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윈도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크릿 윈도우는 작가의 슬럼프를 겪는 미스터리 작가가 자신의 소설을 표절했다는 남자의 등장 이후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 심리 스릴러 영화이다. 아내의 불륜을 목격하고 별장에서 은둔 생활을 하던 모트 레이니는 존 슈터라는 남자에게 표절 혐의를 받게 되고, 슈터의 협박과 살인 사건에 휘말린다. 결국 모트는 슈터가 자신의 또 다른 인격이라는 것을 깨닫고, 살인과 관련된 기억을 잃은 채 파멸에 이른다. 영화는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조니 뎁이 주연을 맡았다.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이비드 켑 감독 영화 - 고스트 타운 (2008년 영화)
고스트 타운은 리키 저베이스 주연의 2008년 미국 판타지 코미디 영화로, 임사 체험 후 유령을 보게 된 인간 혐오증 치과의사가 유령들의 사연을 해결하며 벌어지는 소동과 로맨스를 그린다. - 데이비드 켑 감독 영화 - 프리미엄 러쉬
2012년 개봉한 액션 스릴러 영화 프리미엄 러쉬는 데이비드 코엡이 각본 및 감독을 맡고 조셉 고든-레빗이 주연을 맡아, 자전거 메신저 와일리가 배송 의뢰받은 영수증을 지키기 위해 뉴욕 시내를 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필립 글래스 영화 음악 - 햄버거 힐
1969년 아사우 계곡의 937고지, 일명 "햄버거 힐"을 점령하기 위한 [[제101공수사단]]의 전투를 배경으로, 신병들이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겪는 고통과 전우애를 그린 [[존 어빈]] 감독의 1987년 [[베트남 전쟁]] 영화이다. - 필립 글래스 영화 음악 - 사랑의 레시피
완벽주의 셰프 케이트가 조카 조이를 맡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2007년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영화 사랑의 레시피는 캐서린 제타존스, 애런 에크하트, 아비게일 브레스린이 주연을 맡았으며, 엇갈린 평가 속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9,26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스티븐 킹 원작의 영화 작품 - 그린 마일 (영화)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99년 영화 《그린 마일》은 1935년 루이지애나 교도소를 배경으로, 교도관 폴이 사형수 존 커피를 만나 그의 무죄를 의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존 커피의 초능력과 교도소 내 갈등, 폴의 삶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룬 감동과 긴장감을 주는 드라마이다. - 스티븐 킹 원작의 영화 작품 - 드림캐쳐 (영화)
드림캐쳐는 2003년에 개봉한 영화로, 텔레파시 능력을 가진 네 친구가 외계 생명체의 침공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지만 비평과 흥행 모두에서 실패했다.
시크릿 윈도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데이비드 코엡 |
제작자 | 개빈 폴론 에즈라 스워들로 |
각본 | 데이비드 코엡 |
출연 | 조니 뎁 존 터투로 마리아 벨로 티모시 허턴 찰스 S. 더튼 |
음악 | 필립 글래스 제프 자넬리 |
촬영 | 프레드 머피 |
편집 | 질 사비트 |
제작사 | 컬럼비아 픽처스 패리아 |
배급사 | 소니 픽처스 릴리징 |
개봉일 | 2004년 3월 12일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상영 시간 | 96분 |
제작비 | 4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9290만 달러 |
2. 줄거리
미스터리 작가 모트 레이니는 아내 에이미가 친구 테드와 불륜을 저지르는 현장을 목격한 후, 뉴욕주 북부 타쉬모어 호숫가 별장으로 숨어든다. 6개월이 지나도록 그는 우울증과 작가의 슬럼프에 시달리며 이혼 절차를 미루고 있었다.
어느 날, 존 슈터라는 남자가 나타나 모트가 자신의 단편 소설 "파종기"를 표절했다고 주장한다. 슈터의 원고를 읽은 모트는 결말을 제외하고 자신의 소설 "시크릿 윈도우"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모트는 과거 다른 작가의 글을 표절한 경험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자신의 소설이 2년 먼저 잡지에 실렸다고 반박하며 슈터의 주장을 일축하려 한다. 슈터는 증거를 요구하며 경찰에 알리지 말라고 경고하고 사라진다. 그날 밤, 모트의 개 치코가 죽은 채 발견되고, 사흘 안에 증거를 제시하라는 슈터의 쪽지가 남겨져 있었다.
