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1447년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사망 후 공화정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선포한 국가이다. 24명의 '자유의 사령관과 수호자들'로 구성된 정부는 베네치아와의 갈등, 주변 도시들의 이탈, 재정 위기에 직면했다. 용병대장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스포르차의 배신과 구엘프-기벨린 파벌 간의 갈등으로 혼란을 겪었다. 스포르차는 밀라노를 포위하여 기근을 초래했고, 1450년 시민들의 항복을 받아 스스로를 밀라노 공작으로 선언하며 공화국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라노의 역사 - 밀라노 공국
밀라노 공국은 비스콘티 가문의 지배를 거쳐 1395년 공작령으로 인정받아 발전했으나, 스포르차 가문 통치 후 이탈리아 전쟁에 휘말리며 여러 강대국의 지배를 받다가 나폴레옹에 의해 멸망,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 밀라노의 역사 - 밀라노 칙령
밀라노 칙령은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공표한 문서로, 로마 제국 내 모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기독교 재산 반환을 명시하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 15세기 이탈리아 - 피렌체 공의회
피렌체 공의회는 동서 교회의 재결합을 목표로 1438년 페라라에서 시작하여 1439년 피렌체로 이전되었으나, 신학적 쟁점과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인 연합은 이루지 못했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한 비잔티움 학자들의 유입과 교황의 권위 및 교회 개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문화적 영향을 남겼다. - 15세기 이탈리아 - 파치 음모
1478년 피렌체 대성당에서 파치 가문이 교황 식스토 4세의 지지하에 로렌초 데 메디치 형제를 암살하려 했으나 줄리아노만 사망하고 로렌초는 생존하여 메디치 가문의 권력만 공고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 이탈리아반도의 옛 나라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은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주도로 통일되어 건국되었으며, 자유주의 시대를 거쳐 파시스트 정권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국민투표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이탈리아반도의 옛 나라 - 로마 제국
로마 제국은 기원전 27년부터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이어진 고대 로마의 제국 시대로, 팍스 로마나 시대를 거쳐 다민족 국가로 성장했으나 분열과 멸망을 겪었으며, 법, 군사,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
일반 명칭 | 암브로시아 공화국 |
현지 명칭 (롬바르디아어) | Aurea Republega Ambrosiana |
현지 명칭 (이탈리아어) | Aurea Repubblica Ambrosiana |
![]() | |
![]() | |
상징 종류 | 인장 |
수도 | 밀라노 |
공용어 | 롬바르드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통화 | 솔도 |
![]() | |
역사 | |
존속 기간 | 1447년 – 1450년 |
이전 국가 | 밀라노 공국 |
이후 국가 | 밀라노 공국 |
설립 | 1447년 |
해체 | 1450년 |
정치 | |
정치 체제 | 집정 공화국 |
지도자 칭호 | 자유의 선장과 수호자 |
주요 구성원 | 안토니오 트리불치오 주교 카를로 곤차가 비탈리아노 1세 보로메오 |
임기 | 1447년–1450년 |
입법부 | 교구 의회 |
2. 역사
1447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공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이 시작되었다.[4] 밀라노 시민들은 아라곤의 알폰소 5세 등 여러 왕위 계승자들 대신 공화정을 선택했다. 안토니오 트리불지오 등의 주도로 봉기가 일어나, 4세기 밀라노 주교이자 수호성인인 성 암브로시우스의 이름을 딴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이 선포되었다.[5][6][7] 24명의 '자유의 사령관과 수호자들'이 선출되어 공화국을 이끌었다.[8][9]
그러나 주변 강국들은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고,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이 계속되었다. 파비아 등 여러 도시들이 이탈하고 재정 위기까지 겹치자, 공화국은 용병대장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의지하게 되었다.[11][12] 스포르차는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그의 세력 확장을 두려워한 공화국 지도자들은 그를 경계했다.[17][18]
