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966년에 태어나 1028년에 사망한 헤이안 시대의 귀족으로, 후지와라 홋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는 딸들을 천황과 결혼시켜 외척으로서 권력을 강화했고, 990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권력을 장악하여 1016년에는 섭정이 되었다. 미치나가는 자신의 손자가 천황이 될 때까지 셋쇼가 되지 않고, 사다이진으로서 내람을 겸임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그는 문학을 장려하고 불교를 신봉했으며, 호조지 건립에 힘썼다. 하지만 권력욕이 강하고 정적을 제거하는 데 가혹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의 일기인 《미도 간파쿠기》는 헤이안 시대의 정치와 귀족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며, 그의 사후 그의 자손들이 섭관직을 세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66년 출생 - 후지와라노 긴토
후지와라노 긴토는 헤이안 시대의 공경이자 시인, 음악가로서, 와카, 한시, 관현에 뛰어났으며, 시가집 편찬, 36가선 정립 등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사납언으로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으며, 만년에는 섭관 정치 시대 조정의 의식과 연중행사에 대한 자료를 남겼다. - 966년 출생 - 키나드 3세 막 두브
키나드 3세 막 두브는 10세기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분쟁에서 말콤 2세와 경쟁한 두브의 후손으로, 말콤 2세에게 살해당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의 혈통은 맥베스 왕비 그루오흐와 룰라크 왕을 통해 이어졌고, 맥윌리엄 칭전자, 매케이 씨족, 맥더프 씨족 등이 그의 후손을 주장한다. - 미도류 -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후지와라노 요리미치는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아들로, 섭관정치를 이끌며 고이치조 천황, 고스자쿠 천황, 고레이제이 천황 시대에 막강한 권세를 누리고 뵤도인 호오도 건립과 와카에 능통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으나, 고산조 천황 즉위 후 정치적 입지가 축소되고 섭관 자리를 두고 갈등을 겪은 공경이다. - 미도류 - 후지와라노 모로자네
후지와라노 모로자네는 헤이안 시대 후기 간파쿠와 셋쇼를 역임하며 섭관정치의 전성기를 이끌었고, 시라카와 천황과의 협력을 통해 막강한 권력을 누린 공경으로, 와카와 음악에도 재능을 보였다. - 1028년 사망 - 리 태조
리 태조는 불교 승려 출신으로 레 왕조의 혼란을 틈타 리 왕조를 건국하고 탕롱으로 천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베트남 리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 1028년 사망 - 콘스탄티노스 8세
콘스탄티노스 8세는 로마노스 2세의 아들이자 바실리오스 2세의 동생으로, 형과 공동 황제를 지내다 형의 사망 후 단독 황제가 되었으나, 정치 경험 부족으로 제국을 쇠퇴시키고 딸 조에를 로마노스 아르기루스와 결혼시켜 후계자로 삼았다.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
일본어 | 藤原 道長 |
출생 | 966년 |
사망 | 1028년 1월 3일 |
부모 | 아버지: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
친척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형) |
자녀 | 후지와라노 쇼시 (첫째 딸) |
관직 | |
관직 | 다이죠다이진 |
임기 시작 | 1017년 12월 24일 |
임기 종료 | 1018년 2월 27일 |
군주 | 고이치조 천황 |
가문 | |
씨족 | 후지와라 북가구조 계미도류 |
기타 정보 | |
휘 | 미치나가, 교칸, 교카쿠 |
별칭 | 어당관백(御堂関白), 호죠사 입도전관백태정대신(法成寺入道前関白太政大臣) |
관위 | 종1위, 섭정, 태정대신, 준삼후 |
주군 | 엔유 천황 → 가잔 천황 → 이치조 천황 → 산조 천황 → 고이치조 천황 |
2. 생애
겸가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미치타카와 미치카네 등 유력한 형들에게 가려져 이치조 치세 전반까지는 눈에 띄지 않는 존재였다. 그러나 겸가가 사망한 후 섭관을 이은 형들이 잇달아 병사하자, 미치타카의 적자 고레치카와의 정쟁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장악했다. 995년 조토쿠의 변으로 고레치카를 실각시키고 좌대신에 올랐다.
