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왕비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엘리자베트는 프랑스 국왕 앙리 4세와 마리 드 메디치의 딸로, 1602년 퐁텐블로에서 태어났다. 1615년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와 결혼하여 스페인 왕비가 되었으며, 일곱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일찍 사망했다. 엘리자베트는 섭정으로서 통치력을 발휘했으며, 1644년 마드리드에서 사망했다. 그의 딸 마리아 테레사는 프랑스 왕 루이 14세와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퐁텐블로 출신 -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 왕족으로, 형 루이 13세 치세에 반란과 음모를 일으키며 불안정한 행보를 보였고, 루이 13세 사후에는 프롱드의 난에 가담했으며, 두 번의 결혼으로 자녀를 두었고 조카 루이 14세 치세에는 '르 그랑 몽시외'로 불렸다. - 퐁텐블로 출신 - 앙리 3세
앙리 3세는 발루아 왕조의 마지막 프랑스 국왕이자 폴란드 국왕이었으며, 위그노 전쟁 등 혼란한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하다 가톨릭 동맹과의 갈등 끝에 암살당해 발루아 왕조를 마감했다. - 스코틀랜드계 스페인인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 스코틀랜드계 스페인인 - 아스투리아스 공 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 카를로스는 펠리페 2세의 아들로,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다 아버지에 의해 감금된 후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으며,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영국계 스페인인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 영국계 스페인인 - 빅토리아 데 마리차라르이보르본
빅토리아 데 마리차라르 이 보르본은 스페인 국왕의 외손녀이자 인판타 엘레나의 장녀로, 가톨릭 신앙 안에서 성장하며 다양한 교육을 받고 경영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발레, 승마, 투우에 관심을 갖고 패션 업계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쌓고 있다. 
| 스페인 왕비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칭호 | 스페인 왕비 | 
| 재위 기간 | 1621년 3월 31일 – 1644년 10월 6일 | 
| 칭호 1 | 포르투갈 왕비 | 
| 재위 기간 1 | 1621년 3월 31일 – 1640년 12월 1일 | 
| 배우자 | 펠리페 4세 (1615년 결혼) | 
| 자녀 | 발타사르 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자 마리아 테레사, 프랑스 왕비  | 
| 왕가 | 부르봉 왕가 | 
| 아버지 | 앙리 4세 | 
| 어머니 | 마리 드 메디시스 | 
| 출생일 | 1602년 11월 22일 |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퐁텐블로 궁전 | 
| 사망일 | 1644년 10월 6일 | 
| 사망지 | 스페인, 마드리드, 마드리드 왕궁 | 
| 매장지 | 엘 에스코리알 | 
| 스페인 왕비 | |
| 재위 | 1621년 3월 31일 - 1644년 10월 6일 | 
| 이전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리타 | 
| 이후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 | 
| 포르투갈 왕비 | |
| 재위 | 1621년 3월 31일 - 1640년 12월 1일 | 
| 이전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리타 | 
| 이후 | 구스망의 루이사 | 
2. 생애
1602년 프랑스 퐁텐블로에서 출생하였다. 악명 높은 바람기를 가진 앙리 4세 탓에 이사벨의 유년기는 그다지 행복한 편이 아니었다. 괄괄한 성미를 가진 마리 드 메디시스는 후일 앙리 4세가 프랑수아 라바이약(''François Ravaillac'')에게 암살당하자 그 음모에 관여했다는 소문이 나돌았을 정도로 남편과 몹시 사이가 나빴고, 앙리 4세는 그러거나 말거나 아내를 무시하며 50명이 넘는 정부와 정부와의 사이에서 난 자녀들, 전 왕비인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까지 끼여 북적대는 궁정 속에서 왕비와의 사이에서 난 자녀들을 자라도록 하였다.
앙리 4세의 죽음 뒤 1615년 미래의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가 되는 아스투리아스 공 펠리페와 결혼하였다. 이 결혼은 비교적 성공적이어서 서로를 사랑했지만 펠리페 4세 역시 수십 명의 서자를 두었을 만큼 바람기가 심했다. 거듭되는 유산과 조산, 남편의 외도로 만신창이가 되었지만 이사벨은 단호한 태도를 취하면서도 체념하는 데 그쳤다.
그녀는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장남이자 후계자인 발타사르 카를로스(''Baltasar Carlos'')와 막내딸 마리아 테레사를 제외하면 모두 일찍 죽었고, 그나마 발타사르 카를로스가 일찍 사망하면서 결혼해 자녀까지 둔 자식은 오직 마리아 테레사뿐이었다. 이후 스페인-합스부르크 가의 혈통이 끊기면서 이후 스페인 왕위는 이사벨의 증손자이자 마리아 테레사의 손자인 앙주 공작 필리프가 펠리페 5세로서 잇게 된다.
프랑스 국왕 앙리 4세와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의 장녀(둘째)로 퐁텐블로에서 태어났다. 펠리페와의 정략 결혼은 가톨릭 양대 세력인 프랑스와 스페인의 정치적 동맹을 증명하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전통은 카토 캉브레지 강화 조약으로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가 결혼한 이래 계속되었다. 두 사람 사이에는 7명의 아이가 태어났지만, 5명은 유아기에 요절했고, 아스투리아스 공 발타사르 카를로스와 막내 마리아 테레사만이 성장했다. 그러나 이사벨이 죽은 후 발타사르 카를로스도 사망했다.
- 마리아 마르가레타 (1621년 요절)
 - 마르가리타 마리아 카타리나 (1623년 요절)
 - 마리아 에우헤니아 (1625년 - 1627년)
 - 이사벨 마리아 테레사 (1627년 요절)
 - 발타사르 카를로스 (1629년 - 1646년) - 아스투리아스 공
 - 마리아 아나 안토니아 (1636년 요절)
 - 마리아 테레사 (1638년 - 1683년) -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왕비
 
