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테르 파울 루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1577년 독일에서 태어난 플랑드르의 화가이자 외교관이다. 그는 반종교 개혁 회화의 주요 인물로, 이탈리아 유학을 통해 르네상스 미술을 접하며 화풍을 발전시켰다. 안트베르펜에서 활동하며 대규모 작업실을 운영, 수많은 제자와 협력자들과 함께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루벤스는 종교화, 신화, 초상화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특히 육감적인 여성 묘사로 '루벤스 풍'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낼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외교관으로도 활동하며 여러 국가의 왕실과 교류했고,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기사 - 로드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
로드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는 엘 시드라고도 불리는 카스티야의 귀족,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레콩키스타 시기 용맹을 떨치며 "엘 시드"와 "캄페아도르"라는 칭호를 얻었고, 카스티야 왕국과 사라고사 타이파에서 활약하며 발렌시아를 정복 및 통치했으며 그의 생애는 여러 문학 및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인문학자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인문학자 -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의 선구자로, 자본주의, 도시화,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시하며 사회 불평등과 환경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사회비평가이다. - 역사화가 - 프랑수아기욤 메나조
프랑수아기욤 메나조는 1744년 런던에서 태어난 프랑스 화가로, 로마 대상을 수상하고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 이사직을 역임했으며, 웅장한 양식의 프랑스 회화를 추구하다가 1816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 역사화가 - 라파엘로 산치오
라파엘로 산치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건축가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와 함께 르네상스 3대 거장으로 꼽히며, 바티칸 궁전의 서명실 벽화, 《아테네 학당》, 《갈라테아의 승리》, 《시스티나의 성모》 등의 작품을 남겼다.
페테르 파울 루벤스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경(Sir) |
이름 | 피터 폴 루벤스 |
국적 | 플랑드르 |
출생일 | 1577년 6월 28일 |
출생지 | 지겐, 나사우 백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640년 5월 30일 |
사망지 | 안트베르펜, 스페인령 네덜란드 |
활동 분야 | 회화 드로잉 태피스트리 디자인 판화 디자인 |
사사 | 토비아스 페르하흐트 아담 판 노르트 오토 판 베인 |
영향 받은 예술가 | 미켈란젤로 티치아노 카라바조 피터르 브뤼헐 |
영향을 준 예술가 | 바토 들라크루아 |
결혼 및 가족 | |
배우자 | 이사벨라 브란트 (1609년 결혼, 1626년 사망) 헬레나 포우르멘트 (1630년 결혼) |
자녀 | 8명, 니콜라스와 알베르트 포함 |
부모 | 얀 루벤스 마리아 피펠링크스 |
서명 | |
![]() | |
기타 정보 | |
언어 | 네덜란드어: Peter Paul Rubens, Pieter Pauwel Rubens, Petrus Paulus Rubens |
관련 정보 | |
유파 | 플랑드르 바로크 |
2. 생애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1577년 독일 베스트팔렌의 지겐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안트베르펜 출신의 법률가 얀 루벤스와 마리아 파이펠링크스였으며, 아버지는 칼뱅주의자였다. 알바 공작의 개신교 박해를 피해 쾰른으로 이주했던 얀 루벤스는 오라녜 공 빌럼 1세의 두 번째 부인인 작센의 안나의 변호사 등을 맡았으나, 불륜으로 투옥된 후 루벤스가 태어났다. 1589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루벤스는 가족과 함께 안트베르펜으로 이주하여 가톨릭 학교에 다녔다. 종교는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훗날 가톨릭 반종교 개혁 미술의 대표적인 화가가 되었다.[70]
안트베르펜에서 루벤스는 인문학, 라틴어, 고전 문학을 배웠고, 14세에 토비아스 페르하흐트의 미술 실습생으로 들어갔다. 이후 아담 반 누트와 오토 판 빈에게서 미술을 배웠으며,[70] 1598년 성 루카 길드에서 조합장 및 교사직을 맡게 된다.[71]
1600년, 루벤스는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나 베네치아에서 티치아노, 베로네세, 틴토레토의 작품을 감상했다. 이후 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의 후원을 받으며 만토바에 정착했다. 1601년에는 피렌체와 로마를 방문하여 고전 예술작품과 이탈리아 거장들의 작품을 모작하며 공부했다.[73] 특히 헬레니즘 조각 라오콘 군상,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과 카라바조의 사실적인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73][74]
1603년, 루벤스는 외교 임무를 맡아 스페인으로 가서 펠리페 3세에게 선물을 전달하고, 펠리페 2세가 수집했던 라파엘로와 티치아노의 작품들을 감상했다.[75] 레르마 공작의 기마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1604년 이탈리아로 돌아와 만토바, 제노바에서 4년간 지내며 여러 초상화를 그렸고,[76] 1606년부터 1608년까지 로마에서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를 위해 제단화를 그렸다.[77]
1608년, 어머니의 병환 소식에 안트베르펜으로 돌아갔으나 도착 전에 어머니가 사망했다. 1609년, 오스트리아 대공 알베르트 7세와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라 클라라 에우제니아에 의해 궁정 화가[28]로 임명되었고, 안트베르펜에 작업실을 두고 다른 의뢰인들을 위해 일할 수 있도록 특별 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이자벨라 브란트와 결혼하여 도시와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1610년에는 자신이 직접 설계한 새 집과 작업실(현재 루벤스하우스)로 이사했다.