이치조 천황에게는 장녀 쇼시를 입내시켜 황후로 삼았다. 다음 대인 산조 천황에게는 차녀 겐시를 중궁으로 삼았지만, 산조 천황과는 심각하게 대립하여 천황이 안질을 이유로 퇴위하도록 압박했다. 1016년 쇼시가 낳은 고이치조 천황이 즉위하자 천황의 외조부로서 섭정이 되었다. 이듬해 섭정 자리를 적자 요리미치에게 물려주고 후계 체제를 굳혔지만, 계속해서 실권을 쥐었다. 1018년 고이치조 천황에게 셋째 딸 이시를 들여 중궁으로 삼아, "일가삼후"(一家立三后)라는 평가를 받았다. 입후의 날 미치나가가 읊은 "이 세상은 바로 내 세상이라 생각하니, 보름달에 결함이 없는 것과 같구나"라는 시는 후지와라 씨구조류에 의한 섭관 정치의 절정을 보여준다.
1019년 출가했지만, 당시 귀족들의 관례대로 독실하게 불교에 귀의하여 웅대한 호조지를 짓는 데 힘을 쏟았다. 만년에는 당뇨병을 앓았고, 1027년 사망했다. 사후, 쇼시 소생의 고스자쿠 천황, 여섯째 딸 키시 소생의 고레이제이 천황이 잇달아 즉위하여, 미치나가는 3대 천황의 외조부가 되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966년 (고호 3년),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다섯째 아들로 교토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후지와라노 나카마사의 딸인 도키히메이다. 어린 시절은 외가인 나카마사의 집에서 자란 것으로 추정되며, 학문을 중시하는 가풍 속에서 뛰어난 학식을 길렀다.980년 (덴겐 3년) 정월, 15세의 나이로 종5위하에 서임되며 정계에 진출했다.[4] 984년 (에이칸 2년) 2월, 우병위권좌에 임명되었다.
986년 (간나 2년) 6월, 가네이에는 가잔 천황을 퇴위시키고 이치조 천황을 즉위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때 미치나가는 천황의 실종을 간파쿠 요리타다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맡았다. (간와의 변)
2. 2. 권력 장악
990년 아버지 가네이에가 사망하고, 미치타카가 섭정을 이었으나, 995년에 사망하면서 권력 공백이 발생했다. 미치타카 사후, 그의 동생 미치카네가 간파쿠가 되었지만, 취임 후 불과 며칠 만에 병으로 사망하여 '7일 간파쿠'로 불리게 되었다.[1] 미치나가는 미치타카의 아들 고레치카와 권력 투쟁을 벌였다.995년 5월, 이치조 천황의 어머니 센시는 이치조에게 미치나가에게 내람 칭호를 부여하도록 강요했다. 그 결과, 미치나가는 내람 칭호를 받고, 같은 해 6월에는 우대신(右大臣)으로 승진했다. 9월에는 고다이진으로 임명되어 후지와라 씨의 씨장자(氏長者)가 되었다. 이듬해 996년에는 좌대신(左大臣)으로 승진하여, 태정대신을 제외하고 정부 내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올랐다.[1]
996년 정월, 조토쿠의 변을 통해 고레치카를 실각시켰다. 고레치카는 가잔 천황에게 활을 쏘는 사건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형제는 좌천되었다. 이 사건은 미치나가가 꾸민 것으로 보인다.
999년 11월, 장녀 쇼시를 이치조 천황에게 입궁시켰다.[31] 이듬해 1000년 2월, 미치나가는 쇼시를 황후(皇后)로 세우고, 데이시를 황후궁(皇后宮)으로 칭하는 강수를 두어 중궁(中宮)과 황후궁이라는 두 명의 황후가 병립하는 상황을 연출했다.
2. 3. 섭정 취임과 전성기
1008년, 쇼시가 아들 아쓰나리 친왕(훗날의 고이치조 천황)을 낳아, 미치나가는 그의 외조부로서 권력 기반을 더욱 확고히 했다.[63] 1011년, 이치조 천황이 사망하고 산조 천황이 즉위했으나, 미치나가는 산조 천황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79] 1012년, 미치나가는 차녀 겐시(妍子)를 산조 천황의 중궁으로 들였으나,[84] 천황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1014년 산조 천황은 실명에 가까운 안질을 앓게 되었고, 미치나가는 이를 기회로 삼아 빈번히 양위를 강요했다.[107] 1016년, 산조 천황을 압박하여 퇴위시키고,[119] 외손자인 고이치조 천황을 즉위시켜 섭정이 되었다. 1017년, 미치나가는 섭정 자리를 아들 요리미치(頼通)에게 물려주고 태정대신이 되었으나,[136] 실권은 여전히 유지했다.[134]
1018년, 셋째 딸 이시(威子)를 고이치조 천황의 중궁으로 삼아 "일가삼후(一家三后)"라는 전례 없는 업적을 이루었다.[137] 이때 미치나가가 읊은 "이 세상은 바로 내 세상이라 생각하니, 보름달에 결함이 없는 것과 같구나"라는 노래는 후지와라 씨 구조류에 의한 섭관 정치의 절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138] 1019년, 출가하여 법명 행관(行観, 후에 行覚)을 받았으나,[147] 정계에 계속 영향력을 행사했다.
