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추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애틀 추장은 1780년에서 1786년 사이에 태어난 수쿼미시 부족의 지도자이다. 그는 1855년 포인트 엘리엇 조약에 서명하여 미국에 토지를 할양하는 데 동의했고, 백인 정착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했다. 시애틀은 용맹한 전사였으며,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는 미국인들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추구했다. 그의 연설은 환경 보호와 원주민 권리에 대한 메시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시애틀 시와 여러 기관의 이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싱턴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올림피아 (워싱턴주)
올림피아는 워싱턴주의 주도이자 서스턴 군의 군청 소재지로, 퓨젯 사운드 남쪽 끝에 위치하며 지진에 취약한 지역이지만 다양한 공원과 문화 시설, 잘 구축된 대중교통 시스템, 그리고 여러 교육 기관을 갖춘 지역 중심지이다. - 미국의 원주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미국의 원주민 - 인디언 준주
인디언 준주는 19세기 미국 중부에 아메리카 원주민 강제 이주를 위해 지정된 땅으로, 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여러 부족이 이주하여 정착했으나 서부 개척 시대 이후 오클라호마 준주로 축소, 1907년 오클라호마 주 승격과 함께 소멸되었지만 현재까지도 많은 인디언들이 보호 구역을 영유하고 있다. - 1866년 사망 - 김정호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여러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95016 김정호가 명명되었다. - 1866년 사망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프랑스 출신 로마 가톨릭 주교이자 조선교구 사도대목구장이었던 안토니 다블뤼는 1845년 한국에 입국하여 선교 및 문서 선교에 기여, 주교 서품 후 사도대목구장을 이어받았으나 병인박해 때 순교, 1984년 시성되었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시애틀 추장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시애틀 |
| 원어 이름 | siʔaɬ |
| 로마자 표기 | siʔaɬ |
| 발음 (IPA) | /ˈsiʔaːɬ/ |
| 별명 | "세세"(부모가 부른 애칭) "르 그로"(허드슨 베이 회사 모피 상인들이 붙인 이름) |
| 사망일 | 1866년 6월 7일 |
| 사망 장소 | 포트 매디슨 인디언 보호구역 |
| 매장 장소 | 수쿼미시, 미국 |
| 주요 활동 | 시애틀의 이름의 유래 시애틀 추장의 연설 |
| 민족 | 수쿼미시족 & 듀와미시족 |
| 부모 | 어머니: 쇼리차 아버지: 슈웨이브 |
| 배우자 | 라다일라 올라흘 |
| 자녀 | 8명 (앤젤린 공주 포함) |
| 친척 | 닥 메이너드 |
![]() | |
| 기타 | |
| 참고 | 부모는 그를 "세세"라고 불렀다고 알려져 있다. |
2. 이름
시애틀이라는 이름은 그의 모어인 루슈트시드어 siʔaɬ|시애틀lut에서 영어식으로 바뀐 이름이다.[1] 비 힐버트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전통적으로 siʔaƛ̕|시애틀lut로 발음되었다고 한다. 1852년 세례를 받은 후, 그는 '''노아 시애틀'''이라는 세례명을 얻었다.[2]
시애틀은 1780년에서 1786년 사이에 수쿼미시족 지도자 슈웨이브와 두와미시족 여성 쇼레티사 사이에서 태어났다.[3][4][5] 정확한 출생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영어로 그의 이름은 루슈트시드어 발음에 더 가깝게 하려는 시도로 '''Si'ahl''', '''Sealth''', '''Seathl''' 또는 '''See-ahth'''로도 종종 표기된다. 루슈트시드어에는 "th" 발음이 없다.[2]
3. 생애
자료 출생지 일부 역사가들과 수쿼미시 부족의 전통[3][5], 시애틀 자신[3] 블레이크 섬 두와미시 부족[4] 현재 워싱턴주 켄트 시 근처 블랙 강 에밀리 이네즈 데니(미국 정착민)[6] dxʷsəq̓ʷəb|label=nonelut의 올드 맨 하우스
시애틀은 어린 시절 남부 루슛시드의 두와미시와 수쿼미시 방언을 모두 구사하며 자랐고,[4] 썬더버드 정령의 힘을 얻는 성년식을 치렀다.[3][5] 여러 아내를 두어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첫째 딸 키키소블루이다.[3][6]
젊어서부터 지도자이자 전사로서 명성을 얻은 시애틀은 코위찬족과의 연합 전쟁에 참여하고,[3] 그린 강 약탈자들을 기습하는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3][5] 연안 살리시족의 노예 제도를 따라 노예를 소유하기도 했다.[3][8] 1833년에는 니스퀄리 요새 직원들에게 Le Gros|큰 사내프랑스어로 알려질 정도로 체격이 크고 강한 지도자로 인정받았다.[3]
1841년, 시애틀은 ʔilalqʷuʔ|lut 마을을 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3] 1847년에는 수쿼미시족과 체마쿰족 간의 전쟁을 이끌어 체마쿰족을 사실상 멸망시켰다.[3] 그러나 아들의 죽음을 계기로 1848년경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노아라는 세례명을 받았다.[3]
기독교로 개종한 후, 시애틀은 미국 정착민들과의 협력을 추구하며 "백인들의 친구"로 명성을 얻었다.[2][3] 그는 정착민들을 돕고, 아이작 스티븐스와 접촉하여 1855년 포인트 엘리엇 조약을 체결했다.[2][3] 그러나 이 조약은 여러 부족에게 불리하게 작용했고, 시애틀의 지도력에 대한 반발을 불러왔다.
