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25년은 명나라 천계 5년, 후금 천명 10년, 조선 인조 3년 등에 해당하며, 잉글랜드의 찰스 1세가 즉위하고, 위그노 반란, 30년 전쟁 등이 일어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찰스 1세의 즉위와 앙리에트 마리 공주와의 결혼, 네덜란드와 잉글랜드의 스페인에 대한 동맹, 네덜란드의 뉴암스테르담 건설 등이 있다. 또한,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올리버 플런켓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태어났으며, 제임스 1세, 올란도 기번스, 소포니스바 앙귀솔라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5년 | |
|---|---|
| 17세기 | |
| 연대 | 17세기 |
| 1600년대 | 1620년대 |
| 주요 사건 | |
| 정치 및 사회 | 삼십년 전쟁: 1618년 - 1648년 네덜란드가 브라질 북동부를 점령 (1624년-1654년) 영국의 찰스 1세가 왕위에 오름 (1625년) 청나라가 후금으로 개칭 (1625년) |
| 문화 및 예술 | 렘브란트의 "돌 던지기" (1625년) |
| 자연 재해 | 제주도에 지진 발생 (1625년) |
| 인물 | |
| 탄생 | 장 자크 부아소 (프랑스, 조각가, 1625년) 클레멘스 10세 (로마 교황, 1625년) 로베르 데 코트 (프랑스, 건축가, 1625년) |
| 사망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왕, 1625년)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프랑스 추기경이자 정치가, 1625년) 후금의 누르하치 (1626년) |
2. 연호
3. 사건
- 3월 27일 - 찰스 1세가 영국 국왕으로 즉위했다.[1]
- 7월 1일 - 마라브다 전투에서 이란 사파비 왕조가 조지아 왕국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조지아 측 사령관 무크라니 공작 테이무라즈 1세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 9월 13일 - 이사야 호로비츠를 포함한 16명의 랍비가 예루살렘에 투옥되었다.

이 외에도 동아시아, 서양, 기타 지역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동아시아
- 후금이 심양(성경)으로 천도했다.
3. 2. 서양
- 1월 17일 - 소비즈 공작이 이끄는 위그노들이 루이 13세 국왕에 맞서 두 번째 반란을 일으키며, 기습적인 해상 공격으로 블라베에서 준비 중이던 프랑스 함대를 공격했다.
- 2월 3일 - 프란체스카 카치니의 오페라 ''루제로의 해방''이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초연되었다. 이 오페라는 거의 400년 후인 2018년까지도 공연되었다.
- 2월 6일 - 보기슬라프 14세가 마지막 포메라니아 공작이 되고, 그의 1637년 사후 작위가 폐지되었다.
- 2월 8일 - 무라드 4세 술탄에 의해 하피즈 아흐메드 파샤가 그랜드 베지어로 임명되었다. 체르케스 메흐메드 파샤 사후 11일 만이다.
- 2월 11일 -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페르시아 만에서 벌어진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전 중 하나가 호르무즈 해협에서 발생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영국 동인도 회사의 함대가 페르시아를 포르투갈령 인도 식민지의 선박 공격으로부터 방어했다.
- 2월 - 소비즈 공작 지휘하의 위그노 군대가 레 섬을 점령했다.
- 3월 21일 - 제임스 어셔가 아마 대주교이자 아일랜드 전체의 수석 주교로 임명되었다.
- 3월 27일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찰스 1세가 그의 아버지 제임스 6세 겸 1세의 사후 왕위를 계승했다.
- 3월 27일 - 찰스 1세, 영국 국왕으로 즉위.[1]
- 3월 28일~4월 24일 - 제1차 사보이아 전쟁 – 제노바 구원: 스페인 함대가 프랑스-사보이아 연합군의 제노바 점령을 극복하고 제노바 공화국을 지원했다.
- 4월 4일 - 오라녜 공 프레드릭 헨리(Frederick Henry, Prince of Orange)가 졸름스-브라운펠스 백작 부인 아말리아(Amalia, Countess von Solms-Braunfels)와 결혼했다.
