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메온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메온 1세는 893년부터 927년까지 불가리아를 통치한 군주로, 불가리아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보리스 1세의 아들로 태어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형 블라디미르가 반기독교 운동을 일으키자 왕위에 올랐다. 시메온 1세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무역 전쟁, 마자르족 침입, 그리고 여러 차례의 전쟁을 통해 불가리아의 영토를 확장하고, 황제 칭호를 인정받았다. 그의 치세 동안 불가리아는 문화적 전성기를 맞이하여 슬라브 유럽의 문학 및 정신적 중심지가 되었으며, 키릴 문자를 사용한 문학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시메온 1세는 두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아들 페트르 1세가 뒤를 이어 불가리아를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 제1제국 - 크룸
크룸은 800년경 불가리아의 군주로, 아바르족을 격파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불가리아 최초의 성문법전을 제정하여 강력한 통치를 펼쳤다. - 불가리아 제1제국 - 사무일
사무엘은 10세기 불가리아의 귀족이자 통치자로서 반 비잔틴 항쟁을 이끌고 불가리아 차르로 즉위하여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했으나, 1014년 벨라시차 전투 패배 후 사망했다. - 927년 사망 - 신숭겸
신숭겸은 고려 초기의 장군이자 개국공신으로,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평산 신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려다 전사하여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927년 사망 - 경애왕
경애왕은 신라의 제55대 왕으로, 고려와 동맹을 맺어 세력 회복을 꾀했으나 후백제의 침략으로 피살되었다. - 불가리아의 군주 - 크룸
크룸은 800년경 불가리아의 군주로, 아바르족을 격파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불가리아 최초의 성문법전을 제정하여 강력한 통치를 펼쳤다. - 불가리아의 군주 - 보리스 3세
보리스 3세는 소피아에서 태어나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불가리아의 차르가 되어 정치적 격변과 암살 시도 속에서 "왕의 정부" 시대를 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가담 후 히틀러와의 회담 직후 사망하여 그의 아들 시메온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시메온 1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불가리아인과 로마인의 황제 |
통치 기간 | 893년 – 927년 5월 27일 |
이전 | 블라디미르 |
이후 | 페터르 1세 |
왕가 | 크룸 왕조 |
왕조 유형 | 왕조 |
배우자 | 알려지지 않음 (첫 번째 배우자) 마리아 수르수불 |
자녀 | 미하일 페터르, 불가리아 황제 이반 릴스키 베냐민 |
아버지 | 보리스 1세 |
어머니 | 마리아 |
출생일 | 864년/865년 |
사망일 | 927년 5월 27일 (62세 또는 63세) |
사망 장소 | 프레슬라프, 불가리아 제국 |
이름 |
2. 생애 초기
864년 또는 865년에 크룸 왕조의 보리스 1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4] [15] 보리스 1세가 865년에 불가리아의 기독교화를 이끌었기 때문에 시메온은 평생 기독교인이었다.[14][16] 형 블라디미르가 불가리아 왕위 계승자로 지명되었기에, 보리스 1세는 시메온을 고위 성직자,[17] 아마도 불가리아 대주교로 만들려고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에 보내 신학 교육을 받게 했다.[16]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도원에서 시메온이라는 수도승 이름을 받았다.[16] 약 878년~888년, 비잔티움 수도에서 10년간 교육을 받고 데모스테네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공부했다.[19] 그는 유창한 그리스어를 구사하여 비잔티움 연대기에 "반(半) 그리스인"으로 언급되기도 했다.[20] 포티오스 1세에게서 교육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되지만,[21] 이는 어떤 자료에서도 뒷받침되지 않는다.[16]
