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뉴얼 더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매뉴얼 더만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이론 물리학자이자 금융 모델러이다.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SLAC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와인버그-살람 모형을 확인하는 실험에 참여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AT&T 벨 연구소에서 컴퓨터 언어를 개발했다. 골드만삭스에서 블랙-더만-토이 금리 모형을 개발하고, 국소 변동성 모형과 변동성 스마일 연구를 개척했으며, 2000년 IAFE/선가드 올해의 금융 엔지니어로 선정되고, 2002년 리스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또한, 2011년에는 'Models.Behaving.Badly'를, 2016년에는 'The Volatility Smile'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매뉴얼 더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45년, 케이프타운, 남아프리카 공화국 |
국적 | 미국 |
분야 | 입자 물리학, 금융 공학 |
직장 | 골드만삭스, 살로먼 브라더스, 컬럼비아 대학교 |
학력 | 컬럼비아 대학교, 케이프타운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노먼 크리스트 |
알려진 업적 | 금융 모델러 선언, 블랙-더만-토이 모형, 국소 변동성, 더만-카니 모형 |
수상 | 국제 금융 공학 협회 2000년 '올해의 금융 공학자' |
참고 문헌 | |
저서 | 나의 삶은 퀀트: 물리학과 금융에 대한 성찰 (My Life as a Quant : Reflections on physics and finance) |
2. 생애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4] 이매뉴얼 더만은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1973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초기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록펠러 대학교,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등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물리학자로 활동했으며, 이후 AT&T 벨 연구소에서 컴퓨터 과학 관련 업무를 수행했다.
1985년 골드만삭스에 합류하면서 금융계로 경력을 전환하여, 피셔 블랙, 빌 토이와 함께 블랙-더만-토이 모형을 공동 개발하는 등 금융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 잠시 살로만 브라더스에서 근무한 후 다시 골드만삭스로 돌아와 퀀트 전략 및 위험 관리 부서를 이끌었다.
2002년 골드만삭스에서 은퇴한 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금융공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금융 모델링의 본질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금융 모델러 선언의 공동 작성자이기도 하다.[6]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4]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우등)를 받았으며, 1973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논문은 전자-핵자 (하드론) 산란에서 약한 중성 전류를 검증하는 실험을 제안하는 내용이었다. 이 실험은 1978년 SLAC에서 찰스 프레스콧과 리처드 테일러가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전약 상호작용의 와인버그-살람 모형을 확인하는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1973년부터 1980년까지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록펠러 대학교,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등에서 이론 입자물리학 연구(특히 현상론)를 수행했다.
이후 1980년부터 1985년까지는 AT&T 벨 연구소로 자리를 옮겨 근무했다. 이곳에서는 비즈니스 모델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컴퓨터 언어를 개발하고, 수식 처리 시스템 HEQS[9] 개발 등에 참여했다.
2. 2. 금융계 경력
1985년 골드만삭스의 고정 수입 부서에 합류하여 피셔 블랙, 빌 토이와 함께 블랙-더만-토이 금리 모형을 공동으로 개발했다.[4]1988년 말 골드만삭스를 떠나 살로만 브라더스로 이직하여 채권 포트폴리오 분석 그룹에서 변동 금리 모기지 연구 부서장을 맡았다.
1990년 골드만삭스에 다시 합류하여 2000년까지 주식 부서의 정량적 전략 그룹을 이끌었다. 이 그룹은 국소 변동성 모형과 변동성 스마일 연구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997년 골드만삭스의 매니징 디렉터로 임명되었으며, 2000년에는 회사의 정량적 위험 전략 그룹의 책임자가 되었다.
2002년 골드만삭스에서 은퇴한 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금융공학과정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리즈마 캐피털 파트너스(Prisma Capital Partners, 이후 KKR에 인수됨)에서도 직무를 수행했다.
더만은 국제 금융 공학자 협회(IAFE)와 선가드가 공동으로 선정하는 '올해의 금융 엔지니어'(Financial Engineer of the Year) 2000년 수상자로 선정되었고,[5][10] 2002년에는 리스크(Risk)지의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헌액되었다.[11] 그는 변동성과 금융 모델링의 본질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다.
3. 학문적 기여 및 저술 활동
이매뉴얼 더만은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고, 1973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으로 Ph.D.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논문은 전자-핵자 산란에서 약한 중성 전류의 검증 실험을 제안했으며, 이는 이후 SLAC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해 와인버그-살람 모형을 확인하는 데 기여했다.[4]
1973년부터 1980년까지 그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록펠러 대학교,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등에서 이론 입자물리학 연구를 수행했다. 이후 1980년부터 1985년까지는 AT&T 벨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비즈니스 모델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컴퓨터 언어 개발[9] 등에 참여했다.
1985년 골드만삭스에 합류하면서 금융계로 경력을 전환했으며, 피셔 블랙, 빌 토이와 함께 블랙-더만-토이 모형을 공동 개발하는 등 금융 공학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는 살로몬 브라더스에서도 잠시 근무한 후, 1990년부터 2000년까지 골드만삭스 주식 부서의 계량 전략 그룹을 이끌며 국소 변동성 모형과 변동성 스마일 연구에 기여했다. 1997년에는 골드만삭스의 매니징 디렉터로 임명되었고, 2002년 은퇴 전까지 정량적 위험 전략 그룹을 이끌었다.
