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소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소전은 진나라에서 통일된 문자 체계로, 전국 시대의 다양한 한자 형태를 통일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진시황은 이사에게 소전을 표준 서체로 제정하도록 명하고, 다른 서체들을 폐지했다. 소전은 좌우 대칭과 둥근 획이 특징이며, 획의 굵기가 일정하다는 조형미를 지닌다. 하지만 실용성 부족으로 예서체로 대체되었으며, 현재는 전각에 사용된다. 2015년 유니코드에 소전 포함이 제안되었으나, 2020년 4월 기준으로 논의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자 서체 - 예서
    예서는 중국 서체의 한 종류로, 전서에서 파생되어 한나라 시대에 주요 서체로 사용되었으며, 획이 가로로 길고 파책을 특징으로 하며, 서예 분야에서 꾸준히 계승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한자 서체 - 전서
    전서는 대전과 소전을 아우르는 고대 중국 서체 용어이며, 특히 진나라 이사가 표준화한 소전은 진시황 통일 후 공식 문자로 채택되어 통치 체제 강화에 기여했고, 후대 서체와 현대의 특수 용도 및 폰트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쳤다.
  • 서예 - 예서
    예서는 중국 서체의 한 종류로, 전서에서 파생되어 한나라 시대에 주요 서체로 사용되었으며, 획이 가로로 길고 파책을 특징으로 하며, 서예 분야에서 꾸준히 계승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서예 - 병풍
    병풍은 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장식, 칸막이, 바람막이 등으로 사용되며, 그림으로 장식되어 예술 작품으로도 여겨지고, 한국, 일본 등 각국에서 고유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재까지도 다양한 문화 행사에 활용된다.
소전
기본 정보
진나라 시대 칙령 청동 표준 무게
진나라 시대 칙령 청동 표준 무게
유형
문자 체계표의 문자
사용 언어고대 중국어
사용 시기기원전 500년경 ~ 서기 200년경
조상 문자원시 문자
갑골문
금문
대篆
파생 문자예서

2. 역사

동한 시대(기원전 771년경~기원전 256년)에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한자 형태가 발전하여 '육국 문자'(六國文字)라 불리는 여러 서체가 등장했고, 이들은 나중에 대전(大篆)으로 통칭되었다.[1] 진나라(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 건국 이후, 진시황은 기원전 220년경 문자 체계의 표준화를 명령하여 진나라 서기관들이 사용하는 것과 다른 형태의 글자를 버리고 진나라 형태를 제국 전체의 표준으로 삼았다.[3]

2. 1. 전국 시대의 문자 혼란

동한 시대(기원전 771년경~기원전 256년) 동안,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한자 형태가 발전하여 '육국 문자'(六國文字)라 불리는 여러 서체가 등장했으며, 이들은 나중에 대전(大篆)으로 통칭되었다.[1] 이러한 문자 형태의 다양성은 갓 건국된 진(秦)나라(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에서 시의적절한 의사소통, 무역, 조세, 운송을 저해하고 정치적 반대를 조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용납될 수 없었다.[2]

2. 2. 진나라의 문자 통일

기원전 220년, 진시황은 승상 이사에게 명하여 소전(小篆)을 표준 서체로 제정하고, 이와 다른 서체들을 폐지하였다.[3] 이는 정치, 경제, 사회적 통합을 위한 중요한 조치였다.[2]

동한 시대(기원전 771년경~기원전 256년) 동안,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한자 형태가 발전하여 '육국 문자'(六國文字)라 불리는 여러 서체가 등장했고, 이들은 나중에 대전(大篆)으로 통칭되었다.[1] 이러한 다양성은 갓 건국된 진(秦)나라(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에게는 의사소통, 무역, 조세, 운송을 저해하고 정치적 반대를 조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용납될 수 없었다.[2]

진시황의 재상 이사가 편찬한 『측예편(蒼頡篇)』을 통해 소전의 표준적인 사용이 공포되었다.[3] 3,300자를 포함했다고 알려진 이 편찬물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수 세기 동안 중국어 주석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청나라(1644~1912) 시대에 단편적인 주석에서 수백 자가 수집되었고, 최근 안후이성의 고고학 발굴에서 대나무 조각에 수백 자가 더 발견되어 글자의 순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발견된 필체는 한나라 시대의 것이기 때문에 소전이 아니었다.

2. 3. 측예편

이사가 편찬한 『측예편(蒼頡篇)』을 통해 소전(小篆)의 표준적인 사용이 공포되었다. 3,300자를 포함했다고 알려진 이 책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수 세기 동안 중국어 주석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청나라(1644~1912) 시대에 단편적인 주석에서 수백 자가 수집되었고, 최근 안후이성의 고고학 발굴에서 대나무 조각에 수백 자가 더 발견되어 글자의 순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발견된 필체는 한나라 시대의 것이기 때문에 소전이 아니었다.

3. 특징

소전은 이전의 갑골문이나 금석문이 지닌 회화적 성격을 줄이는 대신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좌우 대칭이 많고 꺾이는 부분이 둥근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실제 생활에 쓰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차츰 예서체를 사용하게 되었다. 소전은 지금도 전각에 사용되고 있으며, 도장에 새기는 글자체가 그 한 예이다.[1]

3. 1. 형태적 특징

소전은 이전의 갑골문이나 금석문이 지닌 회화적 성격을 줄이는 대신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좌우 대칭이 많고 꺾이는 부분이 둥근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실제 생활에 쓰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차츰 예서체를 사용하게 되었다. 소전은 지금도 전각에 사용되고 있으며, 도장에 새기는 글자체가 그 한 예이다.[1]

3. 2. 다른 서체와의 비교

소전은 이전의 갑골문이나 금문이 지닌 회화적 성격을 줄이는 대신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좌우 대칭이 많고 꺾이는 부분이 둥근 것이 특징이다.[1] 하지만 실제 생활에 쓰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차츰 예서체를 사용하게 되었다.[1] 소전은 지금도 전각에 사용되고 있으며,[1] 도장에 새기는 글자체가 그 한 예이다.[1]

4. 현대적 사용

소전은 오늘날에도 전각에 사용되는데, 도장에 새기는 글자체가 그 예이다.[1]

4. 1. 전각 예술

소전은 이전의 갑골문이나 금문이 지닌 회화적 성격을 줄이는 대신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좌우 대칭이 많고 꺾이는 부분이 둥근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실제 생활에 쓰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차츰 예서체를 사용하게 되었다. 소전은 지금도 전각에 사용되고 있다. 도장에 새기는 글자체가 그 한 예이다.[1]

5. 인코딩

소전은 2015년에 유니코드에 포함될 것을 처음 제안받았으며, 해당 제안서에는 청나라 시대 주석 이미지 중 가장 잘 알려진 예시들이 많이 나열되어 있다.[4]

5. 1. 유니코드 제안

유니코드에 2015년에 소전의 포함이 처음 제안되었으며, 723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양의 제안서가 제출되었다.[4]

5. 2. 현재 논의 상황

현재, 이 제안은 여전히 논의 중이다.[4]

6. 조선 시대의 소전

조선 시대 교서관 관원의 성적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과목 중 하나였다.[1]

6. 1. 교서관 관원 시험

조선 시대 교서관 관원의 성적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과목 중 하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Seal Script https://www.cityu.ed[...] 2023-09-28
[2] 논문 The Myth of the Qin Unification of Writing in Han Sources
[3] 서적 The book before printing: Ancient, Medieval and Oriental Dover
[4] 웹사이트 Proposal to encode Small Seal Script in UCS https://www.unicode.[...] Working Group 2015-10-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