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지트코프 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지트코프 천체(TŻO)는 중성자별이 적색 거성 또는 초거성과 충돌하여 형성되는 천체이다. 이러한 충돌은 구상 성단 내에서 또는 쌍성계에서 한 별이 초신성이 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 핵이 합쳐져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를 초과하면 블랙홀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일 중성자별이 된다. TŻO는 매우 뜨거운 표면과 특이한 핵반응을 보이며, 적색 초거성이나 울프-레이에별과 유사한 관측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상 수명은 105–106년이며, 현재 은하수에 20~200개 정도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TŻO는 중력파와 금속의 광학 스펙트럼을 통해 식별할 수 있으며, 대량 질량 손실을 통해 소멸하며, 강착 원반을 형성하거나 블랙홀로 붕괴될 수 있다. HV 2112가 TŻO 후보로 제안되었으나, 이후 반박되었으며, 현재 여러 천체가 TŻO 후보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과학 - 1977년 4월 18일 일식
    1977년 4월 18일 일식은 1977년 4월 18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이며, 사로스 주기 138, 메토닉 주기 등에 속하고, 일식 크기는 0.94492, 일식 가림은 0.89288이다.
  • 1977년 과학 - 1977년 10월 12일 일식
    1977년 10월 12일 일식은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 서부에서 개기 일식으로, 태평양, 아프리카, 아메리카, 캐나다, 소련, 미국 등지에서 부분 일식으로 관측된 1977년 일식 시즌의 일식이며, 여러 주기 및 연쇄에 속하는 관련 일식들이 존재한다.
  • 가설상의 천체 - 우주 끈
    우주 끈은 끈 이론에서 제안하는 1차원 물체로, 우주의 기원과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중력 효과와 중력파를 나타낼 수 있지만, 아직 직접적인 관측 증거는 없는 상태이다.
  • 가설상의 천체 - 화이트홀
    화이트홀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에서 예측되는 천체로, 블랙홀의 시간 반전된 개념으로 물질과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 부족과 관측 증거 미비로 인해 수학적 개념으로 취급되며 실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항성의 형태 - 중성자별
    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 후 남은 태양 질량의 1.4배에서 3배 정도 되는 질량을 가진 고밀도 천체로, 주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빠른 자전과 강력한 자기장을 가진 펄서, 마그네타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쌍성 중성자별의 합병은 중력파와 감마선 폭발을 발생시키며 철보다 무거운 원소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항성의 형태 - 변광성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을 의미하며,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광도곡선을 통해 분석하며,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된다.
손-지트코프 천체
일반 정보
Thorne-Żytkow 천체의 예술적 표현
Thorne-Żytkow 천체의 예술적 표현
유형항성
질량12~40 태양 질량 (이론)
23.7 태양 질량 (HV 2112)
발견자킵 손
안나 지트코프
발견 년도1975년, 1977년
명칭 유래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
이론적 특징
정의거대한 항성 내부에 중성자별 핵을 가진 항성
형성 과정쌍성계에서 더 무거운 항성이 초신성 폭발 후 중성자별이 되고, 짝별과 합쳐짐
항성 내부에서 중성자별이 형성되어 중심핵이 됨
스펙트럼 특징Li, Mo, Rb과 같은 특이한 금속 원소의 존재
후보 천체
HV 2112소마젤란운 내 위치
한때 Thorne-Żytkow 천체 후보로 여겨졌으나, 이후 적색 초거성으로 밝혀짐
U Aquarii초기 연구에서 Thorne-Żytkow 천체 후보로 거론
추가 정보
특이 사항항성 진화의 이론적 단계이며, 아직 확실하게 입증된 사례는 없음

2. 형성

손-지트코프 천체는 중성자별이 적색 거성이나 초거성과 충돌하면서 형성된다. 이러한 천체 충돌은 매우 밀집된 성단 안에서 우연히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쌍성계에서 한쪽 항성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켜 중성자별이 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초신성 폭발은 완벽하게 대칭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질량 방출로 쌍성계의 결합 에너지가 변하기 때문에 쌍성계 궤도에 변화가 생긴다. 이때 중성자별의 새로운 궤도가 쌍성계의 다른 항성과 교차하거나, 그 항성이 주계열성일 경우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면서 중성자별을 삼킬 수 있다.[25]

중성자별이 적색 거성의 외층으로 들어가면, 중성자별과 외층 사이에 작용하는 항력 때문에 쌍성계 궤도가 좁혀지며,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핵이 서로를 향해 나선형으로 접근한다. 이 과정은 초기에 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었는지에 따라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 두 천체가 충돌하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핵이 융합한다. 이때 총 질량이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를 넘으면 블랙홀이 되고, 넘지 않으면 두 천체가 융합하여 하나의 중성자별이 된다.[6]