2. 4. 만년과 죽음
만년의 미치나가는 장대한 호조지(法成寺) 건립에 힘을 쏟았다. 호조지 축조에는 많은 자재와 인력이 투입되었다. 여러 구니(国)의 수령들은 관에 납입하는 것은 뒷전으로 미룬 채 권세가인 미치나가를 위해 앞다투어 이 공사에 참여했다. 미치나가는 여러 귀족, 승려, 백성들에게도 요역(徭役) 부담을 지웠다. 이를 통해 자신의 권위를 과시함과 동시에, 당시 말법사상(末法思想)이 퍼지는 가운데 '극락왕생'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부처에게 공덕을 쌓을 기회를 제공한다는 양면적인 의도가 있었다.[153] 《영화 이야기(栄花物語)》는 미치나가가 생전에 누렸던 영화로움의 극치를 호조지의 웅장한 모습을 통해 전하고 있다.이후 미치나가는 호조지에서 살았지만, 많은 자식들이 병치레를 하거나 먼저 세상을 떠나는 일이 잦았다. 1025년에는 막내딸 기시(嬉子)가 고스자쿠 천황의 동궁비(東宮妃)가 되었으나, 지카히토 친왕(親仁親王)을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148]
1028년 12월(양력 1월), 미치나가는 병으로 숨을 거두었다. 향년 62세였다. 사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기록을 볼 때 암 또는 당뇨병으로 추정된다. 죽음을 직감한 미치나가는 호조지(法成寺)의 동쪽 5대당(五大堂)에서 동쪽 다리를 건너 나카지마(中島)로 이동, 다시 서쪽 다리를 건너 서쪽의 9체 아미타여래(阿弥陀如来)의 손과 자신의 손을 실로 연결하고, 석가의 열반과 마찬가지로 북쪽으로 머리를 두고 서쪽을 향해 누웠다. 승려들의 독경 속에서 자신도 염불을 외우며 서방정토(西方浄土)를 향해 왕생(往生)했다고 한다.[158]
미치나가는 후지와라 홋케(藤原北家)의 전성기를 이룩한 인물로, 섭관 정치가 붕괴된 후에도 그의 자손인 미도류(御堂流)만이 대대로 섭관직을 세습했다. 미도류는 고셋케(五摂家)와 구세이카(九清華) 중 3가(가잔인(花山院) ・ 오이미카도(大炊御門) ・ 다이고(醍醐))를 배출했다.
3. 평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일본 문학의 걸작이 많이 탄생한 시기에 통치했으며, 그가 남긴 일기 《미도 간파쿠기》(《호쇼지셋쇼기》)는 헤이안 시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5] 이 일기는 당시 정치와 귀족 생활에 대한 1급 사료로 평가되며, 1951년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고,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추천되었다.
미치나가는 호방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오카가미』에 따르면, 아버지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아들들의 재능을 후지와라노 요리타다의 아들 후지와라노 기미타다와 비교하며 한탄했을 때, "그림자는 밟지 않고 그 면을 밟아주겠어"라고 대답했다. 가잔 천황이 담력 시험을 명령했을 때는 혼자 다이코쿠덴까지 가서 증거로 기둥을 깎아 왔다. 궁술에 능했던 그는 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의 아들 고레치카와 활쏘기 대결을 벌여, "미치나가의 집안에서 천황, 황후가 나올 것이라면 이 화살을 맞춰라"라고 말하고 쏘아 명중시켰고, "섭정·간파쿠가 될 것이라면 이 화살을 맞춰라"라고 말하고 쏘아 역시 명중시켰다고 한다.[162]
무라사키 시키부와 이즈미 시키부 등 여류 문학가를 보호하고 내리의 작문회에 참석했을 뿐만 아니라 자택에서도 작문회나 우타아와세를 열었다. 『겐지모노가타리』의 첫 번째 독자였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에게 원고를 재촉했다고 한다. 겐지의 모델 중 한 명으로도 여겨진다. 가집 『미도 간파쿠슈』를 남겼고, 슈이를 비롯한 칙찬 가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치나가 본인은 와카보다 한시를 더 잘했던 것 같다.
불교(특히 정토교)에 대한 신앙심이 두터웠으며, 최후는 자신이 세운 호조지 아미타당 본존 앞에서 많은 승려들에게 둘러싸여 극락정토를 기원하는 의식 속에서 임종을 맞이했다.