864년경 동로마 제국과의 평화 협정 이후, 보리스 1세는 기독교를 수용하였다. 불가리아 귀족들의 반란과 로마 교회와의 일시적 관계에도 불구하고, 보리스 1세는 반란을 진압하고 870년 비잔틴 교회에 속하기로 결정했다.[124] 포티오스의 제안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불가리아인을 위한 학교가 설립되자, 시메온은 유학을 떠나 그곳에서 데모스테네스의 수사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삼각법 등을 배웠다. 보리스 1세는 시메온을 불가리아 고위 성직자로 삼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124] 유학 후 시메온은 프레스라브 수도원에서 클레멘스, 나움 등과 함께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예배서를 번역하는 작업에 참여했다.[125]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레오 6세는 불가리아 상품 시장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테살로니키로 옮겨 불가리아 상인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받게 하였다.[17][27][28] 시메온 1세는 레오 6세에게 항의했으나 무시당했다.[27][28]
3. 불가리아 귀환 및 즉위
889년, 보리스 1세가 퇴위하고 장남 블라디미르가 왕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는 귀족들과 결탁하여 반기독교 운동을 일으키고 그리스인 성직자들을 추방하는 등 반동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에 보리스 1세는 893년 시메온과 옛 신하들의 도움을 받아 블라디미르를 진압했다. 이후 불가리아인과 슬라브인 종족장, 지방 통치관, 정부 고관으로 구성된 귀족 회의가 소집되어 셋째 아들 시메온의 불가리아 왕 즉위를 승인했다. 이 회의에서 수도를 프리스카에서 프레스라브로 옮기고, 종교 및 행정 용어를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공식 변경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4. 치세
당시 비잔티움 제국은 아랍과의 전투로 군대가 묶여 있어 불가리아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이에 비잔티움 제국은 마자르족을 이용하여 불가리아를 공격하도록 설득했다.[17][34][35] 895년, 니케포로스 포카스가 불가리아를 공격하기 위해 왔으나, 실제 전투는 일어나지 않았다.[37][38] 시메온 1세는 비잔티움 사절을 가두고, 다뉴브 강으로 들어오는 비잔티움 해군의 항로를 막았다.[39]
아르파드의 아들 리운티카가 이끄는 마자르족 군대가 다뉴브 강을 건너 불가리아 영토를 약탈했다.[40][41] 시메온 1세는 마자르족을 막기 위해 북쪽으로 향했고, 북부 도브루자에서 마자르족에게 패배하여 드러스터로 후퇴했다.[17][42][43] 895년 여름, 시메온 1세는 비잔티움과 휴전을 맺었지만, 완전한 평화는 지연되었다.[37][45]
마자르족의 위협에서 벗어난 시메온은 페체네그인과 연합하여 896년 남부흐 전투에서 마자르족을 크게 무찔렀다. 이 승리로 마자르족은 판노니아로 쫓겨났다.[73] 마자르족을 몰아낸 후, 시메온은 896년 여름 불가로피곤 전투에서 비잔티움 군대를 궤멸시켰다. 이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비잔티움 제국은 불가리아에 매년 조공을 바치고 흑해와 스트란자 산맥 사이의 지역을 할양했다.[60] 904년, 시메온은 비잔티움 제국의 양보를 통해 현대 마케도니아 남부와 남부 알바니아 지역을 확보했다.[71]
912년 레온 6세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알렉산드로스가 즉위하면서 시메온 1세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알렉산드로스는 공납금 지불을 중단했고,[94] 시메온은 913년 군대를 이끌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진격했다.[94] 시메온은 동로마 제국과의 협상을 통해 콘스탄티노스 7세와 자신의 딸을 약혼시키고, 동로마 총대주교 니콜라오스 무스티코스에게서 "'''황제(바실레우스)'''" 칭호를 받았다.[94] 이 칭호는 "시메온을 비잔티움의 공동 황제로 즉위시켰다"는 해석과 "시메온을 '불가리아'의 황제로 즉위시켰다"는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하며 논란이 되었다.[94]
