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50년은 명나라 경태 원년, 일본 보덕 2년, 후 레 왕조 대화 8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조선 문종이 조선의 제5대 국왕으로 즉위했고, 백년 전쟁 중 포르미니 전투에서 잉글랜드가 노르망디를 상실했다. 또한, 바르셀로나 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잭 케이드의 봉기가 일어났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조선의 세종, 프랑스 왕 샤를 7세의 애첩 아녜스 소렐, 브르타뉴 공 프랑수아 1세 등이 있다. 주요 탄생 인물로는 조선의 예종,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50년 | |
---|---|
지도 | |
주요 사건 | |
1월 6일 | 1450년 - 크리스티안 1세가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으로 즉위. |
2월 23일 | 1450년 - 나폴리의 왕, 알폰소 5세가 로마를 점령. |
4월 15일 | 1450년 - 포르미니 전투: 프랑스군이 잉글랜드군을 격파. |
6월 18일 | 1450년 - 몽테뉴 전투에서 브르타뉴군이 프랑스군을 격파. |
7월 7일 | 1450년 - 스웨덴의 크리스토페르 3세가 사망하면서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이 해체되고, 칼마르 동맹의 왕권이 덴마크 왕에게 귀속됨. |
8월 12일 | 1450년 - 셰르부르가 잉글랜드에서 프랑스의 지배로 넘어감. |
10월 10일 | 1450년 - 브룬쿠 전투: 스웨덴군이 덴마크군을 격파. |
10월 29일 | 1450년 - 런던에서 잭 케이드의 반란 진압, 잭 케이드 사망. |
탄생 | |
1월 1일 | 1450년 - 스페인의 작가, 후안 파드illa (사망: 1522년). |
5월 18일 | 1450년 - 이탈리아의 화가, 피에트로 페루지노 (사망: 1523년). |
8월 16일 | 1450년 - 프로방스의 귀족이자 로렌 공작인 르네 2세 (사망: 1508년). |
9월 18일 | 1450년 - 이탈리아의 성인, 비토리오 (사망: 1504년). |
12월 26일 | 1450년 - 이탈리아의 신학자, 에릭 (사망: 1534년). |
날짜 불명 | 1450년 - 포르투갈의 탐험가,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사망: 1500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잉글랜드의 귀족, 존 드 베어 (사망: 1513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이탈리아의 용병 대장, 안드레아 도리아 (사망: 1560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이탈리아의 화가, 조반니 다 산 조반니 (사망: 1529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스코틀랜드의 귀족, 알렉산더 고든 (사망: 1504년). |
사망 | |
3월 16일 | 1450년 - 프랑스의 장군, 요한 드 파토 (출생: 1390년). |
4월 15일 | 1450년 - 프랑스의 기사, 기욤 드 세리에 (출생: 1410년). |
4월 23일 | 1450년 - 잉글랜드의 귀족, 존 드 바턴 (출생: 1400년). |
7월 7일 | 1450년 - 스웨덴의 왕, 크리스토페르 3세 (출생: 1416년). |
10월 29일 | 1450년 - 잉글랜드의 반란 지도자, 잭 케이드 (출생: 미상). |
11월 7일 | 1450년 - 잉글랜드의 귀족, 리처드 드 비커 (출생: 1402년). |
12월 1일 | 1450년 - 프랑스의 시인, 앙투안 드 라 셀 (출생: 1385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이탈리아의 신학자, 니콜라스 데 크루스 (출생: 1398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잉글랜드의 귀족, 험프리 스태퍼 (출생: 1400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스페인의 귀족,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출생: 1390년). |
날짜 불명 | 1450년 - 프랑스의 장군, 피에르 드 발레 (출생: 1400년). |
날짜 불명 | 1450년 - 조선의 승려, 해령 (출생: 미상). |
기타 | |
연도 | 1450년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문종이 조선 제5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 4월 20일/21일 - 장오 경중(長尾景仲)과 오타 스케키요(太田資清)가 아시카가 시게우지(足利成氏)의 저택을 공격, 에노시마(江の島)에서 에노시마 전투가 벌어졌다.[1]
-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를 포위, 점령하여 밀라노 공작이 되고, 이후 1세기 동안 밀라노를 통치할 왕조를 세웠다.
- 포르미니 전투에서 장 2세 부르봉 공작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토마스 키리얼 경과 매슈 고 경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을 격파하여 잉글랜드는 노르망디를 상실하였다.
- 잭 케이드의 난: 켄트 주민들이 잉글랜드의 헨리 6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 솔필드 전투(세븐오크스)에서 국왕군이 잭 케이드의 반군을 런던에서 몰아냈다.