3. 1. 긍정적 평가
후지와라 홋케의 전성기를 이끈 뛰어난 정치가로 평가받는다. 자신의 딸들을 천황과 혼인시켜 외척으로서 권력을 공고히 한 전략가였다.[119] 장녀 쇼시는 이치조 천황의 중궁이 되었고,[31] 차녀 겐시는 산조 천황의 중궁이 되었다.[83] 삼녀 겐시는 고이치조 천황의 중궁이 되어,[138] "일가에서 세 명의 황후를 배출"하는 전례 없는 업적을 이루었다.[138]문학을 애호하고 장려하여 헤이안 시대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무라사키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 등 여류 문학가들을 후원했으며, 『겐지모노가타리』의 첫 독자이기도 했다. 미치나가 자신도 가집 『미도 간파쿠슈』를 남겼고, 슈이를 비롯한 칙찬 가인이기도 했다.
불교에 대한 신앙심이 깊었고, 호조지 등 사찰 건립에 힘썼다.[152] 특히 호조지 건립에 심혈을 기울여, 당시 만연했던 말법사상 속에서 "극락왕생"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부처와의 인연을 맺을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153]
3. 2. 부정적 평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권력욕이 매우 강했고, 자신의 정적을 제거하는 데 가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후지와라노 고레치카를 몰락시킨 조토쿠의 변은 그의 냉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또한, 미치나가는 자신의 가문 이익을 우선시하여 공정하지 못한 인사 정책을 펼쳤다는 비판을 받는다. 자신의 아들들을 요직에 앉히고, 반대 세력을 억압하는 등 권력을 남용했다는 것이다. 특히, 자신의 딸들을 천황의 비로 들여보내 외척으로서 권력을 강화하는 방식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
미치나가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기고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웠다는 비판도 받는다. 호세이지 건립 등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여 백성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는 것이다. 그의 유명한 와카 "이 세상을 나의 세상이라고 생각하니, 만월처럼 흠결된 일은 없다고 생각하네"는 이러한 사치스러움을 상징하는 구절로 여겨지기도 한다.
3. 3. 중도진보적 관점의 종합적 평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뛰어난 정치적 수완과 권력 장악 능력을 보여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귀족 중심적이었고 가문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한계점을 보였다. 그는 외척으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는 결국 정치적 불안정과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7]미치나가는 문학을 후원하고 불교를 진흥시키는 노력을 기울였는데, 이러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백성들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미치나가의 권력 집중과 가문 중심 정치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경계해야 할 요소로 여겨진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 ? - 990년 | 우대신 후지와라노 모로스케의 삼남 |
어머니 | 후지와라노 도키히메 | ? - 980년 | 셋쓰 수 후지와라노 나카마사의 딸 |
정실 | 미나모토노 린시 | ? - ? | 좌대신 미나모토노 마사노부의 딸 |
처 | 미나모토노 아키코 | ? - ? | 좌대신 미나모토노 다카아키의 딸, 모리아키 친왕 양녀 |
첩 | 미나모토노 렌시 | ? - ? | 조토몬인 뇨보 다이나곤, 미나모토노 후지요시의 딸 |
첩 | 미나모토노 시게미쓰의 딸 | ? - ? | |
첩 | 후지와라노 겐시 | ? - ? |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다메미쓰의 사녀 |
첩 | 후지와라노 뇨시 | ? - ? |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다메미쓰의 오녀 |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장녀 | 후지와라노 쇼시 | 988년 - 1074년 | 이치조 천황 주궁. 고이치조 천황, 고스자쿠 천황의 어머니 |
