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포르체스코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포르체스코성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위치한 성으로, 14세기 비스콘티 가문에 의해 요새로 건설되었다. 이후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 의해 재건축되어 16-17세기에 걸쳐 유럽 유수의 요새로 확장되었으며, 나폴레옹 시대에 일부 파괴되었다가 1905년 루카 벨트라미에 의해 복원되었다. 현재는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며, 미켈란젤로의 론다니니의 피에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라노의 미술관 - 암브로시아나 도서관
    암브로시아나 도서관은 1609년 밀라노에 설립된 도서관으로, 반종교 개혁에 대응하고 가톨릭 학문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아틀란티코 코덱스》를 포함한 다양한 소장품과 미술관을 운영한다.
  • 이탈리아의 음악 박물관 - 카 벤드라민 칼레르지
    카 벤드라민 칼레르지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있는 르네상스 양식 궁전으로, 여러 소유주를 거쳐 현재 베네치아 카지노의 겨울 별관이자 바그너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가 사망한 장소이기도 하다.
  • 벽돌조 건축물 - 뵈르센
    뵈르센은 크리스티안 4세가 코펜하겐을 북유럽 무역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건설한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로, 덴마크 증권거래소로 사용되다 현재는 상공회의소 본사이며 독특한 용 모양 첨탑과 역사적 상징성으로 중요한 문화유산이었으나 2024년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재건 중이다.
  • 벽돌조 건축물 - 배재학당
    미국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에 설립한 배재학당은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 저명한 동문과 개혁적 교원들을 배출하며 민족의식 고취, 독립운동,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한국의 근대 교육 기관이다.
스포르체스코성
개요
필라레테 탑
필라레테 탑
원어명Castello Sforzesco
위치밀라노
국가이탈리아
소유밀라노 시
개방 여부박물관으로 공개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건축 및 역사
건축 시기1360년 - 1499년
건축가(정보 없음)
사용 종료1862년
복원건축가 루카 벨트라미에 의한 복원 (1891-1905)
기타 정보
용도(정보 없음)
과거 지휘관(정보 없음)
주둔군(정보 없음)
점유자(정보 없음)
전투(정보 없음)
사건(정보 없음)

2. 역사

14세기 후반, 비스콘티 가문은 순전히 방어적인 기능을 가진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2] 1354년, 대주교 지오반니 비스콘티는 3명의 조카에게 공국을 남겼다. 1360년에서 1370년 사이,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는 포르타 조비아성(Castello di Porta Giovia)이라고 불리는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는 도시 성곽 입구의 이름을 따랐다.[3] 이 지역은 로마 시대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밀라노가 서로마 제국의 수도였을 때 황제 근위병이 주둔했던 곳이다.

1358년부터 1370년경,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는 "Castello di Porta Giova (혹은 Porta Zubia)"라는 성을 건설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3] 이 성은 거성으로서 확장되었지만, 1447년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Aurea Repubblica Ambrosianait에 의해 파괴되었다.

1450년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비스콘티 가문의 거성을 개축하여 요새로 삼았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개조, 증축되어 유럽에서도 유수의 규모의 요새가 되었다. 1796년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일부 시설이 파괴되었지만, 1891년부터 1905년에 걸쳐 건축가 루카 벨트라미 등에 의해 복원되었다.

원래는 별 모양의 거대한 성곽이었지만, 현존하는 것은 원래 면적의 1/4 정도 이하이며, 나머지 부지는 공원이나 도로가 되었다. 현재 스포르체스코 성의 내부는 시립 박물관 (스포르체스코 성 박물관 ''Musei del Castello Sforzesco'')이 되었다.[4]

