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스 1세는 9세기에 불가리아를 통치한 군주로, 불가리아를 기독교 국가로 만들고 슬라브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프레시안 1세의 아들로, 즉위 후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세르비아와의 분쟁을 겪었다. 그는 기독교로 개종한 후 미하일이라는 세례명을 받았으며, 가톨릭과 정교회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결국 정교회를 선택하여 불가리아 교회를 설립했다. 그는 슬라브 문자의 도입과 문학 발전을 지원했으며, 말년에는 수도승이 되어 아들 블라디미르의 배교 시도를 진압하고 시메온 1세를 즉위시켰다. 그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성인으로 추앙받으며, 남극 대륙의 산과 영화에도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크룸과 프레지안의 노력으로 불가리아는 영토, 군사적, 정치적 잠재력 면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 중 하나가 되었지만, 슬라브족과 불가르족 간의 종교, 인종, 언어 차이로 인해 통일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리스 1세는 통일을 위해 모든 국민에게 공통되고 의무적인 종교를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남극 대륙 남셰틀랜드 제도 리빙스턴섬의 보리스 산(St. Boris Peak)은 보리스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1]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Βόρις – Μιχαὴλ ὁ Ἱσαπόστολος ὁ πρίγκιπας καὶ Φωτιστῆς τοῦ Βουλγαρικοῦ λαοῦ
http://www.synaxario[...]
2000-05-02 #날짜 추정치. 원본에 연도 정보 없음.
2. 이름과 칭호
가장 일반적인 이론은 보리스라는 이름이 불가리아어 기원이라는 것이다.[3][4][5] 그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후 공식적으로 보리스는 기독교식 이름인 미카엘을 채택했다. 그는 역사 연구에서 때때로 보리스-미카엘이라고 불린다.
보리스의 칭호에 대한 유일한 직접적인 증거는 그의 인장과 비문이며, 이는 현재 알바니아의 발시 마을 근처와 바르나에서 발견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비잔티움의 칭호인 "아르콘 of Bulgaria"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통치자"로 번역되며, 10-11세기에는 "크냐즈" (Кнѧзъ, 불가리아어)라고도 불린다.[6] 그 시대의 불가리아 자료에서 보리스 1세는 "크냐즈"라고 불리며, 제2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는 "차르"라고 불린다.[7]
현대 역사학에서 보리스는 서로 다른 칭호로 불린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그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후 칭호를 바꾸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 그들에 따르면, 세례 전에는 칸[8] 또는 카나수비기[9][10]였고, 그 후에는 크냐즈였다.[11]
3. 생애
당시 불가리아는 비정교 국가였기 때문에 '기독교 국가군'에 합류해야 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동방 정교회라는 두 개의 중심 교권이 경쟁하고 있었으므로 보리스 1세는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원래 로마 교회를 지지하려 했으나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교회를 선택해야 했다. 어느 날 밤, 보리스 1세와 그의 가족 및 지지 귀족들은 불가리아 수도 플리스카에 파견된 비잔티움 주교와 사제로부터 비밀리에 세례를 받았다. 보리스 1세의 세례명은 미하일이었다.
보리스 1세가 국민에게 세례를 강요하자 비기독교인들이 심하게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52명의 보야르(귀족)들을 그들의 가족과 함께 처형하며 강경하게 대응했다.[34] 보리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우스와 불가리아 주교구의 지위에 대해 협상을 벌였으나, 비잔티움 측은 불가리아 교회 조직이 완전히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종속되기를 바랐다. 이에 불만을 품은 보리스 1세는 서유럽과의 외교 접촉을 재개하여 866년 교황 니콜라오 1세에게 외교 사절을 보냈다. 교황은 이에 화답하여 불가리아에 전도단을 파견했다.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의 불가리아 체류는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민감한 쟁점이 되었다. 그러나 교황 니콜라오 1세와 그의 뒤를 이은 교황 하드리아노 2세가 불가리아 내의 교회 조직에 관해 망설이자, 보리스 1세는 다시 비잔티움 측과의 협상을 시작했다. 불가리아 교회 문제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8차 공의회에서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 불가리아는 공식적으로 명목상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지만, 독자적인 대주교구를 갖게 되었다. 882년까지 로마 교황들은 보리스 1세를 로마 교회 쪽으로 되돌리려고 호소하고 양보를 약속했으나,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보리스 1세는 불가리아 국민들에게 기독교 정교 신앙을 적극적으로 전파했고, 불가리아 교회를 독립 기구로 조직하는 일과 곳곳에 교회를 짓는 일에도 힘을 기울였다.