2. 1. 어린 시절

엘리자베트는 1602년 11월 22일, 프랑스 퐁텐블로의 퐁텐블로 성에서 앙리 4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마리 드 메디치의 장녀로 태어났다.[2] 엘리자베트는 프랑스 국왕의 딸로서 ''프랑스의 딸'' (Fille de France)이었으며, 국왕의 장녀에게 주어지는 전통적인 경칭인 ''마담 로얄''로 불렸다.
엘리자베트는 생 제르맹 앙 레 성에서 프랑스의 아이들 가정교사 프랑수아즈 드 몽글라의 감독 아래 성장했다. 이곳에서 엘리자베트는 루이 13세를 포함한 자신의 형제자매들뿐만 아니라, 아버지 앙리 4세의 사생아들과 함께 교육받고 성장했다.[2] 앙리 4세는 50명이 넘는 정부를 둔 악명 높은 바람기를 가지고 있었고, 마리 드 메디시스와의 사이도 좋지 않았다.
엘리자베트는 태어난 직후 사보이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의 아들이자 스페인의 펠리페 2세의 외손자인 피에몬테 공작 필리포 에마누엘레와 약혼했지만, 필리포 에마누엘레는 1605년 천연두로 사망했다.[3][4]
1610년 5월 14일, 아버지 앙리 4세가 파리 루브르 궁전 밖에서 암살당하면서, 엘리자베트와 가까운 관계였던 오빠 루이 13세가 왕위를 계승하고 어머니 마리 드 메디치가 섭정을 맡았다. 1612년, 엘리자베트가 열 살이 되자, 프랑스와 스페인 왕가 사이의 이중 결혼 협상이 시작되어, 엘리자베트는 아스투리아스 공 (훗날의 펠리페 4세)과, 루이 13세는 스페인 공주 안과 결혼하게 되었다.
2. 2. 결혼
1612년 프랑스와 스페인 왕가 간의 이중 결혼 협상에 따라, 이사벨은 아스투리아스 공(훗날의 펠리페 4세)과, 이사벨의 오빠 루이 13세는 스페인 공주 안 도트리쉬와 결혼하기로 결정되었다. 1615년 11월 25일, 프랑스와 스페인을 나누는 비다소아 강 꿩 섬에서 이사벨과 펠리페 4세, 루이 13세와 안 도트리쉬의 대리 결혼 및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 때, 이사벨은 프랑스식 이름 엘리자베트 대신 스페인식 이름 이사벨로 불리게 되었으며, 부르고스 대성당에서 정식 결혼식을 올렸다.
이 결혼은 프랑스와 스페인의 가톨릭 강대국 간의 군사적, 정치적 동맹을 왕실 결혼으로 굳히는 전통을 따랐으며, 1559년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와 프랑스 국왕 앙리 2세의 딸인 프랑스 공주 발루아의 엘리자베트의 결혼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페인 국경에서의 공주들의 교환'은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그의 마리 드 메디치 연작의 일부로 그렸다.
두 사람 사이에는 7명의 아이가 태어났지만, 발타사르 카를로스와 마리아 테레사를 제외한 5명은 유아기에 요절했다.
- 마리아 마르가레타 (1621년 요절)
 - 마르가리타 마리아 카타리나 (1623년 요절)
 - 마리아 에우헤니아 (1625년 - 1627년)
 - 이사벨 마리아 테레사 (1627년 요절)
 - 발타사르 카를로스 (1629년 - 1646년) - 아스투리아스 공
 - 마리아 아나 안토니아 (1636년 요절)
 - 마리아 테레사 (1638년 - 1683년) -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왕비
 
