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혈증은 미생물 감염에 대한 신체의 과도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 다양한 세균, 곰팡이, 기생충,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알코올 중독, 영양실조, 면역력 저하, 신생아 등 취약 계층에서 발병하기 쉽다. 초기에는 발열, 빈맥, 빈호흡,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진행되면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진단은 체온, 심박수, 혈압, 백혈구 수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혈액 배양 검사 등을 통해 원인균을 확인한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함께 혈압 유지, 혈액 공급, 산소 공급 등이며, 초기 목표 지향 요법(EGDT)을 통해 집중적인 치료를 제공한다. 패혈증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백만 명이 사망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혈증 - 균혈증
균혈증은 혈액 내에 살아있는 세균이 존재하는 상태로, 패혈증으로 발전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혈액 배양 검사로 진단하고 항생제 투여로 치료한다. - 패혈증 - 진균혈증
진균혈증은 곰팡이가 혈액 내에 존재하는 상태로, 칸디다 알비칸스 등이 주된 원인균이며, 광범위 항생제 사용, 당뇨병, 면역력 저하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배양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에키노칸딘 계열 항진균제로 치료하고, 최근에는 다제내성균인 칸디다 아우리스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패혈증 | |
|---|---|
| 질병 개요 | |
![]() | |
| 진료 분야 | 감염병 |
| 증상 | 발열 심박수 증가 낮은 혈압 호흡수 증가 소변량 감소 소변량 결핍 또는 거의 없음 심한 통증 정신 혼란 |
| 합병증 | 다발성 장기 부전 증후군 일시적, 과도적 또는 영구적인 장기 손상 체외 막 산소화 혈액 여과 또는 투석 |
| 발병 시기 | 빠르면 3시간 이내, 며칠에 걸쳐 서서히 진행될 수 있음 |
| 원인 | 감염에 의해 유발된 면역 반응 |
| 위험 요인 | 영유아 또는 노년층 암 당뇨병 주요 외상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다발성 골수종 화상 |
| 진단 |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SIRS) qSOFA |
| 예방 | 인플루엔자 백신 예방 접종 폐렴 예방 접종 |
| 치료 | 정맥 수액 항균제 혈관수축제 |
| 사망률 | 10 ~ 80% (치료 시기와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발생 빈도 | 2017년 전 세계적으로 4,890만 건 발생, 1,100만 명 사망 (WHO 기준) |
| 상세 정보 | |
| 정의 | 감염에 대한 조절되지 않는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 기능 장애 |
2. 원인
패혈증은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진균 등 매우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34] 인체에 발생한 화농성 질환의 원인균이 혈액에 유입되거나, 비브리오 패혈증과 같이 식품 섭취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혈액이 세균에 직접 감염되지 않더라도 인체 한 부위의 감염원에서 발생하는 염증 물질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알코올 중독, 영양실조, 간 질환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이나 신생아에게 발생하기 쉽다. 패혈증을 유발하는 감염은 세균성이 일반적이지만, 진균, 기생충 질환 또는 바이러스 질환일 수도 있다.[34]
감염의 가장 흔한 부위는 폐, 복부 및 요로이다.[34] 패혈증 사례의 50%가 폐 감염으로 시작되며, 3분의 1에서 2분의 1은 감염의 근원이 불분명하다.[34]
2. 1. 미생물 요인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진균 등 다양한 원인균이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34] 1950년대 항생제 도입 이전에는 그람 양성 세균이 주요 원인이었으나,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그람 음성 세균이 주요 원인이었다.[45] 1980년대 이후에는 포도상구균과 같은 그람 양성 세균이 다시 패혈증 사례의 50%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6][46]세균의 독성 인자는 숙주 내에서 집락 형성, 면역 회피, 질병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62] 그람 음성 세균에 의한 패혈증은 숙주가 지질 A(내독소)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며,[64][65]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한 패혈증은 세포벽의 리포테이코산에 대한 면역 반응의 결과일 수 있다.[66] 슈퍼항원으로 작용하는 세균 외독소는 항원 제시 없이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와 T 세포 수용체에 동시에 결합하여 염증성 화학 신호(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62]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PAMPs)은 침입하는 병원체를 인식하게 한다. PAMP의 예로는 그람 음성 세균의 지질다당류와 편모 단백질, 그람 양성 세균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에 있는 뮤라밀 디펩타이드, CpG 세균 DNA가 있다. 이러한 PAMP는 막 결합형 또는 세포질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선천 면역계의 패턴 인식 수용체(PRRs)에 의해 인식된다.[67]
2. 2. 숙주 요인