십자가를 세움 (1610), 십자가에서 내려옴 (1611–1614)과 같은 제단화는 루벤스가 플랑드르 최고의 화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 그는 판화 제작 사업을 시작하여 유럽 전역에 명성을 떨쳤다.[30]
1621년, 프랑스 왕태후 마리 드 메디시스는 뤽상부르 궁전 장식을 위해 루벤스에게 자신의 생애와 전 프랑스 왕 앙리 4세의 생애를 기념하는 연작 회화 2세트를 의뢰했다. 루벤스는 『마리 드 메디시스의 생애』 연작을 그렸으며,[33] 1세트는 1625년에 완성되었다.
1627년부터 1630년까지 루벤스는 스페인과 네덜란드에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 스페인과 잉글랜드 왕궁을 여러 번 왕래하며 외교 활동을 했다. 1624년에는 스페인 왕 펠리페 4세로부터, 1630년에는 잉글랜드 왕 찰스 1세로부터 각각 기사 작위를 받았다.[37][38] 1628년부터 1629년까지 마드리드에 머물면서 외교관으로서의 직무와 함께 회화 작품을 제작했고, 디에고 벨라스케스와 친교를 맺기도 했다.[40] 런던 체류 중에는 『마르스에게서 평화를 보호하는 미네르바(평화와 전쟁의 우화)』(1629)를 그려 찰스 1세에게 헌정했다.[41]
1630년, 첫 부인 이사벨라가 죽은 지 4년 후, 루벤스는 16세의 헬레나 푸르망과 결혼했다. 헬레나는 1630년대 이후 루벤스의 작품세계에 영감을 주었다. 1635년, 엘레위트 성을 구입하여 많은 시간을 보내며 풍경화를 그렸다.
루벤스는 통풍으로 1640년 5월 30일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안트베르펜의 성 야곱 교회에 안치되었다. 그는 이사벨라에게서 3명, 엘렌에게서 5명의 자녀를 두었다.
2. 1. 유년 시절 (1577-1599)
루벤스는 1577년 독일 베스트팔렌(Westfalen, 오늘날의 노트르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지겐이라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안트베르펜 출신의 법률가 얀 루벤스와 마리아 파이펠링크스였으며, 그의 아버지는 칼뱅주의자였다. 1568년, 알바 공작의 프로테스탄트(개신교) 박해와 종교적 소란을 피해 얀 루벤스와 마리아 파이펠링크스는 안트베르펜에서 쾰른으로 도망쳤다. 얀 루벤스는 오라녜 공 빌럼 1세의 두 번째 부인인 작센의 안나의 연인이자 변호사 및 고문직을 맡았으며, 1570년 그녀의 궁전에서 살게 되었다. 1577년, 얀 루벤스가 안나와의 불륜으로 투옥된 후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태어났다. 이듬해 루벤스 가족은 쾰른으로 이주했다. 1589년, 아버지가 죽은 지 2년 후, 루벤스는 형, 어머니와 함께 안트베르펜으로 이사했으며 라틴어를 가르치는 가톨릭 학교에 다녔다. 종교는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훗날 그는 가톨릭 반종교 개혁 미술 분야의 대표적인 화가가 되었다.[70]안트베르펜에서 루벤스는 인문학, 라틴어, 고전 문학을 배웠다. 14세에 토비아스 페르하흐트의 미술 실습생으로 일했으며, 이후 도시에서 유명했던 매너리즘 화가 아담 반 누트와 오토 판 빈에게서 미술을 배웠다.[70] 한스 홀바인이나 마르카토니오 레이몬디의 판화, 라파엘로 등 이전 시대 거장들의 작품을 모작하며 공부한 루벤스는 1598년 성 루카 길드에서 조합장 및 교사직을 맡게 된다.[71]


2. 2. 이탈리아에서의 삶 (1600-1608)
1600년, 루벤스는 르네상스 예술의 중심지인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났다. 그는 베네치아에 머물면서 티치아노, 베로네세, 틴토레토의 작품을 감상했다. 이후 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의 후원을 받으며 만토바에 정착했다. 베로니스와 틴토레토의 색감과 구도는 루벤스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성숙기 스타일은 티치아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72]1601년, 루벤스는 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의 후원으로 피렌체와 로마를 방문하여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 예술작품과 이탈리아 거장들의 작품을 모작하며 공부했다. 특히 헬레니즘 시대의 조각 라오콘 군상,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이 그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73] 또한, 그는 당시 큰 화제가 되었던 카라바조의 사실적인 작품에도 영향을 받았다. 루벤스는 카라바조의 ''그리스도의 매장''을 모작하고, 빈센조 백작에게 ''동정녀 마리아의 죽음'' (루브르 박물관)을 구입하라고 추천하기도 했다.[74] 또한 안트베르펜의 도미니칸 교회에 ''로자리오의 마돈나'' (빈 미술사 박물관)를 구입하는 것을 돕기도 했다. 로마에 머물면서 루벤스는 세 폭 제단화 ''St. Helena with the True Cross''를 완성하여 산타 크로체 인 제루살렘 성당에 봉헌했다.
