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투로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투로보는 슬로바키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075년 슬라브어로 "수탉"을 뜻하는 "Koko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 "Cigerdelen Parkani"로 불렸으며, 1948년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지도자 류도비트 슈투르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다뉴브 강과 에스테르곰 사이에 위치하며, 철도역, 다리 건설을 통해 발전을 거듭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 속했으나, 헝가리에 편입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슬로바키아로 반환되었다. 현재 헝가리어 사용 인구가 많아 이중 언어 표지판을 사용하며, 에스테르곰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도시 - 브라티슬라바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오스트리아, 헝가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유럽의 유일한 수도이며, 도나우 강을 따라 발달하여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슬로바키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슬로바키아의 도시 - 질리나
질리나는 슬로바키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208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1321년 자유 왕립 도시가 되었으며, 기아 자동차 공장과 질리나 대학교가 있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이자 2026년 유럽 문화 수도 후보 도시이다.
슈투로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지리 | |
행정 구역 | 노베 잠키 |
행정 | |
시장 | Jenő Szabó |
역사 | |
최초 언급 | 1075년 |
시장 도시 | 1724년 |
면적 | |
총 면적 | 13.44 km2 |
고도 | |
해발 고도 | 109 m |
인구 | |
2022년 | 9440명 |
인구 밀도 | auto |
인구 통계 | 해당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DST) | CEST |
UTC 오프셋 (DST) |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943 01 |
지역 번호 | +421 36 |
차량 번호판 | NZ |
웹사이트 | www.sturovo.sk |
2. 명칭과 어원
슈투로보(Štúrovo)라는 현재의 도시 이름은 1948년에 19세기 슬로바키아의 민족주의 지도자인 류도비트 슈투르(Ľudovít Štúr)의 이름을 따서 변경되었다. 1541년 오스만 제국이 부더를 정복하면서 에스테르곰과 함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튀르키예어로 "적의 간을 찌르는 요새"라는 뜻을 가진 '지게르델렌 파르카니'(Ciğerdelen Parkani)라는 이름으로 불렸다.[5] 1595년에는 독일어 이름 ''Gockern''도 기록되었다.
''Párkány''는 18세기에서 20세기까지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을 때 이 도시의 공식 이름이었다. 이 이름은 헝가리어가 시에서 인정되는 소수 언어이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6] 1991년 지역 주민 투표에서 옛 공식 이름을 되돌리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정부는 이 결정을 수용하지 않았다.[7]
2. 1. 초기 명칭
정착지의 가장 오래된 이름은 수탉을 뜻하는 슬라브어 단어인 ''Kokot''이었다.[4] 1075년에는 ''Kokot'', 1157년에는 ''Cokot'', 1209년에는 ''Chokot'', 1215년에는 ''Kokat'', 1276년에는 ''Kakath''로 언급되었다.[4] 이 단어는 헝가리어로 "kakas"로 유입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2. 2. 파르칸 (Parkan)
'Parkan'은 원래 중고 독일어로 "요새화된 전초 기지"를 의미했으며, 헝가리어로 "párkány"로 유입되었다.[5] 1546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작은 요새가 건설되었고, "간을 찌르는 요새" 또는 ''Çekerden''을 의미하는 ''Ciğerdelen Parkan''이라고 불렸다. 근대 초기에는 Párkány와 Kakath/Kakad가 병행 사용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Párkány가 지배적인 이름이 되었다(Kakad는 1732년에 마지막으로 확인되었다).[5]2. 3. 슈투로보 (Štúrovo)
원래 슬로바키아 이름은 ''Parkan''이었으며, 1920년부터 1938년까지, 그리고 1945년부터 1948년까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7] 1948년에 슬로바키아 민족 부흥 운동가 류도비트 슈투르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7]3. 역사
1075년 문헌에서 '코코트'(Kokot)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는데, 이는 슬라브어로 "수탉"을 뜻한다. 1541년 오스만 제국이 부더를 정복하면서 에스테르곰과 함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튀르키예어로 "적의 간을 찌르는 요새"라는 뜻을 가진 '지게르델렌 파르카니'(Cigerdelen Parkani)라고 불렸다.