913년 가을 시메온이 귀환하자 황제의 어머니 조에가 정권을 장악, 약혼을 파기하고 시메온의 즉위를 무효라고 선언했다.[94] 914년, 불가리아 군대는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점령했다.[94] 917년 아헬로스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은 비잔티움 군대를 완전히 격파했다.[77] 레오 디아코누스는 수십 년 후, 아헬로스 강에 뼈더미가 보인다고 기록했다.[79]
시메온 1세의 군대는 카타시르타이 전투에서도 승리했다.[81] 시메온은 세르비아의 왕자 페타르 고이니코비치를 처벌하고 파블레 브라노비치sr를 세르비아 왕위에 앉혀 세르비아에 대한 불가리아의 영향력을 회복시켰다.[83]
919년, 로마노스 레카페노스grc가 섭정이 되었고, 자신의 딸 헬레나 레카페네grc를 콘스탄티누스와 약혼시켰다.[84][85] 920년부터 922년 사이에 불가리아는 비잔티움 제국에 대한 압력을 높였다.[17] 921년 시메온의 군대는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점령했고, 922년에는 피가이 전투에서 승리했다.[87][88] 비잔티움 제국은 세르비아를 시메온에 대항하도록 선동하려 했지만, 시메온은 파블레를 자하리예 프리비살예비치sr로 대체했다.[17][87]
시메온은 파티마 왕조 칼리프 우바이드 알라 알-마흐디 빌라ar와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저지되었다.[17][89] 세르비아에서는 자하리예가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지만, 시메온은 924년 차슬라프 클로니미로비치sr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자하리예를 폐위시키고 세르비아를 직접 병합했다.[17][91]
924년 여름, 시메온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로마노스와 대화하고 휴전 협정을 맺었다.[92] 925년 니콜라스 총대주교 사망 이후 시메온 1세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지위를 총대주교청으로 격상시켰다.[95] 926년, 시메온 1세의 군대가 크로아티아를 침공했으나, 토미슬라프 왕의 군대에 의해 보스니아 고지대 전투에서 완패했다.[8]
927년 5월 27일, 시메온 1세는 프레스라프의 궁전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페트르 1세가 계승했다.[102] 927년 10월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불가리아 지배자의 황제 지위, 불가리아 교회 수장의 총대주교 지위가 확인되었다.[103]
4. 1. 비잔티움과의 무역 전쟁 및 마자르족 침입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레오 6세는 바실리오스 1세의 정부였던 조에 자우츠아이나와 그녀의 아버지 스틸리아노스 자우츠에스의 압력을 받아 불가리아 상품 시장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테살로니키로 옮겼다.[17] 이로 인해 불가리아 상인들은 테살로니키에서 과중한 세금을 부과받게 되었다. 불가리아 상인들은 시메온 1세에게 보호를 요청했고, 시메온 1세는 레오 6세에게 항의했으나 무시당했다.[27][28]
당시 비잔티움 제국은 아랍과의 전투로 군대가 묶여 있어 불가리아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이에 비잔티움 제국은 마자르족에게 비잔티움 해군을 이용하여 다뉴브 강을 건너게 해주겠다고 약속하며 불가리아를 공격하도록 설득했다.[17][34][35] 레오 6세는 프랑크족의 아르눌프와 협정을 맺어 마자르족에 대항하여 시메온 1세를 지원하지 못하도록 했을 가능성도 있다.[36] 895년, 니케포로스 포카스가 남부 이탈리아에서 불가리아를 공격하기 위해 별도의 군대를 이끌고 돌아왔으나, 이는 불가리아인들을 위압하기 위한 것이었다.[37] 북쪽의 위협을 알지 못했던 시메온 1세는 포카스의 군대를 만나러 갔지만 두 군대는 싸우지 않았다.[38] 비잔티움 제국은 평화를 제안하면서 비잔티움 보병과 해상 작전을 알려주었지만, 계획된 마자르족의 공격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알리지 않았다. 시메온 1세는 사절을 신뢰하지 않고 감옥에 가둔 후, 포카스를 처리할 때까지 다뉴브 강으로 들어오는 비잔티움 해군의 항로를 밧줄과 사슬로 막았다.[39]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비잔티움 제국은 아르파드의 아들 리운티카가 이끄는 마자르족 군대를 다뉴브 강을 건너게 하는 데 성공했고,[40] 아마도 현대 갈라치 근처에서[41] 불가리아 영토를 약탈하도록 도왔다. 기습적인 침략을 알게 된 시메온 1세는 마자르족을 막기 위해 북쪽으로 향했고, 포카스의 공격을 막기 위해 남쪽 국경에 일부 병력을 남겨두었다.[42] 북부 도브루자에서 시메온 1세가 적과 두 번 조우한 결과 마자르족이 승리했고,[17] 시메온 1세는 드러스터로 후퇴해야 했다.[42][43] 마자르족은 불가리아의 많은 지역을 약탈하고 프레슬라프에 도착한 후 자신들의 땅으로 돌아갔다.[44] 895년 여름, 시메온 1세는 비잔티움과 휴전을 맺었지만,[37] 레오 6세가 무역 전쟁에서 비잔티움 포로의 석방을 요구했기 때문에 완전한 평화는 지연되었다.[45]