모트는 뉴섬 보안관에게 사건을 알린 뒤, 증거인 잡지를 찾으러 에이미와 테드가 있는 집으로 향하지만 발길을 돌린다. 대신 사립 탐정 켄 카르쉬를 고용해 별장을 감시하게 하고, 슈터와 모트가 함께 있는 것을 봤다고 주장하는 지역 주민 톰 그린리프와 접촉한다. 그러나 슈터는 다시 나타나 모트에게 자신의 소설처럼 주인공이 아내를 죽이는 결말로 수정하라고 요구한다. 설상가상으로 에이미와 살던 집이 방화로 불타면서 잡지까지 소실된다.
카르쉬는 그린리프가 누군가의 협박을 받고 말을 바꾼 것 같다고 모트에게 전하고, 다음 날 아침 식당에서 그린리프와 함께 슈터를 만나기로 한다. 하지만 약속 장소에 늦게 도착한 모트는 두 사람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돌아오는 길에 주유소에서 테드를 마주친 모트는 이혼 서류에 서명하라는 요구를 받지만, 슈터가 테드를 고용했다고 의심하며 조롱하고 떠난다.
이후 슈터의 연락을 받고 약속 장소로 간 모트는 그린리프의 트럭 안에서 카르쉬와 그린리프가 살해된 것을 발견하고 충격으로 정신을 잃는다. 깨어난 모트에게 슈터는 그들이 자신의 일을 방해했기 때문에 죽였다고 말하며, 모트의 도끼와 드라이버를 사용해 그에게 살인 누명을 씌웠음을 암시하고 시신 처리를 종용한다. 모트는 다음 날 도착할 예정인 잡지 원본을 보여주기로 하고 슈터와 약속을 잡은 뒤, 카르쉬와 그린리프의 시신이 실린 트럭을 채석장 물속으로 밀어 넣어 증거를 인멸한다.
우체국에서 잡지가 든 소포를 찾았지만, 이미 개봉되어 있었고 해당 소설이 실린 페이지는 찢겨 나간 상태였다. 별장으로 돌아온 모트는 슈터의 모자를 발견하고 써보며 혼잣말을 하다가 벽에 물건을 던진다. 이때 벽에 균열이 생기며 집이 갈라지는 환상을 보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뒷모습을 보게 된다. 마침내 모트는 슈터가 자신의 상상 속 인물, 즉 해리성 정체성 장애로 인해 만들어진 또 다른 자아이며, 자신의 분노를 표출하고 감당할 수 없는 악행(치코, 그린리프, 카르쉬 살해, 방화)을 저질러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슈터 인격은 이제 모트를 완전히 장악한다.
별장에 도착한 에이미는 난장판이 된 집과 벽 곳곳에 새겨진 'SHOOTER'라는 글자를 발견한다. 슈터의 모자를 쓰고 나타난 모트는 슈터처럼 말하고 행동하며, 에이미는 그 이름이 '그녀를 쏘고 싶다'(Shoot Her)는 모트의 욕망임을 깨닫는다. 모트는 에이미를 쫓아가 다리를 찌르고, 에이미를 찾아온 테드마저 삽으로 살해한다. 에이미는 모트가 테드를 내려치며 "파종기"의 결말을 읊조리는 것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본다.
몇 달 후, 모트는 작가의 슬럼프에서 벗어나 삶의 활력을 되찾았지만, 실종 사건들과 연관되어 마을 사람들에게 공포와 외면의 대상이 된다. 뉴섬 보안관은 모트를 찾아와 살인 혐의로 수사 중이며 시신은 결국 발견될 것이라고 경고하지만, 모트는 태연하게 자신의 새 소설 결말이 "완벽하다"고 답한다. 그의 정원에는 옥수수가 자라고 있고, 그 아래 에이미와 테드의 시신이 묻혀 있음을 암시하며 영화는 끝난다. 이는 모트가 살인의 증거를 점진적으로 없애고 있음을 보여준다.
2. 1. 주요 등장인물
- '''모턴 "모트" 레이니''' (조니 뎁 역): 한때 잘나갔던 미스터리 작가. 아내 에이미가 친구 테드와 불륜을 저지르는 것을 목격한 후 뉴욕주 북부 타쉬모어 호수 근처 별장에서 은둔하며 지낸다. 작가의 슬럼프를 겪고 있으며, 이혼 절차를 미루고 있다. 존 슈터라는 인물에게 표절 시비에 휘말리게 된다. 사실 슈터는 모트의 또 다른 인격, 즉 해리성 정체성 장애로 인해 만들어진 가상의 인물이다.
