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스와프 라트키에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니스와프 라트키에비치는 벨라루스 출신의 폴란드 공산주의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붉은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폴란드 제1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보병 사단에서 정치 장교 및 사단장을 역임했다. 전쟁 후에는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비밀경찰 UB의 수장으로, 폴란드 인민당 탄압, 반공주의 저항 세력 숙청, 가톨릭 교회 박해 등 반체제 인사 탄압을 주도했다. 1954년 보안부 장관직에서 해임된 후, 국영 농업부 장관을 거쳐 1968년 은퇴했으며, 1987년 사망했다. 그는 여러 훈장을 받았지만, 그의 행적은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룬발드 십자장 수훈자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게라시모비치 쿠즈네초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 해군을 지휘한 해군 원수로서,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여 해군에 전투 준비 명령을 내리고 흑해 전역에서 상륙 작전을 지휘하여 제해권 확보에 기여했으며, 그의 공로를 기려 그의 이름은 러시아 해군의 항공모함에 붙여졌다. - 폴란드의 공산주의자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1년 계엄령을 선포하여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총리, 당 제1서기, 폴란드 최초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1989년 원탁회의를 통해 폴란드의 민주화를 이끌었으나 계엄령 선포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공산주의자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폴란드의 공산주의 정치인 볼레스와프 비에루트는 폴란드 사회당과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혁명에 기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후 폴란드 공산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대통령과 총리를 역임하면서 폴란드를 소련의 영향력 아래 두고 스탈린주의적 정책을 시행했다. - 폴란드의 정치인 -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야로스와프 카친스키는 폴란드의 정치인으로, 반공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법과 정의당을 창당했으며, 폴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유럽회의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정치인 - 한나 수호츠카
한나 수호츠카는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폴란드 최초의 여성 총리를 역임했으며, 헌법학 연구, 하원 의원 활동, 법무장관 역임, 바티칸 대사 활동, 국제적인 활동과 아동 인권 보호 기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스타니스와프 라트키에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타니스와프 라트키에비치 |
출생 | 1903년 1월 19일 |
출생지 | 슬로님스키 군, 그로드노 현, 러시아 제국 |
사망 | 1987년 11월 13일 |
사망지 | 바르샤바, 폴란드 인민 공화국 |
정당 | 폴란드 공산당 폴란드 노동자당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
계급 | 공안 소장 |
학력 | 서방 소수 민족 공산주의 대학교 |
경력 | |
직책 | 공안부 장관 |
임기 시작 | 1944년 7월 22일 |
임기 종료 | 1954년 12월 2일 |
전임 | 직책 신설 |
후임 | 직책 폐지 |
직책 1 | 국영 농장 장관 |
임기 시작 1 | 1954년 12월 7일 |
임기 종료 1 | 1956년 4월 19일 |
총리 1 | 유제프 치란키에비치 |
전임 1 | 힐라리 헤우호프스키 |
후임 1 | 미에치스와프 모차르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수상 | |
훈장 | 그룬발트 십자 훈장 노동 깃발 훈장 폴란드 부흥 훈장 바르샤바 메달 |
2. 초기 생애와 공산주의 활동
스타니스와프 라트키에비치는 현 벨라루스 지역인 러시아 제국 그로드노 현 슬로님스키 우예즈드 로즈미에르키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는 초등학교 3학년을 마쳤다.[1]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족과 함께 러시아로 피난을 갔고, 볼셰비키 혁명 이후 콤소몰에 가입했다.