- 4월 7일 -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Albrecht von Wallenstein)이 독일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 4월 23일 -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Stadtholder)인 나소의 마우리츠(Maurice of Nassau)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인 오라녜 공 프레드릭 헨리(Frederick Henry, Prince of Orange)가 계승했다.
- 5월 1일 - 포르투갈-스페인 연합군이 네덜란드로부터 살바도르(Salvador, Bahia)(바이아(Bahia))를 탈환했다(바이아 탈환).
- 5월 15일~16일 - 오스트리아 상부(Upper Austria)의 포클라마르크트(Vocklamarkt)에서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 6월 2일 - 프레드릭 헨리 공이 홀란트(Holland)와 제일란트(Zeeland)의 총독으로 취임했다.
- 6월 5일 - 80년 전쟁: 암브로지오 스피놀라(Ambrogio Spinola, 1st Marquis of the Balbases)휘하 스페인(Spain)군이 9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브레다(Breda)를 함락시켰다.
- 6월 13일 - 잉글랜드(Kingdom of England)의 찰스 1세가 캔터베리에서 프랑스와 나바르의 앙리에트 마리 공주(Henrietta Maria of France and Navarre)와 결혼했다.[1]
- 6월 18일 - 잉글랜드 의회(Parliament)가 찰스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관세징수권을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1년으로 제한했다.
- 7월 - 바르바리 해적들이 영국 남서부를 처음 공격하였다. 8월에는 콘월의 마운츠 베이에서 약 60명을 노예로 잡아갔다.
- 8월 6일 - 나사우-디츠 백작 에르네스트 카지미르가 흐로닝언주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 8월 16일 - 나사우-디츠 백작 에르네스트 카지미르가 드렌테주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 9월 8일 - 사우스햄프턴 조약으로 영국과 네덜란드 공화국이 스페인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다.
- 9월 15일 - 그 전날 여러 차례의 소규모 충돌이 있은 후, 토이라스 후작 지휘하의 군대가 레 섬 공방전에서 성공적으로 레 섬을 탈환하여 수비즈 공작 뱅자맹 드 로앙을 영국으로 도피하게 만들었고, 위그노 반란(제2차 위그노 반란)을 종식시켰다.
- 9월 24일 - 네덜란드 함대가 1625년 산후안 전투에서 푸에르토리코의 산후안을 공격하였다.
- 10월 25일 - 네덜란드 함대가 현 가나의 엘미나에 있는 포르투갈 수비대를 공격했지만( 엘미나 성 전투) 큰 피해를 입고 패배했다. 이 패배는 바이아와 푸에르토리코에서의 패배와 함께 스페인과 포르투갈 식민지에 대한 네덜란드의 공격을 5년간 잠재우게 된다.
- 11월 1일~11월 7일 - 카디스 원정: 조지 빌리어스( 조지 빌리어스 ) 제독이 이끄는 영국군(10월 8일 플리머스에서 출발)이 카디스에서 스페인군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했다.
- 12월 9일 - 30년 전쟁: 네덜란드와 잉글랜드가 헤이그 조약에 서명했다. 이 군사 평화 조약은 독일에서의 군사 작전 중인 크리스티안 4세( 덴마크-노르웨이 크리스티안 4세) 국왕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네덜란드인들이 맨해튼에 정착하여 뉴암스테르담 마을을 건설했다. 이 마을은 나중에 뉴욕시의 일부가 된다.[7]
- 잉글랜드에서 사상 최고 수위를 기록한 폭풍 해일이 발생하여 템스강의 제방이 무너지고, 켄트주, 에식스주, 링컨셔주의 해안 방벽이 붕괴되어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8]
- 바베이도스에 영국 식민지가 건설되었다.[9]
- 예수회(Society of Jesus)의 첫 회원들이 캐나다 퀘벡으로 이주했다.