장남 |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 992년 - 1074년 | 섭정, 관백. 후지와라노 간시(고레이제이 천황 황후)의 아버지. 후지와라노 겐시 (고스자쿠 천황 주궁)의 백부이자 양아버지. |
차녀 | 후지와라노 겐시 | 994년 - 1027년 | 산조 천황 황후(호칭 주궁). 데이지 내친왕 (고스자쿠 천황 황후)의 어머니 |
차남 | 후지와라노 요리무네 | 993년 - 1065년 | 우대신 나카노미카도류의 시조 |
삼남 | 후지와라노 아키노부 | 994년 - 1027년 | 입도전 우마노카미 |
사남 | 후지와라노 요시노부 | 995년 - 1065년 | 곤다이나곤 |
오남 | 후지와라노 노리미치 | 996년 - 1075년 | 관백, 후지와라노 간시 (고레이제이 천황 황후)의 아버지 |
삼녀 | 후지와라노 간시 | 999년 - 1025년 | 아쓰아키라 친왕 뇨고 |
사녀 | 후지와라노 이시 | 1000년 - 1036년 | 고이치조 천황 황후(호칭 주궁). 쇼시 내친왕 (고레이제이 천황 주궁), 게이시 내친왕 (고산조 천황 주궁)의 어머니 |
오녀 | 후지와라노 손시 | 1003년? - 1087년? | 미나모토노 모로후사의 아내 |
육남 | 후지와라노 나가이에 | 1005년 - 1064년 | 곤다이나곤 미코사류의 시조 |
육녀 | 후지와라노 기시 | 1007년 - 1025년 | 고스자쿠 천황 동궁 시대의 비. 고레이제이 천황의 어머니 |
칠남 | 나가노부 | 1014년 - 1072년 | 토지 호무쇼 |
그 외, 양자・유우시가 된 자로서, 실부의 출가・사망에 의해 연척인 미치나가가 후견을 맡은 미나모토노 나리노부 (치라 친왕의 자식・린시의 조카), 미치나가의 친손자로 그의 승진을 위해 미치나가가 양자로 삼은 노부모토(노리미치의 자식, 후의 도모토)・후지와라노 가네요리 (요리무네의 자식), 같은 경우라고 생각되는 미치나가의 이복 형인 미치쓰나의 친자식인 후지와라노 가네쓰구・도묘 (시텐노지 벳토) 형제가 있다. 이 외에 정식적인 연은 없었지만, 미나모토노 쓰네후사 (미나모토노 다카아키의 자식, 아키코의 친동생으로 미치나가가 후견을 맡았다)나 후지와라노 가네타카 (미치카네의 자식)도 이에 준했다고 한다.
5. 유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33세부터 56세까지 쓴 일기인 《미도 간파쿠기》(《호조지 섭정기》)는 헤이안 시대의 정치와 귀족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이다. 자필본 14권과 서사본 12권이 교토의 요메이 문고에 보존되어 있으며, 1951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에 등재되었다.[161]
미치나가는 만년에 호조지(法成寺)를 건립했는데, 이는 당시의 건축과 불교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153]
6. 기타
- 카네이에가 요리타다의 아들 키미타다를 부러워하며 "우리 아들들은 (키미타다의) 그림자조차 밟을 수 없을 것"이라고 한탄하자, 미치나가는 "그림자는 밟지 않고 그 면을 밟아주겠어"라고 대답했다는 일화가 『오오카가미』에 전해진다. 가잔 천황의 심야 궁궐 담력 시험에서는 혼자 다이코쿠덴까지 가서 기둥을 깎아왔다.
- 23세 무렵, 칸나비 나가스케를 합격시키기 위해 시험관 타치바나노 스쿠노부를 납치, 시험 결과를 조작하려다 아버지에게 질책받았다.
- 미나모토노 요리미츠는 카네이에 장례식 때 미치나가의 당당한 태도를 보고 장수의 그릇이라 감탄하여 따르게 되었다.
- 궁술에 능해, 형 미치타카의 아들 이치카와의 활쏘기 대결에서 "미치나가의 집안에서 천황, 황후가 나올 것이라면 이 화살을 맞춰라", "섭정·간파쿠가 될 것이라면 이 화살을 맞춰라"라고 말하며 쏜 화살이 모두 명중했고, 이치카는 겁을 먹고 빗나갔다.[162]
- 1013년 6월 기온 마츠리에서 산가쿠 사람들에게 폭행을 가하고, 같은 해 8월 15일에는 아내의 외출 준비가 서투르다며 후지와라노 카타마사와 키노 타다미치를 자택에 감금했다.
- 무라사키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 등 여류 문학가를 보호하고, 내리 작문회나 자택에서 우타아와세를 열었다. 『겐지모노가타리』의 첫 독자로, 무라사키 시키부에게 원고를 재촉했으며, 겐지의 모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 가집 『미도 칸파쿠슈』를 남겼고, 슈이 이하 칙찬 가인이며, 칸와 2년 내리 우타아와세에 소우닌으로 참가했다. 와카보다 한시를 더 잘했다.
- 999년 신제(초호 원년령)를 발령, 사회 질서 긴축과 고가법 정비 등 물가 대책에 힘썼다.
- 『혼초세기』 999년 6월 14일 조에는 미치나가가 덴진의 보복을 우려해 축제를 허락했다는 기록이 있다.