1922년 가족은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라트키에비치는 소련으로 이주하여 벨라루스 공산당에서 활동했다. 1925년 폴란드 공산당(KPP) 청년 부서 담당으로 폴란드에 밀파되었다.[1] 그는 폴란드에서 반체제 활동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의 신임을 받아 대숙청에서 살아남았다.[2]
2. 1. 콤소몰 활동과 폴란드 공산당 입당
제1차 세계 대전 중 라트키에비치는 가족과 함께 러시아 제국 사마라 현의 부줄루크로 피난하여 현지 농장에서 일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그는 콤소몰에 가입했다.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이후, 1922년, 그의 가족은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스타니스와프는 곧 소련으로 이주하여 벨라루스 공산당의 폴란드 지부에서 일했다. 1925년, 그는 모스크바에 의해 폴란드로 밀파되어 불법 폴란드 공산당(KPP)의 청년 부서를 담당하게 되었다.[1]
2. 2. 폴란드 공산당(KPP) 활동과 투옥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이후, 1922년, 그의 가족은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스타니스와프는 곧 소련으로 이주하여 벨라루스 공산당의 폴란드 지부에서 일했다.[1] 1925년, 그는 모스크바에 의해 폴란드로 몰래 보내져 불법 폴란드 공산당(KPP)의 청년 부서를 담당하게 되었다.[1] 3년 후, 그는 폴란드 공화국의 주권과 독립에 반하는 활동으로 체포되어 4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출소 후, 그는 KPP의 간부로 활동했다. 그는 1937년에 다시 체포되어 6개월 동안 복역했다. 1938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KPP는 해산되었고 많은 지도자들이 대숙청의 일환으로 처형되었다. 그러나 라트키에비치는 스탈린의 신임을 받았기 때문에 살아남았으며, 실제로 스탈린에 의해 KPP의 당 세포를 해체하는 임무를 맡았다.[2]
3. 제2차 세계 대전과 붉은 군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붉은 군대에 자원했으나, 이후 폴란드 제1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보병 사단으로 전출되어 정치 장교 및 사단장으로 활동했다.[1]
3. 1. 폴란드 군에서의 역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붉은 군대에 자원했지만, 이후 전출되어 폴란드 제1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보병 사단의 정치 장교 및 사단장으로 복무했다.[1] 그는 또한 공산주의 통치하의 첫 번째 폴란드 세임 대표였다.4. 비밀경찰 ''UB'' 수장과 반체제 인사 탄압
라트키에비치는 폴란드 인민당(PSL), 자유와 독립(WiN), 국가군(NSZ) 등 반공주의 지하 조직과 가톨릭 교회를 포함한 비가톨릭 종교 단체 등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탄압했다.[6] 또한, 비슬라 작전을 조직하고 폴란드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공산주의 통제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4. 1. ''UB'' 창설과 성장
폴란드 민족해방위원회(PKWN, 일명 "루블린 위원회")가 설립된 직후인 1944년, 스탈린의 명시적인 승인 하에 라트키에비치는 비밀 경찰인 ''UB''의 수장이 되었다.[3] 1944년 12월 31일, PKWN은 폴란드 공화국 임시정부로 개편되었고, UB는 폴란드 공공안전부(MBP)로 개칭되었지만, 지방 사무소가 이전 명칭을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UB 약칭으로 계속 알려졌다.1945년 이후 라트키에비치의 지휘 아래 비밀 경찰은 급속히 성장하여, 1945년 4월에는 12,000명, 1945년 12월에는 24,000명, 1953년에는 33,000명의 요원을 보유하며 최고조에 달했다.
4. 2. 폴란드 인민당(PSL) 탄압
폴란드 인민당(PSL)은 당시 폴란드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인 야당이었으나, 라트키에비치는 1945년 12월부터 PSL에 대한 전면적인 탄압을 지시했다.[6] 이러한 탄압의 목적은 다가오는 1946년 국민투표와 선거에서 공산당의 승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6]라트키에비치의 명령에 따라, PSL 후보들은 선거 과정에서 괴롭힘을 당하고 선거 명부에서 삭제되었다.[6] PSL 지지율이 높은 지역으로 보내져야 할 투표용지들은 중간에 가로채져 전달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는 투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6] PSL의 당 회의는 시민 민병대(MO)와 UB 부대의 공격을 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특히 적극적으로 활동하던 당원들이 살해되기도 했다.[6]
라트키에비치는 자신의 요원들에게 폴란드 공산 정권에 반대하고 반공산주의 지하조직을 지지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PSL 당원들을 "청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6] 이 명령에는 이러한 "청산"이 마치 반공산주의 지하조직의 소행처럼 보이도록 위장하고, 언론을 통해 "반정부 테러범"에 대한 캠페인을 벌여 살해 책임을 반공산주의 조직에 뒤집어씌우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6]