- 크뤼야 제1차 포위전: 알바니아군이 승리하여 약 10만 명의 오스만 군대를 알바니아에서 후퇴시켰다.[1]
- 마추픽추(Quechua: Machu Pikchu, "옛 산")는 해발 2400m에 위치한 콜럼버스 이전 잉카 제국 유적지로, 건설 중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
- 고대 도시 찬찬(현대 트루히요 근처)의 북쪽 해안에서 100명이 넘는 어린이들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이 이 무렵에 행해졌다.[3][4]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이 시점까지 마인츠에서 활판 인쇄술 인쇄기를 상업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5]
4. 1. 한국
문종이 조선 제5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4. 2. 동아시아
- 명 경태 원년
- 일본 호토쿠(宝徳) 2년
- 후 레 왕조 다이호아(大和) 8년
- 조선 세종 32년, 문종 즉위
- 일본
- * 보덕 2년
- * 황기 2110년
- 중국
- * 명 : 경태 원년
- ** 황소양 : 동양 2년(구력 5월까지)
- 조선
- * 이씨조선 : 세종 32년
- * 단기 3783년
- 베트남
- * 후레 왕조 : 대화 8년
- 4월 20일/21일 - 장오 경중(長尾景仲)과 오타 스케키요(太田資清)가 아시카가 시게우지(足利成氏)의 저택을 공격, 에노시마(江の島)에서 전투가 벌어지다(에노시마 전투, 江の島合戦).[1]
4. 3. 유럽
- 2월 7일 - 존 드 라 폴 2세 서퍽 공작이 마거릿 보퍼트와 결혼하다.[1]
- 2월 26일 -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를 포위, 점령하여 밀라노 공작이 되고, 이후 1세기 동안 밀라노를 통치할 왕조를 세우다.
- 3월 - 기 드 리슈몽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프랑스 카앙에 있는 잉글랜드군 사령관 에드먼드 보퍼트 1세 서머셋 공작을 포위하다.
- 4월 15일 - 포르미니 전투: 장 2세 부르봉 공작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카앙을 구원하려던 토마스 키리얼 경과 매슈 고 경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을 격파하다. 이 전투의 결과로 잉글랜드는 노르망디를 상실하다.
- 5월 8일 - 잭 케이드의 난: 켄트 주민들이 잉글랜드의 헨리 6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다.
- 5월 13일 - 노르웨이 왕 카를 1세를 겸임하고 있던 스웨덴의 카를 8세가 노르웨이 왕좌에서 폐위되고,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1세가 왕위를 계승하다.
- 6월 18일 - 솔필드 전투(세븐오크스): 국왕군이 잭 케이드의 반군을 런던에서 몰아내다.
- 7월 6일 - 카앙이 프랑스에 항복하다.
- 7월 12일 - 잭 케이드가 소규모 충돌에서 사망하다.
- 8월 12일 - 노르망디의 마지막 잉글랜드 영토인 셰르부르가 프랑스에 항복하다.
- 10월 5일 - 루트비히 9세 바이에른 공작의 명령으로 바이에른에서 유대인들이 추방되다.
- 11월 3일 - 바르셀로나 대학교가 설립되다.
4. 4. 오스만 제국
11월 23일 – 크뤼야 제1차 포위전: 알바니아군이 승리하여 약 10만 명의 오스만 군대를 알바니아에서 후퇴시켰다.[1]4. 5. 기타
- 마추픽추(Quechua: Machu Pikchu, "옛 산")는 해발 2400m에 위치한 콜럼버스 이전 잉카 제국 유적지로, 건설 중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
- 고대 도시 찬찬(현대 트루히요 근처)의 북쪽 해안에서 100명이 넘는 어린이들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이 이 무렵에 행해졌다.[3][4]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이 시점까지 마인츠에서 활판 인쇄술 인쇄기를 상업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5]
- 간지: 경오
- 일본
- * 보덕 2년
- * 황기 2110년
- 중국
- * 명 : 경태 원년
- ** 황소양 : 동양 2년(구력 5월까지)
- 조선
- * 이씨조선 : 세종 32년
- * 단기 3783년
- 베트남
- * 후레 왕조 : 대화 8년
- 불멸기원 : 1992년 - 1993년
- 이슬람력 : 853년 - 854년
- 유대력 : 5210년 - 5211년
5. 탄생
- 1월 23일 - 조선 제8대 국왕 예종
- 2월 12일 - 조선 제5대 국왕 문종의 아들이자 제7대 국왕 세조의 조카 예종
- 10월 31일 -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의 탐험가이자 항해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5월 18일 - 피렌체의 정치가 피에로 소데리니