4. 2. 대(對) 마자르족 원정과 비잔티움과의 전쟁
마자르족과 비잔티움 제국의 압력을 벗어난 시메온은 마자르족에 대한 보복을 계획했다. 그는 페체네그인과 연합하여 896년 남부흐 전투에서 마자르족을 크게 무찔렀다. 이 승리로 마자르족은 판노니아로 쫓겨났다.[73]
마자르족을 몰아낸 후, 시메온은 비잔티움 제국에 억류된 포로들을 석방했다. 896년 여름, 시메온은 다시 비잔티움 제국을 침공하여 불가로피곤 전투에서 비잔티움 군대를 궤멸시켰다. 이후 912년 레온 6세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비잔티움 제국은 불가리아에 매년 조공을 바치기로 했다.[60] 또한 비잔티움 제국은 흑해와 스트란자 산맥 사이의 지역을 불가리아 제국에 할양했다. 한편, 시메온은 세르비아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페타르 고이니코비치를 세르비아의 통치자로 인정했다. 904년, 시메온은 비잔티움 제국의 양보를 통해 현대 마케도니아 남부와 남부 알바니아 지역을 확보했다.[71]
4. 3. 황제 칭호 인정
912년, 레온 6세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알렉산드로스가 즉위하면서 시메온 1세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알렉산드로스는 프레슬라프에 대한 공납금 지불을 중단했고,[94] 이는 시메온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할 명분을 제공했다. 913년, 시메온은 군대를 이끌고 트라키아를 거쳐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앞에 도착했다.[94]
당시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알렉산드로스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군 사령관의 반란 등으로 혼란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시메온은 견고한 성벽을 무력으로 함락시킬 수 없었기에 동로마 제국과의 협상을 선택했다. 협상 결과, 동로마 제국은 지연된 공납금을 지불하고, 콘스탄티노스 7세와 시메온의 딸을 약혼시키기로 약속했다.[94] 또한, 블라케르네 궁전의 성모 마리아 교회에서 동로마 총대주교 니콜라오스 무스티코스가 시메온의 머리에 자신의 의식용 관을 씌우고 그를 "'''황제(바실레우스)'''"라고 선포하는 의식이 거행되었다.[94]
이 의식은 "시메온을 비잔티움의 공동 황제로 즉위시켰다"는 해석과 "시메온을 '불가리아'의 황제로 즉위시켰다"는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하며 논란이 되었다.[94] 권위 있는 왕관이 아닌 관을 사용하면서도, 외국 군주를 나타내는 "아르콘"이 아닌 동로마 황제의 공식 칭호인 "바실레우스"를 사용한 것은, 총대주교가 양측 모두를 배려한 결과라는 해석도 있다.[94]
913년 가을, 시메온이 프레슬라프로 귀환하자 총대주교는 책임을 추궁당해 파면되었고, 황제의 어머니 조에가 정권을 장악했다. 조에는 약혼을 파기하고 시메온의 즉위를 무효라고 선언했다.[94] 이듬해인 914년, 불가리아 군대는 다시 트라키아를 침공하여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점령했다.[94]
4. 4. 아헬로스와 카타시르타이에서의 승리
917년, 시메온 1세는 비잔티움 제국에 대한 또 다른 전쟁을 준비했다. 비잔티움 제국은 불가리아에 대한 대규모 원정을 계획했고, 세르비아의 왕자 페타르 고이니코비치를 설득하여 불가리아를 공격하려 했다.[74] 레오 포카스가 이끄는 비잔티움 군대가 불가리아를 침공했다.[75] 917년 8월 20일, 아헬로스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은 비잔티움 군대를 완전히 격파했다.[77] 이 전투는 중세 역사상 가장 큰 전투 중 하나로 여겨진다.[77] 레오 디아코누스는 수십 년 후, "로마 군대가 도망치다가 비참하게 죽임을 당했던 아헬로스 강에는 오늘날에도 뼈더미가 보인다"고 기록했다.[79]
시메온 1세의 군대는 카타시르타이 전투에서도 승리했다.[81] 불가리아군은 콘스탄티노폴리스 근처에서 비잔티움 군대를 격파하고 불가리아로 돌아갔다.[82]
4. 5. 세르비아 반란 진압과 비잔티움과의 후기 전쟁
시메온은 페타르 고이니코비치sr를 처벌하기 위해 테오도르 시그리차와 마르마이스가 이끄는 군대를 세르비아로 보냈다. 두 사령관은 페타르를 개인적인 만남에 설득하여 사로잡아 불가리아로 압송했고, 그는 감옥에서 죽었다. 시메온은 불가리아에서 망명 중이던 파블레 브라노비치sr를 세르비아 왕위에 앉혀 세르비아에 대한 불가리아의 영향력을 회복시켰다.[83]