1603년, 루벤스는 외교 임무를 맡아 스페인으로 가서 펠리페 3세에게 빈센조 백작의 선물을 전달했다. 스페인에서 그는 펠리페 2세가 수집했던 라파엘로와 티티안의 작품들을 감상했다.[75] 또한 레르마 공작의 기마 초상화를 그렸는데, 이 작품은 티치아노의 ''뮐베르크의 카를 5세'' (1548년작, 프라도 미술관)의 영향을 받았다.
1604년, 루벤스는 이탈리아로 돌아와 만토바, 제노바에서 4년간 지냈다. 제노바에서 그는 ''Marchesa Brigida Spinola-Doria'' (미국 국립 미술관) 등 여러 초상화를 그렸으며, 이 작품들은 훗날 안토니 반 다이크, 조슈아 레이놀즈, 토머스 게인즈버러에게 영향을 주었다.[76]
1606년부터 1608년까지 로마에 머물며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키에사 누오바)를 위해 제단화를 그렸다. 작품의 주제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성모 마리아와 그의 아들을 숭배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 첫 번째 작품은 한 폭에 그려졌으나, 세 폭에 그려진 두 번째 작품으로 교체되었으며, 중요한 축제일에 대중들에게 공개되었다.[77]
루벤스는 이탈리아에서 "Pietro Paolo Rubens"라는 서명을 사용하며 이탈리아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지만, 이베리아반도로 돌아가고 싶다는 그의 소망은 실현되지 못했다.[78]




프라도 미술관(마드리드)
스페인 귀족 레르마 공작의 초상화로, 루벤스가 처음 스페인을 방문했을 때의 작품.

키에자 누오바(로마)
키에자 누오바(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성당)의 주 제단화
2. 3. 안트베르펜에서의 삶 (1609-1621)
1608년 루벤스는 어머니가 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 안트베르펜으로 급히 돌아갔으나, 도착 전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그의 귀국은 1609년 4월 안트베르펜 조약 체결로 도시가 번영을 되찾고 12년 휴전이 시작된 시기와 일치했다. 1609년 9월, 루벤스는 오스트리아 대공 알베르트 7세와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라 클라라 에우제니아에 의해 궁정 화가[28]로 임명되었다.그는 브뤼셀 궁정 대신 안트베르펜에 작업실을 두고 다른 의뢰인들을 위해 일할 수 있도록 특별 허가를 받았다. 그는 1633년 사망할 때까지 대공비 이사벨라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으며, 화가로서 뿐만 아니라 대사와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다. 루벤스는 1609년 10월 3일, 안트베르펜의 저명한 시민이자 인문주의자인 얀 브란트의 딸인 이자벨라 브란트와 결혼하여 도시와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1610년, 루벤스는 자신이 직접 설계한 새 집과 작업실로 이사했다. 현재 루벤스하우스 박물관인 이 건물은 안트베르펜 중심부에 있는 이탈리아풍 저택으로, 그와 그의 제자들이 대부분의 그림을 제작하는 작업장이자, 그의 개인 미술품 컬렉션과 도서관을 수용하는 공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수많은 학생과 조수들을 둔 작업실을 만들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젊은 안토니 반 다이크였는데, 그는 곧 플랑드르 최고의 초상화가가 되었고 루벤스와 자주 협력했다. 그는 또한 도시에서 활동하는 많은 전문가들과 자주 협력했는데, 예를 들어 독수리를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1618년에 완성)에 기여한 동물 화가 프란스 스네이데르스와 그의 절친한 친구인 꽃 화가 얀 브뤼헐 더 아들레르가 있었다.


