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