폴란드-오스만 전쟁 중이던 1683년 10월, 폴란드의 얀 3세 소비에스키 국왕이 이끄는 폴란드 군대가 파르카니 전투(1683년 10월 7일 ~ 10월 9일)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격파했다. 마리아 테레지아 시대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1850년에는 브라티슬라바와 부다페스트를 연결하는 철도역이 신설되었으며, 1895년에는 마리아 발레리아 다리가 개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경 도시가 되었지만, 1938년 제1차 빈 중재로 헝가리에 편입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체코슬로바키아에 반환되었다. 현재의 도시 이름은 1948년에 변경된 것으로, 19세기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지도자인 류도비트 슈투르에서 유래했다.
1968년 약 4,000명을 고용할 수 있는 규모의 펄프, 종이 공장인 남슬로바키아 펄프 종이 공장(Juhoslovenské celulózky a papierne)이 건립되었다. 1960년에는 나나 마을, 1972년에는 오비드 마을이 슈투로보에 편입되었지만, 나나 마을은 1990년에, 오비트 마을은 1998년에 슈투로보에서 분리되었다.
3. 1. 초기 역사 (선사 시대 ~ 16세기)
다뉴브 강을 건널 수 있는 전략적 위치 덕분에 이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판노니아 리메스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까지 이 지역에서 로마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8]10세기부터 헝가리 왕국의 왕실 및 종교 중심지였던 에스테르곰(그란) 맞은편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 마을은 1075년 성 베네딕토 수도원(현재 흐론스키 베냐디크) 헌장에 '코코트'(Kokot)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코코트'는 슬라브어로 "수탉"을 뜻한다. 13세기 이후 중세 문서에는 '카카트'(Kakath)라는 이름으로 자주 등장하며, 다뉴브 강 나루터와 무역로의 중요 지점으로 성장했다. 1215년 헝가리의 언드라시 2세는 페리 통행료를 스트리고니움 장에 부여했다.
중세 시대 대부분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소유였다. 14세기 초 헝가리 왕위 쟁탈전 중 보헤미아의 벤체슬라우스 2세는 1304년 코코트 항구를 거점으로 삼아 다뉴브 강을 건너 헝가리의 카롤 1세의 지지자였던 미하엘 대주교를 공격하기 위해 스트리고니움을 공격했다.[9]
1520년대부터 헝가리-오스만 전쟁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531년 대교구의 세금 기록에는 11채의 집과 10명의 나룻배 운전사만 기록되어 있었다. 1543년 에스테르곰 포위전 이후 카카트는 완전히 버려졌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16세기 ~ 17세기)
16세기 초 헝가리-오스만 전쟁으로 인해 카카트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슐레이만 1세의 1529년 원정으로 마을이 황폐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9] 1543년 에스테르곰 공방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에스테르곰 방어 체계의 일환으로 요새를 건설하고 튀르키예어로 "적의 간을 찌르는 요새"라는 뜻의 '치게르델렌 파르칸'이라고 명명했다.[9]1683년 폴란드-오스만 전쟁 중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폴란드 군대가 파르카니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파했다.[9]
3. 3. 합스부르크 왕가 시대 (18세기 ~ 19세기)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통치 기간 동안 이 도시는 도시 권한을 되찾고 구역 도시가 되었다.[7]1850년, 파르카니(슈투로보의 당시 이름)는 브라티슬라바(당시 헝가리어로 포조니(Pozsony))와 부다페스트를 연결하는 철도역이 신설되었다.[7] 1895년에는 에스테르곰으로 가는 마리아 발레리아 다리가 개통되었다.[7]
3. 4. 체코슬로바키아 시대 (20세기 초 ~ 1948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경 도시가 되었으나, 1938년 제1차 빈 중재로 헝가리에 편입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에 체코슬로바키아로 반환되었다.[7] 1948년에는 19세기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지도자인 류도비트 슈투르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인 슈투로보로 개명되었다.[7]3. 5. 현대 (1948년 ~ 현재)