십자가를 세움 (1610) 및 십자가에서 내려옴 (1611–1614)과 같은 제단화는 루벤스가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플랑드르 최고의 화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특히 중요했다. 예를 들어, ''십자가를 세움''은 베네치아의 산 로코 대학교를 위해 제작된 틴토레토의 ''십자가형'', 미켈란젤로의 역동적인 인물, 그리고 루벤스 자신의 개인적인 스타일을 종합한 화가의 솜씨를 보여준다. 이 그림은 바로크 종교 미술의 대표적인 예로 여겨져 왔다.[29]

루벤스는 이 시기에 유럽 전역에 명성을 떨치기 위해 고대 거장의 판화와 책 표지를 제작했는데, 특히 그의 친구인 대규모 플랑탱-모레투스 출판사의 소유주인 발타자르 모레투스를 위해 제작했다. 1618년, 루벤스는 프랑스, 남부 네덜란드, 그리고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자신의 디자인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삼중 특권(저작권의 초기 형태)을 요청하여 판화 제작 사업을 시작했다.[30] 그는 루카스 포르스테르만에게 자신의 유명한 종교 및 신화 그림들을 판화로 제작하도록 하고, 루벤스는 남부 네덜란드, 네덜란드 공화국, 잉글랜드, 프랑스, 그리고 스페인의 저명한 개인들에게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헌사를 덧붙였다.[30] 몇 개의 에칭을 제외하고, 루벤스는 판화 제작을 루카스 포르스테르만, 파울루스 폰티우스, 빌렘 판네엘스 등을 포함한 전문가들에게 맡겼다.[31] 그는 크리스토펠 예거가 훈련시킨 많은 조각가들을 모집했는데, 그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더 활기찬 스타일에 대해 신중하게 교육을 시켰다. 루벤스는 또한 이 기술의 19세기 부흥 이전의 마지막 중요한 목판화를 디자인했다.[32]
2. 4. 마리 드 메디시스의 생애와 외교관 임무 (1621-1630)
1621년, 프랑스 왕태후 마리 드 메디시스는 파리의 뤽상부르 궁전 장식을 위해 자신의 생애와 1610년 사망한 전 프랑스 왕이자 남편인 앙리 4세의 생애를 기념하는 연작 회화 2세트를 루벤스에게 의뢰했다. 루벤스는 이 의뢰를 받아 현재 루브르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24점의 그림으로 구성된 『마리 드 메디시스의 생애』를 그렸으며, 1세트의 연작은 1625년에 완성되었다. 루벤스는 또 다른 세트의 연작 제작도 시작했지만 결국 미완성으로 끝났다.[33] 1630년, 마리 드 메디시스는 아들인 프랑스 왕 루이 13세에 의해 추방되었으며, 루벤스가 어린 시절에 살았던 쾰른의 저택에서 1642년에 사망했다.[34]
루브르 박물관(파리)
연작 『마리 드 메디시스의 생애』의 한 점. 왼쪽은 마리 드 메디시스의 장녀이자 프랑스 공주 엘리자베트 드 프랑스, 오른쪽은 스페인 공주 안나 마리아 마우리시아

1621년 네덜란드와 스페인 간의 12년간의 휴전이 끝나자, 스페인 합스부르크가의 군주들은 루벤스를 외교 임무에 중용하기 시작했다.[35] 1624년, 프랑스 대사가 브뤼셀에서 보낸 서신에는 "스페인 공주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를 가리킴)의 명령에 따라 루벤스가 폴란드 왕자의 초상화를 그리러 왔다"고 적혀 있다. 이 서신에 언급된 폴란드 왕자 브와디스와프 4세가 이사벨의 개인 손님 자격으로 브뤼셀을 방문한 것은 1624년 9월 2일이었다.[65][66]
1627년부터 1630년까지는 루벤스의 외교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이다. 루벤스는 스페인과 네덜란드에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 스페인과 잉글랜드의 왕궁을 여러 번 왕래했다. 또한, 루벤스는 화가이자 외교관의 역할을 겸하며 네덜란드 북부를 여러 번 방문했으며, 각지의 궁정에서 귀빈 대접을 받았다. 루벤스가 작위를 받은 것도 이 시기로, 1624년에는 스페인 왕 펠리페 4세로부터, 1630년에는 잉글랜드 왕 찰스 1세로부터 각각 기사 작위를 받았다. 또한 1629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37][38]

루벤스는 1628년부터 1629년까지 8개월 동안 마드리드에 머물면서 외교관으로서의 직무뿐만 아니라 스페인 왕 펠리페 4세 등의 의뢰에 따라 중요한 회화 작품을 제작했다. 이탈리아 시대에도 접했던 스페인 왕궁이 소장하고 있던 티치아노의 작품을 다시 접하고 『아담과 이브』 등 티치아노의 작품을 많이 모사했다.[39] 또한 루벤스는 펠리페 4세의 궁정 화가로 마드리드 왕궁에 있던 디에고 벨라스케스와 친교를 맺고 이듬해 두 사람이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루벤스는 결국 안트베르펜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고, 벨라스케스는 혼자 이탈리아를 방문했다.[40]
마드리드에서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온 루벤스는 곧 다른 임무를 부여받아 잉글랜드로 가서 1630년 4월까지 런던에 머물렀다. 이 런던 체류 중에 그린 중요한 작품은 『마르스에게서 평화를 보호하는 미네르바(평화와 전쟁의 우화)』(1629년, 내셔널 갤러리(런던))이다.[41] 평화를 간절히 바라는 루벤스의 강한 마음이 담긴 이 작품은 잉글랜드 왕 찰스 1세에게 헌정되었다.