야키마 인디언 전쟁의 일부인 퍼짓 사운드 전쟁에서 시애틀은 미국을 지원하여 정보를 제공하고,[3] 정착민들을 피신시키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전쟁 후에도 조약의 비준을 주장하고,[2][3] 원주민 지도자들에게 관용을 베풀도록 노력했다.[3]
시애틀은 닥 메이나드 등 미국인들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했지만,[3] 1865년 시애틀 마을 조례에 따라 도시를 떠나 수쿼미시 보호구역으로 이주해야 했다.[3]
3. 1. 유년 시절
시애틀은 1780년에서 1786년 사이에 아가트 해협(Agate Pass)에 있는 수쿼미시족(Suquamish) 주요 마을인 dxʷsəq̓ʷəb|label=nonelut 출신의 수쿼미시족 지도자 슈웨이브(Schweabe)와 두와미시족(Duwamish) 여성 쇼레티사(Sholeetsa, Sholitza라고도 함) 사이에서 태어났다.[3][4][5] 그의 정확한 출생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몇몇 자료에 따르면 시애틀의 출생지는 다음과 같다.
| 자료 | 출생지 |
|---|---|
| 일부 역사가들과 수쿼미시 부족의 전통[3][5] | 블레이크 섬(Blake Island) (tatču|label=nonelut) |
| 시애틀 자신[3] | 블레이크 섬 |
| 두와미시 부족[4] | 현재 워싱턴주 켄트 시 근처 블랙 강 |
| 에밀리 이네즈 데니(Emily Inez Denny, 미국 정착민)[6] | dxʷsəq̓ʷəb|label=nonelut의 올드 맨 하우스 |
시애틀은 어린 시절 남부 루슛시드의 두와미시와 수쿼미시 방언을 모두 구사하며 자랐다.[4] 시애틀의 수쿼미시 가족은 키샙 반도, 바죤 섬, 베인브리지 섬, 그리고 블레이크 섬의 일부 지역을 지배할 정도로 강력했다.[5]
1792년, 시애틀이 여섯 살쯤 되었을 때, 그는 베인브리지 섬의 레스토레이션 포인트에 정박한 조지 밴쿠버가 지휘하는 ''HMS 디스커버리''와 ''HMS 채텀''을 만났다.[2] 시애틀은 나중에 니스퀄리 요새를 방문하여 허드슨만 회사와 무역을 하기도 했다.[2]
어린 시절 어느 시점에 시애틀은 비전 퀘스트(ʔalacut|label=nonelut)라는 전통적인 성년식에 참여하여 썬더버드 정령의 힘을 얻었다.[3][5]
시애틀은 두와미시 강 어귀에 있는 중요한 마을인 t̕uʔəlalʔtxʷ|label=nonelut의 두와미시 가족과 결혼하여 여러 명의 아내를 두었다. 그는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첫 번째 아내 라달리아(Ladalia)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딸 키키소블루(Kikisoblu)이다.[3][6]
3. 2. 용맹한 수쿼미시 전사
시애틀은 나이가 들면서 지도자이자 강력한 전사로서 명성을 얻었다. 20대 초반, 시애틀은 그의 삼촌 키츠앱(Kitsap)이 이끄는 밴쿠버 섬의 코위찬족과의 연합 전쟁에 참여했다.[3] 1810년경, 시애틀은 그린 강을 따라 내려오는 5척의 카누에 탄 약탈자들을 기습했다. 시애틀의 약탈 부대는 3척의 카누에 탄 사람들을 죽이거나 노예로 삼았고, 나머지 두 척의 카누는 경고로 돌려보냈다.[3][5] 시애틀은 올림픽 반도의 스클랄람족을 공격하기도 했고, 스노퀄미족에 대한 추가적인 약탈을 이끌었을 가능성도 있다. 연안 살리시족은 역사적으로 노예 제도를 실시했으며, 시애틀은 당시 많은 사람들처럼 약탈 중에 사로잡은 사람들을 노예로 삼아 자신의 권위를 더욱 높였다.