886년 보리스는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형제의 제자들로서 슬라브 사람들을 전도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가 모라바에서 쫓겨난 클레멘트와 나움 등을 받아들였다. 이들은 보리스의 적극적인 원조와 물질적 지원을 받아 플리스카, 프레슬라프, 오흐리드에 슬라브 학문의 중심지를 설립했다. 슬라브 학자들이 집중적인 작업을 벌인 결과 슬라브어가 그리스어 대신 교회 예배와 문학에서 사용하게 되었으며 불가리아의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
889년 보리스 1세는 왕위에서 물러나 수도사가 되었으나 국가 행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은 계속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맏아들이자 상속자인 블라디미르는 아버지의 정책을 버리고 기독교를 반대했으며 슬라브 문자와 슬라브 문학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 그러자 충성스런 보야르들과 군대의 도움을 받은 보리스 1세는 자기 아들을 폐위시키고 눈을 뽑아 버린 뒤, 셋째 아들 시메온 대제가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그 후 수도원으로 물러난 보리스 1세는 불가리아 교회에 후한 하사금을 주었으며 슬라브 학자들을 후원했다. 그리고 그의 사후 그는 정교회의 성인이 되었다.
3. 1. 불가리아의 기독교화
크룸과 프레지안의 노력으로 불가리아는 영토, 군사적, 정치적 잠재력 면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 중 하나가 되었지만, 슬라브족과 불가르족 간의 종교, 인종, 언어 차이로 인해 통일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리스 1세는 통일을 위해 모든 국민에게 공통된 종교를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당시 불가리아는 비기독교 국가였기 때문에 '기독교 국가군'에 합류해야 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동방 정교회라는 두 개의 중심 교권이 경쟁하고 있었으므로 보리스 1세는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원래 로마 교회를 지지하려 했으나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교회를 선택해야 했다. 어느 날 밤, 보리스 1세와 그의 가족 및 지지 귀족들은 불가리아 수도 플리스카에 파견된 비잔티움 주교와 사제로부터 비밀리에 세례를 받았다. 보리스 1세의 세례명은 미하일이었다.
보리스 1세가 국민에게 세례를 강요하자 비기독교인들이 심하게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52명의 보야르(귀족)들을 그들의 가족과 함께 처형하며 강경하게 대응했다.[34] 보리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우스와 불가리아 주교구의 지위에 대해 협상을 벌였으나, 비잔티움 측은 불가리아 교회 조직이 완전히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종속되기를 바랐다. 이에 불만을 품은 보리스 1세는 서유럽과의 외교 접촉을 재개하여 866년 교황 니콜라오 1세에게 외교 사절을 보냈다. 교황은 이에 화답하여 불가리아에 전도단을 파견했다.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의 불가리아 체류는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민감한 쟁점이 되었다. 그러나 교황 니콜라오 1세와 그의 뒤를 이은 교황 하드리아노 2세가 불가리아 내의 교회 조직에 관해 망설이자, 보리스 1세는 다시 비잔티움 측과의 협상을 시작했다. 불가리아 교회 문제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8차 공의회에서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 불가리아는 공식적으로 명목상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지만, 독자적인 대주교구를 갖게 되었다. 882년까지 로마 교황들은 보리스 1세를 로마 교회 쪽으로 되돌리려고 호소하고 양보를 약속했으나,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보리스 1세는 불가리아 국민들에게 기독교 정교 신앙을 적극적으로 전파했고, 불가리아 교회를 독립 기구로 조직하는 일과 곳곳에 교회를 짓는 일에도 힘을 기울였다. 9세기 초는 분열로 이어진 그리스 동방과 라틴 서방 사이의 격렬한 경쟁의 시작을 알렸다.