결국 스포르차는 1448년 베네치아 공화국과 밀약을 맺고 공화국을 배신했다.[22][23] 밀라노 내부에서는 구엘프(교황파)와 기벨린(황제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구엘프파 지도자 카를로 곤차가는 기벨린파를 탄압하고 학살했다.[26][27][28]
사보이의 루이의 침략과 스포르차 부대 내 배신 등 혼란 속에서, 기벨린파는 다시 권력을 잡았지만 곧 구엘프파에게 축출되었다.[29][30][31]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밀라노를 포위하고, 크레마를 점령하는 등 압박을 가했다.[33][34] 베네치아 공화국은 스포르차의 세력 확장을 우려하여 공화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스포르차는 이를 거부하고 투쟁을 계속했다.[35]
결국 1450년 기근에 지친 밀라노에서 쿠데타가 일어나고, 시민들은 스포르차에게 항복했다.[39][40][41] 스포르차는 스스로를 ''capitano del popolo''(민중의 수장)이자 밀라노 공작으로 선언하고, 관용을 베풀어 민심을 얻었다.[42]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3년 동안 존속하면서 롬바르디아는 1447년 보스코 마렌고 전투에서 프랑스를 격파했고[46], 1448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카라바조 전투에서 격파하는 등 두 번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귀족 세력 때문에 공화국 유지가 어렵다고 평했다.[47] 스포르차는 밀라노 공국을 재건하고,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오랜 전쟁 끝에 1454년 로디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지배권을 확립했다.[45]
2. 1. 성립 배경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1447년 8월 13일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밀라노 공국은 혼란에 빠졌다.[4] 여러 인물들이 밀라노 공작 자리를 두고 경쟁했다.후보 | 자격 및 배경 |
---|---|
아라곤의 알폰소 5세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유언에 따른 후계자 |
오를레앙 공작 샤를 | 필리포 마리아의 이복 누이 발렌티나 비스콘티의 조카 |
합스부르크 가문의 알베르트와 지기스문트 공작 | 필리포 마리아의 사촌이자 베르나보 비스콘티의 증손자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 | 교황의 지지를 받았으며, 공국의 남성 상속자가 끊어지면 공국이 제국에 귀속된다고 주장 |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 필리포 마리아의 사위 (사생아 딸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 |
밀라노 시민들은 아라곤의 알폰소 5세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를 가장 지지했다.
브라체스키 가문(아라곤 왕 지지자)은 필리포 마리아 공작 사망 당일 밤 도시를 장악하려 했으나,[4] 파비아 법학대학 등 학술 단체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번영을 본 상인들은 공화정을 원했다.[4]
1447년 8월 14일 아침, 안토니오 트리불지오, 조르지오 람푸냐노, 인노첸초 코타, 테오도로 보시 등의 주도로 시민 봉기가 일어났다.[5][6] 이들은 코뮌 궁전 뒤에서 공화국을 선포하고, 4세기 밀라노 주교이자 수호성인인 성 암브로시우스의 이름을 따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이라 칭했다.[5][7] 옛 헌법을 수정하고, 24명의 ''Capitani e difensori della libertà'' (자유의 사령관과 수호자들)를 선출했다.[8][9]
2. 2. 초기 상황 (1447년-1448년)
1447년 8월 13일,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밀라노는 혼란에 빠졌다.[4] 아라곤의 알폰소 5세 등 여러 왕위 계승자들이 있었지만, 밀라노 시민들은 공화국을 세우기로 결정했다.브라체스키 가문 등 알폰소 지지자들은 도시를 장악하려 했으나, 안토니오 트리불지오를 비롯한 공화주의자들의 선동으로 시민들이 봉기했다.[5][6] 이들은 코뮌 궁전 뒤에서 공화국을 선포하고, 4세기의 밀라노 주교이자 수호성인인 성 암브로시우스의 이름을 따서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이라 칭했다.[5][7] 옛 헌법을 수정하여 24명의 '자유의 사령관과 수호자들'을 선출했다.[8][9]