[3][8]1833년까지 그는 니스퀄리 요새(Fort Nisqually) 직원들에게 Le Gros|큰 사내프랑스어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강한 목소리와 거의 약 1.83m에 달하는 큰 체격 때문에 총명하고 강력한 지도자로 여겨졌다. 요새의 무역 책임자였던 프랜시스 헤런(Francis Herron)은 그를 중요하고 위험한 인물로 여기고 살인을 그만두겠다는 조약에 서명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1837년 시애틀은 스카이코미시족의 주술사를 살해했다. 새 무역 책임자 윌리엄 킷슨(William Kittson)은 수쿼미시족이 그를 죽이기를 바랐지만, 그들은 그를 계속해서 지도자로 존중했다.[3]
1841년 시애틀은 오늘날 오번 근처, 그린 강과 화이트 강의 옛 합류 지점에 위치한 ʔilalqʷuʔ|lut 마을을 습격했다. 이 습격은 마을 사람이 저지른 살인에 대한 보복이었고, 마을을 크게 훼손했다. 후에 1847년 그는 수쿼미시족과 체마쿰족 간의 전쟁에서 지도자 역할을 했는데, 이 전쟁 이후 체마쿰족은 몰락하여 사실상 멸망했다. 그러나 그의 아들 중 한 명이 체마쿰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자 시애틀은 1848년경 가톨릭교회에 세례를 받았다. 시애틀은 아마도 올림피아의 성모 마리아 순결 봉헌회에서 세례를 받았고, 노아 예언자의 이름을 따서 노아(Noah)라는 세례명을 선택했다.[3]
3. 3. 미국 정착민과의 우호 관계
아들의 죽음과 기독교로의 개종 후, 시애틀은 전투에서 물러나 미국 정착민들과의 협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는 개척자들을 환영하고 그들이 그의 백성들과 정착하고 무역할 것을 초대했다. 시애틀은 사업가들과 지역 지도자들과 접촉을 시도했고 정착민들 사이에서 "백인들의 친구"로 명성을 얻었다.[2][3] 시애틀과 두와미시족은 많은 초기 미국 정착민들을 도왔으며, 그들을 두와미시 강과 그 지류를 따라 안내하고 안전한 운송을 제공했으며, 농작물 재배를 위한 숲 개간을 돕고 초기 제재소와 농장에서 노동력을 제공했다.[4]시애틀은 결국 워싱턴 준주 최초의 준주 지사인 아이작 스티븐스와 접촉하게 되었는데, 그는 시애틀이 그의 백성들 사이에서 얼마나 중요한 인물인지 알아챘다. 시애틀은 1855년 포인트 엘리엇 조약에 첫 번째 서명자로서 수쿼미시족과 두와미시 강 유역의 모든 부족들, 즉 두와미시족, 사맘미시, 스트카미시, 스멀카미시, 스코파미시족을 대표하여 미합중국에 약 2500000acre의 토지를 할양하는 데 동의했다.[2][3] 시애틀에게는 전통적인 통치 체계에 따라 두와미시 강 상류 부족들을 대표하여 조약에 서명할 권한이 없었고, 그와 다른 사람들은 스티븐스 주지사가 원주민 정치 체제를 바꾸고 원주민들을 통제하려는 의도를 깨닫지 못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인기 없는 조약들은 많은 두와미시족이 시애틀의 지도력을 포기하게 만들었다. 다른 많은 부족들과 함께 두와미시족은 더 넓은 야키마 인디언 전쟁의 일부인 퍼짓 사운드 전쟁에 참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애틀은 이 분쟁에서 미국인들을 지원하여 귀중한 군사 정보를 제공했다.[3] 시애틀은 미국 정착민들에게 임박한 공격을 경고하고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을 전투 현장에서 포트 매디슨 보호구역으로 피신시켰다.[2] 원주민 세력의 패배로 전쟁이 끝난 후, 시애틀은 그의 백성들이 다시 발을 붙일 수 있도록 돕고 레치와 같은 전쟁 중 원주민 지도자들에게 관용을 베풀도록 노력했다.[3] 전쟁의 한 가지 이유는 비준되지 않은 조약과 불법적인 집행이었기 때문에 시애틀은 조약의 최종 비준을 계속해서 주장했다.[2][3] 그는 또한 노예 살해를 막고 포트 매디슨 보호구역에서 알코올의 영향을 줄이려고 노력했으며, 다른 곳에서 분쟁을 해결하려고 계속 노력했다.[3]