919년, 제독 로마노스 레카페노스grc가 어린 콘스탄티누스 7세의 섭정인 조에를 대신하여 섭정이 되었고, 조에는 수녀원으로 돌아갔다. 로마노스는 자신의 딸 헬레나 레카페네grc를 콘스탄티누스와 약혼시켰고, 920년 12월 공동 황제의 지위에 올라 사실상 제국의 통치를 장악했다.[84][85]
외교적 수단으로 비잔티움 제국의 왕위에 오를 수 없게 된 시메온은 다시 전쟁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관철해야 했다. 920년부터 922년 사이에 불가리아는 테살리아를 거쳐 코린토스 지협에 이르는 서쪽과, 트라키아의 동쪽을 통해 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 람프사쿠스를 포위 공격하는 등 비잔티움 제국에 대한 압력을 높였다.[17] 921년 시메온의 군대는 로마노스의 퇴위를 요구하고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점령했고, 922년에는 피가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황금각의 대부분을 불태우고 비제를 점령했다.[87][88] 한편, 비잔티움 제국은 세르비아를 시메온에 대항하도록 선동하려 했지만, 시메온은 파블레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망명 중이던 자하리예 프리비살예비치sr로 대체했다.[17][87]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을 간절히 원했던 시메온은 924년 대규모 원정을 계획하고 파티마 왕조 칼리프 우바이드 알라 알-마흐디 빌라ar에게 사절을 보냈다.[17] 칼리프는 동의하여 자신의 대표단을 불가리아인들과 함께 동맹을 맺기 위해 보냈다. 그러나 사절들은 칼라브리아에서 비잔티움 제국에 붙잡혔다. 로마노스는 아랍인들에게 평화를 제안하고 후한 선물을 더하여 불가리아와의 동맹을 깨뜨렸다.[17][89]
세르비아에서는 자하리예가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시메온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자하리예는 비잔티움 제국에 대한 시메온의 끝없는 전쟁에 지친 많은 불가리아인들의 지지를 받았다.[90] 불가리아 황제는 시그리카와 마르마이스 지휘하에 군대를 보냈지만 패배했고 두 사령관은 참수당했다. 시메온은 924년 차슬라프 클로니미로비치sr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자하리예를 폐위시켰다. 자하리예는 크로아티아로 도망쳤다. 이 승리 후, 세르비아 귀족들은 불가리아에 와서 새로운 왕자에게 복종하도록 초대받았다. 그러나 그들은 약속된 만남에 나타나지 않았고 모두 참수당했다. 불가리아는 세르비아를 직접 병합했다.[17][91]
924년 여름, 시메온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하여 총대주교와 황제를 만나기를 요구했다. 그는 9월 9일 황금각에서 로마노스와 대화를 나누고 휴전 협정을 맺었다. 그 협정에 따라 비잔티움 제국은 불가리아에 연례 세금을 지불하고 흑해 연안의 일부 도시를 할양하기로 했다.[92]
4. 6. 크로아티아와의 전쟁과 죽음
925년 니콜라스 총대주교 사망 이후(혹은 사망 시점에) 시메온 1세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지위를 총대주교청으로 격상시켰다.[95] 이는 924년부터 926년 사이 시메온 1세와 로마 교황청 사이의 외교 관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기간 동안 그는 교황 요한 10세에게서 "로마 황제" 칭호(비잔티움 황제와 진정으로 동등한)를 인정받고, 불가리아 정교회 수장의 총대주교직 지위를 확정받았을 가능성이 있다.[96]
926년, 알로고보투르(Alogobotur)가 이끄는 시메온 1세의 군대가 당시 비잔티움 제국의 동맹국이었던 크로아티아를 침공했으나, 토미슬라프 왕의 군대에 의해 보스니아 고지대 전투에서 완패했다.[8] 불가리아의 보복을 두려워한 토미슬라프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을 포기하고, 교황 특사 마달베르트(Madalbert)가 협상한 현상 유지(status quo)를 기반으로 평화를 맺었다.[97][98] 시메온 1세는 생애 마지막 몇 달 동안 로마노스 1세의 간절한 평화 제안에도 불구하고 콘스탄티노플과의 또 다른 분쟁을 준비했다.[99]
927년 5월 27일, 시메온 1세는 프레스라프의 궁전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비잔티움 연대기 작가들은 그의 죽음을 전설과 연결짓는데, 그에 따르면 로마누스 1세가 시메온 1세의 무생물 분신인 조각상의 목을 베었고, 그 순간 시메온 1세가 죽었다고 한다.[100][101]