미생물 항원이 감지되면 숙주의 전신 면역계가 활성화된다. 면역 세포는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뿐만 아니라 손상된 조직에서 유래된 손상 관련 분자 패턴도 인식한다. 그러면 백혈구가 특정 감염 부위로 모집되지 않고 전신으로 모집되기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면역 반응이 활성화된다.[45] 그 후, T 도우미 세포 1(TH1)이 TH2로 이동하면서 면역억제 상태가 뒤따르며, 이는 "보상적 항염증 반응 증후군"으로 알려진 인터류킨 10에 의해 매개된다.[45] 림프구의 세포 사멸은 면역 억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호중구, 단핵구,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CD4+ T 세포, B 세포는 모두 세포 사멸을 겪는 반면, 조절 T 세포는 세포 사멸에 더 강하다.[1] 이어서, 조직이 시토크롬 c 산화효소의 억제로 인해 산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발성 장기 부전이 발생한다.[69]3. 증상
초기에는 고열, 무력감, 오한, 저혈압 등의 증상을 보이나, 환자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발열, 저체온, 빈호흡, 빈맥, 정신 착란,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41] 빠른 심박수, 핍뇨, 고혈당도 초기 징후에 해당한다.[42]
패혈증이 심해지면 혼란, 대사성 산증(호흡성 알칼리증을 동반할 수 있음), 저혈압, 높은 심박출량, 혈액 응고 장애로 인한 장기 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42] 노인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는 발열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14]
패혈증에서 나타나는 저혈압은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패혈성 쇼크의 진단 기준에 포함된다.[43]
패혈증 초기에는 이완기 혈압이 하강하여 맥압(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이 넓어지거나 증가한다. 패혈증이 진행되어 혈역학적 손상이 심해지면 수축기 혈압도 감소하여 맥압이 좁아지거나 감소한다.[10] 70mmHg 이상의 맥압은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11] 넓어진 맥압은 정맥 내 수액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11]
오한, 권태감, 둔통, 인식 능력 저하와 함께, 80% 정도의 환자에게서 전신 염증을 반영하는 현저한 발열이 나타난다. 하지만 10-15% 정도의 환자에게서는 저체온증이 나타나기도 한다.[148] 말초 혈관 확장으로 인해 말초 조직에 충분한 영양과 산소가 전달되지 않아 장기 손상, 장기 관류 이상, 혈압 저하가 나타난다. 더 진행되면 혼란 등의 의식 장애를 겪게 된다.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동반되면 혈전이 생겨 다발성 장기 부전이 발생하고, 혈소판이 소모되어 출혈 경향을 보이게 된다. 대장균 등의 그람 음성균이 원인균일 경우, 균이 생산하는 내독소(엔도톡신)에 의해 엔도톡신 쇼크가 유발될 수 있다.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의 혼합성 산염기 평형 이상도 나타난다. 패혈성 쇼크 증상을 보이면 환자의 25%가 사망한다.[149]
오한전율(shaking chill), 호흡수 30회/분 초과, 산소 포화도 저하, 동맥혈 가스 분석에서의 대사성 산증, 핍뇨, 의식 수준 변화(대개 저하)는 위험한 열(severe high fever)의 특징으로 간주된다. 위험한 열(severe high fever) 외에, 체온 38.5℃ 이상에서 오한 전율을 동반하는 경우, 백혈구 수가 12,000/µL 이상 또는 4,000/µL 미만인 경우, 정맥 주사로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혈액 배양 검사가 필요하다.[150]
4. 진단
조기 진단은 중증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데 핵심이므로, 패혈증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치료 시작이 중요하다.[2] 일부 병원에서는 잠재적 사례에 가능한 한 빨리 주의를 기울이기 위해 전자 건강 기록에서 생성된 경고를 사용한다.[49]
패혈증이 의심되는 처음 3시간 이내에 백혈구 수치 측정, 혈청 젖산 측정, 항생제 사용을 45분 이상 지연시키지 않는 한 항생제 투여 전에 적절한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2]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호기성 세균 및 혐기성 세균용 배양 배지가 들어 있는 병을 사용하여 최소 두 세트의 혈액 배양이 필요하다. 최소한 하나는 피부 경유로 채취해야 하며, 48시간 이상 사용된 각 혈관 접근 장치(IV 카테터 등)를 통해 하나를 채취해야 한다.[2] 세균은 사례의 약 30%에서만 균혈증으로 혈액에 존재한다.[50] 또 다른 가능한 검출 방법은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이다. 다른 감염원이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 사용을 지연시키지 않는 한 소변, 뇌척수액, 상처 또는 호흡기 분비물과 같은 이러한 감염원에 대한 배양 검사도 받아야 한다.[2]
6시간 이내에, 초기 수액 공급량 30ml/kg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여전히 낮거나 초기 젖산이 ≥ 4 mmol/L (36 mg/dL)인 경우, 중심 정맥압 및 중심 정맥 산소 포화도를 측정해야 한다.[2] 초기 젖산이 증가한 경우 젖산을 재측정해야 한다.[2] 그러나, 일반적인 측정 방법보다 현장 검사 젖산 측정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51]
12시간 이내에, 괴사성 연조직 감염, 복강 내막의 염증을 유발하는 감염, 담관의 감염 또는 장 경색과 같이 긴급한 근원 통제가 필요한 감염원을 진단하거나 배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2] 천공된 내장 (복부 X-선 또는 CT 스캔에서 유리 공기), 폐렴과 일치하는 비정상적인 흉부 방사선 사진 (국소 불투명도 포함) 또는 점상 출혈, 자반병, 또는 전격성 자반병은 감염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각종 감염증 검사 외에, 프레셉신, 내독소 및 프로칼시토닌 측정이 이루어진다. 쇼크 확인을 위해 수축기 혈압 (90 mmHg) 또는 혈장 젖산 수치 (4 mmol/L) 등을 확인한다.