시애틀은 미국 정착민들과의 관계를 계속해서 추구하여 결국 닥 메이나드, 윌리엄 드 쇼, 조지 메이그스와 관계를 맺었는데, 그들은 모두 시애틀이 지역 원주민과 정착민 인구를 돕는 데 있어 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미국인들과의 우정에도 불구하고, 시애틀은 1865년 시애틀 마을 조례 제5호가 백인 정착민에 의해 수용되고 고용되지 않는 한 모든 원주민을 마을에서 금지한 후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를 떠나도록 강요받았다. 시애틀은 그 후 수쿼미시 보호구역으로 이주했지만, 미국인 친구들을 방문하고 임시 해안 야영지에서 다른 원주민들과 만나기 위해 종종 도시를 방문했다.[3]
4. 시애틀 추장의 연설
1854년, 시애틀 추장은 시애틀 도시 방문 중 아이작 스티븐스에게 자신의 모국어인 루슈트시드어로 연설을 했다. 개척자인 헨리 A. 스미스가 회의에 참석하여 연설 내용을 기록했다. 33년 후인 1887년, 스미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텍스트가 재구성되어 ''시애틀 선데이 스타''에 게재되었다. 역사가 월트 크라울리에 따르면 스미스가 재구성한 연설은 스미스의 "불완전한" 기록을 바탕으로 "필연적으로 걸러지고", "윤색되었"다.[10] 연설의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없지만, 스미스의 재구성은 윤색되었을지라도 그럴듯하다. 스미스가 재구성한 연설은 "미국 원주민의 권리와 환경적 가치에 대한 강력하고 애잔한 호소"로 칭송받았다.[10]
1929년, 클라렌스 C. 배글리는 자신의 저서 ''킹 카운티 역사''에 연설 내용을 인쇄하면서 연설 말미에 "죽었다고? 죽음이란 없다. 단지 세상이 바뀌는 것일 뿐이다"라는 구절을 추가했다. 배글리의 버전은 환경운동 관련 소책자와 다른 작품들에서 인기를 얻으며 널리 퍼져나갔다. 윌리엄 애로스미스와 테드 페리는 이 작품을 더 수정하여 자신의 글을 추가했다. 이러한 버전들은 1960년대 환경운동가들과 미국 원주민 권리 운동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0]
5. 유산
초기 개척자들과 현대 주민들에게 모두 매우 유명했고 시애틀 건설 신화에서 끊임없이 등장하는 인물이었던 시애틀 추장의 유산은 여러 방식으로 보존되어 왔다. 수쿼미시 부족 묘지[11]에 있는 시애틀 추장의 묘소는 그와 그의 삶을 기리는 기념비로 조성되었다. 1890년, 아서 데니가 이끄는 시애틀 개척자들은 그의 묘비 위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진 기념비를 세웠다. “시애틀, 수쿼미시(Suqampsh) 및 연합 부족의 추장, 1866년 6월 7일 사망. 백인들의 굳건한 친구, 그를 기념하여 시애틀 도시의 건설자들이 도시의 이름을 지었다.” 뒷면에는 “세례명, 노아 솔스(Noah Sealth), 추정 연령 80세.”[6] 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곳은 복원되었고, 1976년과 2011년에 토착 조각상이 추가되었다.