그의 뒤를 이어 아들 페트르 1세가 계승했으며, 새로운 황제의 외삼촌인 게오르게 수르수불(George Sursubul)이 초기에 섭정으로 활동했다.[102] 927년 10월 체결되어 페트르 1세와 로마누스 1세의 손녀인 마리아(이레네)의 결혼으로 강화된 평화 조약의 일환으로 기존 국경과 불가리아 지배자의 황제 지위, 불가리아 교회 수장의 총대주교 지위가 확인되었다.[103]
5. 문화와 종교
시메온 1세(Цар Симеон I) 치세 동안 불가리아는 문화적 전성기를 맞이하여 슬라브 유럽(Славянска Европа)의 문학 및 정신적 중심지가 되었다.[3][105] 시메온 1세는 아버지 보리스 1세(Борис I)의 슬라브 문화 확립 및 전파 정책을 계승하여 저명한 학자와 작가들을 불가리아로 불러들였다. 프레스라프 문학 학교(Преславска книжовна школа)와 오흐리드 문학 학교(Охридска книжовна школа)는 시메온 1세 치세 동안 불가리아의 주요 문학 활동이 집중된 곳이었으며,[106] 새롭게 개발된 키릴 문자(Кирилица)를 사용하였다.[10][11][12]
9세기 후반과 10세기 초는 중세 불가리아 문학(Българска литература)의 가장 초기이자 가장 생산적인 시기를 이룬다.[106] 콘스탄티노플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시메온 1세는 비잔틴 문화를 불가리아 궁정에 도입하였지만, 군사력과 종교적 자치를 통해 비잔틴 문화의 동화 작용을 배제하였다.[106] 키릴과 메토디우스(Кирил и Методий)의 제자들 중 클레멘트 오흐리드스키(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성 나움(Свети Наум), 콘스탄틴 프레스라프스키(Константин Преславски)는 불가리아에서 교육 활동을 계속하면서 성경(Библейски преводи)과 요한 크리소스톰(Йоан Златоуст), 카이사리아의 바실(Василий Велики), 알렉산드리아의 키릴(Кирил Александрийски),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Григорий Назианзин),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Атанасий Александрийски)의 저서뿐만 아니라 요한 말라라스(Йоан Малала)와 조지 하마르톨루스(Георги Хамартъл) 등의 역사 연대기와 같은 기독교 경전들을 불가리아어로 번역하였다.[106] 시메온 1세 치세에는 요한 엑사르크(Йоан Екзарх)의 "6일"(Шестоднев), 콘스탄틴 프레스라프스키의 "알파벳 기도"(Азбучна молитва)와 "성복음 선포"(Проглас на светите евангелия), 체르노리제츠 크라브르(Черноризец Храбър)의 "문자에 대한 논고"(За буквите)와 같은 여러 편의 독창적인 신학 및 세속 작품들이 탄생하였다.[106] 시메온 1세의 문학적 번영에 대한 기여는 동시대인들에 의해 칭송되었는데, "즐라토스트루이"(Златоструй) 문집과 "시메온 문집"(Симеоново събрание)에 보존된 "차르 시메온 찬가"(Хвала на цар Симеон)에서 볼 수 있으며,[105] 시메온 1세는 이 문집에 직접 부록을 썼다.[107]
시메온 1세는 새로운 불가리아 수도 프레스라프(Преслав)를 웅장한 종교 및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는데, 이는 군사 요새라기보다는 왕국의 전성기를 과시하고 왕궁으로서의 기능에 더 중점을 두었다.[105] 20개가 넘는 십자형 돔 교회(Кръстокуполни църкви)와 수많은 수도원, 인상적인 왕궁, 그리고 프레스라프 원형 교회(Златната църква)가 있는 프레스라프는 진정한 제국의 수도였다.[105] 이 시대 불가리아 예술의 발전은 테오도르 스트라텔라테스의 세라믹 이콘과 프레스라프 양식의 삽화가 있는 세라믹에서 확인할 수 있다.[108]
6. 가문
시메온 1세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는 신원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 아내 사이에서 미하일이라는 아들을 두었다.[109] 미하일은 어머니의 신분이 낮았기 때문에 계승권에서 제외되어 수도원으로 보내졌다.[102]
두 번째 아내는 영향력 있는 귀족 게오르기 수르수불의 여동생이었으며, 이 아내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 페트르 1세는 927년 불가리아 황제로 즉위하여 969년까지 통치했으며, 이반은 929년 페트르 1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비잔티움으로 도망쳤다. 베냐민은 롬바르드의 역사가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에 따르면 "자신을 갑자기 늑대나 다른 이상한 동물로 변신시키는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110][111]