14세기, 중세 이탈리아 밀라노의 명문가 비스콘티 가문의 참주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에 의해[2], 인근 성벽 문 이름에서 유래한 "Castello di Porta Giova (혹은 Porta Zubia)"라는 성으로 건설 명령이 내려졌다.[3] . 이 성은 지안 갈레아초 비스콘티와 조반니 마리아, 필리포 마리아에 의해 확장되었다. 그 결과 200m 길이의 측면과 4개의 타워가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성이 되었으며, 도시를 향하고 있는 2개의 타워는 7m 두께의 경계벽으로 특히 인상적이었다. 이 건물은 비스콘티 왕조의 영구 거주지가 되었으나, 1447년 필리포 마리아 공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비스콘티 왕조가 단절된 후, 밀라노 귀족들에 의해 설립된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Aurea Repubblica Ambrosianait"에 의해 파괴되었다.[3]

1450년, 용병 대장이었던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비앙카 마리아 비스콘티의 남편으로서 밀라노를 장악한 후, 성의 재건축을 시작하여 자신의 거주지로 삼았다. 그는 고귀한 가문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신의 문장이 없어 비스콘티 가문의 문장을 계속 사용했다. 1452년 필라레테가 중앙 탑의 건축과 장식을 위해 고용되었으며, 이 탑은 현재까지도 필라레테의 탑(Torre del Filarete)이라고 불린다.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갈레아쪼 마리아가 권력을 승계하였고, 건축가 베네데토 펠리니(Benedetto Ferrini)에게 성의 건축을 계속하게 했다. 이 기간 동안 공작의 궁정 홀에서 프레스코화 작업이 시작되었는데, 그 중 가장 귀중한 사례는 보니파쵸 벰보가 작업한 공작의 예배당이다. 1476년, 보나 디 사보이아의 섭정 아래, 같은 이름의 탑이 세워졌다.

1494년 루도비코 일 모로가 권력을 잡았고, 성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베르나르디노 제날레와 베르나르디노 부티노네와 함께 공작궁의 여러 객실을 프레스코화한 작가)와 브라만테(아마도 이 성을 소위 덮힌 도로에 연결하는 작은 다리를 건설한) 같은 예술가의 작품을 통해 유럽에서 가장 풍부하고 호화로운 궁전 중 하나가 되었다.[4] 많은 화가들이 홀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위엄을 보여주는 프레스코화를 남겼다. 특히 레오나르도의 과일과 채소 그림은 1498년부터 Asse의 방(Sala delle Asse)에 남아 있지만, 완성되기 전에 프랑스에 의해 파괴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거대한 승마 기념물은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다.

그 후 몇 년 동안 성은 프랑스, 밀라노, 게르만 군대의 계속된 공격으로 손상되었다. "테나 글리아(tenaglia)"라고 불리는 길게 늘어 놓은 보루가 추가되었고, 이는 아마도 체사레 체사리아노에 의해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1521년에는 필라레테탑(Torre del Filarete)이 폭발했는데, 이는 탑이 병기창으로 사용된 후 프랑스 병사가 폭탄을 사고로 폭발시켰기 때문이다. 권력과 성으로 돌아온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는 요새를 재구성 및 확대하여 덴마크인 아내 크리스티나에게 호화로운 생활을 제공했다.

스페인 지배하에서, 성은 1535년 안토니오 데 레이바 총독 통치 시기에 왕궁으로서의 기능을 잃고 이베리아 군대의 주둔지인 새로운 요새가 되었다. 수비대는 스페인의 카스텔란이 이끄는 1000명에서 3000명에 이르는 유럽의 가장 큰 군대 중 하나였다. 1550년 빈센조 세레니의 도움을 받아 요새 강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수비 시스템은 처음에는 5각형, 이후에는 6각형으로 지어졌으며, 12개의 특별한 반달 모양이 추가되었다. 외부 방어는 총 길이 3km에 이르렀으며, 약 25.9 헥타르의 면적을 덮었다. 고대 프레스코화 객실은 가구 제조 및 식료품 저장실로 사용되었고, 안뜰에는 석조로 닭장이 지어졌다.

17세기 초, 도시와 성을 완전하게 분리한 도랑과 "덮힌 도로"의 작업이 완료되었다.

롬바르디아가 스페인에서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에 넘어가 사보이의 위대한 장군 유진의 통치하에 있을 때 성은 군사적 목적을 유지했다. 오스트리아 통치기의 유일한 예술적 기록은 다르미 광장의 오스트리아 군대의 수호자인 네포묵의 성 요한 동상이다.