패혈증 초기 단계에서 이완기 혈압이 하강하여 맥압이 넓어지거나 증가하는데, 맥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이다. 패혈증이 심해지고 혈역학적 손상이 진행되면 수축기 혈압도 감소하여 맥압이 좁아지거나 감소한다.[10] 패혈증 환자에서 70mmHg 이상의 맥압은 생존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1] 또한 넓어진 맥압은 패혈증 환자가 정맥 내 수액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11]
패혈성 쇼크에서는 산화 스트레스가 관찰되며, 혈중 구리 및 비타민 C 수치가 감소한다.[9]
4. 1. 진단 기준
패혈증의 특별한 진단법은 없다. 따라서 체온, 맥박수, 호흡수, 혈압, 혈액 검사상의 백혈구 수치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다. 감염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패혈증 환자는 실제 원인과 관련된 증상 외에도 발열, 저체온, 빈호흡, 빈맥, 정신 착란, 부종을 겪을 수 있다.[41] 초기 징후로는 빠른 심박수, 핍뇨, 고혈당이 있다. 확립된 패혈증의 징후로는 혼란, 대사성 산증(이는 호흡성 알칼리증을 유발하는 더 빠른 호흡수를 동반할 수 있음), 전신 혈관 저항 감소로 인한 저혈압, 높은 심박출량, 그리고 장기 부전을 유발할 수 있는 혈액 응고 장애가 있다.[42] 발열은 패혈증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노인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과 같은 일부 사람들에게는 발열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14]패혈증에서 나타나는 저혈압은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패혈성 쇼크의 기준에 포함된다.[43]
이전에는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 기준이 패혈증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 SIRS 기준이 음성이면 해당 환자가 패혈증에 걸렸을 가능성은 매우 낮고, 양성이면 환자가 패혈증에 걸렸을 가능성은 중간 정도이다. SIRS에 따르면 패혈증에는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성 쇼크와 같은 여러 단계가 있었다.[40]
| 소견 | 값 |
|---|---|
| 체온 | <36°C 또는 >38°C |
| 심박수 | >90/분 |
| 호흡수 | >20/분 또는 PaCO2<32 mmHg (4.3 kPa) |
| 백혈구 | <4x109/L (<4000/mm3), >12x109/L (>12,000/mm3), 또는 ≥10% 밴드 |
2016년에는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 (SIRS)에 의한 선별 검사를 순차적 장기 부전 평가(SOFA 점수) 및 간략화된 버전(qSOFA 점수)으로 대체하는 새로운 합의가 이루어졌다. qSOFA는 비 집중 치료실 환자에게서 패혈증을 의심하기 위한 간편한 도구로, 다음 세 가지 기준 중 2가지 이상이 충족되면 패혈증이 의심된다.
- 분당 22회 이상의 호흡수
- 수축기 혈압 100mmHg 이하
- 정신 상태 변화
SOFA 점수는 중환자실(ICU)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ICU 입원 시 투여하고 48시간마다 반복하는 반면, qSOFA는 ICU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14]
미국 흉부 의학회(CHEST)는 qSOFA 및 SOFA 기준이 심각한 감염의 진단을 지연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53] SIRS 기준은 패혈증을 식별하는 데 너무 민감하고 특정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SOFA도 제한 사항이 있으며 SIRS 정의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54] qSOFA는 또한 SIRS로 사망 위험에 대해 제대로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별 검사에는 적합할 수 있다.
집중 치료실 (ICU)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와 집중 치료실이 아닌 곳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는 기준이 다르다.[151]
| 항목 | 점수 | ||||
|---|---|---|---|---|---|
| 0 | 1 | 2 | 3 | 4 | |
| 호흡 기능 [mmHg] | ≧ 400 | 400 >≧ x ≧ 300 | 300 > x ≧ 200 | 200 > x ≧ 100 호흡 보조 하 | 100 > x 호흡 보조 하 |
| 응고 기능 혈소판 수 [×103/mm2] | x ≧ 150 | 150 > x ≧ 100 | 100 > x ≧> 50 | 50 > x ≧ 20 | 20 > x |
| 간 기능 혈장 빌리루빈 값 [mg/dL] | < 1.2 | 1.2〜1.9 | 2.0〜5.9 | 6.0〜11.9 | > 12.0 |
| 순환 기능 혈압 저하 | 평균 동맥압 ≧70 mmHg | 평균 동맥압 <70 mmHg | 도파민≦5γ 또는 도부타민 투여 (투여량을 묻지 않음) | 도파민>5γ 또는 에피네프린≦0.1γ 또는 노르에피네프린≦0.1γ | 도파민>15γ 또는 에피네프린>0.1γ 또는 노르에피네프린>0.1γ |
| 중추 신경 기능 글래스고 혼수 척도 | 15 | 14〜13 | 12〜10 | 9〜6 | 6 미만 |
| 신장 기능 크레아티닌 값 [mg/dL] | 1.2 미만 | 1.2〜1.9 | 2.0〜3.4 | 3.5〜4.9 또는 뇨량이 500 mL/일 미만 | >5.0 또는 뇨량이 200 mL/일 미만 |
- '''집중 치료실''': 감염증이 의심되며, SOFA 총 점수가 2점 이상 급상승할 때.
- '''비집중 치료실''': quick SOFA (qSOFA) 2개 항목 이상에서 패혈증을 의심한다. 최종 진단은 집중 치료실 환자에 준한다.
- * 호흡수 22회/분 이상
- * 의식 수준 저하
- * 수축기 혈압 100 mmHg 이하
5. 검사
기본 혈액 검사를 통해 백혈구 수와 혈소판 수를 확인한다.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하지만, 결과가 나오기까지 최대 5일이 소요될 수 있어, 그 전에 환자가 사망할 위험이 있으므로 의사의 경험적 판단이 중요하다.