그러나 주변 권력자들은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고, 베네치아 공화국은 전쟁을 계속했다. 파비아, 로디, 피아첸차 등 여러 도시가 독립하거나 이탈하면서 공화국은 위기에 처했다.[10] 재정 위기까지 겹치자, 밀라노는 용병대장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1][12]
스포르차는 파비아를 점령하고, 포 강에서 피아첸차를 약탈하는 등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13][14] 밀라노 시민들은 스포르차의 세력 확장을 두려워했지만, 구엘프 세력은 베네치아와의 평화를 추진했다.[15] 그러나 기벨린 세력의 반발로 평화 협상은 결렬되었고, 스포르차는 아다 강 점령을 허가받았다.[15]
스포르차는 크레모나에서 베네치아 함대를 격파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지만, 공화국 지도자들은 여전히 그를 경계했다.[17][18]
2. 3. 스포르차의 배신과 구엘프-기벨린 갈등 (1448년-1449년)
스포르차는 공화국에 의해 브레시아 포위 공격에서 소환되었는데, 이는 그가 배신당했음을 의미했다. 그는 13,000 두카트와 밀라노 공국을 대가로 기아라다다, 크레마와 자신의 봉사를 베네치아에 넘기는 조약을 1448년 10월 18일에 체결했다.[22][23] 이러한 배신으로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의 종말이 시작되었다. 여론은 스포르차를 지지했지만, 조르지오 람푸냐노의 연설로 인해 진정되었다. 공화국은 피치니노 형제를 다시 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스포르차만큼 유능하지는 못했다.[24]밀라노 내부에서는 범죄와 폭력이 만연했고, 정부 구성원들은 서로를 의심했다. 포데스타에게 절대적인 권력이 주어졌고,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벌금, 몰수, 국영 복권이 시행되었다.[25] 구엘프(교황파) 귀족들은 기벨린(황제파)들을 제치고 선출되어 공화국은 덜 민주적으로 변해갔다. 카를로 곤차가는 자신의 의지를 법으로 삼고 호화로운 생활을 했으며, 조반니 아피아니와 조반니 오소나의 지원을 받았다.[26] 곤차가는 관료들을 자신의 지지자들로 교체했고, 이에 람푸냐노를 포함한 기벨린들은 곤자가와 구엘프 정권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몄으나 발각되었다.[26] 곤자가는 람푸냐노와 보시를 처형하려 했다. 1449년 2월, 람푸냐노는 재판 없이 참수되었고, 보시는 고문을 받았다.[27] 이후 도시 내에서 기벨린들에 대한 학살이 벌어졌고, 비탈리아노 보로메오 등 소수만이 피신했다.[28] 살해된 사람들의 머리는 브로레토 광장의 창에 꽂혔다.[25]
한편, 사보이의 루이는 1449년 봄에 침략했고, 스포르차는 콜레오니를 보내 보르고마네로에서 그를 격파하여 불안정한 평화를 이끌었다.[29] 스포르차는 자신의 부대 내에서도 배신에 직면했고, 피치니노 형제는 몬차에 접근하여 밀라노에 반환했다.[30]
람푸냐노는 공화국의 순교자로 여겨졌다. 4월에 구엘프 지도부는 선거를 거부했고, 6월에 민중에 의해 강요받아 실시된 선거에서 기벨린 가문이 밀라노의 권력을 잡았다.[31] 그러나 구엘프에 대한 보복은 민중이 기벨린을 폭력적으로 몰아내고 극단적인 구엘프를 다시 세우는 결과를 낳았다. 곤자가는 스포르차와 화해를 시도하기 위해 밀라노를 떠나 크레마로 향했다.[32]
2. 4. 공화국의 종말 (1449년-1450년)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밀라노를 직접 함락하는 대신 포위하여 굶주림으로 항복시키기로 결정했다. 외곽 도시들을 잃으면서 밀라노는 기근을 겪었다.[33] 스포르차는 곤차가에게 크레마를 포기하면 토르토나를 주겠다고 제안했고, 곤차가는 이를 받아들여 지원을 받지 못한 크레마는 항복했다.[34]스포르차의 승리가 확실해 보이자, 밀라노의 동맹이었던 베네치아는 스포르차가 통치하는 밀라노가 더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베네치아는 스포르차 몰래 공화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 정복한 땅을 공화국에 양도하고 스포르차에게는 파비아, 크레모나, 피아첸차 등만 남겨두었다.[35] 스포르차는 조약을 받아들일 수 없어 투쟁을 지속하기로 했다. 평화를 확신한 밀라노인들은 자원을 소진했고, 스포르차는 밀라노가 곧 함락될 것이라 확신했다.[37] 그는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 휘하의 베네치아군을 격파하고 포위를 계속했다.[37]
스포르차는 도시 남동쪽 페스키에라 보로메오의 보로메오 성을 사령부로 선택했다.[38] 기근이 만연한 밀라노에서 가스파레 다 비메르카테 등은 1450년 2월 24일 쿠데타를 일으켰고, 밀라노 왕궁 계단에서 베네치아 대사 레오나르도 베니에리가 살해되었다.[39][40] 다음 날 시민들은 스포르차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했다.[41] 스포르차는 관대함으로 인기가 있었고,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을 나눠주며 도시의 헌신을 얻었다.[42]