여러 국가의 수집가와 귀족 계급 사이에서 루벤스의 국제적인 명성은 점점 높아졌지만, 루벤스와 그의 공방에서는 안트베르펜의 후원자로부터의 그림 주문도 계속 처리했다. 이러한 작품의 예로 성모 마리아 대성당의 『성모 승천』(1625년 - 1626년) 등을 들 수 있다.
2. 5. 노년기 (1630-1640)
루벤스는 노년기를 안트베르펜에서 보냈다. 그는 여전히 세계 각지의 고객에게 작품을 그려주었으며, 이 시기에는 이니고 존스가 설계한 화이트홀 궁전 뱅퀴팅 하우스의 천장화 등을 그렸다. 그러나 그는 자기 자신의 화가로서의 방향을 탐구하는 데에 더 몰두했다.1630년, 첫 부인 이사벨라가 죽은 지 4년 후, 53세였던 루벤스는 16세의 헬레나 푸르망과 결혼했다. 헬레나는 1630년대 이후 루벤스의 작품세계에 관능미에 대한 영감을 불어넣어주었고, 그는 이 영감을 살려 ''비너스의 향연'' (미술사 박물관 소장), 삼미신 (프라도 미술관 소장), ''파리스의 심판'' (프라도 미술관 소장)과 같은 작품을 남겼다. 스페인 왕실을 위해 그린 이후의 작품에서는 비너스의 모습에서 루벤스의 어린 아내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그의 아내를 그린 초상화 ''모피를 두른 엘렌 푸르망''에서 루벤스의 아내는 메디치 비너스를 연상시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1635년, 루벤스는 안트베르펜 밖에 있는 엘레위트 성을 구입하며 이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곳에서 그는 ''이른 아침의 스테인 성을 바라본 가을 풍경'' (내셔널 갤러리 소장), ''밭에서 돌아오는 농부들'' (피티 미술관 소장)과 같은 풍경화를 그렸다. 이렇듯 그의 후기 작품들은 화가 자신의 내면을 담아낸 것으로 보이는 작품이 많이 있다. 루벤스는 또한 대 피테르 브뢰겔의 네덜란드 고유 방식의 작풍에서 영감을 얻어 ''마을 축제'' (1630년경, 루브르 박물관 소장)를 그렸다.
루벤스는 통풍으로 1640년 5월 30일 62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시신은 안트베르펜의 성 야곱 교회에 안치되었다. 그는 일생 동안 8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3명은 이사벨라에게서, 5명은 엘렌에게서 태어났다. 가장 어린 자녀는 그가 죽었을 때 단지 8개월밖에 되지 않았다.
3. 작품
루벤스는 다작을 한 화가로 유명하다. 종교, 신화, 역사, 사냥 장면 등을 소재로 한 그림을 많이 그렸고, 친구와 자신의 초상화도 여럿 남겼다. 노년에는 풍경화를 주로 그렸다. 태피스트리나 판화를 디자인하고, 안트베르펜의 자택을 직접 설계하기도 했다. 1635년에는 오스트리아 페르디난드의 명으로 안트베르펜에서 Joyous Entry를 위한 실내 장식을 감독했다.
그의 작품은 생동감 넘치는 것이 특징이다. 힘찬 선, 풍부하고 화려한 색채, 웅대한 구도를 통해 야성적이고 관능적인 표현을 구사했다. 다만 역동성에 비해 세밀함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습 삼아 유화 스케치를 자주 했고, 나무 패널을 작품의 지지체로 사용한 대표적인 화가이다. 캔버스도 종종 사용했는데, 특히 작품을 멀리 운반해야 할 때 그랬다. 세 폭 제단화의 경우 반사광을 줄이기 위해 석판 위에 그리기도 했다.
루벤스는 풍만한 여성의 육체를 즐겨 묘사하여 'Rubensian', 'Rubenesque' 같은 신조어가 생겨났다. 'Rubensiaans'는 풍만한 여성을 뜻하는 네덜란드어 단어이다.
17세기 플랑드르파의 거장이자 바로크 회화의 대표 작가인 루벤스의 안트베르펜 저택은 현재 루벤스 미술관으로 보존되고 있다.
