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리아 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육군 및 군대의 최고 사령관, 국제 관계에서 시리아 대표, 국가 정책 개발 및 시행, 총리 및 장관 임명 및 해임, 법률 거부 또는 수락 등의 권한을 갖는다. 대통령은 또한 인민 의회 해산, 비상사태 선포, 사면권 부여 등의 책임을 지며, 절대적인 필요가 있는 경우 입법권도 행사할 수 있다. 대통령은 7년 임기로 재직하며, 한 번 더 연임할 수 있다. 1973년 헌법은 대통령의 종교가 이슬람일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2012년 헌법은 대통령 후보 자격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시리아는 1946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으며, 역대 대통령으로는 수브히 베이 바라카트, 하페즈 알아사드, 바샤르 알아사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 정부 - 시리아 인민평의회
시리아 인민평의회는 시리아의 입법 기구로서, 1919년 시리아 국민 회의를 시작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 법치주의 수호를 다짐했다. - 시리아의 대통령 - 가말 압델 나세르
가말 압델 나세르는 이집트 혁명을 이끌고 초대 대통령이 된 정치가이자 혁명가로, 범아랍주의와 반제국주의를 내세워 아랍 세계의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수에즈 운하 국유화, 경제 개발, 사회주의 정책 추진 등의 업적과 권위주의적 통치, 6일 전쟁 패배 등의 비판을 동시에 받으며 이집트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시리아의 대통령 - 압둘 할림 하담
압둘 할림 하담은 시리아의 정치인으로, 외무부 장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하페즈 아사드 사망 후 임시 대통령을 지냈으나 바샤르 알 아사드와 갈등을 겪고 프랑스로 망명하여 반정부 활동을 하다 사망했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리아의 대통령 | |
---|---|
직위 정보 | |
직위 | 시리아 대통령 |
스타일 | 대통령 (비공식) 각하 (외교) |
![]() | |
현직 | (공석) |
현직 취임일 | 2024년 12월 8일 |
소재지 | 다마스쿠스 |
관저 | 인민궁전 |
추가 관저 | 티슈린 궁 |
임명 방식 | 직접 선거 |
직책 유형 | 원수 |
소속 | 정부 각료 평의회 고등 사법 평의회 |
임기 | 7년 (재선 가능) |
초대 대통령 | 슈크리 알아쿠와틀리 |
부통령 | 부통령 (공석) |
개요 | |
역할 | 국가 원수 최고 사령관 |
소속 부서 | 시리아 정부의 행정부 |
구성원 | 각료 평의회 고등 사법 평의회 |
역사 | |
최초 취임 | 수브히 바라카트 (프랑스 위임통치령) 슈크리 알아쿠와틀리 (현재 헌법) |
선거 | |
최근 선거 | 2007년 2014년 2021년 |
의회 | 2016년 2020년 2024년 |
기타 | |
관련 사건 | 2024년 시리아 반체제파 공세 (2024년 12월) 시리아 내전 (2024년 12월) |
2. 시리아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시리아 대통령은 헌법상 육군 및 군대의 최고 사령관이며, 국제 관계에서 시리아를 대표한다.[10] 또한 국가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하며, 총리와 장관을 임명 및 해임할 수 있다. 국가 정책을 수립 및 감독하고, 법률을 거부하거나 수락하며, 비상사태를 선포할 수 있다. 국제 조약을 체결하고 사면권을 부여하며, 훈장 및 훈포장을 수여하는 권한도 가진다.
이 외에도 인민 의회를 해산할 수 있고, 입법부가 휴회 중이거나 비상 상황일 때 법률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구속력 있는 국민 투표에 안건을 제출하거나 법률 초안을 작성할 수 있다.
