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뇨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뇨보는 일본 역사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 여성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근세 일본에서는 세습 친왕가 등에서 정실 이외의 여성에게서 태어난 아이의 어머니를 가녀방(家女房)이라 불렀다. 뇨보는 주인의 신변 잡무를 처리하는 신분이 높은 사용인으로, 유모, 가정교사, 비서 등의 역할을 했으며, 첩이나 배우자와 같은 관계를 맺기도 했다.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에는 중급 귀족의 딸들이 뇨보로 출사하여 국풍 문화와 여방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 일본어에서 뇨보는 아내를 의미하며, 배우자와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뇨보야쿠(女房役)라고 부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여관 - 뇨고
  • 일본의 여관 - 나이시노스케
    나이시노스케는 일본 궁중에서 천황을 가까이 모시던 여관으로, 시대에 따라 유모, 동궁 선지, 천황의 측실 역할을 수행했으나 메이지 시대 이후 역할이 축소되어 쇼와 시대에 폐지되었다.
  • 일본의 귀족 - 다이묘
    다이묘는 일본 역사에서 유력 무사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에 따라 슈고 다이묘, 센고쿠 다이묘로 변화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막부 통제 하에 번주로서 막번 체제를 구성하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사라졌다.
  • 일본의 귀족 - 공가
    공가는 일본 역사에서 천황과 조정을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하여 조정의 일반 공무를 맡아보던 문신 귀족과 관리를 지칭하는 용어로 변화하였으며, 가문의 서열이 고정되면서 공가 사회가 형성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막부의 보호를 받았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해체되어 화족으로 이행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 공가 문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 문학사 - 반자연주의 문학
    반자연주의 문학은 19세기 말 자연주의 문학의 결정론과 과학 만능주의에 반발하여 등장한 문학 사조로, 일본에서는 개인주의 윤리 추구와 다양한 경향이 나타났으며, 유럽에서는 신비주의, 상징주의 등과 결합하여 근대 희곡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갈래로 전개되었다.
  • 일본 문학사 - 일본의 상대문학사
    일본의 상대문학사는 일본 고대 문학 시대로, 구승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전환되며 고대 가요, 와카, 한시문과 함께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 등의 주요 작품이 편찬되었고 언령 신앙, 도래인 영향, 귀족 향유, 만요가나 등의 특징을 보인다.
뇨보
기본 정보
종류여성 인칭 대명사
성격높임말
겸양어
어원
어원궁중에서 일하는 여성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
상세 정보
의미다른 사람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
용법자신의 아내를 남에게 이야기할 때 낮추어 부르는 말
참고자신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표현은 '부인'

2. 역사

뇨보(女房)는 주로 주인의 신변에 관련된 잡무를 처리하는 신분이 높은 사용인이었다. 유모, 가정교사, 비서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주인이 남성인 경우에는 주인의 이 되거나, 여성인 경우에는 주인의 집에 드나드는 남자와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았으며, 결혼 등으로 퇴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2]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 수령 계급 등 중급 귀족의 딸들이 뇨보로 출사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들은 교양을 갖추고 히라가나 사용 등 국풍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와카나 와분 문학에 뛰어난 인물도 많았으며, 헤이안 시대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이 계층의 작가가 쓴 작품을 "여방 문학"이라고 부른다.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시대(11세기 초)에는 수령 계급의 딸이 궁에 출사하는 것을 불명예스럽게 여기는 풍조가 있었지만, 미치나가가 자신의 딸들을 천황의 후비로 삼으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미치나가는 자신의 딸에게 명성을 부여하고 유력한 후비 후보를 견제하기 위해 공경뿐만 아니라 섭관과 대신의 딸들까지 뇨보로 삼도록 요구했다. 가잔 법황의 총희였던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타메미쓰의 딸 요노키미도 법황 사후 출사해야 했다.[3] 미치나가의 권세가 강해지면서, 많은 귀족들이 그의 요구를 따를 수밖에 없었고, 이는 귀족 사회에 뇨보 출사에 대한 거부감을 옅어지게 했다. 그 결과 뇨보들 사이에서도 친가의 가문에 따른 엄격한 서열이 생겨났다.[3]

헤이안 시대 후기 이후, 원정여원의 등장으로 이나 여원 소속 뇨보의 수도 증가했다. 특히 가마쿠라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 전기까지 여원이 10명 이상인 시기도 있었고, 복수의 여원이 동거하는 사례도 있어, 이 시기에는 섬기는 뇨보의 수도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4]

2. 0. 1. 가녀방

근세 일본에서는 세습 친왕가의 당주 등이 정실 이외의 여성에게서 아이를 낳으면, 그 여성을 '''가녀방'''(이에뇨보)이라 부르며 사실상의 측실로 취급했다. 예를 들어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은 정실을 두지 않고, 5명의 가녀방 사이에서 18명의 왕자녀를 낳았는데, 그 중 한 명이 아키히토 상황의 외조부에 해당하는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이다. 세습 친왕가나 공가 등 권문에서의 가녀방은 천황 후궁에서의 구토 내시와 마찬가지로 가정을 관리했지만, 실질적으로 측실이었다 하더라도 신분상으로는 시녀에 머물렀다.[5]

3. 역할 및 의의

뇨보는 주인의 신변 잡무를 처리하는 높은 신분의 사용인이었으며, 유모, 가정교사, 비서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인이 남성인 경우에는 뇨보가 주인의 이 되기도 했다.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 뇨보는 수령 계급 등 중급 귀족의 딸들이 맡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은 교양이 뛰어나 히라가나 사용 등 국풍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와카나 와분 문학에 뛰어난 뇨보도 많았으며, 헤이안 시대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이들이 쓴 작품을 "여방 문학"이라고 부른다.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시대(11세기 초)에는 뇨보로 출사하는 것을 불명예스럽게 여기는 풍조가 있었으나, 미치나가의 권력이 강해지면서 공경뿐만 아니라 섭관과 대신의 딸들까지 뇨보로 삼도록 요구받았다. 이는 딸에게 명성을 부여하고, 유력한 후비 후보를 뇨보로 삼아 경쟁에서 제외하려는 의도였다. 미치나가의 권세가 강해짐에 따라, 대부분의 공경들은 이를 거부할 수 없었다.

원정기에는 여원의 등장으로 여원 소속 뇨보의 수도 증가했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 전기까지는 여원이 10명 이상인 시기도 있었고, 복수의 여원이 함께 거주하는 경우도 있어, 이 시기에 뇨보의 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4]

4. 현대적 의미

근세에 세습 친왕가의 당주 등이 정실 이외의 여성에게서 아이를 얻으면, 그 여성을 '''가녀방'''(이에뇨보)이라 부르며 사실상의 측실로 취급했다.[5] 오늘날 일본어에서 '''뇨보'''(女房)는 아내(정실)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일상 업무에서 필수적인 존재를 배우자적인 의미를 담아 비유적으로 '''뇨보야쿠'''(女房役)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야구투수포수, 내각의 총리와 관방장관의 관계가 이에 해당한다.

운백 방언에서는 여성을 "뇨바"라고 하는데, 이는 "뇨보"가 변화된 것이다.

참조

[1] 서적 紫式部と清少納言の官職と文学 竹林舎 2008
[2] 서적 平安時代における女房の存在形態 東京大学出版会 1995
[3] 서적 平安貴族社会における女性の階層意識 同成社 2021
[4] 서적 中世禁裏女房の研究 思文閣出版 2018
[5] 서적 家女房 小学館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