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시 내친왕 (102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시 내친왕은 1027년에 태어난 일본 헤이안 시대의 황족으로, 고이치조 천황의 첫째 딸이다. 12세에 황태자 치카히토 친왕(고레이제이 천황)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뇨고, 중궁을 거쳐 황태후가 되었으며, 고레이제이 천황 사후에는 출가하여 태황태후가 되었다. 80세에 사망했으며,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보다이쥬인릉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안 시대 황족 - 데이시 내친왕 (1076년)
데이시 내친왕은 1078년 조랴쿠 2년에 태어나 이세 신궁의 사이오를 지냈고, 호리카와 천황의 준모로 책봉된 후 중궁에 책립되어 조정의 안정을 도왔으나 21세에 사망, 이쿠호몬인으로 칭해졌다. - 1027년 출생 - 교황 빅토르 3세
교황 빅토르 3세는 1086년부터 1087년까지 재임한 제158대 교황으로, 란고바르드족 출신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이었으며, 그레고리오 개혁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노력했다. - 1027년 출생 - 단사렴
- 일본의 태황태후 - 다치바나노 가치코
다치바나노 가치코는 헤이안 시대 사가 천황의 황후로서 닌묘 천황을 낳았고, 타치바나 씨 출신 최초이자 마지막 황후였으며, 불교에 대한 깊은 신앙심으로 단린사를 창건하고 조와의 변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 일본의 태황태후 - 후지와라노 마사루코
후지와라노 마사루코는 헤이안 시대 고노에 천황의 황후였으나 사별 후 니조 천황의 황후가 되어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천황의 비가 된 여성으로,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던 일본의 마지막 태황태후이다.
쇼시 내친왕 (102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쇼시/아키코 내친왕 |
원어 이름 | 章子内親王 |
작위 | 제70대 일본 황후 |
작위 2 | 황태후 |
작위 3 | 태황태후 |
작위 4 | 니조인 (二条院) |
재위 기간 | 에이쇼 원년 음력 7월 10일 - 지랴쿠 4년 음력 4월 17일 (1046년 8월 14일 - 1068년 5월 20일) |
재위 기간 2 | 지랴쿠 4년 음력 4월 17일 - 엔큐 원년 음력 7월 3일 (1068년 5월 20일 - 1069년 7월 23일) |
재위 기간 3 | 엔큐 원년 음력 7월 3일 - 엔큐 6년 음력 6월 16일 (1069년 7월 23일 - 1074년 7월 12일) |
재위 기간 4 | 엔큐 6년 음력 6월 16일 - 조지 2년 음력 9월 17일 (1074년 7월 12일 - 1105년 10월 26일) |
출생일 | 만주 3년 음력 12월 9일 (1027년 1월 19일) |
사망일 | 조지 2년 음력 9월 17일 (1105년 10월 26일) |
사망 장소 | 보다이쥬인 (菩提樹院) |
능묘 | 보다이쥬인릉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요시다카구라오카초) |
휘 | 쇼시/아키코 (章子) |
가문 | 황족 |
아버지 | 고이치조 천황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이시/타케코 |
배우자 | 고레이제이 천황 |
자녀 | 없음 |
2. 생애
만주 4년(1027년)에 내친왕이 되었다. 조겐 3년(1030년) 하카마기와 함께 준삼궁 일품에 올랐다. 조겐 9년(1036년) 아버지 고이치조 천황과 어머니 이시가 잇따라 사망하여, 어린 나이에 부모와 사별했다.
조랴쿠 원년(1037년) 착상 후, 12세에 황태자 지카히토 친왕의 후궁에 들어갔다. 간토쿠 2년(1045년) 고레이제이 천황 즉위 후 뇨고가 되었고, 에이쇼 원년(1046년) 중궁에 책립되었다. 지랴쿠 4년(1068년) 황태후가 되었으나, 이틀 뒤 고레이제이 천황이 붕어하였다. 엔큐 원년(1069년) 출가하여 태황태후가 되었고, 엔큐 6년(1074년) 여원 칭호를 받아 니조인이라 불렸다. 조지 2년(1105년) 80세로 붕어했다.
고이치조 천황의 첫 아이였지만, 남자아이가 아니었음에도 부모의 총애를 받았다. 온순하고 아름다운 황녀였다고 하며, 부모 사후에는 조토몬인 쇼시의 비호를 받으며 성장해 동궁비가 되었다. 미치나가 사후, 그의 자녀들이 후궁 정책으로 견제하던 상황에서 관백 요리미치의 딸이 어려, 미치나가 일족이자 조토몬인의 후견을 받는 쇼시 내친왕이 절충안으로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고귀하고 온화한 성품의 쇼시 내친왕은 고레이제이 천황이 다른 비를 총애해도 개의치 않아, 요리미치 측과도 원만했다. 남편과 조토몬인 사후에도 국모가 아닌 황후 최초로 여원 칭호를 받고 안정된 여생을 보냈다. 고레이제이 천황과의 사이에서 자식은 없었다.