더만은 변동성과 금융 모델링의 본질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특히 물리학 모델과 금융 모델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강조하며 금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해왔다. 그는 폴 윌모트와 함께 책임 있는 금융 모델링 원칙을 담은 금융 모델러 선언을 공동 작성하기도 했다.[6] 주요 저서로는 금융 모델의 위험성을 경고한 ''Models.Behaving.Badly''(2011)가 있으며, 로이터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등에 칼럼을 기고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국제 금융 공학자 협회(IAFE)와 선가드로부터 '올해의 금융 엔지니어'로 선정되었고[10], 2002년에는 리스크(Risk)지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1].
3. 1. 금융 모델링 연구
1985년 골드만삭스의 고정 수입 부서에 합류하여 피셔 블랙, 빌 토이와 함께 블랙-더만-토이 모형을 공동 개발했다.[4] 1990년 골드만삭스에 재합류하여 주식 부서의 계량 전략 그룹(quantitative strategies group)을 2000년까지 이끌었다. 이 그룹은 국소 변동성 모형과 변동성 스마일 연구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다.더만은 변동성과 금융 모델링의 본질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다. 1995년부터는 물리학 모델과 금융 모델 사이의 본질적인 차이점을 지적하는 글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는 물리학 모델이 미래를 예측하거나 관찰되지 않은 현상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금융 모델은 주로 유동성이 있는 증권의 가격을 바탕으로 유동성이 없는 증권의 가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물리학 모델은 객관적인 변수를 다루지만 금융 모델은 주관적인 변수를 다룬다고 주장하며, "물리학에는 언젠가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 수 있지만, 금융과 사회 과학에서는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이론이 있으면 운이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더만은 폴 윌모트와 함께 책임 있는 금융 모델링을 위한 원칙을 담은 금융 모델러 선언을 작성했다.[6]
2011년에는 ''Models.Behaving.Badly: Why Confusing Illusion With Reality Can Lead to Disaster, on Wall Street and in Life''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2008년 금융 위기 당시의 구제 금융을 비판하며, 모델을 현실과 혼동하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기회 비용을 감수하려는 사람은 손실의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는 자본주의 원칙으로의 회귀를 주장했다. 또한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모델, 이론, 직관을 분석하며, 모델은 은유에 불과하고 이론은 절대적 이해를 추구하며 직관은 가장 심오한 형태의 이해라고 설명했다.
2016년에는 마이클 밀러와 함께 변동성 스마일을 설명하는 다양한 모델, 금융 모델링 원리, 옵션 가치 평가 등을 다룬 교과서 ''The Volatility Smile''을 출판했다.
그의 금융 모델링 분야에서의 기여를 인정받아 2000년 국제 금융 공학자 협회(IAFE)와 선가드(SunGard)가 수여하는 '올해의 금융 엔지니어'로 선정되었으며[10], 2002년에는 리스크(Risk)지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1].
3. 2. 저서
- Models.Behaving.Badly: Why Confusing Illusion With Reality Can Lead to Disaster, on Wall Street and in Life (2011년): 2011년에 출판된 이 책에서 더만은 2008년 금융 위기 당시의 구제 금융을 비판하며 금융 모델의 한계와 현실을 혼동하는 것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그는 모델, 이론, 직관이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분석하며, 특히 금융 모델이 가진 본질적인 한계와 윤리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The Volatility Smile (2016년): 마이클 밀러와 공동으로 저술한 책이다. 변동성 스마일을 설명하는 다양한 모델과 금융 모델링의 원리, 옵션 가치 평가 등을 다루는 교과서이다.
3. 3. 칼럼
2011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로이터에 금융 블로그를 운영했다. 2012년 9월부터 1년 동안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에 정기적인 칼럼을 기고했다.4. 상훈
참조
[1]
서적
My life as a Quant : Reflections on physics and finance
Wiley
2008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eor.colu[...]
2006-12-06
[3]
뉴스
The Pick Of This Year's Crop Of Books
http://www.businessw[...]
businessweek.com
2004-12-13
[4]
서적
My Life as a Quant: Reflections on Physics and Finance
2004
[5]
간행물
Emanuel Derman 2000 IAFE/SunGard Financial Engineer of the Year Award
SunGard
[6]
웹사이트
American π: Piece of Cake?
http://www.wilmott.c[...]
2017-11-14
[7]
서적
My Life as A Quant: Reflections on Physics and Finance
John Wiley & Sons
2004
[8]
뉴스
The Pick Of This Year's Crop Of Books
http://www.businessw[...]
2004-12-13
[9]
논문
Simple equation solver and its application to financial modelling
http://www.csa.com/p[...]
1984
[10]
웹사이트
Emanuel Derman 2000 IAFE/SunGard Financial Engineer of the Year Award
http://www.ederman.c[...]
[11]
파일
Risk誌의 발췌
http://www.ederman.c[...]
[12]
웹사이트
My Life as a Quant
http://financecareer[...]
[13]
뉴스
물리학자, 월스트리트를 습격하다
http://books.chosun.[...]
조선일보
2007-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