- 산조 천황 때도 물기 참롱에 참여했는데, 카노 시게후미는 이를 "소심한 성격"으로, 노구치 타카코는 "공경의 톱으로서 책임"으로 해석한다.[163],[164] 물기 참롱은 유흥적 요소도 있었다.[165]
- 불교(정토교) 신앙이 두터워 호세이지 아미타당에서 극락정토를 기원하며 임종했다.
- 시모츠케노 키미토키가 킨타로의 모델로 여겨진다.[166]
- 호세이지 건립으로 '''미도 칸파쿠'''로 불리지만, 간파쿠가 된 적은 없다.
- 『미도 간파쿠키』는 미치나가의 33~56세 일기로, 국보 및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이다.
6. 1. 대중문화 속의 미치나가
- 나가이 미치코의 소설 《이 세상을》(1984년)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 히라이와 유미에의 소설 『헤이안 요이덴』과 『미치나가의 모험 헤이안 요이덴』(2000년, 2004년)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 타니 코세이의 소설 『아베노 세이메이-음양궁』(2000년 ~ 2002년)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 타카야마 유키코의 소설 『겐지모노가타리 슬픔의 황태자』(2010년, 문고본 제목 『겐지모노가타리 천년의 수수께끼』, 2011년)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이 소설은 영화와 만화로도 제작되었다.
- 토리고에 아오이의 소설 『모에가사네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아내 아키코 상문』(1996년, 2000년)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 타키나미 유카리의 만화 『아사하카나 유메미시』(2014년 ~ 2017년)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 1939년 영화 『무라사키 시키부』에서 아사카 신하치로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1956년 영화 『라쇼몽의 요귀』에서 가카 쿠니오가 후지와라 사다이진 역으로 출연했는데, 이 역할이 미치나가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인다.
- 1960년 영화 『오에야마 슈텐도지』에서 오자와 에이타로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2001년 영화 『천년의 사랑 히카루 겐지 이야기』에서 와타나베 켄이 후지와라노 노리타카와 함께 1인 2역으로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2011년 영화 『겐지모노가타리 천년의 수수께끼』에서 히가시야마 노리유키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2023년 영화 『영화 도검난무-여명-』에서 에모토 아키라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168]
- 1962년 TBS 드라마 『무라사키 시키부 에마키』에서 마츠모토 코시로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1965년 MBS 드라마 『겐지모노가타리』에서 타카하시 코지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2015년 후지 TV 드라마 『음양사』에서 와다 마사토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 2024년 NHK 대하드라마 『빛나는 너에게』에서 에모토 타스쿠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한다.[169]
- 2024년 NHK 종합 드라마 『무라사키 시키부의 스마트폰』에서 카가야의 카가야 소야가 미치나가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Gukanshō
1979
[2]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05-12
[3]
서적
[4]
서적
平安貴族の空間と時間-藤原道長の妻女と邸宅の伝領-
清文堂出版
2024-06
[5]
문서
栄花物語
[6]
간행물
栄花物語に於ける道長の結婚像
1985-03
[7]
문서
大鏡
[8]
서적
勅撰集歌人伝の研究-王朝篇一-
東都書籍
1944
[9]
서적
幕末の宮廷
平凡社
1979-04