1960년에 나나 마을, 1972년에 오비드 마을이 슈투로보에 편입되었지만, 나나 마을은 1990년에, 오비트 마을은 1998년에 슈투로보에서 분리되었다.[7] 1968년에는 약 4,000명을 고용할 수 있는 규모의 펄프 및 제지 공장인 남슬로바키아 펄프 종이 공장(Juhoslovenské celulózky a papierne)이 건립되어 지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78년에는 온천 리조트 바다쉬가 건설되었다.[7]마리아 발레리아 다리는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퇴각하는 독일군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2001년에 재건되어 헝가리와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7] 2007년 12월 21일 슬로바키아와 헝가리가 솅겐 지역에 가입하기 전까지, 슈투로보는 슬로바키아와 헝가리 사이의 주요 국경 통과 지점이었다. 에스테르곰은 다뉴브 강 헝가리 쪽에 위치해 있으며, 두 도시는 마리아 발레리아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다리는 오스트리아 대공 마리 발레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마리아 발레리아 다리는 1895년 9월 28일에 처음 개통되었지만 두 번 파괴되었다. 1919년 7월 22일, 다리는 서쪽 첫 번째 교각에서 폭발로 파괴되었지만, 1922년에 복구되었고 1926년에 완전히 재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12월 26일, 퇴각하는 독일군은 에스테르곰 근처의 다른 다리들과 함께 이 다리를 폭파시켰다.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주의 정부 간의 수십 년간의 대립으로 인해, 다리는 2001년 10월 11일에야 다시 개통될 수 있었다. 이 프로젝트 비용의 절반은 EU 가입 준비를 지원하기 위한 EU PHAR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럽 연합으로부터 1000만유로의 보조금으로 충당되었다.
슈투로보는 또한 브라티슬라바-부다페스트 철도 노선에 위치해 있어 슬로바키아와 헝가리 사이의 주요 철도 국경 통과 지점이기도 하다. 헝가리 쪽 국경 너머의 주요 기차역은 소브이며, 다뉴브 강과 같은 쪽에 동쪽에 있다.
4. 상징
슈투로보의 주요 상징은 문장과 기이다.
4. 1. 문장
지역 역사가 페테르 퓌슈푀키 너지(Péter Püspöki Nagy)가 제작했으며, 1971년 시의회에서 채택되었다. 주요 문양은 도시의 중세 이름인 카카트(Kakath, Kakath|커커트hu)를 나타내며, 쇼세(chaussé)는 근세 초의 파르칸의 삼각 오스만 요새를, 청색 바탕은 도나우강과 흐론(가람)강을 나타낸다.'''문장 설명:'''
> ''청색 바탕에 금색 쇼세를 배치하고, 붉은색으로 지워진 수탉의 머리가 왼쪽을 향하고 있다.''
4. 2. 기
슈투로보의 기는 빨간색 면과 일곱 개의 파란색과 금색 줄무늬가 있는 제비꼬리 형태이다.[1]5. 인구
2021년 기준 인구는 9,777명이다.[10][11] 2001년 인구 조사 기준 민족 구성과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6. 자매 도시
슈투로보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Hustota obyvateľstva - obce
https://datacube.sta[...]
2024-02-08
[2]
웹사이트
Základná charakteristika
http://datacube.stat[...]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2-03-31
[3]
웹사이트
Počet obyvateľov podľa pohlavia - obce (ročne)
https://datacube.sta[...]
2024-02-08
[4]
서적
Slovenský juh v stredoveku II.
Slovenské literárne centrum
[5]
문서
Kálmán Haiczl: Kakath Dsigerdelen-Csekerdén Párkány, Érsekújvár, Winter Ny., [s.a.], p. 5., 68.
[6]
웹사이트
Označenia v jazyku menšiny
http://www.narodnost[...]
Úrad splnomocnenca vlády SR pre národnostné menšiny
2016-12-27
[7]
웹사이트
Štúrovo - History (contains a link to .doc file, in Slovak)
http://www.sturovo.s[...]
[8]
문서
The Geography of Claudius Ptolemy, published in English translation by Dover Publications, 1991, Book II, Chapter 10: Greater Germany (Fourth Map of Europe)
https://penelope.uch[...]
[9]
문서
Knauz, Ferdinandus: Monumenta Ecclesiae Strigoniensis, Tomus Secundus, Strigonii, 1882, p. XXXII, p. 544
[10]
웹사이트
Statistical lexikon of municipalities 1970-2011
https://slovak.stati[...]
[11]
웹사이트
Census 2021 - Population - Basic results
https://www.scitanie[...]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1-01-01
[12]
웹사이트
Partnerské mestá
https://www.sturovo.[...]
Štúrovo
2019-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