- 6월 22일 - 페라라 공작 부인 엘레오노라
- 7월 25일 -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야코프 윔펠링
- 8월 18일 - 크로아티아 시인 마르코 마룰리치
- 9월 25일 - 뮌스터베르크-외르스 공작 부인이자 글라츠 백작 부인 브란덴부르크의 우르술라
- 11월 12일 - 로몽 백작, 사보이아 공 자크 드 사부아
- 페르시아 헤라트 화파의 지도자 카말 웃딘 베흐자드
- 그 외: 잉글랜드 탐험가 존 캐벗, 잉글랜드 정치가 윌리엄 케이츠비, 이탈리아 화가 바르톨로메오 몬타냐, 독일-네덜란드 작곡가 하인리히 이사악, 네덜란드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스, 포르투갈 탐험가 가스파르 코르테-레알, 스페인 항해사이자 지도 제작자 후안 데 라 코사, 네덜란드 작곡가 조스캥 데 프레, 프랑코-플랑드르 작곡가 하인리히 이자크, 엑서터 주교 휴 올드햄, 이탈리아 건축가 피에트로 안토니오 솔라리, 네덜란드 역사가이자 수도승 페트루스 타보리타, 자바 상인 냐이 게데 피나테, 포르투갈의 군인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 프랑스의 신학자, 인문주의자 르페브르 데타플
5. 1. 한국
5. 2. 유럽
- 10월 31일 -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의 탐험가이자 항해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1506년)
- 잉글랜드의 항해가, 탐험가 존 캐벗
- 5월 18일 - 피에로 소데리니, 피렌체의 정치가 (~1513년)
- 6월 22일 - 페라라 공작 부인 엘레오노라 (~1493년)
- 7월 25일 - 야코프 윔펠링,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1528년)
- 8월 18일 - 마르코 마룰리치, 크로아티아 시인 (~1524년)
- 9월 25일 - 브란덴부르크의 우르술라, 뮌스터베르크-외르스 공작 부인이자 글라츠 백작 부인 (~1508년)
- 11월 12일 - 자크 드 사부아, 로몽 백작, 사보이아 공 (~1486년)
- 날짜 미상
- * 윌리엄 케이츠비, 잉글랜드 정치가 (~1485년)
- * 바르톨로메오 몬타냐, 이탈리아 화가 (~1523년)
- * 하인리히 이사악, 독일-네덜란드 작곡가 (~1517년)
- * 존 캐벗, 잉글랜드 탐험가 (~1499년)
- 추정
- * 히에로니무스 보스, 네덜란드 화가 (~1516년)
- * 가스파르 코르테-레알, 포르투갈 탐험가 (~1501년)
- * 후안 데 라 코사, 스페인 항해사이자 지도 제작자 (~1510년)
- * 조스캥 데 프레, 네덜란드 작곡가 (~1521년)
- * 하인리히 이자크, 프랑코-플랑드르 작곡가 (~1517년)
- * 휴 올드햄, 엑서터 주교 (~1519년)
- * 피에트로 안토니오 솔라리, 이탈리아 건축가 (~1493년)
-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 포르투갈의 군인 (+ 1510년)
- 르페브르 데타플, 프랑스의 신학자, 인문주의자 (+ 1536년)
6. 사망
- 3월 30일 - 조선의 제4대 국왕 세종 (* 1397년)
- 1월 9일 - 아담 몰레인스, 잉글랜드의 궁정인이자 치체스터 주교
- 2월 9일 - 아녜스 소렐, 샤를 7세의 정부 (* 약 1422년)[6]
- 5월 2일 - 윌리엄 드 라 폴, 퍼스트 듀크 오브 서퍽,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 (* 1396년)
- 5월 9일 - 압달라티프 미르자, 트란속사니아의 통치자
- 7월 2일 - 라누치오 파르네세 일 베키오, 이탈리아 콘도티에로 (* 약 1390년)
- 7월 4일 - 제임스 피언스, 퍼스트 배런 세이 앤드 셀,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인 (* 약 1395년)
- 7월 18일 - 프랑수아 1세, 브르타뉴 공작 (* 1414년)
- 7월 26일 - 세실리 네빌, 워릭 공작 부인 (* 1424년)
- 8월 15일 - 알베르토 다 사르테아노,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코 수도사이자 교황 특사 (* 1385년)
- 8월 27일 - 레지널드 웨스트, 식스 배런 드 라 워르, 잉글랜드의 정치인 (* 1395년)
- 8월 31일 - 이사벨라 드 나바르, 아르마냐크 백작 부인 (* 1395년)
- 9월 16일 - 루이 알레망, 프랑스 추기경
- 9월 22일 - 윌리엄 트레섬, 잉글랜드의 정치인
- 10월 1일 - 레오넬로 데스테, 페라라 후작, 이탈리아 귀족 (* 1407년)
- 11월 3일 - 파올라 콜론나, 피옴비노 여후작 (* 약 1378년)
- 11월 5일 - 장 4세, 아르마냐크 백작 (* 1396년)
- 7월 15일 - 국분 성정, 무로마치 시대의 무사 (* 1397년)