2. 1. 행정
시리아 대통령은 헌법상 다음과 같은 책임을 진다.[10]- 육군 및 군대의 최고 사령관
- 국제 관계에서 시리아 대표
- 국가 정책 개발 및 시행
- 총리 및 장관 임명 및 해임
- 일반적인 국가 정책 수립 및 감독
- 법률 거부 또는 수락
- 비상사태 선포
- 국제 조약 체결
- 사면권 부여
- 훈장 및 훈포장 수여
- 인민 의회 해산
- 입법부가 휴회 중이거나 비상 상황 시 법률 통과
- 구속력 있는 국민 투표에 안건 제출
- 법률 초안 작성
대통령은 '''절대적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인민 의회가 폐회 중일 때에도 입법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대통령은 시리아군 최고 사령관 및 최고 사법 평의회 의장을 겸임하며, 총리와 '''각료 평의회'''(내각에 해당)의 멤버, 재판소 판사의 임명을 통해 시리아의 삼권 모두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2. 2. 입법
대통령은 '''절대적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인민 의회가 폐회 중일 때에도 입법권을 행사할 수 있다.[1]2. 3. 사법
대통령은 인민 의회가 폐회 중일 때에도 입법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대통령은 시리아군 최고 사령관 및 최고 사법 평의회 의장을 겸임하며, 총리와 각료 평의회(내각에 해당)의 멤버, 재판소 판사의 임명을 통해 시리아의 삼권 모두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1]3. 대통령 선출 및 임기
2012년 시리아 헌법 제88조는 대통령이 7년 임기를 수행하며 "한 번 더 연임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9][4] 제155조는 제88조가 다음 대통령 선거부터 적용된다고 명시하고 있다.[9]
3. 1. 선출 방식
시리아의 대통령 임기는 7년이다. 2012년 이전에는 바트당이 제안한 후보를 인민의회가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국민투표로 승인하는 방식이었으며, 재선 제한도 없었다. 그러나 2011년부터 이어진 반체제 운동에 대한 정부 측의 타협안 중 하나로 2012년에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바트당의 대통령 후보자 제안권은 삭제되었고, 인민의회 의원 35명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만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3선 금지 규정도 추가되었다.[11]시리아 헌법에는 "'''대통령의 종교는 이슬람'''"이라는 규정이 있다. 이 조항은 1973년 헌법부터 존재했는데, 1970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하페즈 알아사드가 새 헌법을 제정하려 할 때 무슬림 형제단이 반발하여 항의 운동을 벌인 결과, 아사드가 타협하여 포함시킨 것이다.[12] 이 조항은 2012년 헌법 개정에서도 수정되지 않았다.
3. 2. 임기
시리아 대통령의 임기는 7년이며, 한 번 더 연임할 수 있다.[9][4] 이 조항은 다음 대통령 선거부터 적용된다.[9]2012년 이전에는 바트당의 제안을 받아 인민의회가 1명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국민투표로 승인하는 방식이었으며, 재선 제한도 없었다. 그러나 2011년부터 이어진 반체제 운동에 대한 타협안으로 2012년에 헌법 개정이 이루어져, 대통령 후보자 제안권은 인민의회 35명의 추천으로 변경되었고, 3선 금지 규정도 추가되었다.
시리아 헌법에는 "'''대통령의 종교는 이슬람'''"이라는 규정이 있다.[12] 이는 1970년에 권력을 잡은 하페즈 알아사드가 1973년 헌법을 제정할 때, 무슬림 형제단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포함시킨 조항이다.[12] 이 조항은 2012년 헌법 개정에서도 유지되었다.
4. 대통령직 해임
시리아 대통령은 다음 상황에서 대통령직에서 해임될 수 있다.[10]
- 인민 의회에 사임서를 제출하는 경우
- 7년 임기가 종료되었으나 재선 후보로 지명되지 않은 경우, 또는 재선된 경우 2번째 7년 임기가 종료된 경우
- 영구적인 무능력 또는 사망의 경우
- 의회 3분의 1 이상의 제안과 3분의 2 이상의 승인을 거쳐 헌법 재판소에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5. 역대 대통령 목록
시리아는 1946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여러 차례의 정권 교체와 쿠데타를 겪었다.
1949년에는 후스니 알자임, 사미 알히나위 등의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슈크리 알콰틀리 대통령이 축출되고 하심 알아타시가 집권했다.
1958년에는 이집트와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하여 가말 압델 나세르가 대통령이 되었으나, 1961년 다시 분리되었다.
1963년 바트당 쿠데타 이후 아민 알하피즈, 누레딘 알아타시 등이 집권했으며, 1970년에는 하페즈 알아사드가 쿠데타를 일으켜 장기 집권했다.