1796년 나폴레옹이 이탈리아에 들어오자, 5월 9일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드 대공은 성에 2천명의 병사와 152개의 대포, 소총과 사료를 남겨둔 채 도시를 떠났다. 친 자코뱅파인 밀라노인들에 의한 공격이 실패하고, 5월 15일부터 6월 말까지 프랑스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나폴레옹은 처음에는 방어력을 회복하고 4000명의 수비대를 수용할 것을 명령했다. 1799년 4월에 다시 들어온 오스트리아-러시아 군대의 포위 공격을 받아야 했지만, 1년 후 마렝고 전투의 여파로 프랑스 통치가 다시 시작되었다.

1796년에 '고대 폭정'의 상징으로 해석되는 성의 철거를 요구하는 첫 번째 대중 청원서가 제출되었다. 1800년 6월 23일자 법령으로 나폴레옹은 총 철거를 명령했다. 철거는 180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측면 탑은 일부만, 스페인식 요새는 전부가 그 대상이 되었는데, 스포르차성의 밖에서는 민중의 기쁨을 볼 수 있었다.

건축가 안톨리니는 1801년 12개의 아트리움이 있고 포로 부오나파르테의 첫 번째 프로젝트로 둘러싸인 뚜렷한 신 고전적 형태의 성을 재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끝없는 일련의 기념비적인 공공 건물(목욕탕, 판테온, 국립 박물관, 증권 거래소, 극장, 세관)이 둘러싼 직경 약 570미터의 원형 광장으로, 이는 창고, 상점 및 개인 건물이 자리한 아케이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같은 해 7월 13일에 나폴레옹에 의해 거부당했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카노니카가 제안한 것으로, 단테가를 통해 직면하는 유일한 부분에 한정했으며, 뒷편의 넓은 지역은 군대의 광장으로 사용되었고, 몇 년 후 황제가 된 나폴레옹에게 헌정된 카뇰라의 작품인 아르코 델라 파체(평화의 문)가 있다.

몇 년 후인 1815년, 밀라노와 롬바르드-베네토 왕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벨레가르데의 오스트리아 지배하에서, 이 성은 장막, 통로, 감옥 및 배수로로 유명해졌으며, 1848년 밀라노의 반란(밀라노 5일) 동안 Radetzky 원수가 자신의 대포로 도시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내리면서 슬픈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탈리아 독립 전쟁의 비극적인 사건들에서 오스트리아는 얼마 동안 철수했으며, 밀라노 인들은 도시가 직면한 방어선의 일부를 해체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1859년 밀라노가 사보이의 지배하에, 그리고 1861년부터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자 민중은 성을 침범하고, 복수의 표식으로 약탈을 하였다.

약 20년 후 이 성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많은 밀라노인들은 수세기 동안 군사 멍에를 잊기 위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극도로 수익성 있는 주택가를 건설하기 위해 그것을 철거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역사를 우선시하는 문화가 지배적이었고 건축가 루카 벨라미(Luca Beltrami)는 성을 스포르차 영주 시대의 형태로 되돌리기 위한 목적으로 대규모 복원(거의 재건축)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1905년에 끝난 복원은 16세기의 그림을 기반으로 재건되었으며, 필라르테탑(Torre del Filarete)이 개장되었고, 몇 년 후 암살된 사보이의 움베르토 1세 왕에게 헌정되었다. 이 탑은 또한 새로운 단테가(Via Dante)의 전망을 구성한다.

오래된 군대 광장(piazza d'armi)에는 수백 종의 식물이 도시의 새로운 녹색 폐인, 영국 스타일로 조경된 정원인 셈피오네 공원(Sempione Park)에 심어 져 있다. 포로 부오나파르테(Foro Bonaparte)는 성 앞에 주거용으로 재건축되었다. 1450년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비스콘티 가문의 거성을 개축하여 요새로 삼은후,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개조, 증축되어 유럽에서도 유수의 규모의 요새가 되었다. 1796년 이 땅을 정복한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일부 시설이 파괴되었지만, 1891년부터 1905년에 걸쳐 건축가 루카 벨트라미/Luca Beltramiit 등에 의해 복원되었다.[4]

20세기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후 스포르체스코 성은 손상되고 개조되었다. 1990년대에는 대형 분수가 카스텔로 광장(Piazza Castello)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1960년대에 최초의 지하철 건설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해체되었던 이전의 분수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다. 2005년에 안뜰과 방들의 마지막 복원이 완료되었다.