- 10월 6일 - 사이토 소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미노국 수호대 (* 1389년)
- 12월 16일 - 나가오 쿠니카게,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에치고국 수호대, 에치고 나가오가의 제3대 당주 (* 1365년)
- 12월 28일 - 다케다 노부시게,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다이묘, 가이 다케다 씨의 제14대 당주 (* 1386년)
- 압둘라티프, 티무르 제국의 제5대 군주 (* 생년 미상)
- 사세타, 이탈리아의 화가 (* 1392년)
6. 1. 한국
조선의 제4대 국왕 세종이 3월 30일 (음력 4월 8일)에 사망하였다. (* 1397년)6. 2. 유럽
- 2월 9일 - 아녜스 소렐, 샤를 7세의 정부 (출생: 약 1422년)[6]
- 5월 2일 - 윌리엄 드 라 폴, 퍼스트 듀크 오브 서퍽(1st Duke of Suffolk),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 (출생: 1396년)
- 7월 18일 - 프랑수아 1세, 브르타뉴 공작 (출생: 1414년)
- 1월 9일 - 아담 몰레인스(Adam Moleyns), 잉글랜드의 궁정인이자 치체스터 주교
- 7월 2일 - 라누치오 파르네세 일 베키오(Ranuccio Farnese il Vecchio), 이탈리아 콘도티에로 (출생: 약 1390년)
- 7월 4일 - 제임스 피언스(James Fiennes), 퍼스트 배런 세이 앤드 셀(1st Baron Saye and Sele),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인 (출생: 약 1395년)
- 7월 26일 - 세실리 네빌(Cecily Neville), 워릭 공작 부인 (출생: 1424년)
- 8월 15일 - 알베르토 다 사르테아노(Alberto da Sarteano),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코 수도사이자 교황 특사 (출생: 1385년)
- 8월 27일 - 레지널드 웨스트(Reginald West), 식스 배런 드 라 워르(6th Baron De La Warr), 잉글랜드의 정치인 (출생: 1395년)
- 8월 31일 - 이사벨라 드 나바르(Isabella of Navarre), 아르마냐크 백작 부인 (출생: 1395년)
- 9월 16일 - 루이 알레망(Louis Aleman), 프랑스 추기경
- 9월 22일 - 윌리엄 트레섬(William Tresham), 잉글랜드의 정치인
- 10월 1일 - 레오넬로 데스테(Leonello d'Este), 페라라 후작, 이탈리아 귀족 (출생: 1407년)
- 11월 3일 - 파올라 콜론나(Paola Colonna), 피옴비노 여후작 (출생: 약 1378년)
- 11월 5일 - 장 4세, 아르마냐크 백작 (출생: 1396년)
6. 3. 아시아
- 5월 18일(경태 원년4월 8일) - 세종, 조선의 제4대 국왕 (* 1397년)
- 7월 15일 (보덕 2년6월 7일) - 국분 성정, 무로마치 시대의 무사 (* 1397년)
- 10월 6일 (보덕 2년9월 1일) - 사이토 소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미노국 수호대 (* 1389년)
- 12월 16일 (보덕 2년11월 12일) - 나가오 쿠니카게,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에치고국 수호대, 에치고 나가오가의 제3대 당주 (* 1365년)
- 12월 28일 (보덕 2년11월 24일) - 다케다 노부시게,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다이묘, 가이 다케다 씨의 제14대 당주 (* 1386년)
- 압둘라티프, 티무르 제국의 제5대 군주 (* 생년 미상)
참조
[1]
서적
The Camden Miscellany
https://books.google[...]
Camden Society
[2]
웹사이트
Historic Sanctuary of Machu Picchu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UNESCO
2006-12-09
[3]
뉴스
Massacre of Children in Peru Might Have Been a Sacrifice to Stop Bad Weather
https://www.nytimes.[...]
2019-03-06
[4]
웹사이트
What made this ancient society sacrifice its own children?
https://www.national[...]
2019-01-15
[5]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ABC-CLIO
[6]
서적
The History of Fra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1848
https://books.google[...]
J.B. Millar &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