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아르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활동한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크레타 출신이며 알렉산드로스의 친구였다. 그는 알렉산드로스의 페르시아 원정에 참여하여 함대 제독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고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항해 중 다양한 지역의 풍토와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알렉산드로스 사후에는 디아도코이 전쟁에 참여했으며, 그의 항해 경험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려 그리스 해군은 여러 함선에 그의 이름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레인의 역사 - 카르마트파
카르마트파는 티베트 불교 까귀파의 한 분파로, 활불로 여겨지는 카르마파가 정신적 지도자이며,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종파이나 겔룩파의 탄압을 받기도 했고, 현재 17대 카르마파가 분열되어 논란이 있다.
네아르코스 |
---|
2.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오랜 친구이자 측근으로, 그의 동방 원정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정 첫 해에 리키아와 팜필리아의 태수 자리에 임명되었다.[13] 기원전 328년에는 박트리아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증원 용병 부대를 이끌고 합류했다.[9]
기원전 326년, 네아르코스는 휘다스페스강에서 대왕이 편성한 함대의 제독으로 임명되어 인도의 강들을 내려갔다. 이후 페르시아만까지 항해를 계속하여 카르마니아(호르무즈 서쪽)에서 알렉산드로스와 재회하고, 대왕의 배웅을 받으며 항해를 계속했다. 네아르코스는 항해 시 들른 다양한 땅의 풍토와 그곳에 사는 민족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는데, 이 기록은 아리아노스가 《인디카》를 저술할 때 유용하게 참조했다. 항해 중 네아르코스는 그리스에서 테에로스라고 불렀던 바레인에 이르렀으며, 그곳에 이르게 된 첫 그리스인 지휘관이 되었다.
기원전 324년, 네아르코스는 수사에서 대왕의 후궁 바르시네와 멘토르의 딸과 결혼했다. 그 후 페르시아만에서 유프라테스강을 거슬러 올라가 대왕이 있는 바빌론에 이르렀다. 그는 병으로 누운 알렉산드로스 대왕으로부터 아라비아 일주 지시를 받았지만,[14] 기원전 323년 대왕의 죽음으로 이 계획은 중단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크레타 라토 출신인 안드로티모스의 아들 네아르코스는 소년 시절 가족과 함께 마케도니아 암피폴리스로 이주하였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친구이자 조언자 중 한 명이었다.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대립으로 프톨레마이오스 1세, 하르팔로스, 에리기오스, 라오메돈 형제와 함께 추방당했다.[13]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2세가 사망하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즉위하자, 네아르코스를 포함한 추방자들은 모두 소환되어 높은 지위에 올랐다.2. 2. 알렉산드로스 원정 참여
기원전 334년,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정 첫 해에 리키아와 팜필리아의 태수 자리에 임명되었다.[13] 그는 에게해를 위협하는 페르시아 함대를 성공적으로 저지하여 알렉산드로스의 페니키아, 이집트, 바빌로니아 정복에 기여했다.기원전 328년, 네아르코스는 박트리아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증원 용병 부대를 이끌고 합류했다.[9] 그는 앗사케노이 인들의 땅에서 휘파스피타이(근위 보병대)의 키리아르코스(천인대장)로서, 안티오코스와 함께 아그리아네스 부대와 경보병 부대를 이끌고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10]
아오르누스 공성전 이후, 네아르코스는 특히 코끼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정찰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2. 3. 인더스 강 항해
기원전 32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휘다스페스강에서 함대를 편성했고, 네아르코스를 제독으로 임명하여 인도의 강들을 따라 내려가게 했다.[11] 스트라보는 히말라야 산맥의 에모두스 산맥이 탁실라 근처 함대 건조장과 가까워 전나무, 소나무, 삼나무 목재를 풍부하게 공급했다고 전한다.[4] 함대는 알렉산드로스의 주요 군대와 함께 히다스페스강을 따라 진군했다. 아케시네스강과 인더스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알렉산드로스는 알렉산드리아(인더스)라는 도시를 건설했다.일부 배가 손상되자 네아르코스는 수리를 감독하기 위해 남았다. 인더스강을 따라 내려가는 항해는 기원전 326년부터 325년까지 지속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인도 원주민 마을을 점령했다. 네아르코스는 인더스강에서 페르시아만까지 함대를 지휘하며 항해했고, 그 과정을 상세히 기록했다. 이 기록은 아리아노스가 《인디카》를 저술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13]

네아르코스는 파탈라(현재 파키스탄 신드주의 바만아바드)에서 출발했지만, 계절풍과 강풍으로 인해 항해가 지연되었다. 마케도니아 함대는 인더스강과 아라비우스강 어귀 근처에서 돌담을 쌓고 짠물과 홍합, 굴, 칼조개를 먹으며 생활했다. 24일 후, 네아르코스는 모론토바라(현대 카라치 해안 바로 앞에 있는 마노라섬) 항구로 항해를 계속했다. 아리아누스는 모론토바라를 '여인들의 웅덩이'라고 불렀는데, 이 지역의 최초 통치자가 여인이었기 때문이라고 기록했다.

