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시 내친왕 (113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시 내친왕(1137년)은 도바 천황의 황녀로, 고노에 천황의 동복 여동생이며, 스토쿠 천황과 고시라카와 천황의 이복 누이이다. 니조 천황의 준모로서 모치히토 왕, 구조 요시스케, 쇼시 내친왕 등을 양육했다. 1146년 준삼후가 되었고, 1157년 출가하여 금강관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하치조인령으로 불린 막대한 장원을 소유했으며, 1161년 여원 칭호를 받아 하치조인이라 불렸다. 1180년 모치히토 왕의 난 당시 지원 의혹을 받았으며, 1211년 75세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바 천황의 자녀 - 고시라카와 천황
    고시라카와 천황은 토바 천황의 아들로 예상 외로 황위에 올라 다섯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펼치며 호겐의 난과 헤이지의 난, 겐페이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관통한 인물이다.
  • 도바 천황의 자녀 - 스토쿠 천황
    스토쿠 천황은 도바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일본 75대 천황으로 즉위했으나, 호겐의 난으로 유배되어 사망 후 원령으로 숭배받는 인물이다.
  • 1137년 출생 - 사이교의 딸
    사이교의 딸은 사이교의 딸이 있었다는 사실을 다루며, 동시대 문헌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지만 이름은 불명확하고, 『발심집』에는 출가 시 동생에게 맡겨 구조 민부경의 딸인 "레이제이 전"의 양녀가 되어 아마노 땅에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에도시대의 『사이교모노가타리』에는 다양한 일화가 추가되었지만 후대 창작 가능성이 있고, 와카야마현 가쓰라기정 가미아마노에는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 1137년 출생 - 페르난도 2세 (레온)
    페르난도 2세는 레온과 갈리시아의 왕 알폰소 7세의 아들로 레온의 왕위를 계승했으며, 귀족과의 갈등, 포르투갈과의 분쟁, 카스티야와의 전쟁을 겪었고, 세 번의 결혼을 통해 자녀를 낳았으며, 1188년에 사망하여 아들 알폰소 9세가 왕위를 이었다.
쇼시 내친왕 (113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하치죠인 (안라쿠쥬인 소장)
하치죠인 (안라쿠쥬인 소장)
칭호하치죠인 (八条院)
신분내친왕
어인불명
출생일호엔 3년 4월 8일 (1137년4월 29일)
사망일겐랴쿠 원년 6월 26일 (1211년8월 6일)
아버지도바 천황
어머니후지와라노 도쿠시
자녀유자: 니조 천황, 모치히토 왕, 구조 요시스케
양녀: 산조노히메미야 (三条姫宮), 쇼시 내친왕

2. 계보

도바 천황의 황녀로, 어머니는 비후쿠몬인(후지와라노 도쿠시)이다.[2] 고노에 천황은 동복 동생이고, 스토쿠고시라카와 천황은 이복 오빠이다. 동복 자매로는 요절한 에코 내친왕과 니조 천황의 중궁이 된 슈시 내친왕(다카마쓰인)이 있다.

평생 미혼이었지만, 조카 니조 천황의 준모가 되었고, 모치히토 왕과 그 자녀들, 구조 요시스케 (가네자네의 아들), 쇼시 내친왕(슌카몬인, 고토바 상황의 황녀) 등을 양육했다. 모치히토 왕은 하치조인의 유자이며, 이 하치조인의 뇨보 산미노쓰보네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 중 아들은 도지 장자ㆍ승정이 된 야스이노미야 도손이고, 딸은 산조노히메미야라고 불렸다. 구조 요시스케는 2세, 쇼시 내친왕은 생후 3개월 정도 되었을 때 하치조인의 양자녀가 되었고, 그들의 챳코(어린아이가 처음으로 하카마를 입고 소년소녀로 인정받는 의식)와 원복 등은 여원 고쇼에서 행해졌다.[7]

3. 생애

도바 천황의 황녀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비후쿠몬인이다. 고노에 천황은 동복동생이고, 스토쿠 천황고시라카와 천황은 이복 오빠이다. 1137년 (호안 3년)에 태어나, 1138년 (호안 4년) 4월에 내친왕 선하를 받았다. 부모의 총애를 받으며 성장했는데, 특히 아버지 도바 법황은 "아침 저녁의 위안"으로 곁에 두고 키웠다고 한다. 규안(久安) 2년 (1146년) 4월, 준삼후(准三后)가 되었다.

규주(久寿) 2년 (1155년) 고노에 천황이 붕어하자, 아버지 도바 법황은 쇼시 내친왕을 다음 천황으로 고려하기도 했다고 『구칸쇼(愚管抄)』는 전한다. 호겐(保元) 2년 (1157년) 6월, 어머니 비후쿠몬인의 권유로 출가하여 법명 '''금강관(金剛観)'''을 받았다. 이후 부모의 명복을 빌고 불사(佛事)와 사찰 참배에 힘썼다.