2. 1. 밀집성단 내 충돌

매우 밀집된 구상 성단 내에서 중성자별과 다른 별(주로 적색 거성 또는 초거성)이 우연히 충돌하여 손-지트코프 천체가 형성될 수 있다.[5] 이러한 충돌은 극도로 밀집된 구상 성단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는 중성자별은 두 별 중 하나가 초신성이 될 때 쌍성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초신성도 완벽하게 대칭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초신성에서 질량이 손실됨에 따라 쌍성의 결합 에너지가 변화하기 때문에, 중성자별은 원래 궤도에 상대적인 속도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새로운 궤도가 동반성과 교차하거나, 동반성이 주계열성인 경우 동반성이 적색 거성으로 진화할 때 삼켜지게 할 수 있다.[5]

2. 2. 쌍성계 진화

쌍성계에서 한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켜 중성자별이 된 후, 남은 동반성과 상호작용하여 손-지트코프 천체가 형성될 수 있다. 초신성 폭발은 완벽하게 대칭적이지 않기 때문에, 중성자별은 특정한 속도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동반성과의 궤도가 변화하여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5] 이 속도는 새로운 궤도가 동반성과 교차하게 하거나, 동반성이 주계열성인 경우 동반성이 적색 거성으로 진화할 때 삼켜지게 할 수 있다.[5]

일단 중성자별이 적색 거성으로 들어가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외부 확산층 사이의 항력으로 쌍성계의 궤도가 붕괴되고,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핵이 서로 안쪽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 초기 분리에 따라 이 과정은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 두 천체가 마침내 충돌하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 핵이 합쳐진다. 결합된 질량이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를 초과하면 두 천체는 블랙홀로 붕괴된다. 그렇지 않으면 두 천체는 단일 중성자별로 합쳐진다.[6]

중성자별과 백색 왜성이 합쳐지면, R 코로나 보레알리스 변광성의 특성을 가진 손-지트코프 천체를 형성할 수 있다.[7]

2. 3. 중성자별과 적색거성의 상호작용

중성자별이 적색 거성에 진입하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외부 확산층 사이에 항력이 발생하여 쌍성계의 궤도가 붕괴되고,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핵이 서로 안쪽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6] 이 과정은 초기 분리에 따라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 두 천체가 마침내 충돌하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 핵이 합쳐진다. 결합된 질량이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를 초과하면 두 천체는 블랙홀로 붕괴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일 중성자별로 합쳐진다.[6]

2. 4. 합병 후 결과

중성자별이 적색 거성 안으로 들어가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외부 확산층 사이의 항력 때문에 쌍성계의 궤도가 붕괴되어 중성자별과 적색 거성의 핵이 서로를 향해 나선형으로 이동한다. 초기 거리에 따라 이 과정은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 두 천체가 마침내 충돌하여 합쳐질 때, 결합된 질량이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를 초과하면 블랙홀로 붕괴되고, 그렇지 않으면 두 천체는 단일 중성자별로 합쳐진다.[6]

중성자별과 백색 왜성이 합쳐지면, R 코로나 보레알리스 변광성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손-지트코프 천체를 형성할 수 있다.[7]

3. 성질

손-지트코프 천체(TŻO)는 중성자별을 핵으로 가지는 특이한 천체이다. 중성자별 표면은 1,000,000,000,000이 넘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는데, 이는 강착 가스에서의 핵융합이나 중성자별의 중력에 의한 가스 압축 때문에 발생한다.[26][27] 이러한 고온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별 핵합성과는 다른 핵반응이 일어나 동위 원소 혼합물이 생성되며, 급속 양성자 핵합성(rp-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28]

관측상으로 TŻO는 적색 초거성과 유사하게 보이거나, 고온으로 인해 수소가 풍부한 표층이 날아가 버린 경우에는 질소가 풍부한 울프-레이에별 (WN8형)과 유사하게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3. 1. 고온의 표면

중성자별의 표면은 매우 뜨거운데, 온도는 109 K을 넘어서며, 이는 가장 질량이 큰 별들을 제외한 모든 별의 핵보다 더 뜨겁다. 이 열은 강착 가스에서의 핵융합 또는 중성자별의 중력에 의한 가스의 압축에 의해 지배된다.[8][9] 높은 온도 때문에, 적색 거성의 외피가 중성자별 표면에 떨어질 때 특이한 핵 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 수소는 일반적인 별 핵합성에서 일어나는 것과는 다른 동위 원소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융합될 수 있으며, 일부 천문학자들은 X선 폭발에서 발생하는 급속 양성자 핵합성이 손-지트코프 천체 내부에서도 일어난다고 제안했다.[10]