시애틀 추장의 여러 후손들도 각자의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다. 키키소블루(앤젤린)으로도 알려진 그의 가장 유명한 자녀는 1896년 사망할 때까지 초기 시애틀 주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다. 그의 아들 짐은 한때 수쿼미시 부족의 지도자가 되었지만 인기가 없어서 가톨릭 수쿼미시 공동체의 저명한 지도자였던 제이콥 와할추에게 자리를 내주었다.[2] 그의 두와미시쪽 외조카딸인 레베카 레나 그레이엄은 그레이엄 대 마티아스 사건 이후 성공적인 상속 청구로도 유명하다.
제임스 A. 웨인은 시애틀 추장을 기리는 두 개의 동상을 제작했다. 파이오니어 광장에 있는 청동 흉상은 1909년에 만들어졌고, 데니 삼각지에 있는 전신상은 1912년에 만들어졌다.[2]
시애틀 도시와 도시와 관련된 많은 다른 기관들의 이름은 그를 따서 지어졌다. 시애틀 추장의 이름을 딴 것들은 다음과 같다.
- 시애틀 남부의 시애틀 추장 트레일[12]
- 시애틀 시민들이 구매한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한 소위 "기증 항공기"인 B-17E 플라잉 포트리스, 기체번호 41-2656, ''시애틀 추장''호. 포트모르즈비에서 제435 폭격 비행대대 소속으로 비행하던 중 1942년 8월 14일 10명의 승무원과 함께 실종되었다.[13][14]
- 시애틀 소방서가 운영하는 네 척의 소방선 중 하나인 MV ''시애틀 추장''
- 워싱턴 주 페리가 운영하는 이사쿠아급 페리인 MV 솔스
- 미국 청소년 단체 캠프 파이어가 운영하는 비영리 여름 캠프인 캠프 솔스
그를 기리는 여러 축제와 휴일이 있다. 수쿼미시 부족은 8월 셋째 주에 "시애틀 추장의 날"이라는 축제를 개최한다. 미국 복음 루터 교회는 6월 7일 성인력에서 시애틀 추장의 삶을 기념한다. 그날의 전례 색은 흰색이다.[15]
시애틀의 록 밴드인 사운드가든은 블랙 사바스의 노래 "보이드 속으로"를 커버하여 가사를 시애틀 추장의 연설 내용으로 대체했다.
참조
[1]
서적
Lushootseed Dictiona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
웹사이트
Chief Seattle (Seattle, Chief Noah [born Si?al 178?-1866])
https://www.historyl[...]
2024-03-16
[3]
웹사이트
Chief Seattle and Chief Joseph: From Indians to Icons
https://content.lib.[...]
2024-03-17
[4]
웹사이트
Chief Si'ahl
https://www.duwamish[...]
2024-06-01
[5]
웹사이트
Chief Seattle
https://suquamish.ns[...]
2024-03-17
[6]
서적
Blazing the Way, or, True Stories, Songs, and Sketches of Puget Sound and Other Pioneers
Rainier Printing Company
[7]
서적
The Puyallup-Nisqually
AMS Press
[8]
서적
Chief Seattle and the Town That Took His Name: The Change of Worlds for the Native People and Settlers on Puget Sound
[9]
서적
The Many Speeches of Chief Seattle (Seathl): The Manipulation of the Record on Behalf of Religious Political and Environmental Causes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10]
웹사이트
Chief Seattle's Speech
http://www.historyli[...]
HistoryLink
2007-07-01
[11]
웹사이트
Suquamish Culture
http://www.suquamish[...]
Suquamish Tribe
2007-07-01
[12]
웹사이트
Chief Sealth Trail
http://www.traillink[...]
2012-02-12
[13]
서적
"Chief Seattle" and Crew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08-12-27
[14]
서적
Fortress Against the Sun
Da Capo Press
[15]
웹사이트
The Church Year
http://www.renewingw[...]
2022-06-02
[16]
웹사이트
Chief Si'ahl and His Family
http://www.duwamisht[...]
Duwamish Tribe
2009-09-24
[17]
웹사이트
Chief Si'ahl and His Family
http://www.duwamisht[...]
Duwamish Tribe
2009-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