모론토바라에서 레오나투스가 현지 오레이탄족을 물리치고 네아르코스 함대의 식량을 비축해 두었다. 네아르코스는 흥골강(마크란, 발루치스탄)에 도착하여 원주민들을 멸망시켰다. 그는 이크티오파고이('물고기 먹는 자들')의 땅에 도착하여 바기사라(현대 오르마라 항구) 항구를 발견했다.
탐험의 다음 단계에서 네아르코스와 그의 함대는 콜타, 칼리마(칼라트), 카르니네(아스톨라섬), 키사, 모사르나에 피신했다. 모사르나에서 게드로시아 선원이 함대에 합류하여 그들을 과다르로 안내했고, 거기서 대추야자와 정원을 발견했다. 그들은 차바르 도시를 약탈하고 태양신에게 봉헌된 곶인 바게이아에 함대를 정박시켰다. 네아르코스는 호르무즈 해협에서 페르시아만으로 계속 항해했다. 여러 모험 끝에 네아르코스는 이란 남부의 카르마니아에서 알렉산드로스와 만났다. 여기서 그들은 그 지역이 곡물, 포도나무, 나무로 잘 경작되었음을 알았다.
항해 중 네아르코스는 바레인을 방문한 최초의 그리스인 지휘관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스인들은 바레인을 틸로스라고 불렀다. 네아르코스는 바레인이 번영하는 상업 섬이라고 기록했다.
“페르시아만에 위치한 틸로스 섬에는 목화나무 농장이 크게 조성되어 있으며, 거기서 '신도네스'라고 불리는 의류가 제조되는데, 그 가치는 매우 다양하여, 값비싼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이러한 의류의 사용은 인도에 국한되지 않고 아라비아까지 확대된다.”|페르시아만에 위치한 틸로스 섬에는 목화나무 농장이 크게 조성되어 있으며, 거기서 '신도네스'라고 불리는 의류가 제조되는데, 그 가치는 매우 다양하여, 값비싼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이러한 의류의 사용은 인도에 국한되지 않고 아라비아까지 확대된다.영어
마케도니아인들은 페르시아만의 여러 항구를 방문했다. 그들은 마침내 기원전 324년 티그리스강 어귀에 도착했다.[5] 티그리스강에 도착한 후 네아르코스는 유프라테스강까지 간 다음 기원전 324년 초에 수사에서 알렉산드로스와 재회했다.
3. 알렉산드로스 사후
알렉산드로스 3세 사후, 네아르코스는 제국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해 개최된 바빌론 회의에 참여했다. 이 회의에서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그의 후궁 바르시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헤라클레스를 왕위에 앉힐 것을 제안했지만, 헤라클레스가 서자라는 이유로 다른 이들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6] 결국 제국의 섭정이 된 페르디카스의 주도 하에 알렉산드로스의 이복형 아리다이오스가 필리포스 3세로 즉위했다.