- 대략적인 연도 - 샤암 아-엠불(Shyaam a-Mbul)이 중앙 아프리카의 쿠바 왕국 통일을 시작했다.
-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4세가 30년 전쟁에 개입(덴마크-니더작센 전쟁, ~ 1629년).
- 네덜란드가 뉴암스테르담 식민지를 건설.
- 스튜어트 왕조 찰스 1세 즉위.
- 그로티우스가 『전쟁과 평화의 법』을 간행하여 최초로 국제법을 제창.
3. 3. 기타 지역
- 1월 17일 – 소비즈 공작이 이끄는 위그노들이 루이 13세에 맞서 두 번째 반란을 일으키며, 블라베에서 프랑스 함대를 기습 공격했다. (블라베 전투)[7]
- 2월 3일 – 프란체스카 카치니의 오페라 ''루제로의 해방''이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초연되었다.
- 2월 6일 – 보기슬라프 14세가 마지막 포메라니아 공작이 되었다.
- 2월 8일 – 무라드 4세 술탄에 의해 하피즈 아흐메드 파샤가 그랜드 베지어로 임명되었다.
- 2월 11일 –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중 호르무즈 해협에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영국 동인도 회사의 함대가 페르시아를 포르투갈령 인도 식민지의 선박 공격으로부터 방어했다.
- 2월 – 소비즈 공작 지휘하의 위그노 군대가 레 섬을 점령했다.
- 3월 21일 – 제임스 어셔가 아마 대주교이자 아일랜드 전체의 수석 주교로 임명되었다.
- 3월 25일 – 마르트코피 전투: 사파비 왕조가 조지아에서 패배했다.
- 3월 27일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찰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3월 28일~4월 24일 – 제1차 사보이아 전쟁 – 제노바 구원: 스페인 함대가 프랑스-사보이아 연합군의 제노바 점령을 극복하고 제노바 공화국을 지원했다.
- 네덜란드인들이 맨해튼에 정착하여 뉴암스테르담 마을을 건설했다. 이 마을은 나중에 뉴욕시의 일부가 된다.[7]
- 마다가스카르의 수도 안타나나리보가 안드리안자카(Andrianjaka) 왕에 의해 건설되었다.
- 잉글랜드에서 폭풍 해일이 발생하여 템스강의 제방이 무너지고, 켄트주, 에식스주, 링컨셔주의 해안 방벽이 붕괴되어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8]
- 바베이도스에 영국 식민지가 건설된다.[9]
- 예수회(Society of Jesus)의 첫 회원들이 캐나다 퀘벡으로 이주한다.
- 샤암 아-엠불(Shyaam a-Mbul)이 중앙 아프리카의 쿠바 왕국 통일을 시작했다.
-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4세가 30년 전쟁에 개입했다.(덴마크-니더작센 전쟁, ~ 1629년).
- 후금이 심양(성경)으로 천도했다.
- 그로티우스가 『전쟁과 평화의 법』을 간행하여 최초로 국제법을 제창했다.
4. 탄생



1625년에는 여러 উল্লেখযোগ্য 인물들이 태어났다.