2. 1. 전제

14세기 후반, 비스콘티 가문은 순전히 방어적인 기능을 가진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2] 1354년, 대주교 지오반니 비스콘티는 3명의 조카에게 공국을 남겼다. 1360년에서 1370년 사이,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포르타 조비아성(Castello di Porta Giovia)이라고 불리는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는 도시 성곽 입구의 이름을 따랐다.[3] 이 지역은 로마 시대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밀라노가 서로마 제국의 수도였을 때 황제 근위병이 주둔했던 곳이다.

1358년부터 1370년경,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는 "Castello di Porta Giova (혹은 Porta Zubia)"라는 성을 건설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3] 이 성은 거성으로서 확장되었지만, 1447년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다.

1450년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비스콘티 가문의 거성을 개축하여 요새로 삼았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개조, 증축되어 유럽에서도 유수의 규모의 요새가 되었다. 1796년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일부 시설이 파괴되었지만, 1891년부터 1905년에 걸쳐 건축가 루카 벨트라미 등에 의해 복원되었다.

원래는 별 모양의 거대한 성곽이었지만, 현존하는 것은 원래 면적의 1/4 정도 이하이며, 나머지 부지는 공원이나 도로가 되었다. 현재 스포르체스코 성의 내부는 시립 박물관 (스포르체스코 성 박물관 ''Musei del Castello Sforzesco'')이 되었다.[4]

2. 2. 비스콘티 가문과 스포르차 가문

14세기, 중세 이탈리아 밀라노의 명문가 비스콘티 가문의 참주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에 의해[2], 인근 성벽 문 이름에서 유래한 "Castello di Porta Giova (혹은 Porta Zubia)"라는 성으로 건설 명령이 내려졌다[3] . 이 성은 지안 갈레아초 비스콘티와 조반니 마리아, 필리포 마리아에 의해 확장되었다. 그 결과 200m 길이의 측면과 4개의 타워가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성이 되었으며, 도시를 향하고 있는 2개의 타워는 7m 두께의 경계벽으로 특히 인상적이었다. 이 건물은 비스콘티 왕조의 영구 거주지가 되었으나, 1447년 필리포 마리아 공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비스콘티 왕조가 단절된 후, 밀라노 귀족들에 의해 설립된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Aurea Repubblica Ambrosianait"에 의해 파괴되었다.[3]

1450년, 용병 대장이었던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비앙카 마리아 비스콘티의 남편으로서 밀라노를 장악한 후, 성의 재건축을 시작하여 자신의 거주지로 삼았다. 그는 고귀한 가문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신의 문장이 없어 비스콘티 가문의 문장을 계속 사용했다. 1452년 필라레테가 중앙 탑의 건축과 장식을 위해 고용되었으며, 이 탑은 현재까지도 필라레테의 탑(Torre del Filarete)이라고 불린다.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갈레아쪼 마리아가 권력을 승계하였고, 건축가 베네데토 펠리니(Benedetto Ferrini)에게 성의 건축을 계속하게 했다. 이 기간 동안 공작의 궁정 홀에서 프레스코화 작업이 시작되었는데, 그 중 가장 귀중한 사례는 보니파쵸 벰보가 작업한 공작의 예배당이다. 1476년, 보나 디 사보이아의 섭정 아래, 같은 이름의 탑이 세워졌다.