패혈증이 의심되는 처음 3시간 이내에 백혈구 수치 측정, 혈청 젖산 측정, 항생제 투여 전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단, 항생제 사용이 45분 이상 지연되지 않아야 한다.)[2] 원인균 확인을 위해 호기성 세균 및 혐기성 세균용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최소 두 세트의 혈액 배양이 필요하다. 최소 한 세트는 피부 경유로, 다른 한 세트는 48시간 이상 사용된 각 혈관 접근 장치(IV 카테터 등)를 통해 채취해야 한다.[2] 균혈증으로 혈액에 세균이 존재하는 경우는 약 30%에 불과하다.[50] 중합 효소 연쇄 반응도 검출 방법 중 하나이다. 다른 감염원이 의심되는 경우, 소변, 뇌척수액, 상처, 호흡기 분비물 등에 대한 배양 검사도 받아야 한다. (단, 항생제 사용을 지연시키지 않아야 한다.)[2]
6시간 이내에, 초기 수액 공급량 30ml/kg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낮거나 초기 젖산이 ≥ 4 mmol/L (36 mg/dL)인 경우, 중심 정맥압 및 중심 정맥 산소 포화도를 측정해야 한다.[2] 초기 젖산이 증가한 경우 젖산을 재측정해야 한다.[2]
12시간 이내에는 괴사성 연조직 감염, 복강 내막의 염증을 유발하는 감염, 담관의 감염, 장 경색 등 긴급한 근원 통제가 필요한 감염원을 진단하거나 배제해야 한다.[2]
말단 장기 부전의 예는 다음과 같다.[56]
- 폐: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ARDS) (PaO2/FiO2 비율 < 300)
- 뇌: 동요, 혼란, 혼수 등의 뇌병증 증상
- 간: 혈액 응고의 장애, 혈청 빌리루빈 수치 상승
- 신장: 요량 감소 또는 무뇨, 전해질 이상, 체액 과부하
- 심장: 수축기 및 확장기 심부전, 트로포닌 누출
소아의 SIRS에 대한 말단 장기 부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의가 있다.[57]
- 심혈관 기능 장애
- 호흡 기능 장애
- 신경 기능 장애
- 혈액 기능 장애
- 신장 기능 장애
- 간 기능 장애(생후 1개월 이상 유아에게만 적용)
각종 감염증 검사 외에, 프레셉신, 내독소 및 프로칼시토닌 측정이 이루어진다. 쇼크 확인을 위해 수축기 혈압 (90 mmHg) 또는 혈장 젖산 수치 (4 mmol/L) 등을 확인한다.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 진단에는 아래 항목의 측정이 필요하다.
| 항목 | 기준 |
|---|---|
| 체온 변동 | 38℃ 이상, 혹은 36℃ 이하 |
| 맥박수 증가 | 90회/분 이상 |
| 호흡수 증가 | 20회/분 이상 또는 PaCO2가 32 Torr 이하 |
| 백혈구 수 | 12000/μl 이상, 혹은 4000/μl 이하. 또는 미성숙 과립구가 10% 이상 |
위 4가지 항목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으로 진단된다.
6. 치료
패혈증 치료의 핵심은 감염 부위를 찾아 항생제를 투여하고, 환자의 혈압을 유지하며 혈액과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다.
패혈증은 세균, 진균, 기생충 질환, 바이러스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34] 과거에는 그람 양성 세균이 주된 원인이었으나, 항생제 도입 후 그람 음성 세균이 주요 원인으로 변화했다.[45] 1980년대 이후에는 포도상구균과 같은 그람 양성 세균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36][46] 흔히 관련된 세균으로는 ''화농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 ''클레브시엘라'' 등이 있다.[47] 진균성 패혈증은 ''칸디다'' 종에 의한 병원 감염이 흔하며,[48] 기생충성 패혈증은 ''말라리아 원충'', ''주혈흡충'', ''에키노코쿠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은 주로 폐, 복부, 요로에서 발생하며,[34] 특히 폐 감염이 가장 흔해 전체 패혈증 사례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그러나 감염원을 알 수 없는 경우도 3분의 1에서 2분의 1 정도 된다.[34]
패혈증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며,[2] 일부 병원에서는 전자 건강 기록 경고를 통해 빠른 대응을 돕고 있다.[49]
패혈증 의심 시, 처음 3시간 이내에 백혈구 수치 및 혈청 젖산 측정, 혈액 배양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한다.[2] 항생제 투여 전 혈액 배양은 호기성 세균과 혐기성 세균 모두 확인해야 한다.[2] 균혈증은 환자의 약 30%에서만 나타나며,[50] 중합 효소 연쇄 반응 검사로 원인균을 찾을 수도 있다.
6시간 이내에는 중심 정맥압과 중심 정맥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고, 젖산 수치를 재측정해야 한다.[2] 12시간 이내에는 괴사성 연조직 감염, 복강 내막의 염증, 담관의 감염, 장 경색 등 긴급 처치가 필요한 감염원을 확인해야 한다.[2]
패혈증 치료는 항생제 투여, 수액 요법, 감염원 제거, 장기 기능 부전 관리 등을 포함한다.
항생제는 가능한 한 빨리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73] 환자 상태, 감염 부위, 지역 내 항생제 내성 패턴 등을 고려하여 항생제를 선택하고,[73][14] 매일 재평가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한다. 치료 기간은 보통 7~10일이다.[34]
수액 요법은 혈압 유지와 장기 혈액 공급을 위해 시행하며, 결정질 수액이 주로 사용되고, 필요시 알부민을 사용할 수 있다.[34]
감염원 제거를 위해 농양 배액 등의 외과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고,[19][20] 장기 기능 부전 관리는 신부전 시 혈액 투석, 폐 기능 부전 시 인공 호흡, 순환 부전 시 약물 및 수액 요법 등을 포함한다.[2]
심부 정맥 혈전증과 위궤양 예방, 적절한 영양 공급도 중요하다.[2]
생존 패혈증 캠페인 지침(Surviving Sepsis Campaign Guideline, SSCG)은 패혈증 진단과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153] 초기 소생과 조기 목표 지향 치료(early goal-direct therapy, EGDT)를 권장한다.
패혈증 치료 시작이 늦어지면 생존율이 감소하므로, 의심되는 경우 1시간 이내에 다음 초기 대응을 실시해야 한다.[155][156]
| 초기 대응 항목 |
|---|
| 고농도 산소 투여 |
| 혈액 배양 |
| 광범위 항생제 정맥 투여 |
| 세포외액에 의한 수액 소생 |
| 헤모글로빈과 젖산 수치 확인 |
| 정확한 시간당 뇨량 측정 |
그 외에 스테로이드 요법, 혈당 관리, 사이토카인 제거 요법,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대응,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 영양 관리 등이 필요할 수 있다.