1450년 3월 22일, 스포르차는 스스로를 ''capitano del popolo''(민중의 수장)로 선언하고, 아내의 권리에 의해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42] 그는 많은 고위 관리들의 직위를 유지시키고 보복에 관대하여 대중의 지지를 확보했다. 지도자들은 잠시 투옥되거나 추방되었지만 곧 사면되었고, 옛 적들에게 기사 작위를 수여하기도 했다.[43] 기벨린파는 안전하게 돌아와 호의를 되찾았다.[44]
3. 정부 구성
1447년 8월부터 6개월마다 선출된 Capitani e difensoriit ("수장과 방어자")는 도시의 최고 행정관으로서 정부를 담당했다.[8] 이들은 처음에는 24명이었으나 나중에 12명으로 줄었다.[48]
3. 1. 자유의 사령관과 수호자들
Capitani e difensoriit ( "수장과 방어자")는 1447년 8월부터 6개월마다 선출되어 도시의 최고 행정관으로서 정부를 담당했다.[8] 이들은 처음에는 24명이었으나 나중에 12명으로 줄었다.[48]초기 "자유의 사령관과 수호자들"은 다음과 같다:
4. 주요 인물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있었다.
-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당대 최고의 군사 지도자로 암브로시아 공화국의 사령관이었으나, 결국 공화국을 배신하고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공화국에 기여했지만, 권력을 얻기 위해 배신과 폭력을 사용했다.
- '''조르지오 람푸냐노''', '''인노첸초 코타''', '''테오도로 보시''': 람푸냐노는 스포르차 지지 여론을 진정시킬 만큼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으나, 카를로 곤차가 정권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미다 처형되었다. 코타와 보시는 람푸냐노와 함께 음모에 가담했다가 처형되었다.
- '''카를로 곤차가''': 인민의 사령관으로서 자신의 의지를 법으로 삼고 호화로운 생활을 했다. 람푸냐노 등의 음모를 발각하고 처형했지만, 결국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와 화해하고자 밀라노를 떠났다.
- '''가스파레 다 비메르카테''': 1450년 쿠데타를 일으켜 베네치아 대사를 살해하고, 시민들을 설득하여 스포르차에게 항복하게 했다.
4. 1.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당대 최고의 군사 지도자로, 밀라노 공화국은 그에게 사령관 지위와 브레시아를 제공하며 영입했다. 스포르차는 장인이 공작의 뒤를 잇기를 원했고 실제로 그렇게 계획했지만, 결국 그 지위를 수락했다.[12] 그는 파비아를 빠르게 점령했고, 공화국은 그에게 백작 칭호를 주며 이를 유지하도록 허용했다.[13] 스포르차는 파비아인들에게 세금 감면, 법률 존중, 도시 수리 등을 약속하며 민심을 얻었다.[13]
스포르차는 포 강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파비아를 기반으로 피아첸차를 공격, 대포를 사용하여 도시를 함락시키고 약탈했다.[14] 이 소식은 밀라노에서 환영받았지만, 동시에 밀라노인들은 강력해진 스포르차를 두려워하게 되었다.[15]
1448년, 스포르차에 반대하는 구엘프파가 정치적으로 두각을 나타냈고, 베네치아와 평화 협정을 맺으려 했다.[15] 그러나 스포르차는 아다 강 점령 허가를 받았고,[15] 크레모나에서 베네치아 함대를 격파하는 대승을 거두었다.[17] 밀라노 지도자들은 여전히 스포르차를 두려워하여 그를 카라바조 전투에 투입했고, 스포르차는 여기서도 베네치아 군대를 대파했다.[19][20]
그러나 밀라노의 스포르차 반대파들은 그를 배신하고, 브레시아 포위 공격에서 소환했다.[21] 스포르차는 이에 13,000 두카트와 밀라노 공국을 대가로 베네치아에 투항했다.[22][23] 이는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후 스포르차는 밀라노를 포위, 기근을 유발하여 항복을 받아내려 했다.[33] 가스파레 다 비메르카테 등의 쿠데타로 베네치아 대사가 살해되고,[39][40] 시민들은 스포르차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했다.[41] 1450년, 스포르차는 ''capitano del popolo''로 선언되고, 아내의 권리에 의해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42] 그는 관대한 통치로 민심을 얻고, 옛 적들에게도 기사 작위를 수여하며 지지를 확보했다.[43]
스포르차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암브로시아 공화국에 큰 공헌을 했지만,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배신과 폭력적인 면모를 보였다. 이는 공화국의 몰락을 초래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4. 2. 조르지오 람푸냐노, 인노첸초 코타, 테오도로 보시
조르지오 람푸냐노는 밀라노에서 여론이 스포르차를 지지하는 상황에서도 열정적인 연설로 이를 진정시킬 만큼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24] 그러나 그는 카를로 곤차가를 중심으로 한 구엘프(교황파) 정권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몄다가 발각되어 처형당했다.[26][27] 람푸냐노의 죽음은 구엘프에게 불행하게도 그를 공화국의 순교자로 만들었고, 이는 결국 구엘프 정권의 몰락에 기여했다.[31]인노첸초 코타는 람푸냐노와 함께 곤차가에 대항하는 음모에 가담했던 인물이다.[26] 그는 람푸냐노와 함께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공모자들의 이름을 댄 후 처형되었다.[27]