그의 성경 및 신화 관련 누드화는 특히 유명하다. 바로크 양식에 따라 여성을 부드러운 몸매의 수동적이고 성적인 존재로 묘사하여 다산, 욕망, 육체미, 유혹, 미덕 등의 개념을 강조했다.[45] 이 그림들은 남성 후원자들의 성적 매력을 위해 제작되었다고 보는 페미니스트들의 비판도 있지만,[45] 여성 누드는 수 세기 동안 유럽 예술의 전통적인 모티프였다. 마리 드 메디치 연작은 처녀, 배우자, 아내, 미망인, 섭정 등 고전적인 여성상을 다루고 있으며,[46] 여성 초상화에 이러한 도상을 포함시켜 여성 모델의 지위를 남성 모델과 동등하게 격상시켰다.[46]
루벤스의 남성 묘사는 여성과 정반대로, 매우 운동적이고 거대한 신화적, 성경적 남성을 표현한다. 대부분 부분 누드로 묘사되며, 허리띠, 갑옷, 그림자 등으로 완전 노출을 가린다. 이들은 꼬이고, 뻗고, 구부리고, 움켜쥐는 등 신체적, 공격적 행동을 보인다. 루벤스는 남성을 강력하고 유능하며 강제적이고 설득력 있는 존재로 묘사하며, 운동 능력, 성취, 용기, 시민 권위 등 고전적인 남성성을 언급한다.[47] 그의 그림 속 남성 원형은 영웅, 남편, 아버지, 시민 지도자, 왕, 전투에 지친 자 등이다.
『서양 미술사』에서 젠슨은 루벤스가 알브레히트 뒤러가 시작한 남북 유럽 미술 장벽 제거에는 성공했지만, 플랑드르 미술은 그의 압도적 존재감에 가려지게 되었다고 평가한다.
『플란다스의 개』에서 네로가 보고 싶어 한 안트베르펜 대성당의 『십자가에서 내려짐』, 『예수 승천』과 안트베르펜 대성당의 『성모 승천』[68] 모두 루벤스의 작품이다.
다음은 루벤스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초기 그림 | |||||
---|---|---|---|---|---|
-- | -- | -- | -- | -- | ![]() |
초상화 | |||||
---|---|---|---|---|---|
-- | -- | -- | -- | -- | -- |
풍경화 | |||||
---|---|---|---|---|---|
-- | -- | -- | -- | -- | -- |
신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헬레나 푸르망과 관련된 그림 | |||||
---|---|---|---|---|---|
-- | -- | -- | -- | -- | -- |
성경 속 장면 | |||||
---|---|---|---|---|---|
-- | -- | -- | -- | -- | -- |
드로잉 | |||||
---|---|---|---|---|---|
-- | -- | -- | -- | -- | -- |
3. 1. 화실
루벤스의 작업장에서 제작된 그림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루벤스가 직접 그린 그림, 둘째, 루벤스가 얼굴이나 손과 같은 부분만 그린 그림, 셋째, 루벤스가 지시하고 감독하여 그려진 작품이다. 루벤스는 당시 관습처럼 큰 화실에 여러 명의 견습생과 학생들을 두고 있었다. 그중에는 안토니 반 다이크도 있었으며, 그는 훗날 스승만큼이나 유명한 화가가 되었다. 루벤스는 또한 프란스 스나이더스나 야코브 요르다에스와 같은 다른 전문가에게 동물화나 정물화를 그려주는 계약을 맺기도 했다.[48]루벤스는 법원 화가였기 때문에 제자를 안트베르펜의 성 루카 길드에 등록할 필요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20명의 제자나 조수가 확인되었다.[48] 현존하는 기록만으로는 특정 인물이 루벤스의 작업장에서 제자 또는 조수였는지, 아니면 루벤스와 특정 작품에 대해 협력한 독립적인 거장 화가였는지 명확하지 않다. 야콥 무어만(Jacob Moerman)은 그의 제자로 등록되었으며, 빌렘 판넬스와 유스투스 판 에흐몬트는 길드의 기록에 루벤스의 조수로 등록되었다. 안토니 반 다이크는 안트베르펜에서 헨드릭 반 발렌에게 훈련을 받은 후 루벤스의 작업장에서 일했다.[48]
루벤스의 작업장과 관련된 제자, 조수, 협력자들은 다음과 같다.