6. 1. 초기 목표 지향 요법 (EGDT)
초기 목표 지향 요법(EGDT)은 진단 후 초기 6시간 동안 중증 패혈증을 관리하는 접근 방식이다.[97] 이는 단계별 접근 방식으로, 심장의 전 부하, 후 부하 및 수축성을 최적화하는 생리적 목표를 가진다.[98] 여기에는 조기 항생제 투여가 포함된다.[98]EGDT는 혈역학적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하고, 다음의 주요 소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특정 중재를 포함한다.
- 중심 정맥압: 8~12 mmHg 사이
- 평균 동맥압: 65~90 mmHg 사이
- 중심 정맥 산소 포화도(ScvO2): 70% 이상
- 소변 배출량: 0.5 mL/kg/시간 이상
목표는 조직에 대한 산소 공급을 최적화하고 전신 산소 공급과 요구 사이의 균형을 달성하는 것이다.[98] 혈청 젖산의 적절한 감소는 ScvO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얻기 더 쉬울 수 있다.[99]
패혈증에서는 적절한 항생제를 1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는 1시간 투여가 늦어지면 7.6%씩 예후가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다. 그리고 신속하게 대량 수액을 투여한다. 일반적으로 처음 6시간 동안 6L~10L의 수액이 필요하다. 인공 호흡기 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흉강 내압이 높아지므로 중심 정맥압을 12~15 mmHg를 목표로 한다. 중심 정맥압을 유지해도 평균 혈압이 65 mmHg를 밑돌면 승압제 투여를 시작한다. 노르에피네프린이나 도파민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평균 혈압이 90 mmHg 이상이 되면 질산염(니트로글리세린)을 병용한다. 평균 혈압이 유지되면 중심 정맥 산소 포화도 또는 혼합 정맥혈 산소 포화도를 확인하고, 헤마토크리트 수치가 30% 이하이면 수혈을 시행하고, 그래도 30% 이상을 유지할 수 없으면 도부타민을 사용한다.
원래의 임상 시험에서 초기 목표 지향적 치료는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을 46.5%에서 30.5%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98] 생존 패혈증 캠페인은 그 사용을 권장해 왔다.[2] 그러나 최근의 세 건의 대규모 무작위 대조 시험(ProCESS, ARISE 및 ProMISe)에서는 중증 패혈증에서 표준 치료와 비교했을 때 초기 목표 지향적 치료의 90일 사망률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100] EGDT의 일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중요할 가능성이 있다.[100] 이러한 임상 시험 이후에도 EGDT의 사용은 여전히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101]
또한 EGDT를 시행하는 경우 대량 수액 투여로 인해 폐의 산소화가 장애를 받는 경우가 많아 인공 호흡기 관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급성 폐 손상(ALI)에 근거하여 호흡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6. 2. 기타 치료
승압제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부타민은 충분한 수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관 확장에 의해 혈압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88]스테로이드 요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하이드로코르티손이라면 1일 200~300 mg을 3~4회 분할 또는 지속 정맥 주사로 7일간 시행한다. 투여 전에 채혈하여 혈장 코르티솔이 34 µg/ml 이상이라면 스테로이드를 중단하고, 9~34 µg/ml라면 ACTH 250ug/ml의 부하 검사를 시행한다.[34]
고혈당 지속이 혈관 내피 세포 손상을 일으키므로, 혈당을 150 mg/dl 이하를 목표로 속효성 인슐린을 지속 정맥 주사한다.[111]
항사이토카인 요법으로 지속적 혈액 투석(PMMA-CHDF 등)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내독소 흡착 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에 대한 대응,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을 위해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H차단제) 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 투여, 경장 영양을 우선하는 영양 관리를 시행한다.[34]
7. 경과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 가능성이 매우 높다. 패혈증의 치사율은 40%이다.[112] 젖산 수치가 4 mmol/L 이상인 환자는 사망률이 40%이고, 2 mmol/L 미만인 환자는 사망률이 15% 미만이다.[52] 패혈성 쇼크는 30일 이내에 34.7%의 환자에게 치명적이다(90일 후에는 38.5%).[112]
APACHE II 및 응급실 패혈증 사망률(Mortality in Emergency Department Sepsis)과 같은 여러 예후 계층화 시스템이 있다. APACHE II는 환자의 나이, 기저 질환 및 다양한 생리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중증 패혈증으로 사망할 위험을 추정한다. 기저 질환의 심각도가 사망 위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패혈성 쇼크 또한 단기 및 장기 사망률의 강력한 예측 인자이다. 응급실 패혈증 사망률(MEDS) 점수는 응급실 환경에서 유용하다.[113]
일부 환자는 중증 패혈증 에피소드 후 심각한 장기적 인지 기능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114]
8. 역학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백만 명이 패혈증으로 사망하며, 입원 환자에게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33][97] 전 세계 패혈증의 새로운 사례 수는 연간 1,800만 건으로 추정된다.[115] 미국에서는 패혈증이 1,000명 중 약 3명에게 영향을 미치며,[52] 중증 패혈증은 연간 20만 명 이상의 사망에 기여한다.[116]
패혈증은 모든 입원의 1~2%에서 발생하며, 중환자실(ICU) 병상 사용량의 25%를 차지한다. 1차 진단으로 보고되는 경우가 드물어 발생률, 사망률, 유병률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62] 특히 12개월 미만의 어린이와 노인에게서 중증 패혈증 발생률이 가장 높다.[62]
감염에 대한 개인의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패혈증을 발생시키는 의학적 상태는 다양하다. 흔한 패혈증 위험 요인으로는 연령(특히 아주 어린 환자와 노인), 암, 당뇨병, 비장 부재와 같이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상태, 주요 외상 및 화상 등이 있다.[31][120][121]
인구의 평균 연령 증가, 만성 질환을 앓거나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증가로 인해 패혈증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45]
9월 13일은 "세계 패혈증의 날"로 지정되었다. 일본 집중치료의학회, 일본 응급의학회는 2019년부터 일본 국내 최초의 패혈증 포괄적 역학 조사를 시작했다. 이 두 학회와 일본 감염병 학회는 "일본 패혈증 연맹"을 결성하여, 생존율 향상을 위해 조기 진단 관련 활동을 하고 있다.
