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산드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산드로스는 기원전 4세기에 키프로스 솔로이 왕국에서 태어난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장군이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트리파라디소스 회의에서 아레이아와 도란기아나의 태수로 임명되었으며,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에우메네스 편에 서서 안티고노스에 대항했다. 가비에네 전투에서 패배한 후 영토를 잃고 이후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사트라프 - 네아르코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여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그의 항해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사트라프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이자 셀레우코스 제국의 창건자로,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 건설에 힘썼으며, 코루페디온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암살당했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 휘하의 장군 - 네아르코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여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그의 항해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 휘하의 장군 - 클레이토스
마케도니아 귀족 출신 장군 클레이토스는 알렉산더 대왕을 구하고 기병대장으로 활약했으나, 페르시아 문화 융화 정책에 반대하다 알렉산더와의 논쟁 중 살해당해 알렉산더에게 깊은 후회를 남겼다. -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사람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사람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타산드로스 |
---|
2. 생애
스타산드로스는 기원전 4세기에 솔로이 왕국에서 태어났다.[1] 당시 키프로스의 10개 도시 왕국은 아케메네스 제국(페르시아)의 봉신 국가였다.[1] 이소스 전투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키프로스 왕국은 마케도니아로 전향했다.[1]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에 대한 그들의 충성이 강압에 의한 것이었음을 감안하여 키프로스인들을 사면했다.[1] 스타산드로스와 그의 형제 스타사노르는 마케도니아 군에 입대하여 친위대까지 빠르게 승진했는데, 이는 그들이 솔로이 왕실 출신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1]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한 후, 그의 제국은 분열되었다.[1][6] 기원전 321년에 개최된 트리파라디소스 회의에서 스타산드로스는 아레이아와 도란기아나의 태수로 임명되었다.[6]
디아도코이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에우메네스 편에 서서 안티고노스에 대항했다.[1] 기원전 317년, 메디아 태수 페이톤이 파르티아의 이전 장군이었던 필로타스(필리포스의 오기)를 처형하고 동생 에우다모스를 그 자리에 앉혔다. 이에 스타산드로스를 포함한 제국 동방을 지배하는 태수들이 연합하여 페이톤과 싸웠다.[7] 또한 같은 해, 안티고노스와 에우메네스와의 전투에서 스타산드로스는 다른 동방의 태수들과 마찬가지로 에우메네스에게 가담하여 자국령과 박트리아에서 1500명의 보병과 1000기의 기병을 이끌고 참전했다.[8] 그는 〈파라에타케네 전투〉와 〈가비에네 전투〉에서 기병 부대를 이끌고 싸웠다.[8] 가비에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에게 패배했다.[1] 가비에네 전투 이후 아군의 배신으로 에우메네스가 안티고노스에 인도되자 스타산드로스의 영지는 안티고노스의 손에 넘어갔다. 안티고노스는 아레이아를 처음 에우이토스에 주었지만 에우이토스가 이내 사망했기 때문에 에우아고라스를 태수로 임명했다.[9] 이후 스타산드로스의 행적과 사망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2. 1. 키프로스 출신 장군
스타산드로스는 기원전 4세기에 솔로이 왕국에서 태어났다.[1] 당시 키프로스의 10개 도시 왕국은 아케메네스 제국(페르시아)의 봉신 국가였다.[1] 이소스 전투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키프로스 왕국은 마케도니아로 전향했다.[1]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에 대한 그들의 충성이 강압에 의한 것이었음을 감안하여 키프로스인들을 사면했다.[1] 스타산드로스와 그의 형제 스타사노르는 마케도니아 군에 입대하여 친위대까지 빠르게 승진했는데, 이는 그들이 솔로이 왕실 출신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1]알렉산드로스 사후, 스타산드로스는 드랑기아나를 다스렸다.[1] 디아도코이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에우메네스 편에 서서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에 대항했다.[1] 가비에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에게 패배한 후, 그의 영토는 에우이투스에게 넘어갔다.[1] 스타산드로스의 사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1]
2. 2. 알렉산드로스 사후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한 후, 그의 제국은 분열되었다.[1][6] 기원전 321년에 개최된 트리파라디소스 회의에서 스타산드로스는 아레이아와 도란기아나의 태수로 임명되었다.[6]기원전 317년, 메디아 태수 페이톤이 파르티아의 이전 장군이었던 필로타스(필리포스의 오기)를 처형하고 동생 에우다모스를 그 자리에 앉혔다.[7] 이에 스타산드로스를 포함한 제국 동방을 지배하는 태수들은 자신들이 그 반복된 실패의 사례가 되는 것을 두려워 연합하여 페이톤과 싸웠다.[7]
같은 해, 안티고노스와 에우메네스와 전투 시 스타산드로스는 다른 동방의 태수들과 마찬가지로 에우메네스에게 가담하여 자국령과 박트리아에서 1500명의 보병과 1000기의 기병을 이끌고 등장했다.[8] 그리고 〈파라에타케네 전투〉와 〈가비에네 전투〉에서 함께 기병 부대를 이끌고 싸웠다.[8] 가비에네 전투 이후 아군의 배신으로 에우메네스가 안티고노스에 인도 되자 스타산드로스 영지는 안티고노스의 손에 넘어 갔다.[9] 안티고노스는 아레이아를 처음 에우이토스에 주었지만 에우이토스가 이내 사망했기 때문에 에우아고라스를 태수로 임명했다.[9] 태수 영지를 내준 뒤 스타산드로스가 어떻게 되었는 지는 불분명하다.
2. 3. 디아도코이 전쟁
기원전 321년 이전의 스타산드로스의 경력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알렉산더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는다. 알렉산더 대왕 사후 기원전 321년에 개최된 트리파라디소스 회의에서 스타산드로스는 아레이아와 도란기아나의 태수로 임명되었다.[6]디아도코이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에우메네스 편에 서서 안티고노스에 대항했다.[1] 기원전 317년, 메디아 태수 페이톤이 파르티아의 이전 장군이었던 필로타스(필리포스의 오기)를 처형하고 동생 에우다모스를 그 자리에 앉혔다. 이에 스타산드로스를 포함한 제국 동방을 지배하는 태수들이 연합하여 페이톤과 싸웠다.[7] 또한 같은 해, 안티고노스와 에우메네스와의 전투에서 스타산드로스는 다른 동방의 태수들과 마찬가지로 에우메네스에게 가담하여 자국령과 박트리아에서 1500명의 보병과 1000기의 기병을 이끌고 참전했다.[8] 그는 〈파라에타케네 전투〉와 〈가비에네 전투〉에서 기병 부대를 이끌고 싸웠다.[8] 가비에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에게 패배했다.[1] 가비에네 전투 이후 아군의 배신으로 에우메네스가 안티고노스에 인도되자 스타산드로스의 영지는 안티고노스의 손에 넘어갔다. 안티고노스는 아레이아를 처음 에우이토스에 주었지만 에우이토스가 이내 사망했기 때문에 에우아고라스를 태수로 임명했다.[9] 이후 스타산드로스의 행적과 사망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Stasander
https://www.perseus.[...]
2017-09-08
[2]
서적
디오ドロス, XVIII, 39
[3]
서적
ibid, XIX, 14
[4]
서적
ibid, XIX, 27
[5]
서적
ibid, XIX, 48
[6]
서적
디오도로스, XVIII, 39
[7]
서적
ibid, XIX 14
[8]
서적
ibid, XIX 27
[9]
서적
ibid, XIX 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