- 아브라함 판 디펜베이크[48]
- 루카스 페이드허브[48]
- 루카스 프란초이스 더 영거[48]
- 니콜라스 판 데어 호르스트[48]
- 프란스 루이츠[48]
- 피터 판 몰[48]
- 데오다트 델 몬테[48]
- 코르넬리스 스휏[48]
- 에라스뮈스 퀘리누스 더 영거[48]
- 피터 소트만[48]
- 다비드 테니에르스 더 에ल्डर[48]
- 프란스 부터스[48]
- 얀 토마스 판 이페렌[48]
- 테오도르 판 툴덴[48]
- 빅토르 볼프보에트 (2세)[48]
그는 또한 동물, 풍경 또는 정물과 같은 요소를 대규모 구성에 포함하기 위해 전문 분야에 하청을 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동물 화가인 프란스 스나이더스와 폴 데 보스, 또는 야코브 요르다에스와 같은 다른 예술가에게 하청을 주었다. 그의 가장 빈번한 협력자 중 한 명은 얀 브뤼헐 더 에ल्डर였다.[48]
1615년부터 1625년까지 루벤스가 받는 제작 주문의 양은 혼자 처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 이 때문에 루벤스는 "황금의 공방"이라고 불리는 공방을 조직하여 쇄도하는 주문을 처리했다. 1621년에 이 공방을 방문한 오토 슈페를링은 "창문이 없는 넓은 방에서, 수 명의 젊은 화가들이 루벤스가 초크로 그린 데생에 색을 입히고, 최종 마무리를 루벤스가 하고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렇게 공방에서 완성된 그림은 루벤스의 작품으로 세상에 보내졌다. 그림의 가격은 루벤스가 관여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누가 어느 부분을 제작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공방의 대장에 명시되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작품 중에는 서명만 루벤스가 한 것도 존재한다.
"황금의 공방"에서 제작에 참여한 제자로는 얀 빌덴스, 파울 데 포스, 프란스 스네이데르스, 안토니 반 다이크, 야코프 요르다안스 등이 알려져 있다.
3. 2. 작품의 가치
2002년 7월 10일 소더비 경매에서 새로 발견된 루벤스의 작품 ''Massacre of the Innocents''가 케네스 톰슨에게 76200000USD에 팔렸다. 이는 소더비 경매 역사상 서양 고전 예술작품 중 가장 비싸게 팔린 작품으로 기록되었다.[91]2006년에는 새로 발견된 루벤스의 명작 ''The Calydonian Boar Hunt''(1611년 혹은 1612년)가 파리의 Getty Collection에 팔렸는데, 정확한 가격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작품은 고전 미술 작품 전문가가 밝혀내기 전까지 루벤스의 학생 작품으로 여겨졌다.[91]
2002년 7월 10일 소더비 경매에서 루벤스의 진작으로 감정된 『유아 학살』이 49500000GBP에 낙찰되었다.[69] 낙찰자는 캐나다 제2대 톰슨 오브 플리트 남작 케네스 로이 톰슨으로, 올드 마스터 작품에 붙은 가격으로는 당시 최고액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ubens
http://dictionary.re[...]
[2]
서적
The Visible world: Samuel van Hoogstraten's art theory and the legitimation of painting in the Dutch Golden Age
Amsterdam University Press
[3]
학위논문
Functies van doodverf met bijzondere aandacht voor de onderschildering en andere onderliggende stadia in het werk van P. P. Rubens
https://lirias.kuleu[...]
2005
[4]
문서
Frans Geffels, Rubens and the Palazzi di Genova
[5]
서적
Rubens: A Genius at Work : the Works of Peter Paul Rubens in the Royal Museums of Fine Arts of Belgium Reconsidered
Lannoo Uitgeverij
[6]
웹사이트
De moeder van Rubens. Biographische schets
https://www.dbnl.org[...]
1877
[7]
서적
A Century of Giants, A.D. 1500 to 1600: In an Age of Spiritual Genius, Western Christendom Shatters
Christian History Project
[8]
서적
Mad Princes of Renaissance German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96-01-22
[9]
문서
Lamster (2010), pp. 40-58
[10]
문서
White, Mr. Christopher (1987), p.3
[11]
웹사이트
Verhaecht, Tobias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5-29
[12]
서적
Rubens: A Portrait
Ivan R. Dee
2002-05-21
[13]
서적
Rubens: a portrait
New York
2002
[14]
문서
Held (1983): 14–35
[15]
웹사이트
Rubens’s Flemish Heritage
https://www.codart.n[...]
2013-10
[16]
문서
Belkin (1998): 22–38
[17]
서적
Peter Paul Rubens and the Counter-Reformation Crisis of the Beati modern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18]
문서
Belkin (1998): 42, 57
[19]
문서
Belkin (1998): 52–57
[20]
문서
Belkin (1998): 59
[21]
서적
Antwerpen Sint-Pauluskerk: Rubens En De Mysteries Van De Rozenkrans = Rubens Et Les Mystères Du Rosaire = Rubens and the Mysteries of the Rosary
Sint-Paulusvrienden
2004
[22]
학술지
The Medici Grand Duchy and Rubens' First Trip to Spain
[23]
문서
Belkin (1998): 71–73
[24]
문서
Belkin (1998): 75
[25]
문서
Jaffé (1977): 85–99; Belting (1994): 484–490, 554–556
[26]
학술지
Philip and Peter Paul Rubens in Rome: newly discovered documents concerning their early careers
2019-02
[27]
문서
Belkin (1998): 95
[28]
서적
21. Patronage, painting and faction. Rubens, the Archducal Court and its network from the Franche-Comté
http://books.openedi[...]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he-Comté
2024-05-16
[29]
문서
Martin (1977): 109
[30]
학술지
Commerce and Connections: Peter Paul Rubens and the Dedicated Print
[31]
문서
Pauw-De Veen (1977): 243–251
[32]
서적
Prints and People
Metropolitan Museum of Art/Princeton
1971
[33]
문서
Belkin (1998): 175; 192; Held (1975): 218–233, esp. pp. 222–225
[34]
문서
Belkin (1998): 173–175
[35]
문서
Belkin (1998): 199–228
[36]
문서
Auwers
[37]
문서
Auwers
[38]
서적
Belkin
[39]
서적
Belkin
[40]
서적
Belkin
[41]
웹사이트
Minerva protects Pax from Mars ('Peace and War')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10-10-15
[42]
서적
St. Jacob's Antwerp Art and Counter Reformation in Rubens's Parish Church
Brill
[43]
문서
Antwerpen – Parochiekerken; 1. Afdeeling, Volume 1
[44]
웹사이트
The Full text of the epitaph reads as follows
https://www.topa.be/[...]