2000년 하페즈 알아사드 사후 아들 바샤르 알아사드가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역대 대통령 및 국가 원수, 임시 대통령 등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선거 | 정당 |
---|---|---|---|---|---|---|
- | ![]() | 마문 알쿠즈바리 | 1961년 9월 29일 | 1961년 11월 21일 | 군최고아랍혁명사령부 지명 | 무소속 |
- | ![]() | 이자트 알누스 | 1961년 11월 21일 | 1961년 12월 14일 | 총리 | 무소속 |
1 | -- | 나짐 알쿠드시 | 1961년 12월 14일 | 1962년 3월 28일 | 의회 선출 | 인민당 |
1962년 4월 13일 | 1963년 3월 8일 | 시리아 군 재지명 | 인민당 | |||
- | ![]() | 루아이 알아타시 | 1963년 3월 9일 | 1963년 7월 27일 | 1963년 혁명지휘국가위원회 지명 | 무소속 |
- | ![]() | 아민 알하피즈 | 1963년 7월 27일 | 1966년 2월 23일 | 바트당 | |
- | ![]() | 누레딘 알아타시 | 1966년 2월 25일 | 1970년 10월 16일 | 군부 지명 | 바트당 |
- | ![]() | 아마드 알하티브 | 1970년 11월 18일 | 1971년 2월 22일 | 군부 지명 | 바트당 |
2 | ![]() | 하페즈 알아사드 | 1971년 3월 14일[24] | 1978년 | 1971년 대선 - 99.2% 1,919,609표 | 바트당 |
1978년 | 1985년 3월 12일 | 1978년 대선 - 99.9% 3,975,729표 | ||||
1985년 3월 13일[25] | 1991년 | 1985년 대선 - 100% 6,200,428표 | ||||
1991년 | 1999년 | 1991년 대선 - 99.99% 6,726,843표 | ||||
1999년 | 2000년 6월 10일 | 1999년 대선 - 100% 8,960,011표 | ||||
- | ![]() | 압둘 할림 하담 | 2000년 6월 10일 | 2000년 7월 16일 | 임시 대통령 (부통령) | 바트당 |
3 | ![]() | 바샤르 알아사드 | 2000년 7월 17일[26][27] | 2007년 7월 17일 | 2000년 대선 - 99.7% 8,689,871표 | 바트당 |
2007년 7월 17일[28] | 2014년 7월 17일 | 2007년 대선 - 99.82% 11,199,445표 | ||||
2014년 7월 17일[29] | 2021년 7월 17일 | 2014년 대선 - 88.7% 10,319,723표 | ||||
2021년 7월 17일[30] | 현재 | 2021년 대선 - 95.19% 13,540,860표 |
5. 1.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1922-1946)
1922년 6월 28일 프랑스의 위임통치 하에 시리아 연방이 수립되었고, 1924년 12월 5일 알레포국, 다마스쿠스국이 시리아국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1930년 5월 14일 시리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프랑스의 위임통치는 계속되었다.1936년 시리아는 독립을 위해 프랑스와 협상했으나, 프랑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시리아는 비시 프랑스의 통치를 받게 되었으나, 영국군과 자유 프랑스군이 시리아를 점령하면서 비시 프랑스의 통치는 종식되었다.
시리아는 1943년 슈크리 알쿠와틀리를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독립을 선언했으나, 프랑스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시리아를 다시 점령하려 했다. 그러나 영국의 압력으로 1946년 4월 17일 프랑스군은 시리아에서 완전히 철수했고, 시리아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시기의 대통령과 임시 대통령, 국가 원수는 다음과 같다.