9. 사회와 문화
2012년 9월 12일, 첫 세계 패혈증의 날을 맞아 전 세계에서 행사가 개최되었다. 행사 주최자들은 전립선암, 유방암, AIDS를 모두 합친 것보다도 패혈증 사망자가 많고, 매일 전 세계에서 1만 명 이상이 패혈증으로 사망한다는 사실에 대해 일반인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감염 직후 한 시간 내에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면 생존 확률은 80% 이상이지만, 여섯 시간이 지나면 30%에 불과하다.[157]
2007년 7월 17일, 질병관리본부는 국회에 병원 내 세균 감염에 따른 패혈증 사망자가 여전히 많다고 보고했다.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와 노인들이 주로 사망한다.
2002년에는 패혈증 교육과 패혈증 환자의 치료 결과 개선을 위한 대규모 국제 협력인 "생존하는 패혈증 캠페인(Surviving Sepsis Campaign)"이 시작되었다.[139] 이 캠페인은 중증 패혈증 관리에 대한 증거 기반 검토를 발표했으며, 향후 완전한 지침 세트를 발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7] 이 지침은 2016년[26]과 2021년에 다시 업데이트되었다.[27]
패혈증 연합(Sepsis Alliance)은 일반 대중과 의료 전문가 모두에게 패혈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미국에 본부를 둔 자선 단체이다.[140]
10. 관련 질병
11. 관련 정보
2012년 9월 12일, 첫 번째 세계 패혈증의 날을 맞아 전 세계에서 행사가 개최되었다. 행사 주최자들은 전립선암, 유방암, AIDS를 모두 합친 것보다도 사망자가 많고, 매일 전 세계에서 1만 명 이상이 패혈증으로 사망하기 때문에 일반인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감염 직후 한 시간 내에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면 생존 확률은 80% 이상이지만, 여섯 시간이 지나면 30%에 불과하다.[157]
2007년 7월 17일, 질병관리본부는 병원 내 세균 감염에 따른 패혈증 사망자가 여전히 많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와 노인들이 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1]
논문
Pathological alteration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of sepsis-induced immune cell apoptosis
2019-10-01
[2]
논문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12
2013-02-01
[3]
논문
Trends in Epidemiology and Microbiology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in Children
2020-12-01
[4]
논문
Corticosteroids for treating sepsis in children and adults
2019-12-01
[5]
논문
Varying Estimates of Sepsis Mortality Using Death Certificates and Administrative Codes--United States, 1999-2014
2016-04-01
[6]
논문
Ending preventable maternal and newborn deaths due to infection
2016-10-01
[7]
논문
Assessing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burden of sepsis: global estimates of incidence, prevalence and mortality
2012-06-01
[8]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sepsis incidence and mortality, 1990-2017: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0-01-01
[9]
논문
ESPEN guideline on clinical nutri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2019-02-01
[10]
논문
Pediatric Sepsis Guidelines: Summary for resource-limited countries
2010-01-01
[11]
논문
A widened pulse pressure: a potential valuable prognostic indicator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sis. J Community Hosp Intern Med Perspect
2015-12-11
[12]
웹사이트
Blood Culture Collection
http://d2xk4h2me8pjt[...]
WVUH Laboratories
2012-04-07
[13]
논문
Definitions for sepsis and organ failure and guidelines for the use of innovative therapies in sepsis.
1992-06-01
[14]
논문
Early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sepsis in adults: the first six hours
2013-07-01
[15]
논문
Sepsis biomarkers: a review
2010-01-01
[16]
논문
PCT testing in sepsis protocols
2023-07-01
[17]
웹사이트
Sepsis and Septic Shock: Definition, Symptoms, and Treatment
https://www.surgical[...]
2024-10-06
[18]
논문
Early versus delayed administration of norepinephrine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2014-10-01
[19]
논문
Current understanding in source control management in septic shock patients: a review
2016-09-01
[20]
서적
Yearbook of Intensive Care and Emergency Medicin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9-01-01
[21]
논문
A review of micronutrients in sepsis: the role of thiamine, L-carnitine, vitamin C, selenium and vitamin D
2018-12-01
[22]
논문
The outcome of IV vitamin C therapy in patients with sepsis or septic shock: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3-03-01
[23]
논문
Vitamin C supplementation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2015-03-01
[24]
웹사이트
Understand How ICD-10 Expands Sepsis Coding – AAPC Knowledge Center
https://www.aapc.com[...]
2011-04-08
[25]
논문
[Mouse Models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19-10-18
[26]
논문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16
https://archive.lstm[...]
2017-03-01
[27]
논문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21
2021-11-01
[28]
논문
Wide Interest in a Vitamin C Drug Cocktail for Sepsis Despite Lagging Evidence
2019-07-01
[29]
논문
Benefits of combination therapy of hydrocortisone, ascorbic acid and thiamine in sepsis and septic shock: A systematic review
2022-03-01
[30]
논문
Vitamin C for sepsis intervention: from redox biochemistry to clinical medicine
2021-12-01
[31]
웹사이트
Sepsis Questions and Answer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4-05-22
[32]
서적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McGraw-Hill
[33]
논문
Sepsis: current dogma and new perspectives
2014-04-01
[34]
논문
The Third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for Sepsis and Septic Shock (Sepsis-3)
2016-02-01
[35]
논문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16
2017-03-01
[36]
논문
Sepsis,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changes in incidence, pathogens and outcomes
2012-06-01
[37]
논문
Association of Corticosteroid Treatment With Outcomes in Adult Patients With Sep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2-01
[38]
논문
Controversies in Corticosteroid use for Sepsis
2017-11-01
[39]
논문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13-08-01
[40]
논문
Definitions for sepsis and organ failure and guidelines for the use of innovative therapies in sepsis. The ACCP/SCCM Consensus Conference Committee.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http://www.reanimato[...]
