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순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순지는 남북조 시대 유송과 남제의 인물로, 소도성의 종제로 소도성을 보좌하며 군사적 활동을 펼쳤다. 남제 건국에 기여하여 임상현후에 봉해졌으며, 양주 자사를 역임했다. 남제 무제 즉위 후에는 시중, 위위, 태자첨사 등을 지냈으며, 영군장군과 단양윤을 역임했다. 형주 자사 소자향의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다. 사후에는 진북장군으로 추증되었고, 양나라가 건국된 후 태조 문황제로 추존되었다. 슬하에 11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셋째 아들 소연은 양 무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순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소순지 (蕭順之) |
| 작위 | 임상현후 (臨湘縣侯) |
| 시호 | 문황제 (文皇帝) |
| 묘호 | 태조 (太祖) |
| 생애 | |
| 출생지 | 유송 난릉군 중도리현 (현재의 장쑤성 창저우시 우진구) |
| 사망지 | 건강 (남제) (현재의 난징시) |
| 배우자 | 장부인 (張夫人) |
| 자녀 | 소역 소부 (蕭敷) 소연 (양 무제) 소장 (蕭暢) 의흥공주 (義興公主) 희안공주 (熙安公主) 소융 (蕭融) 소홍 (蕭宏) 소수 (蕭秀) 소위 (蕭偉) 소단 (蕭দ্যাল) 9번째 아들 소회 (蕭恢) |
| 가계 | |
| 아버지 | 소도사 (萧道赐) |
| 어머니 | 소도사의 첩 |
| 정치 | |
| 추존 작위 | 즉위 전: 임상헌후 (臨湘縣侯) 즉위 후: 문황제 (文皇帝) |
| 사후 정보 | |
| 묘소 | 건릉 (建陵) |
| 존호 | 문황제 (文皇帝) |
| 기타 | |
| 가문 | 난릉 소씨 (蘭陵 蕭氏) |
| 직업 | 장군 |
2. 생애
소순지는 소도성의 종제로[11][9], 젊은 시절부터 소도성과 친밀했다. 소도성이 정벌을 나설 때마다 군 통솔을 보좌하고, 야간의 침소를 경호했다.[9] 원휘 원년(473년), 왕칙근 등과 함께 3만 명의 병사를 이끌고 북위의 회북 여러 성을 공격했으나, 북위의 위원에게 패했다.[12] 원휘 2년(474년), 소도성이 진군장군·남연주자사가 되자, 순지는 진군부장사를 지냈다.[13] 이후 황문랑·안서장사·오군 내사를 역임했다.[9]
소순지의 처는 문헌황후 장씨(文獻皇后 張氏, ? ~ 471)로, 이름은 장상유(張尚柔)이다.[2] 소생으로는 소연, 장사선무왕 소의, 영양소왕 소부, 형양선왕 소창, 의흥장공주, 신안목공주가 있다.
승명 원년(477년), 원찬이 심유지의 난에 호응하여 석두성에 근거하고, 황회가 반란 측에 붙어 석두성으로 향하자, 순지는 가병을 이끌고 주작교를 지키며 이를 막았다.[9] 또한 보국장군·효기장군으로 수군을 이끌고 난 진압에 나섰다.[14]
제 건국에 공을 세워, 예장왕 소의를 대신하여 양주 자사에 임명되었다.[9] 건원 4년(482년), 무제가 즉위하자, 임상현후에 봉해졌다.[9] 시중·위위를 역임했다.[11][9] 7월, 예주 자사가 되었다.[15] 후에 태자첨사로 전임했다.[11][9] 영명 3년(485년), 영군장군의 호를 받았다.[15] 후에 단양윤이 되었다.[11][9] 영명 8년(490년), 형주 자사 파동왕 소자향이 반란을 일으키자, 순지는 반란 진압에 나서 소자향을 항복시켰다.[15][16][17][18][19]
사망 후, 진북장군의 칭호를 추증받았으며[11][9], 시호를 의라고 했다.[9] 천감 원년(502년), 셋째 아들인 양 무제가 건국하자, 문황제로 추존되었으며, 묘호를 태조라고 했다.[20][9]
3. 가족
소순지의 후궁은 다음과 같다.3. 1. 부모
| 부친 | 소도사 |
|---|---|
| 모친 | 사씨(史氏) |
3. 2. 형제
- 문선후(文宣侯) 소상지
- 충간후(忠簡侯) 소숭지
3. 3. 처
|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능묘 | 비고 |
|---|---|---|---|---|---|---|---|---|
| 부인(夫人) | 문헌황후(文獻皇后) | 張尚柔|장상유중국어 | (추존) | ? ~ 471년 | 장목지(張穆之) | 건릉(建陵) | [21] |
3. 4. 아들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
| 1 | 장사군왕 | 선무(宣武) | 소의 | ? ~ 500년 | 문헌황후 장상유 | [22][23] | |
| 2 | 영양군왕 | 소(昭) | 소부 | 461년 ~ 497년 | 문헌황후 장상유 | ||
| 3 | 양국공 | 소연 | 464년 ~ 549년 | 문헌황후 장상유 | 양나라 초대 황제[24] | ||
| 4 | 형양군왕 | 선(宣) | 소창 | ? ~ 500년 | 문헌황후 장상유 | [25] | |
| 5 | 계양군왕 | 간(簡) | 소융 | 472년 ~ 501년 | 황태비 이씨 | ||
| 6 | 임천군왕 | 정혜(靖惠) | 소굉 | 473년 ~ 526년 | 황태비 진씨 | ||
| 7 | 안성군왕 | 강(康) | 소수 | 475년 ~ 518년 | 황태비 오씨 | ||
| 8 | 남평군왕 | 원양(元襄) | 소위 | 476년 ~ 533년 | 황태비 진씨 | [26] | |
| 9 | 파양군왕 | 충렬(忠烈) | 소회 | 476년 ~ 526년 | 황태비 비씨 | ||
| 10 | 시흥군왕 | 충무(忠武) | 소담 | 478년 ~ 522년 | 황태비 오씨 |
3. 5. 딸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
| 1 | 의흥공주 | 소(昭) | 소영예(蕭令嫕) | 문헌황후 장상유 | 왕림 | ||
| 2 | 신안공주 | 목(穆) | 왕무장 | ||||
| 3 | 여요공주(余姚公主) |
4. 평가
소순지에 대한 별도의 평가는 원문에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소순지가 소도성을 도와 군사적인 활동을 하고, 여러 관직을 역임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南史·梁本紀上
[2]
서적
Book of Liang
[3]
서적
Book of Liang
[4]
서적
History of the Southern Dynasties
[5]
문서
Initially, he held the posthumous title of Marquis Xuan of Linxiang (臨湘縣國侯)
[6]
문서
Initially, he held the title Marquis of Jiangling (江陵县侯)
[7]
서적
Book of Liang
[8]
문서
Died early
[9]
서적
南史
[10]
서적
梁書
[11]
서적
梁書
[12]
서적
魏書
[13]
서적
南斉書
[14]
서적
南斉書
[15]
서적
南斉書
[16]
서적
南斉書
[17]
서적
南史
[18]
서적
南史
[19]
서적
魏書
[20]
서적
梁書
[21]
문서
양나라 건국 후에 황후로 추존됨.
[22]
문서
임상현개국후(臨湘縣開國侯)
[23]
문서
양나라 제5대 황제 양 민제(閔帝)의 아버지.
[24]
문서
건양현남(建陽縣男)/건안군공(建安郡公)
[25]
문서
강릉현후(江陵縣侯)
[26]
문서
건안군왕(建安郡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