보리스 1세가 기독교로 개종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의 누이인 안나의 영향,[34] 궁정에 있던 그리스인 노예의 영향,[34] 최후의 심판 이콘에 대한 두려움[34] 등이 거론되지만, 리처드 B. 스펜스(Richard B. Spence)는 이 결정을 의도적이고 실용적이며 정치적인 것으로 보았다.[35]
보리스 1세는 외교적 이유로 기독교 개종에 관심을 가졌다. 슬라브 세계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하고 비잔티움 제국에 맞서 동맹을 맺기 위해, 동프랑크 왕국의 루이 2세와 동맹을 맺으려 했다.[30] 그러나 863년 말, 비잔티움 제국의 미카엘 3세 황제가 불가리아에 선전포고를 하자, 보리스 1세는 평화를 맺고 동방 예식에 따라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약속했다.[32] 864년 초, 보리스 1세는 플리스카에서 비밀리에 세례를 받았다.[33] 미카엘 3세 황제를 대부로 삼아 미카엘이라는 기독교 이름을 채택했다.[34]
보리스 1세는 불가리아 사회 내의 분열을 해결하기 위해 기독교 개종을 추진했다. 불가리아인과 슬라브인은 종교적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불가르족 엘리트들은 탕그라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키릴 문자 도입으로 슬라브어 기독교 문화가 발전하면서 왕국 통합에 기여했다.[35]
기독교로의 개종은 불가리아 엘리트들 사이에서 큰 반대에 부딪혔다. 일부는 기독교인이 되기를 거부했고, 다른 일부는 세례 후 배교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보리스 1세는 옛 종교의 권력을 깨뜨림으로써 칸의 권위에 저항하는 보이야르들의 영향력을 감소시켰다.[35] 865년 여름, 불가리아 귀족(보이야르) 집단이 공개적인 반란을 일으켰으나,[34] 보리스 1세는 이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52명의 보이야르와 그들의 온 가족을 처형했다.[43]
3. 1. 1. 불가리아 정교회의 설립
크룸과 프레지안의 노력으로 불가리아는 유럽의 주요 국가 중 하나였지만, 슬라브족과 불가르족 간의 종교, 인종, 언어 차이로 인해 통일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리스 1세는 통일을 위해 모든 국민에게 공통된 종교를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36]
불가리아는 기독교 국가가 되어야 했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동방 정교회 사이에서 선택해야 했다. 보리스 1세는 처음에는 로마 교회를 지지했지만,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정교회를 선택했다. 그는 비밀리에 세례를 받았고(세례명은 미하일), 국민에게 세례를 강요하자 52명의 귀족(보야르)들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처형되었다.[36]
보리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우스와 불가리아 주교구의 지위에 대해 협상했지만, 비잔티움 측은 불가리아 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완전히 종속되기를 원했다. 이에 불만을 품은 보리스 1세는 866년 교황 니콜라오 1세에게 사절을 보내 서유럽과의 외교를 재개했고, 교황은 전도단을 파견했다.[37]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의 불가리아 체류는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민감한 쟁점이 되었다. 그러나 교황 니콜라오 1세와 교황 하드리아노 2세가 불가리아 교회 조직에 대해 망설이자 보리스 1세는 다시 비잔티움과의 협상을 시작했다. 결국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8차 공의회에서 불가리아 교회 문제는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40]
불가리아는 공식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 하에 놓였지만, 독자적인 대주교구를 갖게 되었다. 882년까지 로마 교황들은 보리스 1세를 로마 교회로 되돌리려 했지만 소용없었다.[40]
보리스 1세는 국민들에게 기독교 정교 신앙을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불가리아 교회를 독립 기구로 조직하며, 곳곳에 교회를 짓는 데 힘썼다. 864년부터 866년 사이에 비잔티움 사제들의 도움을 받아 백성들에게 세례를 주었으며, 기독교적 삶과 사회를 이끌어가는 방법, 자치 교회를 설립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를 구했다.[36] 포티오스 분열을 통해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사이의 불화에서 중요한 단계를 거쳤다.