이러한 탄압의 결과, 1945년 봄부터 1947년 1월까지 최소 140명의 PSL 당원이 UB에 의해 살해되었다.[6] 희생자 중에는 나르치스 비아르, 브와디스와프 코이데르와 같은 저명한 인사들도 포함되어 있었다.[6] PSL의 지도자였던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는 광범위한 선거 부정과 자신의 당에 대한 국가적 테러가 심해지자 1946년 4월 폴란드를 탈출했다.[7]
4. 3. ''저주받은 군인'' 숙청
스타니스와프 라트키에비치는 1944년 폴란드 민족해방위원회(PKWN)("루블린 위원회") 설립 직후, 스탈린의 승인 하에 비밀경찰 ''UB''의 수장이 되었다.[3] 1944년 12월 31일, PKWN은 폴란드 공화국 임시정부로 개편되었고, UB는 폴란드 공공안전부(MBP)로 개칭되었지만, 지방 사무소는 이전 명칭을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UB 약칭으로 알려졌다.라트키에비치의 UB는 자유와 독립(WiN), 국가군(NSZ) 등 반공주의 지하 조직 ("저주받은 군인") 및 비폭력 시민 단체의 구성원을 추적, 체포, 처형했다.[6]
4. 4. 가톨릭 교회 박해
라트키에비치는 율리아 브리스티게르와 함께 폴란드 가톨릭 교회를 탄압하는 데 앞장섰다.[6] 그는 ''UB'' 내 제5국을 조직하여 가톨릭 교회에 대한 감시, 사제와 신자들에 대한 괴롭힘, 교회 재산 몰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톨릭 교회를 억압했다.[6]1945년 9월 초, 라트키에비치는 (공산)당의 이익에 반하는 조직과 단체에 대항하는 것을 임무로 하는 UB의 제5국 조직을 명령했다. 제5국 내 제5과는 가톨릭교회에 대한 조사를 하고 조치를 취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 안에서, 제1분과는 가톨릭교회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성직자 포함)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고, 제2분과는 가톨릭 언론과 세속 가톨릭 단체에 집중했다.[6]
브리스티게르는 비밀 경찰 국장 회의에서 "교회와의 마지막 무자비한 싸움"이 곧 다가올 것이며, 승리하기 위해서는 폴란드 통합 노동자당의 비밀 정보부가 "필요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라트키에비치는 "성직자들은 폴란드 인민당(PSL)과 같지 않다. 그들과 함께라면 PSL과 같지 않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6]
가톨릭교회에 대한 조치는 사제와 수녀에 대한 괴롭힘, 간첩과 사주자를 이용하여 폴란드 교회를 바티칸에서 소외시키려는 시도, 교회 재산 압수 및 몰수, 대중과 서방 여론의 눈에 가톨릭 고위층을 당혹하게 만들 의도로 사건 조작(예: 교회에 무기 은닉) 등 여러 형태를 취했다.[6]
5. 실각과 이후 활동
1954년 12월, 라트키에비치는 보안부 장관직에서 해임되었고,[9] 1955년 7월에는 폴란드 공산당 정치국에서 사임했다. 1956년 포즈난 시위와 폴란드 10월 개혁 이후, 로만 롬코프스키, 유제프 루잔스키, 아나톨 페이긴 등 폴란드의 스탈린주의 테러에 책임이 있는 보안부 요원 여러 명이 재판에 회부되었지만, 라트키에비치는 처벌받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공개 비판을 한 후, 국영 농업부 장관이 되었다.[9] 1957년 5월, 그는 폴란드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해임되었고, 3년 동안 당에서 제명되었다. 1960년부터 1968년까지 그는 국영 예비국 국장으로 재직했으며, 1968년에 은퇴했다.[10] 그는 1987년 12월 13일, 바르샤바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수년에 걸쳐 그룬발트 십자훈장과 노동 깃발 훈장을 수여받았다.
6. 수상 내역
하지만 이러한 훈장들이 라트키에비치의 반인륜적 범죄 행위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는 비판이 지배적이다.[1]
참조
[1]
간행물
Wystawa "Ludzie UB"
http://www1.ipn.gov.[...]
Institute for National Remembrance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3]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논문
"'To Resolve the Ukrainian Problem Once and For All': The Ethnic Cleansing of Ukrainians in Poland, 1943-1947"
http://muse.jhu.edu/[...]
[5]
서적
Iron Curtain : The Crushing of Eastern Europe 1944–56
Doubleday
2012
[6]
서적
Miecz i Tarcza Komunizmu. Historia aparatu bezpieczenstwa w Polse, 1944-1990
Wydawnictwo Literackie
[7]
서적
The seeds of triumph: church and state in Gomułka's Poland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Devil's Choice
http://www.canadafre[...]
[9]
서적
Poland under Communism: a Cold War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m": Stalin's Polish puppets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