테오도로 보시는 람푸냐노의 친구로, 곤차가에게 보내는 편지가 발각되면서 람푸냐노의 음모가 드러나게 된 인물이다.[26]
4. 3. 카를로 곤차가
카를로 곤차가는 인민의 사령관으로서 자신의 의지를 법으로 삼고 호화로운 생활을 했다. 그는 상인 출신 정치인인 조반니 아피아니와 조반니 오소나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들은 정부 문제에 두각을 나타냈다.[26] 곤자가는 자신의 측근들로 관료들을 교체하기 시작했고, 기벨린들은 그들의 공화국 이상이 무너지는 것을 보았다.[26]람푸냐노와 그의 기벨린 친구들은 곤차가와 구엘프 정권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몄지만, 곤자가가 람푸냐노가 그의 친구 보시에게 보낸 편지를 가로채면서 발각되었다.[26] 곤자가는 람푸냐노와 보시가 공화국 형성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시민 두 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복수심에 불타는 구엘프 사령관과 수비대의 지원을 받아 그들을 살해하려 했다. 람푸냐노와 보시는 1449년 2월 프레데릭 3세에게 사절로 보내졌지만, 도중에 붙잡혀 투옥되었다. 람푸냐노는 재판도 없이 참수되었고, 보시는 그의 공모자들의 이름을 댈 때까지 고문을 받았다.[27] 지도자들의 처형 이후, 도시 내에서 주요 기벨린들에 대한 학살이 벌어졌고, 비탈리아노 보로메오와 같은 소수만이 아로나 등지로 피신하여 안전을 확보했다.[28] 살해된 사람들의 머리는 브로레토 광장의 창에 꽂혔다.[25]
그러나 곤자가는 봉기에서 친구 갈레오토 토스카노가 살해되자, 스포르차와 화해를 시도하기 위해 밀라노를 떠나 크레마로 향했다.[32]
4. 4. 가스파레 다 비메르카테
1450년 2월 24일, 가스파레 다 비메르카테는 스탐파 가문 구성원들과 함께 쿠데타를 일으켰다.[39][40] 이 쿠데타로 베네치아 대사 레오나르도 베니에리가 팔라초 레알레 계단에서 살해되었다.[39][40] 다음 날 시민들이 모였고, 다 비메르카테는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항복하도록 설득했다.[41] 스포르차는 밀라노를 위해 싸우는 동안 관대함을 보여 이미 인기가 높았고, 당시 지휘관들 사이에서 흔했던 시골 약탈을 삼갔기 때문에 대중은 설득되었다. 결국 스포르차는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을 나눠주며 도시의 헌신을 얻었고,[42] 1450년 3월 22일 스스로를 ''capitano del popolo''로 선언하고 아내의 권리에 의해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42]5. 평가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짧은 존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세 이탈리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피렌체 국가 개혁에 관한 담론''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암브로시아 공화국 몰락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과 수년간 전쟁을 벌였다. 베네치아는 나폴리 왕국과 동맹을 맺었지만, 스포르차는 피렌체의 코시모 데 메디치와 동맹을 맺고 대항했다. 이 전쟁은 로디 평화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스포르차 가문은 밀라노 공국의 지배자로 확립되었다.[45]
5. 1. 긍정적 평가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3년간 존속하면서 두 번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다. 1447년 보스코 마렌고 전투에서 프랑스를 격파했고,[46] 1448년에는 카라바조 전투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을 격파했다.[46] 이러한 승리들은 공화국이 이전 밀라노 공국의 모든 영토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중세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자유와 자치에 대한 열망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는다.5. 2. 부정적 평가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외세의 침략과 내부 분열에 취약한 공화정의 한계를 드러낸 사례로 평가받는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평화 조약 과정에서 공화국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불리한 조건을 강요받았고, 이는 결국 스포르차의 반란과 공화국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35]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그의 저서 ''피렌체 국가 개혁에 관한 담론''에서 밀라노에 공화국을 세우기 위해서는 모든 귀족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7] 그는 귀족들 중에는 법만으로는 억누르기 어려운 강력한 인물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공화정 유지에 큰 걸림돌이 된다고 보았다.[47] 이는 귀족 세력의 존재가 공화정 유지에 어려움을 초래했음을 시사한다.