1494년 루도비코 일 모로가 권력을 잡았고, 성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베르나르디노 제날레와 베르나르디노 부티노네와 함께 공작궁의 여러 객실을 프레스코화한 작가)와 브라만테(아마도 이 성을 소위 덮힌 도로에 연결하는 작은 다리를 건설한) 같은 예술가의 작품을 통해 유럽에서 가장 풍부하고 호화로운 궁전 중 하나가 되었다.[4] 많은 화가들이 홀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위엄을 보여주는 프레스코화를 남겼다. 특히 레오나르도의 과일과 채소 그림은 1498년부터 Asse의 방(Sala delle Asse)에 남아 있지만, 완성되기 전에 프랑스에 의해 파괴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거대한 승마 기념물은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다.

그 후 몇 년 동안 성은 프랑스, 밀라노, 게르만 군대의 계속된 공격으로 손상되었다. "테나 글리아(tenaglia)"라고 불리는 길게 늘어 놓은 보루가 추가되었고, 이는 아마도 체사레 체사리아노에 의해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1521년에는 필라레테탑(Torre del Filarete)이 폭발했는데, 이는 탑이 병기창으로 사용된 후 프랑스 병사가 폭탄을 사고로 폭발시켰기 때문이다. 권력과 성으로 돌아온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는 요새를 재구성 및 확대하여 덴마크인 아내 크리스티나에게 호화로운 생활을 제공했다.

2. 3.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가문 통치

스페인 지배하에서, 성은 1535년 안토니오 데 레이바 총독 통치 시기에 왕궁으로서의 기능을 잃고 이베리아 군대의 주둔지인 새로운 요새가 되었다. 수비대는 스페인의 카스텔란이 이끄는 1000명에서 3000명에 이르는 유럽의 가장 큰 군대 중 하나였다. 1550년 빈센조 세레니의 도움을 받아 요새 강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수비 시스템은 처음에는 5각형, 이후에는 6각형으로 지어졌으며, 12개의 특별한 반달 모양이 추가되었다. 외부 방어는 총 길이 3km에 이르렀으며, 약 25.9 헥타르의 면적을 덮었다. 고대 프레스코화 객실은 가구 제조 및 식료품 저장실로 사용되었고, 안뜰에는 석조로 닭장이 지어졌다.

17세기 초, 도시와 성을 완전하게 분리한 도랑과 "덮힌 도로"의 작업이 완료되었다.

롬바르디아가 스페인에서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에 넘어가 사보이의 위대한 장군 유진의 통치하에 있을 때 성은 군사적 목적을 유지했다. 오스트리아 통치기의 유일한 예술적 기록은 다르미 광장의 오스트리아 군대의 수호자인 네포묵의 성 요한 동상이다.

2. 4. 나폴레옹 시대

1796년 나폴레옹이 이탈리아에 들어오자, 5월 9일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드 대공은 성에 2천명의 병사와 152개의 대포, 소총과 사료를 남겨둔 채 도시를 떠났다. 친 자코뱅파인 밀라노인들에 의한 공격이 실패하고, 5월 15일부터 6월 말까지 프랑스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나폴레옹은 처음에는 방어력을 회복하고 4000명의 수비대를 수용할 것을 명령했다. 1799년 4월에 다시 들어온 오스트리아-러시아 군대의 포위 공격을 받아야 했지만, 1년 후 마렝고 전투의 여파로 프랑스 통치가 다시 시작되었다.

1796년에 '고대 폭정'의 상징으로 해석되는 성의 철거를 요구하는 첫 번째 대중 청원서가 제출되었다. 1800년 6월 23일자 법령으로 나폴레옹은 총 철거를 명령했다. 철거는 180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측면 탑은 일부만, 스페인식 요새는 전부가 그 대상이 되었는데, 스포르차성의 밖에서는 민중의 기쁨을 볼 수 있었다.

건축가 안톨리니는 1801년 12개의 아트리움이 있고 포로 부오나파르테의 첫 번째 프로젝트로 둘러싸인 뚜렷한 신 고전적 형태의 성을 재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끝없는 일련의 기념비적인 공공 건물(목욕탕, 판테온, 국립 박물관, 증권 거래소, 극장, 세관)이 둘러싼 직경 약 570미터의 원형 광장으로, 이는 창고, 상점 및 개인 건물이 자리한 아케이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같은 해 7월 13일에 나폴레옹에 의해 거부당했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카노니카가 제안한 것으로, 단테가를 통해 직면하는 유일한 부분에 한정했으며, 뒷편의 넓은 지역은 군대의 광장으로 사용되었고, 몇 년 후 황제가 된 나폴레옹에게 헌정된 카뇰라의 작품인 아르코 델라 파체(평화의 문)가 있다.