대 | 인물 | 소속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비고 | |
---|---|---|---|---|---|---|
1 | 수브히 베이 바라카트 | ![]() | 무소속 | 1922년 6월 29일 | 1925년 12월 21일 | |
- | François Pierre-Alype|프랑수아 피에르 알리프프랑스어 | ![]() | 무소속 | 1926년 2월 9일 | 1926년 4월 28일 | 임시 대통령 |
2 | 아흐마드 나미 | ![]() | 무소속 | 1926년 4월 28일 | 1928년 2월 15일 | |
- | 타지 알 딘 알 하사니 | ![]() | 무소속 | 1928년 2월 15일 | 1931년 11월 19일 | 임시 대통령 |
- | Léon Solomiac|레옹 솔로미아크프랑스어 | -- | 무소속 | 1931년 11월 19일 | 1932년 6월 11일 | 임시 대통령 |
3 | 무함마드 알리 베이 알 아비드 | ![]() | 무소속 | 1932년 6월 11일 | 1936년 12월 21일 | |
4 | 하심 알아타시 | ![]() | 국민 블록 | 1936년 12월 21일 | 1939년 7월 7일 | |
5 | 바히지 알 하티브 | ![]() | 무소속 | 1939년 7월 10일 | 1941년 4월 4일 | 국가 원수 (평의회 의장) |
- | 할리드 알 아즘 | ![]() | 무소속 | 1941년 4월 4일 | 1941년 9월 16일 | 임시 대통령 |
6 | 타지 알 딘 알 하사니 | 무소속 | 1941년 9월 16일 | 1943년 1월 17일 | 재임 중 사망 | |
- | 자밀 알 울시 | ![]() | 무소속 | 1943년 1월 17일 | 1943년 3월 25일 | 임시 대통령 |
7 | 아타 베이 알 아이유비 | ![]() | 무소속 | 1943년 3월 25일 | 1943년 8월 17일 | 국가 원수 |
8 | 슈크리 알쿠와틀리 | ![]() | 국민 블록 | 1943년 8월 17일 | 1946년 4월 17일 |
5. 1. 1. 시리아 연방 (1922-1925)
1922년 6월 29일부터 1924년 12월 31일까지 수브히 베이 바라카트가 시리아 연방의 대통령을 역임했다.[13] 그는 무소속이었다.
5. 1. 2. 시리아국 (1925-1930)
- 1925년 12월 21일
수상 겸임
재임 중 사임— François Pierre-Alype|프랑수아 피에르 알리프프랑스어 }
{{lang|ar|فرانسوا بيير أليب|}
|
| 무소속
| —
| 1926년 2월 9일
- 1926년 4월 28일
| | '''임시 대통령'''
|-
| 2
| 아흐마드 나미
أحمد نامي|ar
|
| 무소속
| —
| 1926년 4월 28일
- 1928년 2월 15일
| |
|-
| —
| 타지 알 딘 알 하사니
تاج الدين الحسني|ar
|
| 무소속
| —
| 1928년 2월 15일
- 1930년 5월 14일
| | '''임시 대통령'''
|}
5. 1. 3. 시리아 공화국 (1930-1946)
- 1931년 11월 19일
colspan="2" | 임시 대통령
- Léon Solomiac|레옹 솔로미아크프랑스어
ليون سولومياك|레옹 솔로미아크ar-- 무소속 — 1931년 11월 19일
- 1932년 6월 11일colspan="2" | 임시 대통령 3 محمد علي بك العابد|무함마드 알리 베이 알 아비드ar 무소속 — 1932년 6월 11일
- 1936년 12월 21일colspan="2" | 4 هاشم الأتاسي|하심 알 아타시ar 국민 블록 — 1936년 12월 21일
- 1939년 7월 7일colspan="2" | 제11·14대 대통령 5 بهيج الخطيب|바히지 알 하티브ar 무소속 — 1939년 7월 10일
- 1941년 4월 4일colspan="2" | 국가 원수
(평의회 의장)- خالد العظم|할리드 알 아즘ar 무소속 — 1941년 4월 4일
- 1941년 9월 16일colspan="2" | 임시 대통령 6 تاج الدين الحسني|타지 알딘 알 하사니ar -- 무소속 — 1941년 9월 16일
- 1943년 1월 17일colspan="2" | 재임 중 사망 - جميل الألشي|자밀 알 울시ar 무소속 — 1943년 1월 17일
- 1943년 3월 25일colspan="2" | 임시 대통령 7 عطا الأيوبي|아타 베이 알 아이유비ar 무소속 — 1943년 3월 25일
- 1943년 8월 17일colspan="2" | 국가 원수 8 شكري القوّتلي|슈크리 알 쿠왓리ar 국민 블록 — 1943년 8월 17일
- 1946년 4월 17일colspan="2" | - 1931년 11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