3. 2. 특이한 핵반응

중성자별 표면은 매우 뜨거워 온도가 109 K을 넘는데, 이는 가장 질량이 큰 별들을 제외한 모든 별의 핵보다 더 뜨겁다. 이 열은 강착 가스에서의 핵융합 또는 중성자별의 중력에 의한 가스 압축에 의해 지배된다.[8][9] 높은 온도 때문에, 적색 거성의 외피가 중성자별 표면에 떨어질 때 특이한 핵 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 수소는 일반적인 별 핵합성에서 일어나는 것과는 다른 동위 원소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융합될 수 있으며, 일부 천문학자들은 X선 폭발에서 발생하는 급속 양성자 핵합성(rp-과정)이 손-지트코프 천체 내부에서도 일어난다고 제안했다.[10]

3. 3. 관측상의 특징

관측상으로 손-지트코프 천체(TŻO)는 적색 초거성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며,[2] 수소 함량이 높은 표면층을 날려 보낼 정도로 뜨거우면 질소가 풍부한 울프-레이에별 (WN8형)과 유사할 수 있다.[11]

3. 4. 예상 수명 및 존재 개수

TŻO의 예상 수명은 105~106년이다. 이 수명을 고려할 때, 현재 은하수에 20개에서 200개 사이의 TŻO가 존재할 수 있다.[12]

3. 5. 중력파 방출

내부 중성자별은 중력파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는 손-지트코프 천체(TŻO)를 식별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별이 TŻO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결정하는 유일한 방법은 내부 중성자별의 중력파와 일반적인 적색 초거성의 특징과 다른 금속의 광학 스펙트럼을 다중 메신저로 감지하는 것이다. 현재의 LIGO 검출기를 사용하여 기존 TŻO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성자별 핵은 연속적인 파동을 방출할 것이다.[13]

4. 소멸

TŻO는 대량 질량 손실로 인해 결국 소멸 단계에 이르게 된다. 남은 외피는 원반 형태로 변환되어 중성자별 주위에 거대한 강착 원반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론이 제기되었다.[14] 이러한 중성자별은 강착 원반을 가진 고립된 펄서 집단을 형성할 수 있다.[14] 거대한 강착 원반은 또한 새로운 별로 붕괴되어 중성자별의 동반성이 될 수 있다. 중성자별은 또한 충분한 물질을 강착하여 블랙홀로 붕괴될 수도 있다.[20]

5. 관측 역사

2014년, 에밀리 르베스크가 이끄는 연구팀은 HV 2112가 몰리브덴, 루비듐, 리튬, 칼슘과 같은 원소의 함량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광도가 높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특징이 손-지트코프 천체(TŻO)의 예상되는 특징과 일치하므로, HV 2112가 TŻO의 첫 번째 사례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2] 그러나 2018년 엠마 비저와 동료들은 논문을 통해 이 주장을 반박했다.[4] 그들은 HV 2112가 리튬을 제외한 다른 원소의 함량은 특이하지 않으며, 광도 또한 TŻO로 보기에는 너무 낮다고 주장했다. 대신 엠마 비저 연구팀은 루비듐 함량이 과도하고 HV 2112와 유사한 광도를 가진 HV 11417을 또 다른 TŻO 후보로 제시했다.[4]

6. 후보 천체 목록

TŻO 후보 천체 및 TŻO의 전구체 또는 미래의 TŻO가 될 수 있는 천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후보위치발견비고참고
HV 2112소마젤란운2014초거성 TZO 후보[2][15][16][17] 또는 AGB 별로 분류[4][2][15][16][17][4]
HV 11417소마젤란운2018AGB 별로 분류[4][4][18]
V595 카시오페이아자리카시오페이아자리2002[19]
IO 페르세우스자리페르세우스자리2002
KN 카시오페이아자리카시오페이아자리2002
U 물병자리물병자리1999R 코로나 북쪽 왕관 변광성으로 분류[7]
VZ 궁수자리궁수자리1999R 코로나 북쪽 왕관 변광성으로 분류[7]



후보 전 TŻO위치비고참고 문헌
GRO J1655-40전갈자리이 시스템의 동반성 및 블랙홀의 전구체는 TŻO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0][20]
BD+61 2536 (TIC 470710327)카시오페이아자리중성자별 합병 또는 TŻO로 진화할 수 있는 거대한 계층적 삼중성계.[21][21]