2. 5. 나폴레옹 이후와 이탈리아 통일

몇 년 후인 1815년, 밀라노와 롬바르드-베네토 왕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벨레가르데의 오스트리아 지배하에서, 이 성은 장막, 통로, 감옥 및 배수로로 유명해졌으며, 1848년 밀라노의 반란(밀라노 5일) 동안 Radetzky 원수가 자신의 대포로 도시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내리면서 슬픈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탈리아 독립 전쟁의 비극적인 사건들에서 오스트리아는 얼마 동안 철수했으며, 밀라노 인들은 도시가 직면한 방어선의 일부를 해체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1859년 밀라노가 사보이의 지배하에, 그리고 1861년부터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자 민중은 성을 침범하고, 복수의 표식으로 약탈을 하였다.

약 20년 후 이 성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많은 밀라노인들은 수세기 동안 군사 멍에를 잊기 위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극도로 수익성 있는 주택가를 건설하기 위해 그것을 철거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역사를 우선시하는 문화가 지배적이었고 건축가 루카 벨라미(Luca Beltrami)는 성을 스포르차 영주 시대의 형태로 되돌리기 위한 목적으로 대규모 복원(거의 재건축)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1905년에 끝난 복원은 16세기의 그림을 기반으로 재건되었으며, 필라르테탑(Torre del Filarete)이 개장되었고, 몇 년 후 암살된 사보이의 움베르토 1세 왕에게 헌정되었다. 이 탑은 또한 새로운 단테가(Via Dante)의 전망을 구성한다.

오래된 군대 광장(piazza d'armi)에는 수백 종의 식물이 도시의 새로운 녹색 폐인, 영국 스타일로 조경된 정원인 셈피오네 공원(Sempione Park)에 심어 져 있다. 포로 부오나파르테(Foro Bonaparte)는 성 앞에 주거용으로 재건축되었다. 1450년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비스콘티 가문의 거성을 개축하여 요새로 삼은후,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개조, 증축되어 유럽에서도 유수의 규모의 요새가 되었다. 1796년 이 땅을 정복한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일부 시설이 파괴되었지만, 1891년부터 1905년에 걸쳐 건축가 루카 벨트라미/Luca Beltramiit 등에 의해 복원되었다.[4]

2. 6. 20세기와 현재

20세기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후 스포르체스코 성은 손상되고 개조되었다. 1990년대에는 대형 분수가 카스텔로 광장(Piazza Castello)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1960년대에 최초의 지하철 건설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해체되었던 이전의 분수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다. 2005년에 안뜰과 방들의 마지막 복원이 완료되었다.

3. 주요 소장품

현재 스포르체스코성은 '''시립 스포르체스코성 박물관'''(''Civici Musei d’Arte e Pinacoteca del Castello Sforzesco'')이라는 이름의 시립 박물관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 안드레아 만테냐의 ''트리불치오의 성모'',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를 포함한 예술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스포르체스코성은 고미술 박물관을 비롯하여 가구 박물관, 악기 박물관, 예술 작품 수집관, 이집트와 선사 시대 구획이 있는 고고학 박물관, 아킬레 베르타렐리 인쇄물 수집관 등 여러 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가 전시되어 있는 피에타 론다니니 미술관이 있다.

  • 스포르차 성 고대 미술관/The Museum of Ancient Art영어
  • 스포르차 성 회화관/Sforza Castle Pinacoteca영어
  • 밀라노 고대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 (Milan)영어
  • 밀라노 장식 예술 미술관/Applied Arts Collection (Milan)영어
  • 앤티크 가구・목조 조각 박물관/Antique Furniture & Wooden Sculpture Museum (Milan)영어
  • 스포르차 성 악기 박물관/Museum of Musical Instruments (Milan)영어
  • 트리불치아나 도서관/Biblioteca Trivulzianait

3. 1. 론다니니의 피에타 미술관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가 전시되어 있는 론다니니의 피에타 미술관이 있다.