능묘는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요시다카구라오카초(吉田神楽岡町) 보다이쥬인릉(菩提樹院陵)이다.
2. 1. 어린 시절
만주 4년(1027년) 고이치조 천황과 중궁 후지와라노 이시의 첫째 딸로 태어났다. 남자아이를 기대했던 상황이었지만, 부모에게 매우 총애를 받으며 성장했다. 온순한 성격의 아름다운 황녀였다고 전해진다.조겐 3년(1030년) 착고(着袴) 의례와 함께 준삼궁 및 일품(一品) 작위를 받았다. 조겐 9년(1036년) 아버지 고이치조 천황과 어머니 후지와라노 이시가 잇따라 사망하여, 어린 나이에 부모와 사별했다. 이후 할머니(외가에서는 백모)인 조토몬인 후지와라노 쇼시의 비호를 받으며 성장했다.
2. 2. 황태자비 시절
조랴쿠 원년 (1037년), 착상(着裳) 의식을 행하고, 12세의 나이로 황태자 지카히토 친왕(훗날의 고레이제이 천황)의 후궁에 들어갔다. 당시 황실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사후, 그의 아들들이 후궁 정책을 통해 권력을 다투는 상황이었다. 관백 후지와라노 요리미치의 딸이 아직 어렸기 때문에, 미치나가 가문과 연관되어 있으면서 조토몬인의 후견을 받는 쇼시 내친왕이 절충안으로 선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훗날 요리미치의 딸 후지와라노 간시(히로코)가 입궁할 때, 쇼시 내친왕은 중궁 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다는 이야기가 『에이가모노가타리』에 전해진다. 이는 고스자쿠 천황의 중궁이었던 데이시 내친왕(사와코)이 요리미치의 양녀 후지와라노 겐시(모토코)의 입궁으로 황후로 밀려났던 상황을 고려한 선택으로 보인다.
2. 3. 황후 시절
간토쿠 2년 (1045년), 남편 지카히토 친왕이 고레이제이 천황으로 즉위하면서 뇨고가 되었다. 에이쇼 원년 (1046년), 중궁으로 책봉되었다.[1]고귀하고 온화한 성품으로, 남편이 다른 비들을 총애해도 개의치 않았으며,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등과의 관계도 원만했다. 남편 고레이제이 천황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얻지 못했다.
에이가모노가타리에 따르면, 요리미치의 딸 간시/히로코가 입궁했을 때, 쇼시 내친왕은 관례대로 황후가 되는 대신 중궁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한다. 이는 선제 고스자쿠 천황의 중궁이었던 데이시 내친왕 (쇼시 내친왕에게는 외사촌 언니)이 요리미치의 양녀 겐시/모토코의 입후로 황후로 밀려나 궁에서 소외되었던 상황을 보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2. 4. 출가 이후
지랴쿠 4년(1068년) 황태후로 책립되었으나, 이틀 뒤 고레이제이 천황이 붕어하였다. 엔큐 원년(1069년)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었고, 태황태후가 되었다. 엔큐 6년(1074년) 여원 칭호를 받아 니조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조지 2년(1105년) 향년 80세로 붕어하였다. 능묘는 아버지 고이치조 천황과 마찬가지로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요시다카구라오카초(吉田神楽岡町)의 보다이주인릉(菩提樹院陵)에 안장되었다.[1]3. 평가 및 의의
쇼시 내친왕은 헤이안 시대 황실 여성으로서, 복잡한 정치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지위와 역할을 지혜롭게 지켜나간 인물로 평가받는다. 미치나가 사후, 그의 아들들이 황실 후궁을 정치적 경쟁의 장으로 활용하던 시기에, 쇼시 내친왕은 온화한 성품과 처신으로 주변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삶을 유지했다.
요리미치의 딸이 어렸기 때문에, 쇼시 내친왕은 조토몬인 쇼시/아키코와 미치나가 가문의 관계 때문에 일종의 타협 후보로 선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레이제이 천황의 비가 된 후에도, 요리미치의 딸 칸시/히로코가 입궁했을 때, 쇼시 내친왕은 고고가 되는 대신 중궁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는 고스자쿠 천황의 중궁이었던 테이시 내친왕이 요리미치의 양녀 겐시/모토코의 입후로 황후로 밀려나 궁에서 소외된 사건을 보았기 때문일 수 있다.
쇼시 내친왕은 남편 고레이제이 천황이 다른 비들을 총애해도 개의치 않았고, 요리미치 가문 사람들과도 평온한 관계를 유지했다. 남편과 후견인인 조토몬인 쇼시/아키코 사후에도 여원호 선하를 받아 안정된 여생을 보냈다. 비록 자녀를 낳지는 못했지만, 당시 여성 황족의 전형적인 삶의 방식에 따라 출가하여 종교에 귀의했다.
쇼시 내친왕의 생애는 당시 황실과 귀족 사회의 권력 관계, 특히 후지와라 가문의 섭정 정치와 여성 황족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4. 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