6. 1. 손-지트코프 천체 후보

후보위치발견비고참고
HV 2112소마젤란운2014초거성 TZO 후보[2][15][16][17] 또는 AGB 별로 분류[4][2][15][16][17][4]
HV 11417소마젤란운2018AGB 별로 분류[4][4][18]
V595 카시오페이아자리카시오페이아자리2002[19]
IO 페르세우스자리페르세우스자리2002
KN 카시오페이아자리카시오페이아자리2002
U 물병자리물병자리1999R 코로나 북쪽 왕관 변광성으로 분류[7]
VZ 궁수자리궁수자리1999R 코로나 북쪽 왕관 변광성으로 분류[7]


6. 2. 손-지트코프 천체의 전구체 또는 미래의 손-지트코프 천체 후보

후보 전 TŻO위치비고참고 문헌
GRO J1655-40전갈자리이 시스템의 동반성 및 블랙홀의 전구체는 TŻO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0]
BD+61 2536 (TIC 470710327)카시오페이아자리중성자별 합병 또는 TŻO로 진화할 수 있는 거대한 계층적 삼중성계.[21]


참조

[1] 논문 Stars with degenerate neutron cores. I - Structure of equilibrium models 1977-03-15
[2] 논문 Discovery of a Thorne–Żytkow object candidate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2014
[3] 웹사이트 Astronomers discover first Thorne-Zytkow object, a bizarre type of hybrid star http://phys.org/news[...] 2014-06-04
[4] 논문 A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Thorne-Żytkow object candidate HV 2112 2018-07-02
[5] 논문 The effects of high-velocity supernova kicks on the orbital properties and sky distributions of neutron-star binaries 1995-05
[6] 서적 Frontiers in Numerical Rel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7] 논문 U Aquarii a Thorne–Żytkow Object? 1999-04
[8] 논문 Giant and supergiant stars with degenerate neutron cores 1989-11
[9] 논문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orne-Zytkow objects 1992-02
[10] 논문 Massive Thorne–Żytkow Objects – Structure and Nucleosynthesis 1993-08
[11] 간행물 Are Peculiar Wolf-Rayet Stars of Type WN8 Thorne-Zytkow Objects? 2002
[12] 논문 The evolution and final fate of massive Thorne-Żytkow objects http://adsbit.harvar[...] 1995-05
[13] 논문 Prospects for Multimessenger Observations of Thorne-Żytkow Objects 2021-04
[14] 논문 A Spin-down Variation in the 6 Second X-Ray Pulsar 1E 1048.1-5937 1995
[15] 논문 Gaia DR2 Confirms that Candidate Thorne-Żytkow Object HV 2112 i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2018
[16] 논문 HV2112, a Thorne-Zytkow object or a super asymptotic giant branch star. 2014
[17] 논문 The proper motion of HV2112: a TŻO candidate in the SMC 2016
[18] 논문 Cool, Luminous, and Highly Variable Stars in the Magellanic Clouds from ASAS-SN: Implications for Thorne-Żytkow Objects and Super-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2020
[19] 간행물 A Spectroscopic Search for Massive Thorne-Żytkow Objects https://aspbooks.org[...] 2000-05-30
[20] 논문 On the high space velocity of X-ray Nova SCO 1994: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its black hole
[21] 논문 Planet Hunters TESS IV: a massive, compact hierarchical triple star system TIC 470710327 2022-04-01
[22] 웹사이트 奇妙なハイブリッド「ソーン・ジトコフ天体」の候補を初検出 https://www.astroart[...] 2014-06-13
[23] 논문 Stars with degenerate neutron cores. I - Structure of equilibrium models
[24] 논문 U Aquarii a Thorne–Żytkow Object?
[25] 논문 The effects of high-velocity supernova kicks on the orbital properties and sky distributions of neutron-star binaries https://ui.adsabs.ha[...]
[26] 논문 Giant and supergiant stars with degenerate neutron cores
[27] 논문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orne-Zytkow objects
[28] 논문 Massive Thorne–Żytkow Objects - Structure and Nucleosynthesis https://ui.adsabs.ha[...]
[29] 논문 Stars with degenerate neutron cores. I - Structure of equilibrium models
[30] 논문 U Aquarii a Thorne□Zytkow Object?
[31] 논문 The effects of high-velocity supernova kicks on the orbital properties and sky distributions of neutron-star binaries http://adsabs.harvar[...]
[32] 논문 Giant and supergiant stars with degenerate neutron cores
[33] 논문 Massive Thorne□Zytkow Objects - Structure and Nucleosynthesis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