1992-06-01
[41]
논문
2001 SCCM/ESICM/ACCP/ATS/SIS International Sepsis Definitions Conference
http://www.esicm.org[...]
2003-04-01
[42]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Hospital Medicine
McGraw-Hill
[43]
웹사이트
Sepsis
https://medlineplus.[...]
2014-11-29
[44]
서적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Elsevier Health Sciences
[45]
논문
Sepsis and Septic Shock: Current Treatment Strategies and New Approaches
2017-02-01
[46]
서적
Pathophysiology of Disease
McGraw-Hill
[47]
논문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l toxins in sepsis: a brief review
2014-01-01
[48]
논문
Invasive candidiasis as a cause of sepsis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2014-01-01
[49]
웹사이트
Synergy Between Nurses And Automation Could Be Key To Finding Sepsis Early
https://www.npr.org/[...]
NPR
2018-02-22
[50]
논문
Procalcitonin as a diagnostic marker for sep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nbn-resolvin[...]
2013-05-01
[51]
논문
Point-of-care lactate testing for sepsis at presentation to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of patient outcomes
2017-12-01
[52]
논문
Sepsis: recognition and treatment
2012-06-01
[53]
논문
New Sepsis Criteria: A Change We Should Not Make
2016-05-01
[54]
논문
qSOFA does not replace SIRS in the definition of sepsis
2016-07-01
[55]
논문
Prognostic Accuracy of the Quick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for Mortality in Patients With Suspected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2-01
[56]
논문
Mechanisms of sepsis-induced organ dysfunction
2007-10-01
[57]
논문
International pediatric sepsis consensus conference: definitions for sepsis and organ dysfunction in pediatrics
2005-01-01
[58]
논문
Usefulness of suPAR as a biological marker in patients with systemic inflammation or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2012-09-01
[59]
논문
Epidemiology of severe sepsis
2014-01-01
[60]
논문
Similar but not the same: Differential diagnosis of HLH and sepsis
2017-06-01
[61]
논문
Neonatal sepsis: a continuing disease burden
http://www.turkishjo[...]
2012-09-01
[62]
서적
Principles of Critical Care
McGraw-Hill Medical
[63]
논문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sepsis: current and anticipated pharmacological agents
2014-11-01
[64]
논문
Recognition of lipopolysaccharide pattern by TLR4 complexes
2013-12-01
[65]
논문
Anti-endotoxin vaccines: back to the future
2014-01-01
[66]
논문
Recogn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y the innate immune system
2005-07-01
[67]
논문
Immunotherapy for the adjunctive treatment of sepsis: from immunosuppression to immunostimulation. Time for a paradigm change?
2013-06-01
[68]
논문
Immunomodulation in sepsi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erspective
2011-01-01
[69]
논문
Sepsis pathophysiology and anesthetic consideration
2016-01-06
[70]
논문
Organ dysfunction as a new standard for defining sepsis
2016-11-01
[71]
논문
Coagulation dysfunction in sepsis and multiple organ system failure
2003-07-00
[72]
논문
Iatrogenic salt water drowning and the hazards of a high central venous pressure
2014-06-00
[73]
논문
Early management of severe sepsis: concepts and controversies
2014-06-00
[74]
논문
Surviving the first hours in sepsis: getting the basics right (an intensivist's perspective)
2011-04-00
[75]
서적
Care of Deteriorating Patients
http://www.sign.ac.u[...]
SIGN
2014-05-00
[76]
논문
The Impact of Timing of Antibiotics on Outcomes in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9-00
[77]
논문
Continuous versus Intermittent β-Lactam Infusion in Severe Sepsis.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Randomized Trials
2016-09-00
[78]
논문
Part 12: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00
[79]
논문
Colloids versus crystalloids for fluid resuscitation in critically ill people
2018-08-00
[80]
논문
Association of hydroxyethyl starch administration with mortality and acute kidney injury in critically ill patients requiring volume resusc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2-00
[81]
논문
Hydroxyethyl starch 130/0.38-0.45 versus crystalloid or albumin in patients with sepsis: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2013-02-00
[82]
논문
Fluid resuscitation with hydroxyethyl starches in patients with sepsi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acute kidney injury and use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2014-02-00
[83]
논문
Randomised trials of human albumin for adults with seps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ith trial sequential analysis of all-cause mortality
2014-07-00
[84]
논문
Lower versus higher hemoglobin threshold for transfusion in septic shock
2014-10-00
[85]
논문
Intravenous immunoglobulin for treating sepsis,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13-09-00
[86]
논문
Vasopressors for the Treatment of Septic Shoc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0-00
[87]
논문
Norepinephrine in septic shock: when and how much?
