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나노강 학살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나노강 학살 사건은 1922년 일본 시나노강 유역의 수력 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조선인 노동자 집단 학살 사건이다. 일본의 전력 수요 증가로 건설된 이 발전소 공사에는 1,200명 이상의 노동자가 동원되었고, 그중 600명 이상이 조선인이었다. 열악한 환경과 저임금, 폭력에 시달리던 조선인 노동자들이 탈출을 시도하다 살해되었고, 시신은 시멘트에 담겨 시나노강에 버려졌다. 이 사건은 재일 조선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이 조직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2년 7월 - 더블린 전투
    더블린 전투는 1922년 6월 말 아일랜드 내전의 시작을 알리며, 반조약 IRA가 점거한 더블린 사법궁을 아일랜드 임시 정부군이 공격하면서 발발하여 오코넬 거리로 확산, 반조약 세력이 진압되며 자유국 정부가 더블린을 장악했지만 내전 격화를 초래했다.
  • 1922년 7월 - 1922년 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마산지국)
    1922년 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마산지국)는 1922년 10월 마산에서 열린 전조선축구대회의 경기 내용과 결과를 기록한 문서로, 10개 팀이 참가하여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우승했다.
  • 1922년 살인 사건 -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관로서, 뛰어난 조직력과 전략적 사고로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아일랜드 내전 중 암살당했다.
  • 1922년 살인 사건 - 윌리엄 데스먼드 테일러
    아일랜드 출신 영화 감독 윌리엄 데스먼드 테일러는 배우로 시작해 1910년대와 1920년대 초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며 여러 영화를 연출했으나, 1922년 살해당한 후 미제 사건으로 남아 할리우드 영화 산업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시나노강 학살 사건
사건 개요
사건명시나노 강 사건
다른 이름시나노 강 조선인 학살 사건
발생 위치시나노 강
발생 날짜1922년
가해자일본인
피해자조선인 노동자
원인임금 체불에 항의하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탈출 시도
결과조선인 노동자 다수 사망 또는 실종
배경
시기적 배경1920년대 초 일본의 경제 불황과 사회 불안
사회적 배경일본 내 조선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 만연
노동 환경열악한 환경과 임금 체불
사건 전개
발단임금 체불에 항의하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집단 탈출 시도
학살일본인들이 탈출하는 조선인 노동자들을 추격, 학살
은폐 시도일본 정부와 언론의 사건 축소 및 은폐 시도
영향 및 의의
사회적 영향일본 내 조선인에 대한 차별 심화 및 민족 갈등 격화
역사적 의의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과 함께 일본 내 조선인 학살의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
현재의 과제진상 규명 및 피해자 명예 회복

2. 배경

1922년, 일본은 전력 수요 증가에 따라 시나노강 유역에 대규모 수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했다.[1] 훗날 도쿄 전력에 흡수 통합된 신에쓰 전력은 시나노강의 지류인 나카쓰강에 나카쓰 발전소 1호기를 포함한 수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했고, 오쿠라 재벌이 건설을 담당했다. 이 공사에는 1,200명이 넘는 노동자가 동원되었으며, 이 중 600명 이상이 조선인이었다.[1] 이들은 좁고 열악한 기숙사(이른바 '문어방')에 갇혀 저임금 노동에 시달렸고, 오쿠라 그룹 경영진은 조선인 노동자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며 가혹하게 대했다.

3. 학살

1922년 7월, 공사 현장에서 탈출하려던 수십 명의 조선인 노동자들이 공장 감독에 의해 총에 맞거나 기타 방법으로 살해당했다. 이후 노동자들의 시신은 시멘트에 담가져 시나노강에 버려졌다.

이 학살 사건은 공사가 시작된 지 며칠 후 조선인들의 시신이 강 상류에서 서서히 떠내려가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로 인해 강을 따라 위치한 니가타현 지역에서 큰 소동이 일어났다. 도쿄의 ''요미우리 신문''은 1922년 7월 29일에 이 사건을 보도했다. 이후, 재일 한국인들은 재일 한국인 노동자들의 실태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여 재일 한국인의 노동 조건을 조사했다.

조사 위원회를 이끌었던 사람들은 1922년 11월 도쿄 재일 한국인 노동 연맹 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12월에는 오사카 재일 한국인 노동 연맹이 설립되었다.

3. 1. 사건의 발각

4. 사건의 영향

시나노강 학살 사건은 재일 조선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특히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이 조직화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한 분노는 일본 내 조선인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결성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3]

4. 1.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의 조직화

이 사건이 일으킨 대중의 분노는 일본 내 조선인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결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3]

4. 2. 일본 사회의 반응

이 사건이 일으킨 대중의 분노는 일본 내 조선인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조합 결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3]

5.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의 연관성

6. 같이 보기

6. 1. 관련 사건

6. 2. 관련 인물

6. 3. 관련 단체

7. 외부 링크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1910-1923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9
[2] 서적 The Fallacy of the Assimilation Rhetoric: The Roles of the Shinano River Incident of 1922 and the Great Kantō Earthquake of 1923 in Its Displace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7-07-08
[3] 서적 Race and Migration in Imperial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8
[4] 뉴스 読売新聞1922年7月29日朝刊 読売新聞 1922-07-29
[5] 서적 図説 新潟県の歴史 1998-07
[6] 서적 不逞者 幻冬舎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