- 기타무라 키긴(1월 19일) - 일본의 가인, 하이쿠 시인
- 조반니 카시니(6월 8일) -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요한 드 위트(9월 24일) - 네덜란드의 정치가
- 파울루스 포터(11월 20일) - 네덜란드의 화가
- 류생 겐포 - 일본의 검술가, 신음류 제5대 도장
그 외 서양의 탄생 인물들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동아시아
4. 2. 서양
- 1월 29일 - 티엘레만 야코프 판 브라흐트(Thieleman J. van Braght), 네덜란드 재침례파 작가 (1664년 사망)
- 2월 1일 - 벨덴츠 변경백 레오폴트 루이스(Leopold Louis, Count Palatine of Veldenz), 독일 귀족 (1694년 사망)
- 2월 9일 - 립페 백작 욥스트 헤르만(Jobst Herman, Count of Lippe), 슈테른베르크와 슈발렌베르크 백작 (1678년 사망)
- 2월 14일 - 츠바이브뤼켄의 팔츠 공녀 마리아 에우프로시네(Countess Palatine Maria Eufrosyne of Zweibrücken), 스웨덴 공주 (1687년 사망)
- 2월 18일 - 조반니 주세페 코사티니(Giovanni Giuseppe Cosattini), 이탈리아 화가 (1699년 사망)
- 2월 21일 - 요한 후이데코퍼 2세(Joan Huydecoper II), 네덜란드 시장 (1704년 사망)
- 3월 1일 - 윌리엄 그레고리(William Gregory), 잉글랜드 정치인이자 판사 (1696년 사망)
- 3월 14일 - 다니엘 지타르(Daniel Gittard), 프랑스 건축가 (1686년 사망)
- 3월 25일
- * 앤 팬쇼 부인(Ann, Lady Fanshawe), 잉글랜드 회고록 작가 (1680년 사망)
- * 존 콜린스(John Collins), 잉글랜드 수학자 (1683년 사망)
- 4월 4일 - 존 드레이크 경(Sir John Drake, 1st Baronet), 잉글랜드 국회의원 (1669년 사망)
- 4월 5일 - 도메니코 마리아 카누티(Domenico Maria Canuti),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화가 (1684년 사망)
- 4월 18일 - 존 베이벌 경(Sir John Baber), 찰스 2세의 잉글랜드 의사 (1704년 사망)
- 4월 25일 - 브런스비크-뤼네부르크 공작 요한 프리드리히(John Frederick, Duke of Brunswick-Lüneburg), 브런스비크-칼렌베르크 공작 (1665–1679) (1679년 사망)
- 5월 9일 - 조지 피트(George Pitt), 잉글랜드 정치인 (1694년 사망)
- 5월 11일 - 엘리자베트 마리 애울스 공녀(Elisabeth Marie, Duchess of Oels), 애울스 섭정 (1664–1672) (1686년 사망)
- 5월 13일 - 카를로 마라타(Carlo Maratta), 이탈리아 화가 (1713년 사망)
- 5월 23일 - 나사우-오트바일러 백작 요한 루이스(John Louis, Count of Nassau-Ottweiler) (1690년 사망)
- 5월 25일
- * 존 데이비스(John Davies), 웨일스 번역가이자 작가 (1693년 사망)
- * 가스파르 텔레스-히론(Gaspar Téllez-Girón, 5th Duke de Osuna), 스페인 공작 (1694년 사망)
- 6월 8일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Giovanni Domenico Cassini), 이탈리아 천문학자이자 기술자 (1712년 사망)
- 6월 10일 - 야노시 아파차이 체레(János Apáczai Csere), 헝가리 수학자 (1659년 사망)
- 6월 16일 - 사뮤엘 샤푸조(Samuel Chappuzeau), 프랑스 학자 (1701년 사망)
- 6월 17일 - 페데르 한센 레센(Peder Hansen Resen), 덴마크 역사가 (1688년 사망)
- 6월 22일 - 헨리 크롬웰-윌리엄스(Henry Cromwell-Williams), 잉글랜드 정치인 (1673년 사망)
- 6월 23일 - 존 펠(John Fell), 잉글랜드 교회인이자 영향력 있는 학자 (1686년 사망)
- 9월 24일 - 요한 드 위트(요한 데 비트), 네덜란드의 정치가 (1672년 사망)
- 11월 20일 - 파울루스 포터(파울뤼스 포테르), 네덜란드의 화가 (1654년 사망)