5. 3. 대한민국 관점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의 흥망성쇠는 민주주의의 가치와 안정적인 정치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보면 스포르차와 같이 권력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인물의 등장은 민주주의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스포르차는 밀라노를 정복하기 위해 민중을 굶기는 방법을 택했고,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동맹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했다.[33][34] 그는 결국 밀라노 시민들의 지지를 얻어 ''capitano del popolo''(민중의 지도자)로 선출되고, 아내의 권리에 의해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42] 그러나 그의 통치는 로디 평화 조약으로 이어지는 오랜 전쟁을 불러왔다.[45]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밀라노에 공화국을 세우려면 모든 귀족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는데,[47] 이는 권력층의 부패와 탐욕이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6. 영향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암브로시아 공화국 멸망 후 수년간 베네치아 공화국과 전쟁을 벌였다. 베네치아는 나폴리 왕국과 동맹을 맺었는데, 당시 국왕 아라곤의 알폰소 5세는 이전에 밀라노 왕위 계승 경쟁자였다. 그러나 스포르차는 친구인 피렌체의 코시모 데 메디치와 동맹을 맺어 베네치아와 아라곤의 나폴리에 대항했다. 이어진 전쟁은 1454년 로디 평화 조약으로 마침내 종결되었고, 스포르차 가문은 밀라노 공국의 지배자로 확립되었다.[45]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3년 동안 존속하면서 두 번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다. 1447년 보스코 마렌고 전투에서 롬바르디아는 프랑스를 격파했고,[46] 1448년에는 카라바조 전투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을 격파했다. 이러한 승리들은 공화국이 이전 밀라노 공국의 모든 영토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저서 ''피렌체 국가 개혁에 관한 담론''에서 공화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47]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간행물
[7]
문서
Flag Recorded in: A. Ziggioto, "Della bandiera crociata", 1997 – "La provincia di Milano e i suoi Comuni. Gli stemmi e la storia, 2003"
[8]
서적
[9]
간행물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간행물
[21]
서적
[22]
서적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간행물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웹사이트
Comune di Peschiera Borromeo
http://www.peschiera[...]
2008-06-11
[39]
서적
Famous Italian families, Stampa di Milano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Venice Republic: Renaissance
http://www.veneto.or[...]
2008-06-11
[46]
간행물
'The Claim of the House of Orleans to Milan' in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47]
웹사이트
discursus_florentinarum_rerum
http://digilander.li[...]
[48]
웹사이트
Summario delle Vite degli Sforzeschi
http://www.aczivido.[...]
2008-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