보리스 1세는 교황 니콜라스 1세에게 질문 목록을 전달하여 종교, 법, 정치, 관습, 개인 신앙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얻었다. 또한, 비잔티움 사제들의 남용과 그 결과를 바로잡는 방법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 교황은 많은 선교사들을 파견하여 불가리아의 개종을 계속하게 했다.[38][39]
보리스 1세는 불가리아 출신 성직자의 수를 늘리기 시작했고, 불가리아인들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 수도원 교육을 받게 했다.[41] 885년, 성 키릴과 성 메토디우스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제자들이 모라비아에서 도망쳐 오자, 보리스 1세는 토착 성직자를 설립할 기회를 얻었다.
3. 2. 슬라브 문자의 도입과 문화 발전
886년 보리스는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형제의 제자들로서 슬라브 사람들을 전도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가 모라바에서 쫓겨난 클레멘트와 나움 등을 받아들였다. 이들은 보리스의 적극적인 원조와 물질적 지원을 받아 플리스카, 프레슬라프, 오흐리드에 슬라브 학문의 중심지를 설립했다. 슬라브 학자들이 집중적인 작업을 벌인 결과 슬라브어가 그리스어 대신 교회 예배와 문학에서 사용하게 되었으며 불가리아의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42]
제1 불가리아 제국에서 클레멘트와 나움은 893년 공식 문자로 선포된 키릴 문자를 만들거나 편찬했다. 같은 해 고대 교회 슬라브어(고대 불가리아어)가 공식 언어로 선포되었다. 이후 이 문자는 다른 슬라브 민족과 국가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슬라브어 전례의 도입은 보리스 1세가 그의 영토 전역에 걸쳐 교회와 수도원을 계속해서 발전시킨 것과 병행되었다.
3. 3. 통치 말기
886년 보리스는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형제의 제자들로서 슬라브 사람들을 전도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가 모라바에서 쫓겨난 클레멘스와 앙겔라리오스 등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 이들은 보리스의 적극적인 원조와 물질적 지원을 받아 플리스카, 프레슬라프, 오흐리드에 슬라브 학문의 중심지를 설립했다. 슬라브 학자들이 집중적인 작업을 벌인 결과 슬라브어가 그리스어 대신 교회 예배와 문학에서 사용하게 되었으며 불가리아의 공식언어로 채택되었다.
889년 왕위에서 물러나 수도사가 되었으나 국가 행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은 계속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맏아들이자 상속자인 블라디미르는 아버지의 정책을 버리고 기독교를 반대했으며 슬라브 문자와 슬라브 문학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 그러자 보리스는 충성스런 보야르들과 군대의 도움을 받아 자기 아들의 눈을 뽑아 버린 뒤 폐위시키고 블라디미르 대신 셋째 아들 시메온 대제가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그 후 수도원으로 물러난 보리스는 불가리아 교회에 후한 하사금을 주었으며 슬라브 학자들을 후원했다. 그리고 그의 사후 그는 정교회의 성인이 되었다.