[45]
간행물
Review of Nead, Lynda, The Female Nude: Art, Obscenity, and Sexuality
1995-04-01
[46]
간행물
Rubens's France: Gender and Personification in the Marie de Médicis Cycle
[47]
웹사이트
Gender in Art – Dictionary definition of Gender in Art
http://www.encyclope[...]
2016-03-05
[48]
문서
Rubens and his Studio: Defining the Problem. in Rubens: a Genius at Work
Lannoo
[49]
웹사이트
Early Rubens
https://ago.ca/exhib[...]
[50]
서적
A Catalogue Raisonné of the Works of the Most Eminent Dutch, Flemish, and French Painters: Peter Paul Rubens
https://books.google[...]
Smith
[51]
서적
Rubens, l'atelier du génie
https://books.google[...]
Lannoo Uitgeverij
[52]
서적
A catalogue raisonne of the works of the most eminent (...)
2014-06-08
[53]
서적
The Annual Register, Or, A View of the History, Politics, and Literature for the Year ...
https://books.google[...]
J. Dodsley
[54]
간행물
A Lost Crucifixion by Rubens
2014-06-08
[55]
간행물
The Gentleman's Magazine
[56]
문서
An examination of Hunting Scenes by Peter Paul Rubens
2014-06-07
[57]
뉴스
San Francisco Call 26 January 1908
http://cdnc.ucr.edu/[...]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58]
서적
Drawn by the Brush: Oil Sketches by Peter Paul Ruben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59]
간행물
A Partial Guide to the Tools of Art Vandalism
http://www.cabinetma[...]
[60]
뉴스
Lost Rubens portrait of James I's 'lover' is rediscovered in Glasgow
https://www.theguard[...]
2017-09-26
[61]
웹사이트
Un Rubens, perdu depuis 400 ans, aurait été retrouvé en Écosse
https://www.lefigaro[...]
2017-09-27
[62]
웹사이트
Rubens' long-lost masterpiece exhibited in gallery as copy
https://www.chinadai[...]
2017-09-26
[63]
서적
中野京子と読み解く 名画の謎 対決篇
文藝春秋
[64]
서적
花と果実の美術館 名画の中の植物
八坂書房
[65]
웹사이트
Peter Paul Rubens
http://www.nndb.com/[...]
2008-08-27
[66]
웹사이트
Polonica
http://www.codart.nl[...]
2008-08-27
[67]
웹사이트
Minerva protects Pax from Mars ('Peace and War')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10-10-15
[68]
웹사이트
「フランダースの犬」に出てくるルーベンス作品
http://www.a-dog-of-[...]
《「フランダースの犬」情報センター》
2012-10-25
[69]
웹사이트
Thomson family buyer of $117-million painting
http://www.ctv.ca/se[...]
2007-10-22
[70]
서적
Held
[71]
서적
1998
[72]
서적
1998
[73]
서적
1998
[74]
서적
1998
[75]
서적
1998
[76]
서적
1998
[77]
서적
1977
[77]
서적
1994
[78]
서적
1998
[79]
서적
1977
[80]
서적
1977
[81]
서적
Prints and People
메트로폴리탄 미술 박물관/프린스턴
1971
[82]
서적
1998
[82]
서적
1975
[83]
서적
1998
[84]
서적
1998
[85]
웹인용
페테르 파울 루벤스
http://www.nndb.com/[...]
2008-08-27
[86]
웹인용
폴로니카(Polonica)
http://www.codart.nl[...]
2008-09-30
[87]
서적
1998
[88]
서적
1998
[89]
서적
1998
[90]
웹인용
'Minerva protects Pax from Mars ('Peace and War')'
http://www.nationalg[...]
2008-09-30
[91]
웹인용
Lost and found - the Rubens hunt scene that inspired them all - Times Online
http://www.timesonli[...]
2008-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