- '''존 슈터''' (존 터투로 역): 모트 레이니 앞에 나타나 자신의 소설 "파종기"를 모트가 "시크릿 윈도우"라는 제목으로 표절했다고 주장하는 의문의 남자. 검은색 중절모를 쓰고 다닌다. 그의 정체는 모트 레이니의 또 다른 인격으로, 모트가 현실에서 행하지 못하는 폭력적인 행동(애견 살해, 방화, 살인 등)을 대신 실행한다. 이름 '슈터(Shooter)'는 모트가 아내 에이미를 향해 품은 살해 욕망('Shoot Her')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에이미 레이니''' (마리아 벨로 역): 모트 레이니의 별거 중인 아내. 친구인 테드 밀너와 불륜 관계에 있다. 모트에게 이혼 서류에 서명할 것을 요구한다. 영화 후반부, 모트의 별장에서 슈터의 정체를 깨닫고 모트(슈터 인격)에게 공격당한다.
- '''테드 "테디" 밀너''' (티모시 허튼 역): 모트와 에이미 부부의 친구이자 에이미의 불륜 상대. 모트에게 이혼 서류 서명을 재촉한다. 영화 후반부, 에이미를 찾아 모트의 별장에 왔다가 모트(슈터 인격)에게 살해당한다.
- '''켄 카르쉬''' (찰스 S. 더튼 역): 사립 탐정. 모트 레이니의 의뢰를 받아 존 슈터에 대해 조사하고 모트를 경호하지만, 슈터(모트)에게 살해당한다.
- '''톰 그린리프''' (존 던 힐 역): 모트가 사는 지역의 주민. 처음에는 모트와 슈터가 함께 있는 것을 봤다고 증언하려 했으나, 이후 입장을 바꾼다. 슈터(모트)에게 살해당한다.
- '''데이브 뉴섬 보안관''' (렌 카리우 역): 사건이 벌어지는 지역의 보안관. 모트의 신고를 받고 사건을 조사하지만, 뚜렷한 증거를 찾지 못한다. 영화 마지막에는 여러 실종 사건과 관련하여 모트를 의심하며 경고한다.
3. 제작
이 영화는 스티븐 킹의 중편 소설 『시크릿 윈도우, 시크릿 가든』을 원작으로 한다.[5]
영화의 결말은 원작 소설과 차이가 있다. 소설에서는 테드와 에이미가 모트의 생명 위협에서 살아남고 모트는 사망한다. 또한, 소설에서는 초자연적인 힘을 통해 허구의 인물인 존 슈터가 모트의 상상 속에서 현실로 나타나 살인과 방화를 저지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3. 1. 촬영
"시크릿 윈도우"의 일부는 몬트리올에서 남동쪽으로 약 2시간 거리에 있는 이스턴 타운십스의 노스 핫틀리, 퀘벡 마을에서 촬영되었다.[2][3] 다른 촬영 장소로는 매서위피 호, 사카코미 호, 게일 호, 그리고 브로몽, 퀘벡 마을 등이 있다.[4]데이비드 켑 감독은 DVD 코멘터리 트랙에서, 소파에서 모트가 불안한 밤을 보내는 동안의 바다 장면은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에서 가져온 추가 B-롤 푸티지였다고 밝혔다.[5]
3. 2. 캐스팅
- 조니 뎁 - 모턴 "모트" 레이니 역
- 존 터투로 - 존 슈터 역
- 마리아 벨로 - 에이미 레이니 역
- 티모시 허튼 - 테드 "테디" 밀너 역
- 렌 카리우 - 데이브 뉴섬 보안관 역
- 찰스 S. 더튼 - 사립 탐정 켄 카르쉬 역
- 존 던 힐 - 톰 그린리프 역
3. 2. 1. 주연
- 조니 뎁 - 모턴 "모트" 레이니 역: 한때 잘나가던 작가였으나, 현재는 슬럼프에 빠져 아내 에이미와 별거 중이다. 1994년에 소설 "시크릿 윈도우"를 발표한 바 있다. 애견 치코와 함께 외딴 오두막에서 지낸다.
- 존 터투로 - 존 슈터 역: 모트 앞에 나타나 그의 소설 "시크릿 윈도우"가 자신의 작품을 표절했다고 주장하는 의문의 남자이다. 그러나 그의 정체는 모트가 만들어낸 또 다른 자아, 즉 상상 속 인물이다.