보리스 1세는 퇴위하고 승려가 되었다. 그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블라디미르는 이교 부흥을 시도했고, 이는 893년 보리스를 은퇴 생활에서 끌어냈다. 블라디미르는 패배했고 보리스는 그의 눈을 멀게 하고, 그의 아내의 머리를 깎아 수도원으로 보냈다. 보리스는 프레스라프 공의회를 소집하여 그의 셋째 아들 차르 시메온 1세를 왕위에 올리고, 그 또한 배교하면 같은 운명을 맞이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보리스는 수도원으로 돌아갔다가, 약 895년경 비잔티움 제국과 동맹을 맺고 불가리아를 침략한 마자르족과의 싸움을 돕기 위해 다시 나타났다. 이 위기가 지나간 후, 보리스는 수도원 생활로 돌아가 907년 사망했다. 그의 은둔처이자 아마도 매장되었을 장소는 확실하지 않다. 프레스라프 근처, 또는 플리스카 근처, 또는 바르나 근처 라브나 수도원일 가능성이 있다.
4. 유산
보리스 1세의 일생은 1985년 영화 "보리스 1세"(Борис Първи)에 등장하며, 스테판 다나일로프가 주인공 역할을 맡았다.[2]
참조
[2]
웹사이트
Orthodox Calendar. HOLY TRINITY RUSSIAN ORTHODOX CHURCH, a parish of the Patriarchate of Moscow
https://www.holytrin[...]
2023-01-16
[3]
웹사이트
Проф. Веселин Бешевлиев (Издателство на Отечествения фронт, София 1981)
http://www.promacedo[...]
Издателство на Отечествения фронт
1981-00-00 #연,월,일 정보 부족
[4]
웹사이트
Имена със значение вълк в българската антропонимна система
https://liternet.bg/[...]
2013-04-30
[5]
서적
Turks and Khazars: Origins, Institutions, and Interactions in Pre-Mongol Eurasia
Ashgate/Variorum
[6]
서적
Средновековният български владетел. (Титулатура и инсигнии)
#출판사 정보 부족
[7]
서적
Средновековният български владетел...
[8]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държава през Средните векове, т.1, ч.2
Академично издателство „Марин Дринов“
[9]
웹사이트
12 мита в българската история
http://www.book.stor[...]
[10]
웹사이트
Страница за прабългарите
http://www.protobulg[...]
[11]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държава през Средните векове, т.1, ч.2
Академично издателство „Марин Дринов“
[12]
서적
Моравия и Мадяры
#출판사 정보 부족
[13]
서적
annales
[14]
서적
legationes Bulgarorum Sclavorumque et absolvit
Mon. Germ. SS
[15]
서적
#제목 정보 부족
ed. Bon.
[16]
서적
Известия за българите
[17]
서적
Император Василий Болгаробойца
#출판사 정보 부족
[18]
서적
#제목 정보 부족
[19]
서적
#제목 정보 부족
Patrol. gr.
[20]
서적
Известия о сербах и хорватах
[21]
서적
De admin, imp.
ed. Bon
[22]
서적
#제목 정보 부족
[23]
간행물
Bulgarian historical review
[24]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https://books.google[...]
[25]
서적
Documenta historiae Chroatie etc.
#출판사 정보 부족
[26]
서적
Славян. древн.
[27]
서적
De admin, imp.
[28]
서적
The Serbs
[29]
논문
Why did prince Mutimir keep Petar Gojnikovic?
http://teme.junis.ni[...]
[30]
논문
Khan Boris and the Conversion of Bulgaria: A case Study of the Impact of Christianity on a Barbarian Society
Variorum
[31]
서적
The Early Slavs: Culture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Eastern Europ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32]
서적
[3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Wm. B. Eerdmans Publishing
[34]
서적
[35]
서적
Boris I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논문
Bulgaria, Patriarchal Orthodox Church of
Wiley-Blackwell
[37]
서적
Saints and Sinners: A History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8]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Random House
[39]
서적
[40]
서적
Diplomacy of the Letter and the Cross. Photios, Bulgaria and the Papacy, 860s–880s
A.M. Hakkert, Amsterdam
[41]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Orthodox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14-02-03
[42]
웹사이트
The Orthodox Church of Bulgaria
http://www.cnewa.org[...]
2011-07-00
[43]
웹사이트
V. Zlatarski - Istorija 1 B - 3.2
http://promacedon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