5. 사망
1625년에 사망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1월 5일 - 시몬 마리우스(1573년 출생), 독일 천문학자
- 1월 7일 - 루지에로 조반넬리(약 1560년 출생), 이탈리아 작곡가
- 1월 17일 - 마리아 돌고루코바(약 1601년 출생), 러시아 차르 미하일 1세의 첫 번째 배우자
- 1월 18일 - 존 패킹턴(1549년 출생), 잉글랜드 귀족
- 1월 23일 - 요한 3세 폰 리트베르크 백작(1566년 출생)
- 1월 27일 - 아드리아누스 발레리우스(약 1575년 출생), 네덜란드 국가(國歌) 작사가
- 1월 29일 - 야코프 그레처(1562년 출생), 독일 예수회 작가
- 1월/2월 - 로버트 커시먼(1577년 출생), 잉글랜드 플리머스 식민지 개척자[12]
- 2월 6일 - 폼머니아 공 필립 율리우스(1584년 출생)
- 2월 19일 - 아서 치체스터(1563년 출생), 잉글랜드 귀족

- 2월 26일
- * 안나 바사(1568년 출생), 폴란드와 스웨덴 공주
- * 예레미야(1556년 출생), 루마니아 태생 카푸친 수도회 평신도 형제, 이탈리아에서 수도회의 간호사로 평생을 봉직함
- 3월 2일 - 제임스 해밀턴(1589년 출생)
- 3월 26일 - 지암바티스타 마리노(1569년 출생), 이탈리아 시인
- 3월 28일 또는 3월 29일 - 안토니오 데 에레라 이 토르데시야스(1549년 출생), 스페인 역사가
- 4월 5일 - 안드레스 데 소토(1552년 출생), 프란체스코 수도회 설교가이자 영적 작가

- 4월 7일 - 아드리아안 반덴 스피겔(1578년 출생), 플랑드르의 의사, 해부학자

- 4월 10일 - 미카엘 데 산크티스(1591년 출생), 스페인의 삼위일체 수도회 사제
- 4월 15일 - 토마스 필드(1546년 출생), 아일랜드 예수회 사제
- 4월 16일 - 니콜라스 애시턴(1590년 출생), 잉글랜드 지주, 작가
- 4월 30일
- * 마르코 파시오네이(1560년 출생), 이탈리아 가톨릭, 소성 프란체스코 수도회 회원
- * 로렌스 탠필드(1551년 출생), 영국 정치인
- 5월 7일 - 존 개러드(1550년 출생), 런던 시장 (1601-1602)
- 5월 25일 - 윌리엄 바로우(1603년 출생), 영국 과학자
- 6월 1일 - 오노레 덩르페(1568년 출생), 프랑스 작가
- 7월 1일 – 테이무라즈 1세 무크라니 공(1572년 출생)
- 7월 19일 – 사무엘 베슬러(1574년 출생)
- 7월 26일 – 요하네스 피스카토르(1546년 출생)
- 8월 3일 – 루도비코 베르토니오(1552년 출생)
- 8월 14일 – 한스 로텐하머(1564년 출생)
- 8월 15일 – 메리 콜몬들리(1563년 출생)
- 8월 18일 – 에드워드 라 주슈, 제11대 주슈 남작(1556년 출생)

- 8월 19일 – 엔노 3세 동프리지아 백작(1563년 출생)
- 8월 29일 – 존 플레처(1579년 출생)
- 8월 30일 – 프로이센의 안나 공녀(1576년 출생)

- 9월 4일 – 토마스 스미스(1558년 출생)
- 9월 6일 – 토마스 뎀스터(1579년 출생)
- 9월 11일 – 찰스 몽태규(1564년 출생)
- 9월 14일
- * 피터르 이삭츠(1569년 출생)
- * 에드워드 메이휴(1569년 출생)
- 9월 19일 – 아이텔 프리드리히 폰 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1582년 출생)
- 9월 20일 – 하인리히 마이봄(1555년 출생)
- 9월 26일 – 에드워드 스태퍼드, 제4대 스태퍼드 남작(1572년 출생)
- 10월 1일 - 세자르 우댕(1560년 출생), 프랑스 번역가
- 10월 6일 - 앤서니 어비(1547년 출생), 잉글랜드 정치인
- 10월 22일 - 기카와 히로이에(1561년 출생), 일본 정치인
- 10월 24일
- * 프리드리히 작센알텐부르크 공작(1599년 출생),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작센바이마르 공작의 셋째 아들
- * 아브라함 슐케투스(1566년 출생), 독일 신학자
- 10월 25일 - 한스 미하엘 엘리아스 폰 오벤트라우트(1574년 출생), 30년 전쟁 당시 팔츠 기병대 장군
- 11월 3일 - 아담 굼펠차이머(1559년 출생), 독일 작곡가
- 11월 19일 - 요한 라인하르트 1세 하나우리히텐베르크 백작(1569년 출생)
- 12월 8일 - 크리스티나 홀슈타인고토르프 공녀(1573년 출생), 스웨덴 카를 9세 국왕의 왕비
- 12월 9일 - 우보 에미우스(1547년 출생), 네덜란드 역사가이자 지리학자