- 마리아 벨로 - 에이미 레이니 역: 모트와 별거 중인 아내이다. 테드와 새로운 관계를 맺고 있다.
- 티모시 허튼 - 테드 "테디" 밀너 역: 에이미의 현재 연인으로, 모트와 에이미의 이혼 절차를 돕고 있다.
- 찰스 S. 더튼 - 켄 카르쉬 역: 모트가 고용한 사립 탐정이다. 슈터의 위협으로부터 모트를 보호하고 그의 정체를 조사하는 임무를 맡지만, 의문의 인물에게 살해당한다.
- 렌 카리우 - 데이브 뉴섬 보안관 역: 사건이 벌어지는 마을의 보안관이다.
- 존 던 힐 - 톰 그린리프 역: 모트의 지인이자 마을 주민이다. 모트의 알리바이를 증명해 줄 수 있는 인물이지만, 슈터(모트)에게 살해당한다.
3. 2. 2. 조연
- 존 터투로 - 존 슈터 역: 모트에게 표절 의혹을 제기한 남자. 사실은 모트가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이다.
- 마리아 벨로 - 에이미 레이니 역: 모트와 별거 중인 아내.
- 티모시 허튼 - 테드 "테디" 밀너 역: 에이미의 외도 상대.
- 찰스 S. 듀턴 - 켄 카쉬 역: 모트의 지인이자 사립 탐정. 모트로부터 조사와 경호를 의뢰받지만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살해당한다.
- 존 던 힐 - 톰 그린리프 역: 모트의 지인.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살해당한다.
배역 | 배우 |
---|---|
데이브 뉴섬 보안관 | 렌 카리우 |
가비 부인 | 조앤 헤니 |
줄리엣 스토커 | 엘리자베스 말로 |
브래들리 형사 | 매트 홀랜드 |
위커샴 소방서장 | 블래스터 브라나 |
프란 에반스 | 질리안 페라비 |
모텔 매니저 | 리처드 젯트러스 |
3. 3. 기타 제작진
4. 평가
영화 《시크릿 윈도우》는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사이트들에서는 대체로 "혼합 또는 평균적인 평가"를 기록했으며,[8][9][11][12] 관객 반응 역시 평균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10] 주연 배우 조니 뎁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으나, 영화 자체의 완성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7][8]
4. 1. 비평
로저 이버트는 《시크릿 윈도우》에 4개 만점에 3개의 별점을 부여하며 "밤에 부우 소리를 내는 일에 대한 진지한 스릴러가 될 수도 있었지만, 조니 뎁과 데이비드 켑 감독은... 그렇게 되도록 내버려두기에는 너무 많은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라고 평했다. 그는 "이야기가 결승선에 도달할 때보다 진행되는 동안 더 재미있다. 그러나 적어도 킹은 마지막까지 상상력을 발휘하며, 덜 숙련된 이야기꾼이 선택했을 법한 의무적인 폭력적 대결은 우리에게서 덜어준다."라고 덧붙였다.[6] ''엠파이어''의 이안 네이선은 이 영화에 5개 만점에 2개의 별점을 부여하며 "뛰어난 뎁의 존재는 ''시크릿 윈도우''가 주목받기에 충분할 것이지만, 그의 최신 기이한 행동조차도 이 실패한 속임수를 활성화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라고 평했다.[7]리뷰 애그리게이터 로튼 토마토에서는 162건의 리뷰를 바탕으로 46%의 지지율과 평균 5.50/10점을 기록했다. 이 사이트의 비평가들은 "뎁은 기발하게 재미있지만, 영화는 마지막에 힘이 빠진다."라는 의견을 보였다.[11] 메타크리틱에서는 34건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46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혼합 또는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낸다.[12] 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들은 이 영화에 A+에서 F까지의 척도로 평균 "C+" 등급을 부여했다.[10]
이 영화는 상업적으로 다소 성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9290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4000만달러의 제작비를 회수했다.
홈 미디어 출시에는 대체 결말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여기에는 모트의 정원에 있는 옥수수밭 아래에 있는 테드와 에이미의 시신이 명확하게 보여진다. 극장 개봉에서는 이것이 암시되었지만 시신은 보여지지 않았다.