2017-08-00
[88]
논문
The spectrum of cardiovascular effects of dobutamine - from healthy subjects to septic shock patients
2017-00-00
[89]
논문
Systemic steroids in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12-01-00
[90]
논문
Glucocorticosteroids for sepsis: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2015-07-00
[91]
논문
Can corticosteroids reduce the mortality of patients with severe sep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9-00
[92]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rticosteroid insufficiency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consensus statements from an international task force by the American College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8-06-00
[93]
웹사이트
Tools
http://www.ardsnet.o[...]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2014-00-00
[94]
논문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tomidate use for intubation of patients with sepsis
2012-05-00
[95]
논문
Etomidat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nd adrenal insufficiency in sepsis: a meta-analysis*
2012-11-00
[96]
논문
Single-dose etomidate does not increa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observational studies
2015-02-00
[97]
논문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08
2008-01-00
[98]
논문
Early goal-directed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01-11-00
[99]
논문
Lactate as a hemodynamic marker in the critically ill
2012-06-00
[100]
논문
Early-goal directed therapy for septic shock: is it the end?
2015-10-00
[101]
논문
Early goal-directed therapy vs usual care in the treat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9-00
[102]
논문
Neonatal sepsis: progress towards improved outcomes
2014-01-00
[103]
논문
Neonatal infectious diseases: evaluation of neonatal sepsis
2013-04-00
[104]
논문
Mortality rates in pediatric septic shock with and without multiple organ system failure
2003-07-00
[105]
논문
Antipyretic Therapy in Critically Ill Septic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5-00
[106]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emperature abnormality in ICUs: a EUROBACT investigators' survey
2013-12-01
[107]
논문
Clinical review: fever in septic ICU patients--friend or foe?
2011-01-01
[108]
논문
N-acetylcysteine for sepsis an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in adults
2012-09-01
[109]
논문
Human recombinant protein C for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in adult and paediatric patients
2012-12-01
[110]
논문
Strategies to improve drug development for sepsis
2014-10-01
[111]
논문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09-09-01
[112]
논문
Mortality in sepsis and septic shock in Europe, North America and Australia between 2009 and 2019- results fro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5-01
[113]
논문
Risk stratification of the potentially septic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Mortali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epsis (MEDS) score
2009-10-01
[114]
논문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epsis, and cognitive decline: a review and case study
2009-11-01
[115]
논문
Barriers to the effective treatment of sepsis: antimicrobial agents, sepsis definitions, and host-directed therapies
2014-09-01
[116]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117]
간행물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09-01
[118]
논문
The epidemiology of sepsi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79 through 2000
https://works.bepres[...]
2003-04-01
[119]
간행물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04-01
[120]
논문
The impact of diabetes on the pathogenesis of sepsis
2012-04-01
[121]
논문
Clinical practice. Care of the asplenic patient
2014-07-01
[122]
논문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word "sepsis"
2006-12-01
[123]
서적
Sepsis and Non-infectious Systemic Inflammation: From Biology to Critical Care
John Wiley & Sons
[124]
논문
Sepsis: rethinking the approach to clinical research
2008-03-01
[125]
웹사이트
Bacteremia
http://www.merckmanu[...]
Merck & Co.
[126]
논문
Chemical treatment of tumors, IX: Reactions of mice with primary subcutaneous tumors to injection of a hemorrhage-producing bacterial polysaccharide
[127]
논문
Lipid A: chemical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1973-07-01
[128]
논문
High Susceptibility of Strain A Mice to Endotoxin and Endotoxin-Red Blood Cell Mixtures
1965-09-01
[129]
논문
Genetic control of susceptibility to Salmonella typhimurium in mice: role of the LPS gene
1980-01-01
[130]
논문
Genetic and physical mapping of the Lps locus: identification of the toll-4 receptor as a candidate gene in the critical region
1998-09-01
[131]
논문
Defective LPS signaling in C3H/HeJ and C57BL/10ScCr mice: mutations in Tlr4 gene
1998-12-01
[132]
논문
Current Murine Models of Sepsis
2016-08-01
[133]
논문
Physiologically relevant human tissue models for infectious diseases
2016-09-01
[134]
뉴스
Septic Shock
http://www.slate.com[...]
2013-02-13
[135]
논문
Genomic responses in mouse models poorly mimic human inflammatory diseases
2013-02-01
[136]
논문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value of systems biology research in major traumatic and thermal injury: a review
2016-01-01
[137]
간행물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06-01-01
[138]
간행물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12-01
[13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urviving[...]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140]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sepsis.or[...]
[141]
논문
The evolutionary logic of sepsis
2017-11-00
[142]
웹사이트
「敗血症治療の現在地」
http://medical.nikke[...]
2016-04-14
[143]
뉴스
一般医を含めた敗血症の診療能力の底上げを―日本敗血症連盟
https://www.jmedj.co[...]
日本医事新報社
2019-08-27
[144]
PDF
新しい敗血症の定義
http://medical.radio[...]
慶應義塾大学
[145]
웹사이트
敗血症.com
http://敗血症.com/q_4.h[...]
2020-02-15
[146]
뉴스
小さなけがのはずが…皮膚が壊死 長引く入院、募る不安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2-13
[147]
문서
日本版敗血症診療ガイドライン
2013-00-00
[148]
웹사이트
低体温患者で必ずチェックしたい2つの疾患
https://medical.nikk[...]
2019-02-07
[149]
웹사이트
敗血症性ショック
http://mmh.banyu.co.[...]
2020-02-15
[150]
서적
Dr宮城の教育回診実況中継
[151]
웹사이트
「敗血症の早期拾い上げにqSOFAを使いこなせ!」
http://medical.nikke[...]
2017-10-10
[152]
PDF
日本版敗血症診療ガイドライン 2016
http://www.jaam.jp/h[...]
日本救急医学会
[153]
논문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08
2008-01-00
[154]
뉴스
体を冷やすと生存率向上、敗血症性ショックでは体温を何度まで下げる?
http://medley.life/n[...]
MEDLEYニュース
2015-08-14
[155]
논문
2008-00-00
[156]
뉴스
特集◎あなたが救う敗血症《初期治療》血培必須、1時間以内にしっかり抗菌薬投与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17-10-00
[157]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