- 12월 16일 - 엘리자베트 헤세카셀 공녀, 메클렌부르크-귀츠로 공작부인(1596년 출생)
- 12월 27일 - 찰스 베일리(1542년 출생), 플랑드르 태생 스코틀랜드 교황 특사
- 리처드 파운스(1560년경 출생), 영국 신학자[14]
- 빌럼 쇼텐(1567년경 출생), 네덜란드 항해사 (바다에서 사망)
- 후안 데 라스 로엘라스(1558년경 출생), 스페인 화가
하위 섹션인 '동아시아'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언급한다.
- 2월 23일 - 나리세 마사나리, 오와리 번 가로
- 5월 26일 - 지(히데히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누이
- 6월 2일 - 모리 테루모토, 주고쿠 번 초대 번주
- 6월 5일 - 오랜드 기본스, 작곡가·오르가니스트
- 11월 16일 - 소포니스바 안귀솔라, 화가
- 3월 7일 - 요한 바이어, 천문학자
- 3월 27일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왕
- 4월 23일 - 오라니에 공 마우리츠, 네덜란드 총독
5. 1. 동아시아
- 2월 23일 (寛永 2년 1월 17일) - 나리세 마사나리(成瀬正成), 오와리 번 가로 (* 1567년)
- 3월 7일 -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천문학자 (* 1572년)
- 3월 27일 - 제임스 1세(James I), 잉글랜드 왕 (* 1566년)
- 4월 23일 - 오라니에 공 마우리츠(Maurits van Oranje-Nassau), 네덜란드 총독 (* 1567년)
- 5월 26일 (寛永 2년 4월 20일) - 지(히데히메)(智(日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누이 (* 1534년)
- 6월 2일 (寛永 2년 4월 27일) - 모리 테루모토(毛利輝元), 주고쿠 번 초대 번주 (* 1553년)
- 6월 5일 - 오랜드 기본스(Orlando Gibbons), 작곡가·오르가니스트 (* 1583년)
- 11월 16일 - 소포니스바 안귀솔라(Sofonisba Anguissola), 화가 (* 1532년)
5. 2. 서양
| 출생 |
|---|
| 사망 |
|---|
참조
[1]
서적
Debrett's Kings and Queens of Britain
https://books.google[...]
Salem House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3]
서적
Early Modern Wars 1500–1775
Amber Books Ltd
[4]
서적
White Gold
Hodder & Stoughton
[5]
서적
Islam in Britain, 1558-168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People's Chronology
Thomson Gale
[7]
웹사이트
The Battery Highlights : New York City Gov Parks
http://www.nycgovpar[...]
nycgovparks.org
2016-03-06
[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9]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10]
서적
Thomas Corneille: Protean Dramatist
https://books.google[...]
Mouton
[11]
서적
Dutch portraits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Museum Boymans-Van Beuningen
[12]
서적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Genealogy of the Cushmans: The Descendants of Robert Cushman, the Puritan, from the Year 1617 to 1855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13]
웹사이트
James I and VI
https://www.bbc.co.u[...]
2018-04-02
[14]
웹사이트
Fowns, Richard (추가 정보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