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쇠가마우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가마우지속(Urile)은 가마우지과에 속하는 조류의 한 속이다. 브란트가마우지, 붉은뺨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멸종된 안경가마우지의 4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북태평양 연안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 종은 한국에서도 관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마우지과 - 갈라파고스가마우지
    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특정 섬에만 서식하며, 비행 능력이 퇴화되었고, 방수 기능이 없는 깃털과 훔볼트 해류의 해양 생물을 먹이로 삼는 특징을 가진 가마우지과 조류이다.
  • 가마우지과 - 붉은뺨가마우지
    붉은뺨가마우지는 북태평양과 북대서양 해안에 서식하는 가마우지과의 바닷새로, 붉은 뺨과 머리 볏이 특징이며 꼼치과 어류를 주식으로 하고 서식지 훼손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사다새목 - 망치머리황새
    망치머리황새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에 서식하며 머리 뒤쪽 깃털 때문에 망치 모양 외형을 가진 중형 물새로, 독특한 생태와 행동,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2개의 아종으로 분류되는 종이다.
  • 사다새목 - 넓적부리황새
    넓적부리황새는 아프리카 습지에 서식하며 신발 모양 부리가 특징인 대형 조류로, 어류를 주식으로 하는 단독 생활 텃새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 등급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쇠가마우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학명Urile
명명자보나파르트, 1856년
종 기준Pelecanus urile
종 기준 명명자그멜린, JF, 1789년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Urile penicillatus
Urile urile
Urile pelagicus
extinct: Urile perspicillatus
생물 분류
가마우지과
사다새목
조강
척삭동물문
동물계
쇠가마우지속

2. 종 목록

쇠가마우지속(''Urile'')에는 4종의 가마우지가 속해 있다.[1]

쇠가마우지속(''Urile'')의 종 목록[1]
이름학명 및 명명자분포 지역
브란트가마우지Urile penicillatus (브란트, 1837)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브리티시컬럼비아 남부 ~ 바하칼리포르니아)
붉은뺨가마우지Urile urile (그렘린, JF, 1789)북태평양 (홋카이도 동쪽 ~ 알래스카 만)
쇠가마우지Urile pelagicus (페터 시몬 팔라스, 1811)북태평양 (동부 러시아 ~ 서부 북아메리카, 코로나도 제도, 겨울철: 타이완, 바하칼리포르니아 중부)
안경가마우지Urile perspicillatus (페터 시몬 팔라스, 1811)베링 섬(러시아), 코만도르 제도, 캄차카 반도 (현재 멸종)


2. 1. 브란트가마우지 (''Urile penicillatus'')

브란트가마우지(''Urile penicillatus'')는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종이다. 1837년 브란트가 처음 명명하였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남부에서 바하칼리포르니아에 이르는 지역에서 번식하며, 비번식기에는 북쪽으로 알래스카 만, 남쪽으로 시날로아까지 이동한다.[1]

2. 2. 붉은뺨가마우지 (''Urile urile'')

붉은뺨가마우지(''Urile urile'')는 북태평양의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해안선, 홋카이도 동쪽에서 알래스카 만까지 분포하는 종이다.[2] 한국에서도 관찰된다.

2. 3. 쇠가마우지 (''Urile pelagicus'')

쇠가마우지(''Urile pelagicus'')는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북태평양 해안선에서 번식하며, 동부 러시아에서 서부 북아메리카, 코로나도 제도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다. 겨울철에는 타이완과 바하칼리포르니아 중부까지 이동한다. 한국에서도 관찰되는 종이다.[3]

2개의 아종이 있다.

} 팔라스, 1811

|-

| ''U. p. resplendens'' || U. p. resplendens|la오듀본, 1838

|}

2. 4. 안경가마우지 (''Urile perspicillatus'') †

안경가마우지(Urile perspicillatus|우릴레 페르스피킬라투스la)는 베링 섬(러시아)에 서식했으며, 코만도르 제도의 다른 섬이나 인접한 캄차카 반도 일부에도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는 종이다. 1850년대에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1]

안경가마우지

참조

[1]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cormorants of the world 2014
[2] 논문 Excusion dans les divers Musées d'Allemagne, de Hollande et de Belgique, et tableaux paralléliques de l'ordre des échassiers (suite) https://www.biodiver[...]
[3] 논문 Sixty-second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cal Society's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2021
[4] 웹사이트 Storks, frigatebirds, boobies, darters, cormorant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아종학명 및 명명자
U. p. pelagicus{{lang|la|U. p. pelagi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