3. 1. 바빌론 회의와 후계자 분쟁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3세가 죽은 뒤 열린 바빌론 회의에서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와 바르시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헤라클레스를 왕위에 올릴 것을 제안했다.[6] 그러나 헤라클레스는 서자였기 때문에 지지를 받지 못했다.[6] 결국 페르디카스가 섭정이 되어 제국을 다스리게 되었고, 알렉산드로스의 이복형 아리다이오스가 필리포스 3세로 즉위했다. 이 회의에서 네아르코스는 다시 리키아와 팜필리아의 태수가 되었다.그러나 알렉산드로스 사후 권력을 갖기 위한 장군들(디아도코이) 간의 다툼(디아도코이 전쟁)이 벌어졌다. 네아르코스는 처음에는 페르디카스 편에 섰지만, 기원전 321년 페르디카스가 죽은 후 열린 트리파라디소스 회의에서 그의 영지는 안티고노스 1세에게 넘어갔고, 네아르코스는 안티고노스의 휘하로 들어갔다. 기원전 312년에는 안티고노스의 아들 데메트리오스의 조언자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이후 그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6]
3. 2. 디아도코이 전쟁 이후
기원전 321년에 열린 트리파라디소스 회의에서 네아르코스의 영지는 안티고노스에게 넘어갔고, 네아르코스는 안티고노스 진영에 합류했다.[6][7] 기원전 312년, 안티고노스의 아들 데메트리오스의 상담역으로 종군한 것을 마지막으로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다.[6] 이후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자신의 항해 경험을 바탕으로 《인디카》라는 책을 저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4. 네아르코스의 유산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아들 헤라클레스를 지지했으며, 안티고노스 진영에 합류했다. 기원전 313/2년 데메트리오스의 고문으로 언급된 이후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신의 역사를 쓰기 위해 은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아르코스는 자신의 항해에 대한 역사와 '인디카'라는 제목의 인도에 대한 묘사를 저술했다. 이 글은 현재 분실되었지만, 스트라보 등 후대 저술가들이 포함한 정보를 통해 내용을 알 수 있다. 그의 항해에 대한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인디카''에 나와 있다.[6] 플리니우스 장로는 네아르코스가 항해 중에 아르비스 도시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7]
그리스 해군은 그의 업적을 기려 여러 척의 군함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함명 | 함종 | 취역일 |
---|---|---|
네아르코스 (D65) | 플레처급 구축함 | 1980년 |
네아르코스 (D219) | C.F. 아담스급 구축함 | 1992년 |
네아르코스 | FDI 프리깃 | 2022년 9월 27일 |
4. 1. 역사적 평가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가 바빌론과 인도 사이 페르시아 만의 무역 및 교통 강화를 위해 정복하려 했던 아라비아를 정복할 함대의 제독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알렉산드로스의 죽음으로 인해 중단되었다.[6]제국의 통치권을 둘러싼 초기 논쟁에서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의 아들인 헤라클레스를 지지했다. 왕의 정부였던 바르시네는 그의 장모가 되었다. 질서가 무너지자 그는 안티고노스 진영에 합류했다. 기원전 313/2년 데메트리오스의 고문으로 언급된 이후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신의 역사를 쓰기 위해 은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아르코스는 자신의 항해에 대한 역사와 '인디카'라는 제목의 인도에 대한 묘사를 저술했다. 이 글은 현재 분실되었지만, 스트라보 등 후대 저술가들이 포함한 정보를 통해 내용을 알 수 있다. 그의 항해에 대한 기록은 2세기경에 쓰여진 아리아노스의 ''인디카''에 나와 있다.[6] 플리니우스 장로는 네아르코스가 항해 중에 아르비스 도시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7]
4. 2. 현대의 계승
그리스 해군은 네아르코스의 업적을 기려 여러 척의 군함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함명 | 함종 | 취역일 |
---|---|---|
네아르코스 (D65) | 플레처급 구축함 | 1980년 |
네아르코스 (D219) | C.F. 아담스급 구축함 | 1992년 |
네아르코스 | FDI 프리깃 | 2022년 9월 27일 명명 |
참조
[1]
서적
Who's who in the Age of Alexander the Great: Prosopography of Alexander's Empire
[2]
웹사이트
Livius history
https://web.archive.[...]
2020-03-26
[3]
문서
Marshals
[4]
서적
The Voyage of Nearchus from the Indus to the Euphrates: Collected from the Original Journal Preserved by Arrian, and Illustrated by Authorities Ancient and Modern ...
https://archive.org/[...]
T. Cadell, jun. and W. Davies
1797
[5]
웹사이트
Nearchus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4-26
[6]
웹사이트
Livius history
https://web.archive.[...]
2020-03-26
[7]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 §6.26.1
https://topostext.or[...]
[8]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9]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10]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11]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12]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13]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14]
서적
알렉산더 대왕 동정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