4. 2. 흥행
이 영화는 상업적으로 비교적 성공을 거두었다. 4000만달러의 제작비로 전 세계적으로 929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들은 이 영화에 A+에서 F까지의 척도로 평균 "C+" 등급을 부여했다.[10]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61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45%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5.50/10이다.[8] 메타크리틱에서는 34명의 비평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46점을 받아 "혼합 또는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9]
5. 해석 및 분석
영화 《시크릿 윈도우》는 단순한 표절 시비를 넘어 주인공 모트 레이니의 복잡한 내면 심리와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탐구하는 심리 스릴러이다. 아내의 불륜과 작가의 슬럼프라는 이중고 속에서 모트가 만들어낸 또 다른 자아, 존 슈터는 그의 억눌린 분노, 죄책감, 그리고 파괴적인 욕망을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슈터의 등장은 모트의 평온했던 은둔 생활을 뒤흔드는 외부적 위협으로 시작되지만,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그가 모트 자신의 내면에서 비롯된 존재임이 드러난다. 슈터가 모트에게 자신의 소설 "파종기"의 결말(주인공이 아내를 살해하는 내용)을 강요하는 것은 모트 스스로가 외면하고 있던 어두운 욕망을 반영한다. 'SHOOTER'라는 이름 역시 '그녀를 쏘라'(eng)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아내 에이미에 대한 모트의 무의식적인 적대감을 암시한다.
표절 논란 자체도 중요한 상징성을 지닌다. 과거 표절 경험이 있는 모트에게 슈터의 주장은 단순한 비난을 넘어 내면의 죄책감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자신의 작품 "시크릿 윈도우"와 슈터의 "파종기"가 결말만 다른 것은, 모트가 자신의 비밀스러운 내면(eng)에 숨겨둔 파괴적인 생각(eng)을 드러내는 장치이다.
결국 모트는 슈터라는 또 다른 인격에 잠식되어 아내와 그녀의 연인을 살해하고, 역설적이게도 작가의 슬럼프를 극복하고 창작 활동을 재개한다. 이는 예술적 영감과 창작의 원천이 때로는 인간 내면의 가장 어둡고 파괴적인 부분과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현실 도피와 자기기만이 가져오는 비극적인 결과를 경고한다. 영화는 모트의 정원에 묻힌 시신들을 통해 그의 '완벽한 결말'이 사실은 끔찍한 범죄 위에 세워진 것임을 암시하며 깊은 여운을 남긴다.
5. 1. 심리 스릴러
미스터리 작가 모트 레이니는 아내 에이미가 친구 테드와 불륜을 저지르는 것을 목격한 후, 뉴욕주 북부 타쉬모어 호수에 있는 별장으로 은둔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작가의 슬럼프와 우울증에 시달리던 모트 앞에 존 슈터라는 의문의 남자가 나타나, 모트의 소설 '시크릿 윈도우'가 자신의 단편 소설 '파종기'를 표절했다고 주장하며 압박한다. 슈터의 등장은 평온했던 모트의 일상에 균열을 일으키며 극의 긴장감을 조성한다.슈터는 자신의 원고가 모트의 것과 결말만 다를 뿐 거의 동일하다고 주장하며, 과거 표절 전력이 있던 모트에게 증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하고 경찰에 연락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모트의 개 치코가 죽임을 당하고, 슈터가 남긴 협박 쪽지는 관객에게 불안감을 심어준다. 모트는 사립 탐정 켄 카르쉬를 고용하고 지역 주민 톰 그린리프를 목격자로 찾으려 하지만, 상황은 점점 더 미궁 속으로 빠져든다. 슈터는 모트에게 자신의 소설 결말처럼 주인공이 아내를 죽이는 내용으로 수정하라고 요구하고, 설상가상으로 에이미와 모트의 집이 방화로 소실되면서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한다.
탐정 켄 카르쉬와 목격자 톰 그린리프가 살해된 채 발견되면서 모트는 살인 누명까지 쓰게 될 위기에 처한다. 슈터는 모트의 도구를 이용해 살인을 저질렀다고 밝히며, 모트가 시신을 처리하도록 유도하고 심리적으로 더욱 압박한다. 모트는 자신의 소설이 먼저 발표되었다는 증거인 잡지를 확보하려 하지만, 배송된 잡지는 이미 해당 페이지가 찢겨 나간 상태다.
극의 절정에서 모트는 슈터가 자신의 또 다른 인격, 즉 해리성 정체성 장애로 인해 만들어진 존재임을 깨닫는다. 모트 내면의 분노와 악의가 형상화된 슈터는 모트가 차마 저지르지 못했던 폭력적인 행동들(개의 죽음, 방화, 살인)을 대신 실행했던 것이다. 이 반전은 관객에게 큰 충격을 주며, 이전까지의 사건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만든다.