[10]
문서
小右記
0961-10-23 #정력원년 9월 27일
[11]
문서
小右記
0961-10-26 #정력원년 9월 30일
[12]
문서
小右記
[13]
문서
小右記
0995-08-13 #장덕원년 7월 24일
[14]
문서
小右記
0995-08-16 #장덕원년 7월 27일
[15]
문서
百錬抄
0995-08-29 #장덕원년 8월 10일
[16]
문서
日本紀略
0996-02-24 #장덕2년 정월 16일
[17]
문서
栄花物語
[18]
문서
百錬抄
0996-02-24 #장덕2년 정월 16일
[19]
문서
小右記
0996-03-21 #장덕2년 2월 11일
[20]
문서
小右記
0996-04-07 #장덕2년 3월 28일
[21]
문서
小右記
0996-05-03 #장덕2년 4월 24일
[22]
문서
小右記
0996-05-10 #장덕2년 5월 1일, 2일
[23]
문서
小右記
0997-04-14 #장덕3년 4월 5일
[24]
문서
公卿補任
[25]
문서
小右記
0997-07-31 #장덕3년 6월 22일
[26]
간행물
平安時代の内覧について
吉川弘文館
2003
[27]
사전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28]
문서
権記
0998-04-11 #장덕4년 3월 3일, 12일
[29]
문서
御堂関白記
1005-02-28 #관홍2년 정월 23일
[30]
간행물
天皇と除目
同成社
2021
[31]
문서
御堂関白記
0999-03-19 #장보원년 2월 9일, 11일
[32]
문서
小右記
0999-09-17 #장보원년 8월 9일
[33]
문서
御堂関白記
0999-11-02 #장보원년 9월 25일
[34]
문서
小右記
0999-12-06 #장보원년 10월 28일
[35]
문서
小右記
0999-12-08 #장보원년 10월 30일
[36]
서적
『栄花物語』第5 浦々の別
[37]
문서
[38]
문서
[39]
서적
『権記』長保2年12月16日条
[40]
서적
『権記』長保2年5月25日条
[41]
서적
『権記』長保3年8月3日条
[42]
서적
『権記』長保3年8月11日条
[43]
서적
『栄花物語』巻7 とりべ野
[44]
서적
『小右記』長保3年10月7日,9日条
[45]
서적
『権記』長保3年閏12月16日,22日条
[46]
서적
『日本紀略』長保3年閏12月15日条,『百錬抄』長保3年閏12月15日条,『権記』長保3年閏12月16日条
[47]
서적
『権記』長保4年6月7日,20日,23日条
[48]
서적
『権記』長保5年3月3日条
[49]
서적
『御堂関白記』『権記』寛弘元年9月22日条
[50]
서적
『御堂関白記』寛弘2年3月27日条
[51]
서적
『御堂関白記』寛弘2年5月19日条
[52]
서적
『御堂関白記』寛弘2年10月25日条
[53]
간행물
大江匡衡『供養浄妙寺願文』
[54]
서적
『御堂関白記』寛弘元年2月19日条
[55]
서적
『御堂関白記』寛弘4年12月2日条
[56]
서적
『御堂関白記』寛弘4年閏5月17日条
[57]
서적
『御堂関白記』寛弘4年8月11日条
[58]
문서
金峯神社所蔵 金銅経筒銘文
[59]
서적
『小右記』寛弘4年8月9日条
[60]
서적
『小記目録』寛弘4年8月13日条
[61]
서적
『御堂関白記』寛弘4年8月14日条
[62]
서적
『御堂関白記』寛弘5年7月16日条
[63]
서적
『御堂関白記』寛弘5年9月11日条
[64]
논문
摂関の妻と位階-従一位源倫子を中心に-
[65]
서적
『日本紀略』寛弘6年正月30日条
[66]
서적
『日本紀略』寛弘6年2月5日条
[67]
서적
『栄花物語』巻8 はつはな
[68]
서적
『公卿補任』
[69]
서적
『日本紀略』寛弘6年6月13日条
[70]
서적
『御堂関白記』寛弘7年2月20日条
[71]
서적
『御堂関白記』寛弘7年7月17日条
[72]
서적
『御堂関白記』寛弘8年正月8日,20日,28日条
[73]
서적
『小右記』寛弘8年3月2日,3日条
[74]
서적
『御堂関白記』寛弘8年3月12日,21日条
[75]
서적
『御堂関白記』寛弘8年3月28日条
[76]
서적
『御堂関白記』寛弘8年5月27日条
[77]
서적
『権記』寛弘8年5月27日条
[78]
서적
『栄花物語』巻9 いわかげ
[79]
서적
『権記』
[80]
서적
『古事談』第一 王道后宮 三三「道長、一条天皇の手習の反古を破る事」
[81]
서적
『御堂関白記』寛弘8年8月23日条
[82]
서적
山本信吉『摂関政治史論考』「一上考」
[83]
서적
『御堂関白記』寛弘9年正月3日条
[84]
서적
『御堂関白記』寛弘9年2月14日条
[85]
서적
『栄花物語』巻10 ひかげのかづら
[86]
서적
『小右記』寛弘9年4月27日条
[87]
서적
『御堂関白記』寛弘9年4月27日条
[88]
서적
『御堂関白記』長和2年3月20日条
[89]
서적
『権記』寛弘8年10月5日条
[90]
서적
『権記』寛弘8年12月19日条
[91]
서적
『小右記』寛弘8年12月15日条
[92]
서적