2. 3. 스페인 왕비
이사벨은 아름다움, 지성, 고귀한 인품으로 스페인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1621년 시아버지 스페인 펠리페 3세가 사망하면서 남편 펠리페 4세가 즉위하여 스페인 왕비가 되었다. 펠리페 4세는 수많은 정부를 두었으며, 이사벨 본인도 시종 페랄타(후안 데 타시스, 빌라메디아 백작 2세)와의 염문설에 휩싸이기도 했다. 1622년 페랄타가 연극 공연 중 발생한 화재에서 이사벨을 구출하면서 염문설은 더욱 깊어졌고, 이후 페랄타는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이 사건에 펠리페 4세와 올리바레스 백작 공작이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이사벨은 카탈루냐 반란 동안 스페인의 섭정을 맡았으며, 카탈루냐 반란에서 명예로운 철수를 위해 올리바레스 백작 공작에 맞서 노체라 공작을 지지했다. 1640년부터 1642년까지 섭정으로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1] 올리바레스의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1]

2. 4. 섭정
엘리자베트는 스페인에서 아름다움, 지성, 그리고 고귀한 인품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1] 1640년부터 1642년까지 카탈루냐 반란으로 펠리페 4세가 부재한 동안 스페인의 섭정을 맡았다. 그녀는 섭정으로서 뛰어난 통치력을 발휘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1] 또한, "여인들의 음모"의 일환으로 올리바레스 백작 공작의 실각에 영향을 미쳤다고 알려져 있다.[1]1643년 펠리페 4세가 다시 전선으로 떠났을 때, 엘리자베트는 후안 추마세로 카리요 이 소토마요르의 지원을 받아 다시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 두 번째 섭정 기간 동안에도 그녀는 군대 물자 조달과 재정 확보에 힘써 국왕의 신임을 얻었다. 특히, 군 자금 조달을 위해 자신의 보석을 담보로 제공하기도 했다.[1]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를 본받아 바다호스 탈환을 위해 직접 군대를 이끌 계획을 세웠다는 소문도 있었다.[1]
2. 5. 죽음
이사벨은 1644년 10월 6일 마드리드에서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당시 유행하던 전염병(단독)으로 추정된다. 그녀는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장남이자 후계자인 발타사르 카를로스와 막내딸 마리아 테레사를 제외하면 모두 일찍 죽었고, 그나마 발타사르 카를로스가 일찍 사망하면서 결혼해 자녀까지 둔 자식은 오직 마리아 테레사뿐이었다. 이후 스페인-합스부르크 가의 혈통이 끊기면서 이후 스페인 왕위는 이사벨의 증손자이자 마리아 테레사의 손자인 앙주 공작 필리프가 펠리페 5세로서 잇게 된다.3. 자녀
이사벨은 펠리페 4세와의 사이에서 7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유아기에 사망했다. 아스투리아스 공으로 책봉되었던 장남 발타사르 카를로스는 1646년 16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마리아 마르가리타 | 1621년 8월 14일 | 1621년 8월 15일 | ||
| 마르가리타 마리아 카탈리나 | 1623년 11월 25일 | 1623년 12월 23일 | ||
| 마리아 에우헤니아 | 1625년 11월 21일 | 1627년 8월 21일 | ||
| 이사벨 마리아 테레사 | 1627년 10월 31일 | 1627년 11월 1일 | ||
![]()  | 발타사르 카를로스 | 1629년 10월 17일 | 1646년 10월 9일 | 아스투리아스 공. | 
| 프란시스코 페르난도 | 1634년 3월 12일 | 1634년 3월 12일 | ||
| 마리아 아나 안토니아 | 1636년 1월 17일 | 1636년 12월 5일 | ||
![]()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 1638년 9월 10일 | 1683년 7월 30일 | 루이 14세의 왕비. | 
막내딸 마리아 테레사는 1660년 프랑스 왕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다. 그 외에 이사벨은 세 번의 유산을 겪었다.
4. 가계
이사벨은 프랑스 부르봉 왕가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혈통을 모두 이어받았다.[5] 이사벨의 조상은 다음과 같다.
| 1.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 
|---|
| 2. 앙리 4세, 프랑스 국왕 | 
| 3. 마리 드 메디치 | 
| 4. 앙투안, 방돔 공작 | 
| 5. 잔 3세, 나바라 여왕 | 
| 6.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 | 
| 7. 요안나 오스트리아, 토스카나 대공비 | 
| 8. 샤를, 방돔 공작 | 
| 9. 프랑수아즈 달랑송 | 
| 10. 앙리 2세, 나바라 국왕 | 
| 11. 마르그리트, 앙굴렘 | 
| 12. 코시모 1세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 | 
| 13. 톨레도의 레오노르 | 
| 14.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 15.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 | 
참조
[1] 
웹사이트
 
Isabel de Borbón
 
http://dbe.rah.es/bi[...] 
[2] 
웹사이트
 
La reina desdichada, Isabel de Borbón (1602-1644)
 
http://www.mujeresen[...] 
2014-04-11
 
[3] 
웹사이트
 
Isabel de Borbón
 
http://www.mcnbiogra[...] 
2014-04-11
 
[4] 
웹사이트
 
Isabel de Borbón, reina de España, primera esposa de Felipe IV
 
https://www.museodel[...] 
2014-04-11
 
[5] 
서적
 
Renaissance Fr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