시메온 1세는 또한 여러 딸들을 두었는데, 그중 한 명은 913년 콘스탄티누스 7세와 결혼하기로 약혼했다.[66] 그러나 이 결혼은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인 조에가 궁정으로 돌아온 후 파기되었다.[112]
7. 유산
시메온 1세는 불가리아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으로 남아 있다.[114] "위대한" 시메온으로 알려진 그는 소설에서 자주 등장한다. 불가리아의 국민 작가 이반 바조프는 그를 위해 어린이 애국시 "차르 시메온"을 헌정했고, 이후 이 시는 "보스포루스 근처에서 소란이 일어나네"라는 제목의 노래로 편곡되었다.[115] 1984년에 제작된 11부작 드라마 시리즈 "황금시대"는 시메온의 통치 이야기를 재구성하는데, 이 드라마에서 차르 역은 마리우스 돈킨이 맡았다.[116]
알퐁스 무하의 20점짜리 작품인 "슬라브 서사시"에는 "불가리아 차르 시메온"이라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118]
마지막 불가리아 군주인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타는 시메온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9] 고급 포도주 증류주(라키야) 브랜드인 "차르 시메온 대왕"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120] 남극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의 리빙스턴섬에 있는 봉우리 하나는 남극 지명 위원회에 의해 시메온 봉우리로 명명되었다.[121]
참조
[1]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2]
문서
This article uses the United Nations-authorized scientific transliteration system to romanize Bulgarian Cyrillic. For details, see Romanization of Bulgarian.
[3]
서적
Rulers of Bulgaria
[4]
서적
Enciklopedija Bǎlgarija
Akademično izdatelstvo "Marin Drinov"
[5]
백과사전
The First Bulgarian Empire
https://web.archive.[...]
Encarta
2007-03-03
[6]
서적
Bulgarian Art and Culture: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7-03-03
[7]
서적
Etnografija na Makedonija
https://web.archive.[...]
Friedrich Brandstetter
[8]
서적
Istorija na Bǎlgarija
[9]
서적
Istorija na Balkanite XIV–XX vek
Hermes
[10]
서적
The Slavs: Their Early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1]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Cambridge Medieval Textboo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14]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15]
웹사이트
Hramǎt "Sveti Četirideset mǎčenici"
https://web.archive.[...]
National Historical Museum
2007-03-07
[16]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17]
서적
Bǎlgarskata dǎržava pri car Simeon
[18]
웹사이트
Biblical Names
http://www.behindthe[...]
Behind the Name
2007-03-04
[19]
서적
Južnye slavjane i Vizantija v X veke
[20]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21]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22]
서적
Pravoslavnite cǎrkvi prez Bǎlgarskoto srednovekovi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3]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24]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2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Slavjanskata pravoslavna civilizacija
http://liternet.bg/p[...]