결국 슈터 인격에 완전히 잠식된 모트는 자신을 찾아온 아내 에이미와 그녀의 친구 테드를 살해한다. 몇 달 후, 모트는 작가의 슬럼프에서 벗어나 평온을 되찾은 듯 보이지만, 그의 정원에 묻힌 시신들은 그가 저지른 끔찍한 범죄와 완전한 인격 변화를 암시하며 섬뜩한 여운을 남긴다. 영화는 주인공의 심리 변화와 예측 불가능한 사건 전개를 통해 심리 스릴러 장르의 특징인 긴장감과 공포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5. 2. 해리성 정체성 장애
영화의 주인공 모트 레이니는 아내 에이미의 불륜을 목격한 충격 이후 뉴욕주 북부의 외딴 별장에서 은둔하며 우울증과 작가의 슬럼프를 겪는다. 이러한 심리적 고통과 고립된 환경 속에서 모트는 자신도 모르게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겪게 된다.[1]어느 날 나타난 존 슈터라는 인물은 모트가 자신의 소설을 표절했다고 주장하며 그를 압박한다. 슈터는 모트의 개를 죽이고, 증거를 요구하며 협박하고, 심지어 모트의 집을 불태우는 등 점차 폭력적인 행동을 보인다.[1] 모트는 슈터의 존재를 현실로 받아들이고 그에게 대응하려 하지만, 주변 인물들(톰 그린리프, 켄 카르쉬)이 슈터와 관련된 사건으로 살해당하면서 상황은 극단으로 치닫는다.[1]
영화 후반부, 모트는 별장에서 슈터의 모자를 발견하고 혼잣말을 하던 중 거울을 통해 자신의 뒷모습을 보게 되고, 벽에 반복적으로 새겨진 'SHOOTER'라는 글자를 확인하면서 충격적인 진실을 깨닫는다. 존 슈터는 실존 인물이 아니라, 모트 자신의 또 다른 인격이었던 것이다. 이 인격은 모트가 겪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처리하고, 모트 스스로는 실행할 수 없는 폭력적인 행동들(살인, 방화 등)을 대신 수행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만들어낸 존재였다.[1]
자신의 상태를 자각한 순간, 슈터 인격은 모트를 완전히 장악한다. 별장을 찾아온 아내 에이미는 'SHOOTER'라는 이름이 모트의 무의식적인 살해 욕망("Shoot Her", 그녀를 쏴라)을 의미함을 깨닫지만, 이미 슈터 인격이 된 모트에게 공격당한다. 에이미를 찾아온 테드 역시 모트에게 살해당하고, 모트는 에이미마저 살해하며 자신의 소설 "파종기"의 잔혹한 결말을 현실에서 재현한다.[1]
결말에서 모트는 작가의 슬럼프를 완전히 극복하고 창작 활동에 몰두하지만, 주변 사람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이 되어 외면받는다. 보안관이 살인 혐의를 언급하며 경고하지만, 모트는 태연하게 자신의 새 소설 결말이 "완벽하다"고 말한다. 그의 정원에는 에이미와 테드의 시신이 묻혀 있으며, 이는 모트가 자신의 범죄를 은폐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통해 내면의 폭력성이 발현되고 현실을 파괴했지만, 역설적으로 작가로서의 정체성은 회복하게 된 비극적인 결말을 보여준다.[1]
참조
[1]
뉴스
Depp's charisma makes 'Secret Window' worth a look
http://seattletimes.[...]
The Seattle Times
2004-03-12
[2]
뉴스
The Stanstead Journal
https://news.google.[...]
2003-09-13
[3]
웹사이트
North Hatley Travel Guide
http://www.southstla[...]
[4]
웹사이트
The Art of Writing and Making Films - Adaptation Secret Window
http://www.writingst[...]
[5]
AV media
Secret Window
Columbia Pictures
[6]
웹사이트
Secret Window movie review & film summary (2004)
https://www.rogerebe[...]
2004-03-12
[7]
웹사이트
Secret Window Review
https://www.empireon[...]
Bauer Media Group
2000-01-01
[8]
웹사이트
Secret Window (2004)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4-08-04
[9]
웹사이트
Secret Window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9-10-05
[10]
웹사이트
CinemaScore
http://www.cinemasco[...]
CinemaScore
2020-12-02
[11]
Rotten Tomatoes
Secret Window
2023-04-11
[12]
Metacritic
Secret Window
2023-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