쇼시 내친왕은 부모로부터 막대한 자산을 상속받아 "도바 원(鳥羽院)의 정통을 잇는 적류(嫡流) 황녀"로 인식되었다. 1140년 (호엔 6년), 4세 때 아버지 도바 법황으로부터 안라쿠주인(安楽寿院) 영지 등을 양도받았고, 이후 생모 비후쿠몬인에게서 상속받은 소령(荘園)과 새롭게 기진(寄進)된 소령을 합쳐 전국 200여 곳에 달하는 장원을 소유하게 되었는데, 이를 '''하치조인령(八条院領)'''이라 불렀다.

황태자 모리히토 친왕(후의 니조 천황)의 준모가 되어 양육을 맡았으며, 1161년 (오호 원년) 12월 16일 여원(女院) 칭호를 받아 '''하치조인(八条院)'''이라 칭했다.

지쇼(治承) 4년 (1180년), 양자인 모치히토 왕이 반(反) 헤이시(平氏) 거병을 일으켰을 때 (모치히토 왕의 난), 하치조인이 몰래 지원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미나모토노 유키이에(源行家) 등 하치조인 주변 인물들이 반 헤이시 세력과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안토쿠 천황 퇴위 후, 하치조인을 중계(中継) 천황으로 옹립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고 한다.

1196년 (겐큐 7년) 정월, 양녀 산조 히메노미야(三条姫宮)에게 소령 대부분을 양도했다. 겐큐(建久) 원년 (1204년), 산조 히메노미야 사망 후 다시 장원을 관할했고, 이후 양녀 쇼시 내친왕에게 하치조인령 대부분을 물려주었다.

1211년 (겐랴쿠 원년), 75세로 사망했다. 하치조인령은 준토쿠 상황, 고타카쿠라 상황, 안카몬인(安嘉門院)을 거쳐 다이가쿠지 통의 중요 경제 기반이 되었다.

4. 인물됨

호탕한 성품의 소유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겐쥬고젠[1]의 『다마키하루(たまきはる)』에 따르면, 하치조인은 주변의 잡사에 대해 무관심하고 뇨보(女房)들을 자유롭게 놔두었다고 한다.[1] 겐쥬고젠은 먼지가 쌓인 어소 안에서, 뇨보들이 엉뚱한 의상을 입어도 신경 쓰지 않는 하치조인의 모습을 보고 화려함을 좋아하고 정연했던 겐슌몬인 어소와의 차이에 감탄했다.[1]

5.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하치조인 쇼시는 헤이안 시대 말기와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격동기에 황실의 주요 인물로서 막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비록 정치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녀가 소유한 광대한 장원인 하치조인령은 단순한 경제적 기반을 넘어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하치조인 주변에 반(反) 헤이시 세력이 집결했다는 것이다. 이는 당시 무사 정권인 헤이시 정권에 대한 귀족 세력의 불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타이라노 키요모리조차도 하치조인의 동향을 무시할 수 없었다.[2] 지쇼 4년(1180년)에는 양자인 이노미 왕이 반 평씨의 병사를 일으켰을 때(이노미 왕의 거병), 하치조인이 몰래 지원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고, 실제로 하치조인은 이노미 왕의 자녀를 자신의 어소에 숨기기도 했다.[5] 하치조인령에는 "이노미 왕의 영지"가 전달되어 현지의 무사단에 의한 반 평씨 봉기가 촉진되었다. 이노미 왕이 발한 평씨 토벌의 영지를 각지에 전달했다고 여겨지는 미나모토노 유키이에는 하치조인의 쿠로도였고, 또 다른 하치조인 장관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연락을 취하고 있었다.

하치조인은 이러한 불만을 적절히 활용하여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나아가 헤이시 정권 붕괴 이후에도 황실의 권위를 지키는 데 기여했다. 하치조인 쇼시의 이러한 행보는 귀족 세력과 무사 세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황실의 권위를 지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권력의 집중을 막고 다양한 세력 간의 견제와 균형을 추구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평가할 수 있다.

6. 관련 작품


  • 신・헤이케 이야기 (1972년, 연기: 아라이 마유코 → 미나미하라 미사호)
  • 무사시보 벤케이 (1986년, 연기: 미츠모토 사치코)
  • 타이라노 키요모리 (2012년, 연기: 사토 히토미)

참조

[1] 문서 平安京の左京八条にある八条殿を御在所としたため。
[2] 문서 院号宣下の前に立后されなかったのは出家していたため。
[3] 서적 中世王家の成立と院政 吉川弘文館 2012
[4] 논문 鳥羽院政期の王家と皇位継承 東京大学出版会 2015
[5] 문서 2021
[6] 서적 中世前期女性院宮の研究 思文閣出版 2010
[7] 논문 八条院領の伝領と八条良輔 吉川弘文館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