2007-03-12
[27]
서적
Skylitzes–Kedrenos
[28]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29]
서적
Europe.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0]
서적
Early medieval Balka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1]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31
[32]
서적
Българската езическа култура VII -IX в.
Класика и стил
2008
[33]
서적
Розата на Балканите
[34]
서적
Bǎlgarski hroniki
[35]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36]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37]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38]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39]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40]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41]
서적
Relationum Hungarorum cum oriente gentibusque originis historia antiquissima
[42]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43]
서적
Bǎlgarski hroniki
[44]
서적
Istorija na Bǎlgarija
[45]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46]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47]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48]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49]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0]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1]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2]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53]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4]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55]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6]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7]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58]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59]
학술지
Pograničnyj stolb meždu Vizantiej i Bolgariej pri Simeone
[60]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61]
서적
Bǎlgarski hroniki
[62]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63]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64]
서적
Bǎlgarite i Bǎlgarija
[65]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66]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67]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68]
학술지
Avtokrator i samodržac
[69]
학술지
A re-examination of the 'coronation' of Symeon of Bulgaria in 913
Oxford University Press
[70]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71]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72]
서적
Slavata na Bǎlgarija: istoriko-hudožestven očerk
Voenno izdatelstvo
[73]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74]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75]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76]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77]
서적
Bulgaria: illustrated history
[78]
웹사이트
Symeon of Bulgaria wins the Battle of Acheloos, 917
http://homepage.mac.[...]
2007-03-10
[79]
웹사이트
History
http://oldru.narod.r[...]
2006-09-07
[80]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81]
서적
Vita Euthymii
https://archive.org/[...]
Reimer
[82]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83]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84]
서적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86]
서적
Bǎlgarski hroniki
[87]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88]
서적
Vita S. Mariae Junioris
[89]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90]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91]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92]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93]
서적
Theophanes Continuatus
[94]
웹사이트
The peace agreed between Romanos Lekapenos and Symeon of Bulgaria, AD 924 (translation of Theophanes Continuatus)
http://homepage.mac.[...]
2007-03-11
[95]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96]
학술지
Between Byzantium and Rome: Bulgaria and the West in the Aftermath of the Photian Schism
[97]
서적
Bǎlgarski hroniki
[98]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99]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100]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101]
서적
Bǎlgarski hroniki
[102]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103]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104]
학술지
The Spread of the Slaves - Part IV: The Bulgarians
1882
[105]
서적
Zlatnijat vek na bǎlgarskata kultura
[106]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knigite.abv.b[...]
2019-03-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으로 표기
[107]
웹사이트
Pribavka ot samija hristoljubiv car Simeon
http://knigite.abv.b[...]
2007-01-18
[108]
웹사이트
Risuvana keramika
http://www.museum-pr[...]
2007-03-10
[109]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110]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111]
웹사이트
Antapodosis
https://www.dmgh.de/[...]
[112]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113]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113]
서적
Istorija na Pǎrvoto bǎlgarsko carstvo
[114]
웹사이트
Vasil Levski beše izbran za naj-velikija bǎlgarin na vsički vremena
http://velikite.bg/i[...]
2007-03-25
[115]
웹사이트
Večnite pesni na Bǎlgarija
http://www.novotovre[...]
2007-03-25
[116]
웹사이트
"Zlatniyat vek" (1984)
https://www.imdb.com[...]
2007-03-25
[117]
뉴스
Tazi večer v Silistra e premierata na grandioznija istoričeski spektakǎl "Zlatnijat vek – Car Simeon Veliki"
http://btv.bg/news/?[...]
2006-12-07
[118]
서적
Bulgarian contributions to European civilization
Bulvest 2000
[119]
웹사이트
Simeon Sakskoburggotski (Car Simeon Vtori)
http://www.omda.bg/b[...]
2007-03-25
[120]
웹사이트
Grozdova rakija: Car Simeon Veliki
http://www.vinexbg.c[...]
2007-03-25
[121]
웹사이트
Bulgarian Antarctic Gazetteer: Simeon Peak
http://apc.mfa.gover[...]
2007-03-25
[122]
서적
(제목 없음)
[123]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제목 없음)
[125]
서적
(제목 없음)
[126]
서적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