関口力『摂関時代文化史研究』
思文閣出版
2007
[93]
서적
『御堂関白記』寛弘9年正月16日条
[94]
서적
『御堂関白記』寛弘9年正月17日条
[95]
서적
『小右記』寛弘9年5月24日条
[96]
서적
『真言伝』
[97]
서적
『小右記』長和元年6月1日条
[98]
서적
『小右記』長和元年6月3日条
[99]
서적
『小右記』寛弘9年6月5日条
[100]
서적
『小右記』長和元年6月4日条
[101]
서적
『小右記』寛弘9年6月20日条
[102]
서적
『小右記』寛弘9年7月21日条
[103]
서적
『小右記』長和3年正月17日条
[104]
서적
『小右記』長和2年7月7日条
[105]
서적
『栄花物語』巻第十一 つぼみ花
[106]
서적
小右記
1006-03-01
[107]
서적
小右記
1006-04-11
[108]
서적
小右記
1006-03-30
[109]
서적
小右記
1007-09-28
[110]
서적
小右記
1007-08-01
[111]
서적
小右記
1007-08-04
[112]
서적
小右記
1007-11-08
[113]
서적
小右記
1007-11-21
[114]
서적
栄花物語 巻第十二「たまのむらぎく」
[115]
서적
小右記
1008-01-17
[116]
서적
小右記
1007-12-21
[117]
서적
御堂関白記
1007-12-02
[118]
서적
小右記
1007-12-01
[119]
서적
御堂関白記
1008-02-23
[120]
서적
小右記
1008-02-23
[121]
서적
小右記
1008-01-28
[122]
서적
小右記
1008-02-22
[123]
서적
御堂関白記, 小右記
1008-05-01
[124]
서적
小右記
1008-07-14
[125]
서적
小右記
1008-06-15
[126]
서적
小右記
1008-06-03
[127]
서적
小右記
1008-06-14
[128]
서적
御堂関白記
1008-08-25
[129]
서적
御堂関白記
1008-10-28
[130]
서적
小右記
1025-07-24
[131]
문서
이 경우의 태閤とは、土御門殿の再建工事が完了する前年に摂政を息子頼通に譲っていた道長のことである。
[132]
서적
小右記
1025-05-31
[133]
서적
小右記
1024-08-18
[134]
서적
御堂関白記全注釈
1024
[135]
서적
御堂関白記
1024-05-03
[136]
서적
御堂関白記
1024-12-02
[137]
문서
原文漢文。
[138]
서적
日本全史(ジャパン・クロニック)
講談社
[139]
서적
現代語訳 小右記
吉川弘文館
[140]
간행물
近代歴史教科書における藤原道長の評価 : 観峰館収蔵コレクションからみた
https://cir.nii.ac.j[...]
東近江 : 日本習字教育財団観峰館
[141]
논문
藤原道長の和歌『この世をば』新釈の試み
2018-08
[142]
서적
日本文芸論 関西学院大学国文学科記念論集
昭森社
1944
[143]
문서
御堂関白記
寛仁2年4月9日
[144]
문서
小右記
寛仁2年閏4月24日
[145]
문서
御堂関白記
寛仁3年2月6日
[146]
문서
御堂関白記
寛仁3年正月10日,17日
[147]
문서
日本紀略
寛仁3年3月21日
[148]
문서
栄花物語
[149]
문서
小右記
寛仁3年3月29日
[150]
문서
左経記
寛仁3年9月29日
[151]
문서
小右記
寛仁3年9月22日
[152]
문서
小右記
寛仁3年7月17日
[153]
서적
日本中世社会の形成と王権
名古屋大学出版会
2010
[154]
문서
御堂関白記
寛仁4年3月22日
[155]
문서
左経記
寛仁4年3月22日
[156]
문서
小右記
治安2年7月14日
[157]
서적
平安貴族の空間と時間-藤原道長の妻女と邸宅の伝領-
清文堂出版
2024-06
[158]
문서
栄花物語
[159]
문서
小右記
万寿4年12月4日
[160]
웹사이트
浄妙寺跡発掘調査説明会を開催しました(宇治市歴史まちづくり推進課:2010年4月17日更新)
https://www.city.uji[...]
[161]
서적
現代語訳 小右記
吉川弘文館
2022
[162]
문서
大鏡
[163]
논문
藤原道長の禁忌生活
思文閣出版
1995
[164]
논문
"[夜]化の時代-物忌参籠にみえる平安貴族社会の夜-"
古代学協会
2007-01
[165]
논문
"[夜]化の時代-物忌参籠にみえる平安貴族社会の夜-"
古代学協会
2007-01
[166]
간행물
下毛野公時と金太郎伝説の成立
国立歴史民俗博物館
1992-12
[167]
문서
寺門高僧記
[168]
웹사이트
柄本明“藤原道長”の姿も!『映画刀剣乱舞-黎明-』場面カット公開
https://www.cinemato[...]
2023-02-10
[169]
뉴스
柄本佑が大河ドラマ「光る君へ」で藤原道長に、吉高由里子の紫式部と強く影響し合う
https://natalie.mu/e[...]
ナターシャ
2022-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