3. 2. 스포르체스코 성 고대 미술관 (Museo D'arte Antica)

현재 스포르체스코성은 '''시립 스포르체스코성 박물관'''(''Civici Musei d’Arte e Pinacoteca del Castello Sforzesco'')이라는 이름의 시립 박물관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 안드레아 만테냐의 ''트리불치오의 성모'',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를 포함한 예술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스포르체스코성은 고미술 박물관, 가구 박물관, 악기 박물관, 예술 작품 수집관, 이집트와 선사 시대 구획이 있는 고고학 박물관, 아킬레 베르타렐리 인쇄물 수집관 등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3. 3. 스포르체스코 성 회화관 (Pinacoteca del Castello Sforzesco)

현재 스포르체스코성은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립 스포르체스코성 박물관'''(''Civici Musei d’Arte e Pinacoteca del Castello Sforzesco'')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 안드레아 만테냐의 ''트리불치오의 성모'',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를 포함한 예술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스포르체스코성은 고미술 박물관, 가구 박물관, 악기 박물관, 예술 작품 수집관, 이집트와 선사 시대 구획이 있는 고고학 박물관, 아킬레 베르타렐리 인쇄물 수집관 등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3. 4. 밀라노 고대 이집트 박물관 (Egyptian Museum (Milan))

스포르체스코성은 시립 박물관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 안드레아 만테냐의 ''트리불치오의 성모'',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를 포함한 예술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스포르체스코성에는 고미술 박물관, 가구 박물관, 악기 박물관, 예술 작품 수집관, 고고학 박물관, 아킬레 베르타렐리 인쇄물 수집관 등 여러 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고고학 박물관에는 이집트와 선사 시대 구획이 있다.

3. 5. 밀라노 장식 예술 미술관 (Applied Arts Collection (Milan))

스포르체스코성은 현재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밀라노 장식 예술 미술관을 포함한 다양한 박물관과 전시관이 있다. 밀라노 장식 예술 미술관은 이탈리아 밀라노의 스포르체스코성에 있는 여러 시민 박물관 중 하나이다.

3. 6. 앤티크 가구・목조 조각 박물관 (Antique Furniture & Wooden Sculpture Museum (Milan))

현재 스포르체스코성은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인 ''론다니니의 피에타'', 안드레아 만테냐의 ''트리불치오의 성모'',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를 포함한 예술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스포르체스코성은 고미술 박물관, 가구 박물관, 악기 박물관, 예술 작품 수집관, 이집트와 선사 시대 구획이 있는 고고학 박물관, 아킬레 베르타렐리 인쇄물 수집관 등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3. 7. 스포르체스코 성 악기 박물관 (Museum of Musical Instruments (Milan))

스포르체스코성은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박물관 중 하나로 악기 박물관이 있다.

3. 8. 트리불치아나 도서관 (Biblioteca Trivulziana)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트리불치아누스 코덱스''가 소장되어 있는 곳이다.

4. 갤러리(삭제)

wikitext

5. 성내 박물관(삭제)

스포르체스코성에는 여러 박물관과 미술관이 자리하고 있다.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론다니니를 소장한 론다니니의 피에타 미술관, 스포르차 성 고대 미술관, 스포르차 성 회화관, 밀라노 고대 이집트 박물관, 밀라노 장식 예술 미술관, 앤티크 가구・목조 조각 박물관, 스포르차 성 악기 박물관, 트리불치아나 도서관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伊和中辞典 小学館 1999-03-20
[2] 웹사이트 Page at icastelli.it http://www.icastelli[...]
[3] 서적 Guida Milano Touring Club Italiano 1985
[4] 뉴스 塗料の下に数百年眠っていたダビンチの絵 波乱の運命、やっと表に https://web.archive.[...] 201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